베라 크레프키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라 크레프키나는 소련의 육상 선수로, 주로 단거리 달리기와 멀리뛰기에서 활약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100m와 4 × 100m 계주에 참가했으며, 이후 1954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4 × 1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57년 유니버시아드에서는 100m와 멀리뛰기에서 우승했고, 1958년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100m에서 은메달, 4 × 1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추가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여자 멀리뛰기 선수 - 타티야나 콜파코바
- 소련의 여자 멀리뛰기 선수 - 타티야나 셸카노바
- 러시아의 여자 멀리뛰기 선수 - 다리야 클리시나
다리야 클리시나는 러시아의 멀리뛰기 선수로, 여러 국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모델로도 활동하고 개인 최고 기록은 실외 7.05m, 실내 7.01m이다. - 러시아의 여자 멀리뛰기 선수 - 안나 비류코바
안나 비류코바는 러시아의 세단뛰기 선수로, 199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94년 유럽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은메달,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와 IAAF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유대계 소련인 - 지가 베르토프
지가 베르토프는 러시아 혁명 시대 소비에트 영화 제작자이자 이론가이며 다큐멘터리 영화의 아버지로, 《키노 프라우다》와 《카메라를 든 사나이》 등의 작품과 "시네-아이" 이론을 통해 영화 언어의 혁신을 이끌었고 후대 영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유대계 소련인 - 엘리야후 립스
엘리야후 립스는 라트비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반체제 운동가로, 성경 암호 연구를 진행했으며,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2024년에 사망했다.
베라 크레프키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33년 4월 15일 |
출생지 | 코텔니치,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
사망일 | 2023년 4월 25일 |
사망지 | 키이우, 우크라이나 |
키 | 1.59 m |
몸무게 | 58 kg |
스포츠 | 육상 |
종목 | 단거리 달리기, 멀리뛰기 |
소속 클럽 | 로코모티프 볼로그다 로코모티프 키예프 |
개인 최고 기록 | 100 m: 11.3 (1958) 멀리뛰기: 6.37 m (1960)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1960년 로마, 멀리뛰기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54년 베른, 4×100 m 릴레이 금메달, 1958년 스톡홀름, 4×100 m 릴레이 은메달, 1958년 스톡홀름, 100 m |
2. 경력
베라 칼라시니코바 크레프키나는 19세의 나이로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육상 경력을 시작했다. 1954년 스위스 베른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 × 100m 계주에 출전, 45.8초로 서독을 0.5초 차이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100m와 4 × 100m 계주에 출전하여 100m는 준결승 5위, 4 × 100m 계주는 4위를 기록했다. 1958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100m에서 11.7초로 영국의 헤더 아미티지와 공동 2위를 차지했고, 4 × 100m 계주에서는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100m는 준결승에서 탈락했으나, 처음 출전한 멀리뛰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1. 올림픽
크레프키나는 총 3번의 올림픽에 출전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과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는 100m와 4 × 100m 계주에 출전하여, 100m는 모두 준결승에서 탈락했고, 계주는 모두 4위를 기록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는 100m(준결승 탈락) 외에 멀리뛰기에도 처음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했고, 계주는 4위를 기록했다.2. 1. 1. 1952년 헬싱키 올림픽
크레프키나는 19세였던 1952년에 처음으로 올림픽에 출전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100m와 4 × 100m 계주에 출전했다. 100m는 준결승 5위로 탈락했다. 4 × 100m 계주에서는 3위 영국에 0.1초 뒤져 4위로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1]2. 1. 2. 1956년 멜버른 올림픽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크레프키나는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100m와 4 × 100m 계주에 출전했다. 100m는 준결승에서 5위에 그쳤고, 4 × 100m 계주는 결승에서 4위를 기록하여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2. 1. 3. 1960년 로마 올림픽
