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 전쟁에서 제안된 평화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 전쟁에서 제안된 평화 계획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 전쟁 중 제시된 다양한 평화안들을 다룬다. 캐링턴-쿠틸레이루 계획, 밴스-오언 계획, 오언-스톨텐베르그 계획, 실무접촉단 계획 등 여러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이 있었으나, 각 세 민족 간의 갈등과 불신으로 인해 대부분 실패했다. 이러한 평화 계획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 분할, 민족 간 권력 공유, 자치 지역 설정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보스니아 전쟁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보슈냐크인 세 주요 민족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12][13] 다수를 차지하는 보슈냐크인은 모든 민족을 아우르는 주권 국가를 원했지만, 크로아트인은 보스니아 중앙 정부로부터 독립된 자치 공동체를 만들려 했고, 세르브인은 세르브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동부 및 북부 지역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 시기에 제안된 모든 평화 계획은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처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영토 전체를 주권 국가로 유지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삼았다. 동시에 특정 민족 공동체나 지역에 과도한 권한이나 자율성을 부여하지 않고 균형 잡힌 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졌다.
보스니아 전쟁은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보슈냐크인 세 주요 민족 간에 벌어진 전쟁이다.[12][13] 보슈냐크인이 다수를 이루는 세력은 모든 민족을 포용하는 주권 국가를 지향했으나, 크로아트인은 보스니아 중앙 정부와는 별개인 자치 공동체를 구성하였고, 세르브인은 세르브계 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동부와 북부 지역의 독립을 선언하였다. 당시 제안된 모든 평화 계획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과거 유고슬라비아 시절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처럼 영토 전체를 하나의 주권 국가로 유지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였다. 또한 특정 민족 공동체나 지역에 과도한 권한이나 자치권을 부여하지 않고 균형 잡힌 발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졌다.
보스니아 전쟁이 발발하자 국제사회는 분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평화 협상을 중재하고 다양한 평화 계획을 제안했다. 그러나 각 민족 집단의 이해관계 충돌과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전쟁 초기와 중반에 제안된 계획들은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보스니아 재건을 위한 보슈냐크계, 크로아트계, 세르브계의 여러 제안이 있었다.
2. 배경
3. 보스니아 전쟁의 전개
4. 국제사회의 평화 중재 노력
첫 번째 주요 시도는 1992년 2월 유럽 공동체(EC) 주도로 제안된 캐링턴-쿠틸레이루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보스니아를 민족별 칸톤으로 분할하는 것을 골자로 했으나, 영토 할당 문제와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보스니아 대통령의 최종 거부로 무산되었다.[14][1][16][2][17][18][4][5]
이후 1993년 1월, 유엔(UN) 특사 사이러스 밴스와 EC 대표 데이비드 오언이 밴스-오언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보스니아를 10개의 자치주로 나누는 방안이었지만, 스릅스카 공화국 의회와 주민투표에서 거부되면서 실패했다.[6][7][8]
같은 해 8월에는 새로운 유엔 특사 토르발 스톨텐베르그와 데이비드 오언이 오언-스톨텐베르그 계획을 제시했다. 이 계획은 보스니아를 3개의 민족 공화국 연합으로 나누는 안이었으나, 보스니아 정부 측의 거부로 이 역시 무산되었다.[4]
1994년에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독일 5개국으로 구성된 실무접촉단이 새로운 평화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에게 영토의 49%를 할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스릅스카 공화국의 국민투표에서 또다시 부결되었다.[9][10]
이러한 초기 평화 중재 노력들은 전쟁을 멈추고 정치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했으며, 전쟁은 이후 데이턴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다만, 이 기간 중 크로아티아인과 보슈냐크인 간의 분쟁은 1994년 3월 워싱턴 협정 체결로 종식되었다.[11]
4. 1. 캐링턴-쿠틸레이루 계획 (1992년 2월)
최초의 캐링턴-쿠틸레이루 평화안(Carrington–Cutileiro peace plan)은 캐링턴 남작과 포르투갈 외교관 조제 쿠틸레이루의 이름에서 따 온 안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전쟁으로 치닫는 것을 막기 위해 1992년 2월 유럽 공동체 평화 회의에서 처음 제안되었다. 이 협정은 회담 장소를 따서 리스본 협정(Lisabonski sporazumsh)이라고도 불린다.
