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라루스의 국가는 1955년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2002년 가사와 악보가 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 국가는 소련 시대의 주제를 유지하면서도 벨라루스의 독립을 반영하여 수정되었으며, 공식 행사,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에서 연주된다. 국가는 벨라루스어 가사를 기본으로 하며, 러시아어 가사도 존재한다. 국가 연주 시 시민들은 기립해야 하며, 군인이나 경찰 제복을 입은 사람은 거수경례를 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노래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4년에 제정되어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가사는 여러 차례 개정되었고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한국어 가사가 존재하며, 특히 스탈린 시기에는 스탈린을 찬양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 벨라루스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벨라루스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바장조 작품 - 모잠비크의 국가
모잠비크의 국가는 1975년 독립 이후 사용된 "파트리아 아마다"로, 독립 투쟁과 혁명의 역사를 반영하며 자유, 단결, 번영에 대한 열망을 담아 국민의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 바장조 작품 - 과테말라의 국가
1896년 공모전을 통해 확립된 과테말라의 국가는 라파엘 알바레스 오발레의 음악과 호세 호아킨 팔마의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1934년 호세 마리아 보닐라 루아노에 의해 가사가 수정되어 과테말라의 평화, 번영, 국기, 자연, 케찰을 찬양한다.
| 벨라루스의 국가 | |
|---|---|
| 일반 정보 | |
![]() | |
| 명칭 | 국가 |
| 원어 명칭 | (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
| 로마자 표기 | Dziaržawny himn Respubliki Bielaruś |
| 영어 명칭 | State Anthem of the Republic of Belarus |
| 별칭 | (My, biełarusy) |
| 영어 별칭 | 'We Belarusians' |
| 상징 | |
| 작사가 | 미하스 클림코비치(Mikhas Klimkovich), 울라지미르 카르지나(Uladzimir Karyzna) |
| 작사 연도 | 2002년 |
| 작곡가 | 네시에르 사칼로우스키(Niescier Sakałowski) |
| 작곡 연도 | 1944년 |
| 채택일 | 1955년 9월 24일 (음악), 2002년 7월 2일 (현재 가사) |
| 이전 국가 |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State Anthem of the Belaru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
| 음원 파일 | Anthem-belarus-2002-instr-standard_2004.ogg |
| 음원 제목 | F 장조의 기악 연주 |
2. 역사
벨라루스의 국가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인 1955년에 처음 제정되었다. 이때 채택된 국가는 니에스테르 사칼로우스키가 작곡하고 미하스 클림코비치가 작사한 Мы, беларусы|미, 벨라루시be(우리는 벨라루스인)였다.[3]
1991년 벨라루스가 소련 해체 후 독립한 이후, 한동안 공식적인 가사 없이 기존 소비에트 시절 국가의 곡조를 그대로 사용하였다.[4] 1995년에는 나탈리아 아르세니예바의 시를 바탕으로 한 마후트니 보자(Магутны Божа|마후트니 보자be, '전능하신 하느님')를 새로운 국가로 지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의회 위원회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무산되었다.[4]
현재의 국가는 2002년 7월 18일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의 대통령령 350호에 의해 공식적으로 제정되었다.[6] 이는 기존 소비에트 시절 국가의 멜로디는 유지하되, 러시아, 소련 공산당, 블라디미르 레닌 등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등 가사를 일부 수정한 것이다. 벨라루스 정부는 이러한 결정이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고 곡의 대중성과 음악적 완성도를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8] 그러나 이 결정은 자유의 집 등 국제 사회로부터 소비에트 시대의 상징을 부활시키려는 시도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9][10]
국가 제정 과정에서는 여러 다른 곡들도 후보로 거론되었다.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국가였던 "바야츠키 마르시"(Vajacki Marš|바야츠키 마르시be, '전사의 행진'),[12][13] 2020년 벨라루스 시위 당시 불렸던 파호냐(Pahonia)[15] 등이 대표적이다.
