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석상자 성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석상자 성단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발견한 산개성단으로, '보석상자'라는 이름은 존 허셜이 붙였다. 남십자자리 베타별을 길잡이 삼아 찾을 수 있으며,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하기에 적합하다. 성단 중앙부의 밝은 별들은 지구에서 봤을 때 로마자 'A' 모양을 이루며, 여러 가지 색으로 빛나 '신호등'으로도 불린다. 이 성단은 젊은 산개성단으로, 6,400광년 거리에 있으며 약 20광년 크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십자자리 - 가크룩스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붉은색 거성인 가크룩스는 준규칙 변광성으로, 여러 국가의 국기에 남십자자리의 별로서 나타난다.
  • 남십자자리 - 아크룩스
    아크룩스는 남십자자리의 알파별로,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으며, 겉보기 등급 1.40의 아크룩스 A와 2.09의 아크룩스 B로 이루어진 쌍성이다.
  • 콜드웰 천체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콜드웰 천체 - NGC 2403
    NGC 2403은 윌리엄 허셜이 발견한 M81 은하군 소속의 정면나선은하로, 800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국부 은하군 너머에서 세페이드 변광성이 처음 발견되었고, 활발한 별 형성 활동과 왜소 은하 동반, 그리고 밝은 청색 변광성들을 포함한다.
  • 산개성단 - 메시에 26
    δ별에서 동쪽으로 50분 거리에 위치한 메시에 26은 은하수의 짙은 부분에 자리 잡아 어두운 하늘에서도 찾기 어려운 산개 성단으로, 주위에 암흑 성운이 분포하며 1764년 샤를 메시에가 발견하고 존 허셜이 추가 관측했다.
  • 산개성단 - 아치스 성단
    아치스 성단은 짙은 먼지로 둘러싸여 가시광선 관측이 어렵지만 엑스선, 적외선, 전파 관측으로 연구되는, 반지름 약 1광년의 젊고 뜨거운 별 약 150개로 이루어진 성단으로, 별들은 밝고 빠른 항성풍을 방출하며 수백만 년 안에 수소를 소모한다.
보석상자 성단
기본 정보
VLT로 촬영한 보석상자 성단 NGC 4755
VLT로 촬영한 NGC 4755
다른 이름허셜의 보석상자
남십자자리 카파 성단
NGC 4755
Cr 264
콜드웰 94
별자리남십자자리
적경 (J2000)12시 53분 42초
적위 (J2000)-60° 22.0'
거리6,400 광년 (2.16 kpc)
겉보기 등급4.2
나이1,600만 년
식별 정보
NGC4755
Collinder264
Caldwell94
관측 정보
시선 속도알 수 없음
크기알 수 없음
질량알 수 없음
반지름알 수 없음
구성
형태산개 성단
별의 수100개 남짓

2. 발견 및 관측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1년부터 1752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희망봉에서 항성목록 ''Cœlum Australe Stelliferum''(남쪽 하늘의 별) 작성을 위해 측성 관측을 하던 중, 보석상자 성단이 항성의 집합체임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라카유가 관측에 사용했던 망원경의 구경은 12mm로 소형이었다.[22][23][4][5] '보석상자'(Jewel Box) 명칭은 존 허셜의 기록에서 유래했다. 허셜은 이 성단을 "극도로 훌륭하고 멋진 천체", "아주 멋진 장신구 조각"으로 묘사했다.[22][4] 허셜은 1834년부터 1838년까지 100개가 넘는 이 성단 구성원들의 위치를 기록했다.[24][6]

보석상자 성단은 남십자자리 β별을 길잡이 삼아 쉽게 찾을 수 있으며,[32][14]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하기에 적합하다.[33] 성단 중앙부의 밝은 별들은 지구에서 봤을 때 로마자 'A' 모양 별자리를 그린다. 'A' 모양에서 중간 'ㅡ' 선상에 놓인 별들은 여러 가지 색으로 보이기 때문에 '신호등'으로도 불린다.[33][15]

3. 주요 구성원

성단 중앙부의 밝은 별들은 지구에서 보았을 때 로마자 'A' 모양의 별자리를 그린다.[25][7]