크레프키나는 1960년, 세 번째 올림픽인 로마 올림픽에 출전했다. 100m는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준결승에서 6위로 탈락했다. 그러나 크레프키나는 100m 이후, 세 번째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멀리뛰기에 출전했다. 멀리뛰기는 올림픽 직전에 두 차례 세계 신기록(6m36, 6m40)을 수립한 동독의 힐드룬 클라우스나 멜버른 금메달리스트인 폴란드의 엘주비에타 크셰신스카 등 기대를 모으는 종목이었다. 하지만 클라우스는 1차 시기에서 6.21m를 뛰어 1위에 올랐지만, 이후 기록을 늘리지 못했고, 크레프키나는 3차 시기에서 6.22m를 뛰어 역전한 다음, 4차 시기에서 세계 기록에 육박하는 6.37m의 올림픽 신기록을 세우며 격차를 더욱 벌렸다. 크셰신스카가 6차 시기에서 6.27m를 뛰어 좁혀졌지만, 그대로 달아나 모두를 놀라게 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4 × 100m 계주는 지난 두 대회와 마찬가지로 또다시 4위가 되어 메달을 놓쳤다.2. 2. 유럽 선수권 대회
1954년 스위스 베른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와 1958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 × 100m 계주 2연속 금메달, 100m 은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2. 2. 1. 1954년 베른
1954년 스위스 베른에서 열린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4 × 100m 계주에 출전하여 45.8초를 기록, 서독을 0.5초 차이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획득했다.[1]2. 2. 2. 1958년 스톡홀름
1958년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크레프키나는 100m와 4 × 100m 계주에 출전했다. 100m는 11.7초로 영국의 헤더 아미티지와 같은 기록이었지만,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하여 개인 종목에서 처음으로 메달을 획득했다.[1] 4 × 100m 계주에서는 1954년 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1]3. 개인 최고 기록
크레프키나는 100m에서 11초 3(1958년), 200m에서 23초 9(1958년), 멀리뛰기에서 6.37m(1960년)의 개인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3. 1. 단거리 달리기
베라 크레프키나는 1958년에 100m에서 11초 3, 200m에서 23초 9의 기록을 세웠다.종목 | 기록 | 날짜 |
---|---|---|
100m | 11초 3 | 1958년 |
200m | 23초 9 | 1958년 |
3. 2. 멀리뛰기
종목 | 기록 | 날짜 |
---|---|---|
멀리뛰기 | 6.37m | 1960년 |
4. 주요 실적
연도 | 대회 | 개최지 | 종목 | 결과 | 기록 |
---|---|---|---|---|---|
1952 | 올림픽 | 헬싱키 (핀란드) | 100m | 5위 (준결) | 12초 1 |
1952 | 올림픽 | 헬싱키 (핀란드) | 4×100m 계주 | 4위 | 46초 3 |
1954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베른 (스위스) | 4×100m 계주 | 45초 8 | |
1956 | 올림픽 | 멜버른 (호주) | 100m | 5위 (준결) | 11초 9 |
1956 | 올림픽 | 멜버른 (호주) | 4×100m 계주 | 4위 | 45초 6 |
1957 | 유니버시아드 | 파리 (프랑스) | 100m | 11초 8 | |
1957 | 유니버시아드 | 파리 (프랑스) | 멀리뛰기 | 6m 03 | |
1958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톡홀름 (스웨덴) | 100m | 11초 7 | |
1958 |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 스톡홀름 (스웨덴) | 4×100m 계주 | 45초 3 | |
1960 | 올림픽 | 로마 (이탈리아) | 100m | 6위 (준결) | 12초 0 |
1960 | 올림픽 | 로마 (이탈리아) | 4×100m 계주 | 4위 | 45초 2 |
1960 | 올림픽 | 로마 (이탈리아) | 멀리뛰기 | 6m 37 |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Vera Krepkina
http://esu.com.ua/se[...]
[2]
웹사이트
Vira Kalashnykova-Krepkina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European Championships (Women)
http://www.gbrathlet[...]
Gbrathletics.com
2011-08-15
[4]
웹사이트
Olympic and European Champion Vira Krepkina dies at the age of 90
https://www.european[...]
2023-04-25
[5]
뉴스
Olympic and European Champion Vira Krepkina dies at the age of 90
https://www.european[...]
2023-04-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