2. 1.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Мы, беларусы|미, 벨라루시be(우리는 벨라루스인)는 1955년 2월 24일부터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원곡은 사칼로우스키가 작곡했으며, 가사는 미하스 클림코비치가 썼다. 1944년에 심사위원단에 제출되었지만, 공식적으로 채택되기까지 11년 동안 수정을 거쳤다.[3] 벨라루스가 독립 국가가 되면서, 국가 가사에서 공산주의 시대의 내용을 삭제하는 수정이 이루어졌다. 1995년에는 나탈리아 아르세니예바의 시 "마후트니 보자"를 국가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의회 위원회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았다.[4]2. 2. 벨라루스 공화국 국가
1991년 벨라루스가 독립한 이후, 공식적으로는 가사가 없는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를 사용했다.[4] 1995년에는 나탈리아 아르세니예바의 시를 바탕으로 한 마후트니 보자를 새로운 국가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의회 위원회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실현되지 못했다.[4]벨라루스 헌법 제1장 제19조는 국기, 국장과 함께 국가를 국가 상징으로 명시하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곡을 국가로 사용할지는 법률로 정해지지 않았다.[5] 국가를 공식적으로 지정하는 법률은 독립 기념일을 하루 앞둔 2002년 7월 18일에 대통령령 350호가 발효되면서 제정되었다. 이 법령은 새로운 국가 가사를 확정하고 악보를 도입했으며, 국가를 언제, 어디서, 어떻게 연주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정을 담았다.[6]
루카셴코 대통령은 2002년 6월 12일에 국가를 최종 결정했으며, 1944년 붉은 군대가 민스크에서 나치 독일군을 몰아낸 것을 기념하는 독립 기념일에 맞춰 첫 연주를 할 계획이었다.[7] 그러나 실제 첫 공식 연주는 벨라루스 독립 축제의 일환으로 정부가 주최한 7월 2일 콘서트에서 이루어졌다.
새롭게 채택된 국가는 기존 소련 시대의 국가인 Мы, беларусы|미 벨라루시bel (우리는 벨라루스인)를 기반으로 일부 가사만 수정되었다. 러시아, 소련 공산당, 블라디미르 레닌에 대한 언급은 삭제되었으나, '민족 간의 우정'이라는 전반적인 주제와 사칼로우스키가 작곡한 원곡의 멜로디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벨라루스 정부는 역사적 연속성을 유지하고 대중성과 음악적 완성도를 고려하여 사칼로우스키의 곡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8] 이 국가 채택으로 벨라루스의 국가 상징 제정 절차가 마무리되었다.[8]
국제 인권 단체인 자유의 집(Freedom House)은 2003년에 발표한 벨라루스 관련 보고서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이 구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사용했던 국가 상징들을 재도입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대통령이 소비에트 시대 국가인 Мы, беларусы|미 벨라루시bel의 일부 수정된 버전을 새로운 국가로 승인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보고서는 루카셴코 대통령이 1991년 독립 이후 사용되었던 파호니아 문장과 백적백색기의 사용을 금지한 사실도 함께 다루었는데, 루카셴코는 이 상징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벨라루스 중앙 라다와 연관되어 파시즘의 상징이라고 주장했다.[9] 2003년, 타라스 쿠지오 박사는 자유 유럽 방송에 기고한 글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을 "소비에트 향수에 기반한 정권을 이끄는 전형적인 소비에트 벨라루스 애국자"라고 평가했다. 쿠지오 박사는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소비에트 시대의 상징을 다시 채택하는 것은 이러한 과거의 향수를 되살리려는 시도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10]
국가는 법률로 정해진 공식 가사와 악보에 따라 연주되어야 한다. 매일 모든 지상파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은 오전 6시 방송 시작과 자정(00:00) 방송 종료 시에 국가를 의무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국가는 정부 회의, 스포츠 행사, 대통령 취임식 등과 같은 공식적인 행사에서도 연주된다. 국가가 연주될 때 모든 시민은 자리에서 일어서야 하며, 군인이나 경찰 제복을 입은 사람은 (대열에 있지 않은 경우) 거수경례를 해야 한다.
