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4년에 제정되어 1991년까지 사용되었다. 이 국가는 작곡가 N. 소콜로프스키와 작사가 M. 클림코비치의 합작으로 만들어졌으며, 1955년에는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된 가사로 변경되었다. 소련 붕괴 이후에는 선율만 사용되다가, 2002년에 클림코비치의 다른 시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가사가 채택되어 현재 벨라루스의 국가인 "우리는 벨라루스인"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노래 - 벨라루스의 국가
벨라루스의 국가는 2002년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결정으로 가사가 제정되었으며, 소련 시대의 음악을 바탕으로 벨라루스 민족의 단결과 과거의 영광을 기리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은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장으로,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1926년 처음 제정된 국장은 붉은 방패에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라는 문구와 망치와 낫, 밀 이삭을 묘사했고, 1950년에는 붉은 별, 망치와 낫, 떠오르는 해, 농업 생산물,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 문구, 'БССР' 약자를 포함했으며, 1991년 독립 후 파호니아 문장이 사용되다 1995년 국민 투표를 통해 소련 시대 국장이 다시 채택되었다.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붉은색 바탕에 녹색 띠와 흰색 바탕의 붉은색 장식, 붉은 별을 특징으로 하며, 각 색상과 문양은 혁명, 자연, 전통 문화, 공산주의 이념을 상징한다. - 소련의 국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의 국가로, 다양한 언어의 가사를 가지며 역사적 배경과 관련되어 스탈린 시대와 탈스탈린 시대를 거치며 가사에 변화가 있었다. - 소련의 국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무탈 부르하노프가 작곡하고 티무르 파타와 투라브 툴라가 가사를 썼고,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멜로디로 사용된다.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 |
|---|---|
| 기본 정보 | |
![]() | |
| 로마자 표기 | Dziaržawny himn Biełaruskaj Savieckaj Sacyjalistyčnaj Respubliki |
| 영어 제목 | Anthem of the Byelorus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
| 작사가 | 미하스 클림코비치 |
| 작곡가 | 네스테르 사칼로프스키 |
| 채택일 | 1955년 9월 17일 (최초 승인) 1955년 9월 24일 (법적 승인) |
| 폐지일 | 1991년 |
| 계승 국가 | 나의 벨라루스 |
2. 역사
1944년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지시에 따라 각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가 제정 작업이 시작되었다.[8][9][10][11][12]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Несьцер Сакалоўскі|N. 소콜로프스키be가 작곡하고 Міхась Клімковіч|M. 클림코비치be가 작사하여 1955년에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8][9][10][11][12] 이 국가는 1991년 소련 붕괴 시점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벨라루스가 독립하면서 한동안 가사 없이 선율만 국가로 연주되었다.[8][9][10][11][12] 2002년에는 기존 선율에 M. 클림코비치의 다른 시를 가사로 채택하여 새로운 국가를 제정하였고, 이는 현재 벨라루스의 국가인 "우리는 벨라루스인"으로 이어졌다.[8][9][10][11][12]
2. 1. 국가 제정 배경 (1944-1955)
1944년 2월 3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는 "소비에트 공화국의 국가에 관한" 법령을 발표했다. 이 법령에 따라 각 공화국은 자신들의 국가를 제정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자국의 저명한 작곡가들을 통해 새로운 국가를 만들었으며,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기존의 국가인 "타우티슈카 기에스메"를 다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벨로루시에서는 작곡가 Несьцер Сакалоўскі|N. 소콜로프스키be와 작사가 Міхась Клімковіч|M. 클림코비치be가 국가 제작에 참여하였다. 이들이 만든 국가는 1955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8][9][10][11][12]2. 2. 소련 붕괴와 현재 (1991-현재)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N. 소콜로프스키(Несьцер Сакалоўскі)가 작곡하고 M. 클림코비치(Міхась Клімковіч)가 작사하여 1955년부터 1991년 소련 붕괴 시점까지 사용되었다. 소련 붕괴 후 벨라루스가 독립하면서 한동안 국가의 가사는 사용되지 않고 선율만 연주되었다. 이후 2002년, 기존의 선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M. 클림코비치가 쓴 다른 시를 가사로 채택하여 새로운 국가를 제정했다. 이 선율과 새로운 가사는 현재 벨라루스의 국가인 "우리는 벨라루스인"으로 이어졌다.[8][9][10][11][12]3. 가사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가사는 1955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으며, 미하스 클림코비치(Міхась Клімковічbe)가 작사했다. 가사의 내용은 벨라루스 인민과 러시아 인민의 형제애, 레닌과 공산당의 영도 아래 공산주의 사회를 건설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1956년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가사에서 스탈린을 언급하는 부분이 수정되었다. 수정된 가사는 1991년 소련이 해체되고 벨라루스가 독립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아래는 시기별 가사의 상세 내용이다.
3. 1. 1956-1991년 가사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국제 음성 기호 |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
'''한국어 번역'''
| 벨라루스어 가사 | 한국어 번역 (가사) |
|---|---|
3. 2. 1955년 가사 (스탈린주의 버전)
Разам шукалі к долі дарог.Ў бітвах за волю, ў бітвах за долю
Мы здабылі з ёй сцяг перамог!
Прыпеў:
Нас аб’яднала Леніна імя,
Сталін павёў нас к шчасцю ў паход.
𝄆 Слава Саветам! Слава Радзіме!
Слава табе, Беларускі народ! 𝄇
Ў слаўным саюзе люд Беларусі
Вырас, як волат нашых былін.