이 평화안은 모든 행정 수준에서 민족 간 권력 공유와 중앙 정부에서 각 지역의 민족 공동체로의 권력 이양을 제안했다. 하지만 어떤 민족도 다수를 차지하지 못한 지역이라도 반드시 세르브인 지역, 보슈냐크인 지역, 크로아트인 지역 셋 중 하나로 편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후 협상에서는 각 공동체 경계 변경에 대한 타협이 이루어졌으나,[14][1] 1992년 2월 25일 보스니아 정부는 이러한 분할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계획을 거부했다. 1992년 3월 3일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2월 29일과 3월 1일에 실시된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15] 독립을 공식 선언했다.
1992년 3월 11일, 스릅스카 공화국의 세르브계 보스니아인 인민의회(자칭 의회)는 원래의 평화 계획을 만장일치로 거부했다. 이들은 보스니아 영토의 거의 3분의 2가 세르브인의 것이라는 자체 지도를 내세우며, 인종적으로 분리된 도시와 고립된 영토를 포함하고 크로아트인과 보슈냐크인에게는 공화국 중앙의 분리된 땅만을 남겨주는 안을 제시했다. 쿠틸레이루는 이 계획을 거부했지만, 대신 세 민족의 지역 단위가 "국가 원칙에 기초하고 경제적, 지리적, 기타 기준을 고려해 세워질 것"이라는 내용의 수정 초안을 제시했다.[16][2]
1992년 3월 18일, 보슈냐크인 대표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세르브계 대표 라도반 카라지치, 크로아트계 대표 마테 보반이 만나 리스본 협정에 서명했다. 이 계획은 109개의 지방 자치체 각각을 세 민족 중 하나에 배분하는 방식이었다. 이 할당은 주로 협정 서명 1년 전인 1991년 인구 조사 결과에 기반했다. 협정에 따르면 보슈냐크인과 세르브인 칸톤이 각각 영토의 44%를, 크로아트인 칸톤이 나머지 12%를 차지하도록 규정했다.[3]
그러나 1992년 3월 28일, 사라예보에서 당시 유고슬라비아 주재 미국 대사인 워런 지머만과 만난 후, 이제트베고비치는 협정 서명을 철회하고 보스니아의 분할에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당시 어떤 대화가 오갔고 왜 이제트베고비치가 입장을 바꾸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17] 지머만 대사가 서명 철회를 조건으로 미국의 독립 승인을 약속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지머만은 이를 부인했다. 분명한 사실은 같은 날 이제트베고비치가 서명을 철회함으로써 협정은 효력을 잃었다는 것이다.[18][4][5]
4. 2. 밴스-오언 계획 (1993년 1월)
1993년 1월 초, 유엔 특사 사이러스 밴스와 EC 대표인 데이비드 오언은 보스니아 전쟁 중인 각 정파 지도자들과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밴스-오언 평화안"(Vance-Owen peace plan)으로 알려진 이 계획은 보스니아 전역을 10곳의 반자치 지역으로 분할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유엔의 지원을 받았다. 이 계획은 각 지역을 특정 민족 집단에게 할당하는 방식이었다.
스릅스카 공화국의 대통령인 라도반 카라지치는 1993년 4월 30일 이 계획에 서명했다. 그러나 서명 직후 카라지치는 계획 비준 권한이 의회에 있다고 주장했고, 5월 6일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의회는 이 계획을 거부했다.[19] 이후 계획안은 국민투표에 회부되었다.[20] 투표 결과 유권자의 96% 이상이 밴스-오언 계획에 반대했으나,[21] 국제 중재자들은 이 국민투표가 사실상 '조작'된 것이라고 비판했다.[19] 결국 6월 18일, 데이비드 오언은 이 계획이 완전히 '실패했다'(dead)고 선언했다.
한편, 계획 논의가 진행 중이던 4월 1일 사이러스 밴스는 유엔 사무총장 특사직에서 사임한다고 발표했고, 5월 1일부로 노르웨이의 외무장관인 토르발 스톨텐베르그가 후임 특사로 임명되었다.
밴스-오언 계획은 당시 급속도로 진행되던 영토 분할과 인종 청소 상황을 고려할 때, 발표 시점에서 이미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이 계획은 민족적으로 통합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유지하려 한 마지막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후에 제시된 평화안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할이나 민족 간 분리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계획에서 제시된 10개 주의 경계는 대략적인 밑그림이었으며, 최종적인 경계는 세 민족 집단 간의 추가 협상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었다.