2. 3. 국가 채택에 대한 반응
2002년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기존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사용되던 국가를 일부 수정한 "미 벨라루시(My, Biełarusy)"를 벨라루스의 새로운 국가로 공식 채택했다.[6][7] 이는 1991년 독립 이후 가사 없이 사용되던 소비에트 시절 국가의 곡조를 유지하면서 가사를 변경한 것이다. 새로운 가사에서는 러시아, 소련 공산당, 블라디미르 레닌에 대한 언급이 삭제되었지만, 작곡가 네스토르 사칼로우스키의 원곡과 '민족의 우정'이라는 기존 주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벨라루스 정부는 이러한 결정이 역사적 연속성을 지키고 곡의 대중성과 음악적 완성도를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8]그러나 이러한 국가 채택은 국내외적으로 비판적인 시각에 직면하기도 했다. 국제 인권 단체인 자유의 집(Freedom House)은 2003년 벨라루스 관련 보고서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이 소비에트 시대의 국가 상징을 되살리려는 정책의 일환으로 국가를 채택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루카셴코 정권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벨라루스 중앙 라다가 사용했다는 이유를 들어, 독립 초기에 사용되었던 전통적인 파호니아 문장과 백적백색기의 사용을 금지한 사실을 함께 언급하며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9]
정치학자 타라스 쿠지오 박사 역시 2003년 자유 유럽 방송에 기고한 글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을 "소비에트 향수에 젖은 정권을 주재하는 전형적인 소비에트 벨라루스 애국자"라고 평가했다. 그는 벨라루스와 러시아에서 나타나는 소비에트 시대 상징의 부활이 과거의 향수를 자극하고 권위주의적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의 일부라고 분석했다.[10]
2. 4. 다른 국가 후보
"바야츠키 마르시"(Vajacki Marš|바야츠키 마르시be, '전사의 행진')는 1918년에 건국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중 약 10개월간 존속했던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공식 국가였다.[12][13] 1919년 이후 이 노래는 서유럽, 북아메리카뿐만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등지에 거주하는 벨라루스계 디아스포라 사이에서 국가로 사용되었다. 현재도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망명 정부는 이 곡을 공식 국가로 간주한다.[14]1995년에는 나탈리아 아르세니예바의 시 "마후트니 보자"(Магутны Божа|마후트니 보자be, '전능하신 하느님')를 국가로 채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곡은 종교적인 성격을 띤 찬송가로, 의회 위원회의 지지를 받았으나 실제 채택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4] 이후 "마후트니 보자"는 루카셴코 정권에 반대하는 이들에 의해 자주 불리고 있다.[12]
파호냐(Pahonia)는 막심 보그다노비치의 시에 미칼라이 시찰로우-쿨리코비치가 곡을 붙인 노래이다. 이 곡은 2020년 벨라루스 시위 기간 동안 시위대가 아카펠라로 부르면서 다시 대중적인 주목을 받았다.[15][16][17]
국가 제정 공모 과정에서 다른 작품들도 후보로 고려되었다. 얀카 쿠팔라의 시 "Małaja Biełaruś"('젊은 벨라루스')는 많은 지지를 받았으나, 곡이 붙여지지 않아 최종 후보가 되지 못했다.[18] 울라지미르 냐클랴예우가 작사하고 바실리 레인치크가 작곡한 "Žyvie Biełaruś!"('영원하라 벨라루스!')는 1992년 구속력 없는 공모전에서 우승하기도 했다. 2002년 공모전에서는 이 곡의 개정판인 "Krasuj, Biełaruś"('번영하라 벨라루스!')가 37,300표 이상을 얻어 최다 득표를 기록했다.[19][20] 그러나 당시 위원회는 3위를 차지한 현재 국가("My, Biełarusy")의 가사안을 최종적으로 선택했다. 위원회는 현 국가를 포함하여 구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의 멜로디를 공유하는 다른 두 곡이 전체 투표자(113,254명) 중 과반수(50,271표)의 지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21][22]
3. 가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위 섹션 본문은 비워둠)
3. 1. 벨라루스어 가사
국가 의식에서 연주되는 국가의 가장 흔하게 불리는 부분은 첫 번째 연과 후렴구이다.| 키릴 문자 | 로마자 | 국제 음성 기호 |
|---|---|---|
3. 2. 러시아어 가사
wikitext| 키릴문자 | 로마자 |
|---|---|
3. 3. 한국어 번역
'''1절''':우리는 벨라루스인, 평화로운 사람들
:우리의 마음은 우리의 고향으로 향하리.