구분명칭분광형변광성 유형겉보기 등급비고
A 모양 위쪽 끝HD 111904 (HR 4887, HIP 62894)B9초거성변광성일 확률 있음5.77
성단 영역에서 가장 밝은 별남십자자리 DS (HD 111613, HR 4876)B9.5형 초거성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5.72성단의 구성원이 아닌 배경 천체로 추정[26][8]
A 모양
중간 부분
(오른쪽/남쪽부터)
남십자자리 BUB2형 초거성식쌍성6.92
남십자자리 BVB0.5형 거성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8.662
남십자자리 DUM2형 적색초거성7.1~7.6 사이에서 불규칙하게 변광
남십자자리 CCB2형 거성회전타원체 변광성7.83
A 모양 양쪽 다리 바닥
HD 111990 (HIP 62953)B1/2형 청색초거성6.77
남십자자리 카파B3형 청색초거성5.98


4. 물리적 특성

보석상자 성단은 알려져 있는 산개성단들 중 매우 젊은 축에 든다. 성단의 평균 시선속도는 -21km/s이다.[27][9] 성단에서 밝은 별들은 초거성이며 우리은하 규모에서도 아주 밝은 별들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28][10]

근처에 있는 석탄자루 성운이 성단에서 나오는 빛 중 일부를 가려 보석상자 성단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것은 쉽지 않다.[29][11]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6,400광년 정도로 추정되지만, 여러 설이 있다. 성단의 크기는 약 20광년이다.

5. 갤러리

참조

[1] SIMBAD NGC 4755 2006-12-14
[2] 웹사이트 Results for NGC 4755 http://www.docdb.net[...] 2013-06-08
[3] 논문 The search for the nebulae - VI 1969-03
[4] 웹사이트 Jewel Box (NGC 4755) http://www.docdb.net[...]
[5] 웹사이트 Part one: 1752–1834 http://www.southastr[...] 2016-04-22
[6] 논문 The Kappa Crucis Cluster
[7]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southastr[...] 2016-04-22
[8] 논문 Astrophysical supplements to the ASCC-2.5 . II. Membership probabilities in 520 Galactic open cluster sky areas
[9] 논문 Massive stellar content of the Galactic supershell GSH 305+01-24
[10] 서적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1] 서적 Turn Left at Orion: A hundred night sky objects to see in a small telesc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Stars and Their Spectra: An introduction to the spectral sequ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Stars and Planet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Caldwell Objects https://books.google[...] Springer
[15] 서적 Astronomy of the Milky Way: The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Milky Way https://books.google[...] Springer
[16] 웹사이트 星の宝石箱、散開星団NGC 4755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09-11-04
[17] 웹사이트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simbad.u-str[...] 2012-05-04
[18] 서적 星座の事典 ナツメ社 2007
[19] SIMBAD NGC 4755 2006-12-14
[20] 웹인용 WEBDA Open cluster http://www.univie.ac[...] 2007-01-12
[21] 웹인용 Deepsky Observer Companion Database http://www.docdb.net[...] 2013-06-08
[22] 문서 DOCdb : Jewel Box http://www.docdb.net[...]
[23] 웹인용 History of the Jewel Box Part One : 1752–1834 http://www.southastr[...] Southern Astronomical Delights 2016-04-22
[24] 저널 인용 The Kappa Crucis Cluster 1949
[25] 웹인용 NGC 4755 : The Jewel Box "The Jewel of the South" : Introduction http://www.southastr[...] Southern Astronomical Delights 2016-04-22
[26] 저널 인용 Astrophysical supplements to the ASCC-2.5. II. Membership probabilities in 520 Galactic open cluster sky areas
[27] 저널 인용 Massive Stellar Content of the Galactic Supershell GSH 305+01-24 2013
[28] 서적 인용 Burnham's Celestial Handbook: An Observer's Guide to the Universe Beyond the Solar System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s 1978
[29] 서적 인용 Turn left at Orion: a hundred night sky objects to see in a small telesc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mbridge 2005
[30] 서적 인용 Stars and their spectra: an introduction to the spectral sequen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mbridge 1989
[31] 서적 인용 Stars and Planets https://books.google[...] 2007
[32] 서적 인용 The Caldwell Objec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
[33] 서적 인용 Astronomy of the Milky Way: The observer's guide to the southern Milky Wa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