4. 3. 오언-스톨텐베르그 계획 (1993년 8월)
1993년 7월 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 교전 세력 대표들이 새로운 협상에 들어갔다. 8월 20일, 유엔 중재자 토르발 스톨텐베르크와 데이비드 오언은 보스니아를 세 개의 민족 공화국 연합으로 분할하는 지도를 공개했는데, 이에 따르면 세르브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의 53%를, 보슈냐크인은 30%를, 크로아트계는 17%를 차지하게 될 예정이었다. 8월 28일, 오언-스톨텐베르크 평화 제안에 따라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 공화국은 그루데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인 공화국"으로 선포되었다. 1993년 8월 29일, 보스니아 정부 측이 이 계획을 거부하면서 계획은 무산되었다.[18][4]
4. 4. 실무접촉단 계획 (1994년)
1994년 2월부터 10월까지 미국, 러시아, 프랑스, 영국, 독일 5개국으로 구성된 실무접촉단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의 협상 해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상을 진행했다. 이 평화 계획은 흔히 실무접촉단 계획(Contact Group plan)으로 불린다.[22]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드리나강에 대한 금수 조치를 시행하며 세르브계 보스니아인에게 이 계획을 수용하도록 강하게 압박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94년 8월 28일 실시된 스릅스카 공화국 국민투표에서 96.65%의 반대로 부결되었다.[22][23] 당시 스릅스카 공화국 대통령 라도반 카라지치는 "우리는 다른 지도... 새 회의, 새로운 평화 노력을 기대한다"고 말하며 계획 거부 입장을 보였다.[24]
한편, 이 기간 중인 1994년 3월에는 크로아티아-보스니아 전쟁이 종결되었다. 보슈냐크계와 크로아트계는 워싱턴 D. C.와 빈에서 워싱턴 협정에 서명하며 평화에 합의했다.[25]
5. 기타 평화 계획
참조
[1]
이미지
https://upload.wikim[...]
2022-03
[2]
서적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News Article
https://css.ethz.ch/[...]
2024-09-09
[4]
뉴스
The vain attempts of the European Community to mediate in Yugoslavia
https://www.cvce.eu/[...]
2016-07-08
[5]
웹사이트
Territorial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the War in Bosnia-Hercegovina
https://www.durham.a[...]
2024-09-09
[6]
웹사이트
Minorities at Risk Project, Chronology for Serbs in Bosnia, 2004
http://www.refworld.[...]
Minorities at Risk Project
2017-02-20
[7]
뉴스
Bosnian Serbs Spurn Un Pact, Set Referendum
https://www.chicagot[...]
Chicago Trubune
1993-05-06
[8]
웹사이트
Republika Srpska (Bosnien-Herzegowina), 16. Mai 1993 : Vance-Owen-Friedensplan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9]
웹사이트
Republika Srpska (Bosnien-Herzegowina), 28. August 1994 : Teilungsplan der internationalen Kontaktgruppe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10]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FRY/Belligerents III
http://www.thesloven[...]
[11]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인용
ICTY: Conflict between Bosnia and Herzegovina and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hrw.org/repor[...]
2015-04-25
[13]
웹인용
ICJ: The genocide case: Bosnia v. Serbia – See Part VI – Entities involved in the events 235–241
https://web.archive.[...]
2015-04-25
[14]
웹인용
Mappa 2
http://i57.tinypic.c[...]
[15]
웹인용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in Bosnia-Herzegovina: 29 February–1 March 1992
http://csce.gov/inde[...]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9-12-28
[16]
서적 인용
The Hour of Europe: Western Powers and the Breakup of Yugoslavia
Yale University Press
[17]
웹인용
Alija Izetbegović, 1925–2003
http://inthenational[...]
In the National Interest
2008-08-28
[18]
뉴스 인용
The vain attempts of the European Community to mediate in Yugoslavia
https://www.cvce.eu/[...]
2016-07-08
[19]
웹인용
Minorities at Risk Project, Chronology for Serbs in Bosnia, 2004
http://www.refworld.[...]
Minorities at Risk Project
2017-02-20
[20]
뉴스
Bosnian Serbs Spurn Un Pact, Set Referendum
http://articles.chic[...]
Chicago Trubune
1993-05-06
[21]
웹사이트
Republika Srpska (Bosnien-Herzegowina), 16. Mai 1993 : Vance-Owen-Friedensplan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22]
웹사이트
Republika Srpska (Bosnien-Herzegowina), 28. August 1994 : Teilungsplan der internationalen Kontaktgruppe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23]
웹인용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FRY/Belligerents III
http://www.thesloven[...]
[24]
뉴스
Bosnian Serbs, in Referendum, Reject Peace Pla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4-08-30
[25]
서적 인용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Territorial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the war in Bosnia-Hercegovina
International Boundaries Research Unit,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Durham, United Kingdom
[27]
간행물
Territorial proposals for the settlement of the war in Bosnia-Hercegovina
International Boundaries Research Unit,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Durham, United Kingd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