:우리는 깊은 우정을 간직하고 우리의 힘을 얻으리.
:근면 속의 자유로운 가족이여.
'''후렴'''
:우리 조국의 빛나는 이름에 영광을,
:우리 국민들의 형제로운 화합에 영광을!
:우리가 사랑하는 모국,
:영원히 번영하라. 그대, 벨라루스여!
'''2절'''
:우리의 형제들과 함께, 수백년 동안 우리는
:용감하게 우리의 보금자리의 경계를 지켰네.
:자유와 우리의 운명을 위한 전투들에서
:우리는 승리의 깃발을 쟁취했다네!
'''후렴'''
:우리 조국의 빛나는 이름에 영광을,
:우리 국민들의 형제로운 화합에 영광을!
:우리가 사랑하는 모국,
:영원히 번영하라. 그대, 벨라루스여!
'''3절'''
:사람들의 우애는 그들의 힘이며
:그것은 우리의 성스러운 빛나는 길일세.
:맑고 푸른 하늘 아래 자랑스럽게 휘날려라,
:승리의 깃발이여, 태양의 깃발이여!
'''후렴'''
:우리 조국의 빛나는 이름에 영광을,
:우리 국민들의 형제로운 화합에 영광을!
:우리가 사랑하는 모국,
:영원히 번영하라. 그대, 벨라루스여!
국가 의식에서 연주되는 국가의 가장 흔하게 불리는 부분은 첫 번째 절과 후렴구이다.
4. 국가 사용 규정
자유의 집(Freedom House)은 2003년 보고서에서 루카셴코 대통령이 과거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사용했던 국가 상징들을 재도입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02년에는 소비에트 시대 국가였던 우리는 벨라루스인( My, Biełarusy|미, 벨라루시bel )을 일부 수정하여 새로운 국가로 제정했다. 이 보고서는 또한 루카셴코 대통령이 1991년 독립 이후 사용된 파호니아 문장과 백적백색기를 금지한 사실도 언급했다. 루카셴코는 이 상징들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벨라루스 중앙 라다가 사용했다는 이유로 파시즘과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9] 자유 유럽 방송에 기고한 타라스 쿠지오 박사는 루카셴코 대통령을 "소비에트 향수에 젖은 정권을 주재하는 전형적인 소비에트 벨라루스 애국자"라고 평가하며,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나타나는 소비에트 시대 상징의 부활은 이러한 과거 회귀적 경향의 일부라고 분석했다.[10]
국가는 법으로 정해진 가사와 악보에 따라 연주되어야 한다. 모든 지상파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은 매일 방송 시작 시각인 오전 6시와 방송 종료 시각인 자정에 국가를 의무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또한, 정부 회의, 스포츠 행사, 대통령 취임식 등 공식적인 행사에서도 국가가 연주된다. 국가가 연주될 때 시민들은 일어서야 하며, 군인이나 경찰 제복을 입은 사람은 (대열에 있지 않은 경우) 러시아식 거수경례를 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elarus – My Belarusy
http://www.nationala[...]