Вечна мы будзем вольныя людзі,
Жыць на шчаслівай, вольнай зямлі!
'Прыпеў'
Дружбай народаў мы назаўсёды,
Нашы граніцы ў сталь закуём.
Ворагаў хмары грозным ударам,
З нашых прастораў прэч мы змяцём!
'Прыпеў'[7]
Razam šukali k doli daroh.
W bitvach za volu, bitvach za volu
My zdabyli z joj sciah peramoh!
Prypiew:
Nas ab’jadnała Lenina imia,
Stalin paviow nas k ščasciu w pachod.
𝄆 Słava Savietam! Słava Radzimie!
Słava tabie, Biełaruski narod! 𝄇
W sławnym sajuzie lud Biełarusi
Vyras, jak vołat našych bylin.
Viečna my budziem volnyja ludzi,
Žyć na ščaslivaj, volnaj ziamli!
'Prypiew'
Družbaj narodaw my nazawsiody,
Našy hranicy w stal zakujom.
Vorahaw chmary hroznym uradam,
Z našych prastoraw preč my zmiaciom!
'Prypiew'
[rä.z̪äm ʂu.kä.l̪ʲi g‿d̪o̞.l̪ʲi d̪ä.ro̞x ‖]
[β‿bʲit̪.väɣ z̪ä vo̞.l̪ʲu | β‿bʲit̪.väɣ z̪ä d̪o̞.l̪ʲu]
[mɨ‿z̪.d̪ä.bɨ.l̪ʲi z̪ʲ‿jo̞j s̪ʲt̻͡s̪ʲäx pʲe̞.rä.mo̞x ‖]
[prɨ.pʲe̞w]
[n̪äs̪ äb.jäd̪.n̪ä.ɫ̪ä l̪ʲe̞.n̪ʲi.n̪ä ji.mʲä |]
[s̪t̪ä.l̪ʲin̪ pä.vʲo̞w n̪äs̪ k‿ʂʈ͡ʂäs̪ʲ.t̻͡s̪ʲu ɸ‿pä.xo̞t̪ ‖]
𝄆 [s̪ɫ̪ä.vä s̪ä.vʲe̞.t̪äm | s̪ɫ̪ä.vä rä.d̻͡z̪ʲi.mʲe̞ |]
[s̪ɫ̪ä.vä t̪ä.bʲe̞ | bʲe̞.ɫ̪ä.rus̪ʲ.kʲi n̪ä.ro̞t̪ ‖] 𝄇
[ɸ‿s̪ɫ̪äw.nɨm s̪ä.ju.zʲe̞ l̪ʲud̪ bʲe̞.ɫ̪ä.ru.s̪ʲi |]
[vɨ.räs̪ jäg vo̞.ɫ̪ät̪ nä.ʂɨɣ bɨ.l̪ʲin̪ ‖]
[vʲe̞ʈ͡ʂ.n̪ä mɨ bu.d̻͡z̪ʲe̞m vo̞l̪ʲ.n̪ɨ.jä l̪ʲu.d̻͡z̪ʲi |]
[ʐɨt̻͡s̪ʲ n̪ä ʂʈ͡ʂäs̪.l̪ʲi.väj | vo̞l̪ʲ.n̪äj z̪ʲäm.l̪ʲi ‖]
[prɨ.pʲe̞w]
[d̪ruʐ.bäj n̪ä.ro̞.d̪äw mɨ n̪ä.z̪äw.s̪ʲo̞.d̪ɨ |]
[n̪ä.ʂɨ ɣrä.n̪ʲi.t̻͡s̪ɨ‿w s̪t̪äɫ̪ z̪ä.ku.jo̞m ‖]
[vo̞.rä.ɣäw xmä.rɨ xro̞z̪.n̪ɨm u.d̪ä.räm |]
[z̪‿n̪ä.ʂɨx prä.s̪t̪o̞.räw pre̞ʈ͡ʂ mɨ‿z̪.mʲä.t̻͡s̪ʲo̞m ‖]
[prɨ.pʲe̞w]
Together searched for roads to fortune.
In battles for freedom, in battles for destiny,
We have gained with it the banner of victory!
Chorus:
Leninname united us,
Stalin led us in a campaign for happiness.
𝄆 Glory to the Soviets! Glory to the Motherland!
Glory to you, Belarusian people! 𝄇
In a glorious union, the people of Belarus
Grew up like a hero of our epics.
Forever we will be free people,
To live on a happy, free land!
horus'
Friendship of peoples we forever,
Our borders in steel we shall forge.
Enemies clouds with a formidable blow,
From our expanses away we shall sweep!
'Chorus'
함께 운명의 길을 찾았네.
자유를 위한 투쟁에서, 운명을 위한 투쟁에서,
우리는 승리의 깃발을 얻었네!
후렴:
레닌의 이름이 우리를 결합시켰고,
스탈린은 우리를 기쁨을 향한 길로 이끌었네.
𝄆 소비에트에게 영광을! 조국에게 영광을!
벨라루스 인민에게 영광을! 𝄇
영광스러운 연합 속에서 벨라루스 인민은
우리 서사시의 영웅처럼 성장했네.
우리는 영원히 자유로운 사람들이 될 것이며,
행복하고 자유로운 땅에서 살아가리라!
'후렴'
인민의 우정은 우리가 옹호하는 것이고,
우리의 강철 국경은 우리가 지킬 것이다.
우리의 무서운 적들을 넘어 구름이 불고,
우리는 그들을 우리 땅에서 쓸어버릴 것이다!
'후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