NationalAnthems.me
2017-08-26
[2]
웹사이트
a page on the anthem that includes a vocal version
https://web.archiv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3]
뉴스
https://archive.toda[...]
Советская Белоруссия
2008-02-23
[4]
웹사이트
The National Anthem of Belarus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elarus, Section 1
http://www.president[...]
Press Service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2008-02-26
[6]
웹사이트
Указ № 350 ад 2 лiпеня 2002 г.
https://web.archive.[...]
2002-07-02
[7]
뉴스
https://web.archive.[...]
2008-02-12
[8]
웹사이트
State System — State Symbols
http://www.president[...]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Belarus
2007-10-13
[9]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f Belarus
https://web.archive.[...]
Freedom House
2008-02-23
[10]
뉴스
Attitudes to Soviet past reflect nostalgia, pragmatism
http://www.taraskuzi[...]
Radio Free Europe
2017-08-27
[11]
문서
Law of the Republic of Belarus
http://www.pravo.by/[...]
[12]
웹사이트
National anthems of Great Litva
http://www.geocities[...]
Heraldica Litvaniae
2008-02-06
[13]
서적
After the Breakup of a Multi-Ethnic Empire
Praeger/Greenwood
[14]
웹사이트
State Symbols of the Belarusian Democratic Republic
http://www.radabnr.o[...]
[15]
웹사이트
Pesnyary – Пагоня (Pagonya) lyrics + English translation
https://lyricstransl[...]
2020-10-01
[16]
Youtube
Video
https://www.youtube.[...]
2020-08-30
[17]
웹사이트
Особенности "беларускага адраджэння" в 1918–1920–х годах — Военный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портал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s://www.mil.by/r[...]
2020-08-19
[18]
웹사이트
Belarus — The National Anthem
http://mysticplanet.[...]
2008-02-22
[19]
웹사이트
Актуально
https://www.sb.by/ar[...]
2022-11-19
[20]
웹사이트
Красуй, Беларусь! (Леонид Пранчак) / Стихи.ру
https://stihi.ru/201[...]
2024-01-28
[21]
웹사이트
Карызна супраць Карэнды і неўміручы Сакалоўскі
https://novychas.onl[...]
2024-01-28
[22]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Belarus (1991-1995) — "Žyvie Biełaruś!"
https://www.youtube.[...]
2024-01-28
[23]
웹사이트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текст песни(слова)
https://www.gl5.ru/g[...]
[24]
서적
Герб, флаг, гимн.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символы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s://books.google[...]
Litres
2017-09-05
[25]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Anthem
http://belaruschina.[...]
[26]
웹사이트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текст песни(слова)
https://www.gl5.ru/g[...]
[27]
웹사이트
Belarus – My Belarusy
http://www.nationala[...]
[28]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имволик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www.president[...]
[29]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имволик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флаг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mfa.gov.by/pr[...]
[30]
웹사이트
Belarus
http://www.nationala[...]
[31]
웹사이트
Когда авторы будут вскрыты...
https://archive.is/2[...]
[32]
URL
https://www.gl5.ru/g[...]
[33]
서적
Герб, флаг, гимн.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символы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s://books.google[...]
[34]
웹사이트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текст песни(слова)
https://www.gl5.ru/g[...]
[35]
웹사이트
Belarus – My Belarusy
http://www.nationala[...]
[36]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имволика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www.president[...]
[37]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имволика —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флаг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mfa.gov.by/pr[...]
[38]
웹사이트
Belarus
http://www.nationala[...]
Kendall, David
2013
[39]
뉴스
Когда авторы будут вскрыты...
https://archive.toda[...]
Беларусь Сегодня
2001-01-09
[40]
웹사이트
https://www.gl5.ru/g[...]
[41]
서적
Герб, флаг, гимн.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символы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https://books.google[...]
[42]
웹사이트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Беларусь текст песни(слова)
https://www.gl5.ru/g[...]
Yande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