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슈냐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 거주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민족 국가로 여기는 남슬라브족이다. 이들은 주로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어를 사용하며,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와 복잡한 관계를 맺어왔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인종 청소와 집단 학살의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럽, 북미 등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보슈냐크인의 문화는 이슬람교와 슬라브 전통이 융합된 형태로, 세브달린카와 같은 독특한 음악, 보스니아 백합 문장 등의 상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명 - 크리올
    크리올은 유럽 식민지 시대에 유럽 언어와 비유럽 언어가 혼합되어 형성된 언어, 문화, 또는 그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며 독특한 유산을 남겼다.
  • 민족명 - 갈색 인종
    18세기와 19세기에 유럽 작가들이 지리적 차이에 따라 인종을 분류하며 사용한 "갈색 인종"은 블루멘바흐, 달로이, 피귀에 등에 의해 말레이인을 지칭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대 과학에서는 인종 간 생물학적 차이를 지지하지 않으며, 20세기와 21세기에는 다양한 인종 집단을 포괄하거나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유럽의 민족종교집단 - 크로아트인
    크로아트인은 주로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며 "흐르바티"라는 고유명에서 유래한 남슬라브족 민족으로, 7~8세기 발칸반도 이주 후 로마 가톨릭을 믿고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며 고유 문화를 가지고 주변국과 전 세계에 거주한다.
  • 유럽의 민족종교집단 - 세르브인
    세르브인은 7세기경 발칸반도에 정착하여 동방 정교회를 받아들이고 세르비아 정교회를 중심으로 고유한 문화와 민족 정체성을 형성한 남슬라브족의 일파로, 중세 시대 왕국과 제국을 건설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쳐 독립 후 유고슬라비아 건국을 주도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현재의 세르비아 공화국을 포함한 발칸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 슬로베니아의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 슬로베니아의 민족 - 몬테네그로인
    몬테네그로인은 발칸반도에 거주하며, 일리리아인의 후예로 로마, 동로마,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슬라브화되었고, 몬테네그로 공국 독립 후 세르비아 합병과 국민투표를 통해 2006년 독립을 승인받았으며, 몬테네그로어를 사용하고 몬테네그로 정교회를 믿는 민족이다.
보슈냐크인
일반 정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 (1992–199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의 국기, 현재 민족기로 사용됨.
인구
총 인구약 250만 명
주요 거주 지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769,592명
주요 해외 거주 지역터키: 약 115,000명 (혈통 기준 약 2,000,000명)
미국: 약 100,000명
세르비아: 153,801명
몬테네그로: 58,956명
캐나다: 약 50,000명
코소보: 27,533명
크로아티아: 24,131명
슬로베니아: 21,542명
덴마크: 21,000명
북마케도니아: 17,018명
오스트레일리아: 14,620명
언어 및 종교
사용 언어보스니아어
주요 종교주로 수니 이슬람
관련 민족
관련 민족기타 남슬라브족, 특히 보스니아 세르브인, 보스니아 크로아트인
문화
민족 관련 항목친족 관계
건축
문화 유산
문학
서사시
음악 (세브달린카)
미술
영화
요리
스포츠
역사
역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역사
보슈냐크인의 역사
보스니아 통치자
언어
언어보스니아어
슈토카비아 방언
세르보크로아티아어 (B/C/S)
관련 집단
관련 집단민족 무슬림
몬테네그로인
민족 유고슬라브인
크로아트인
세르브인
슬로베니아인

2. 역사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오랜 전란의 역사를 겪으며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등 여러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했으나, 이는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보스니아의 오스만 정복 이후, 기독교에서 이슬람교로의 급격하고 광범위한 개종이 이루어져 1600년대 초에는 보스니아인의 약 2/3가 무슬림이었다.[48] 크로아티아인(주로 터키 크로아티아 출신), 슬라보니아의 무슬림,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무하지르(특히 구 헤르체고비나와 브르다 지역의 고지대 부족 출신), 슬라브화된 블라흐족,[49] 알바니아인[49] 및 독일 작센족[49] 등 보스니아 외부에서 온 소수의 개종자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보스니아인에 동화되었다.

보스니아 전쟁1995년 7월에는 스레브레니차에서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약 8,000명의 보슈냐크인이 살해된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했다.[1]

2. 1. 중세 시대

6세기 이후 슬라브족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포함한 발칸 반도에 정착했다. 이들은 비잔틴인들에게 ''스클라베니''로 알려졌으며, 작은 부족 단위로 구성되었다.[41] 최근 학계에서는 슬라브족의 이주 역할이 축소되는 경향도 있지만, 고고학적 증거는 620년 이후 비잔틴 인구가 해안 도시로 재정착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42][43]

콘스탄티누스 7세의 ''제국 통치론''에는 보스니아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 나타난다. 32장에서 그는 보스니아를 세르비아 공국의 영토로 언급했지만, "세례받은 세르비아"와 보소나 지역을 구분하기도 했다.[46][47]

이후 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와 두클랴에 명목상 종속되기도 했지만, 12세기 말 반 쿨린 통치하에 독립적인 단위가 되었다. 14세기에는 보스나 강을 중심으로 보스니아 왕국이 등장했고, 그곳 사람들은 스스로를 보스니아인이라고 불렀다.[70]

2. 1. 1. 슬라브족의 도래

6세기 이후 (민족 대이동) 북동 유럽 출신의 초기 슬라브족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및 인접 지역)에 정착했으며, 이들은 비잔틴인에게 ''스클라베니''(Sclaveni)로 알려진 단일 슬라브 연합에서 파생된 작은 부족 단위로 구성되었다.[41]

최근 영미권 학계에서는 이주 역할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티모시 그레고리(Timothy Gregory)는 "슬라브족의 '침략' 이후 발칸 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은 대부분 이전에 살았던 사람들과 동일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새로운 정치 집단의 창설과 소수의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사람들은 비잔틴을 포함한 이웃들과는 다르다고 생각하게 되었다."라고 추측한다.[42]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는 620년 이후 비잔틴 인구가 지방 내륙에서 해안 도시로 전술적으로 재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는 광범위한 인구 감소를 보여준다.[43]

구 유고슬라비아 역사학에서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부족의 두 번째 이주(7~9세기에 걸쳐 다양하게 배치됨)는 더 많은 수의 '무정형' 슬라브 인구에 스스로를 강요하는 엘리트들의 이주로 간주되나, 그러한 패러다임은 경험적으로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44]

8세기 자료에는 북부 달마티아의 ''구두스카니''(Guduscani), 하부 판노니아 슬라브족의 공국, 그리고 '달마티아의 상당 부분을 소유했다고 전해지는' 세르비아인(''소라보스'') 등이 언급되어 있다.[45]

보스니아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7세(r. 913–959)가 저술한 ''제국 통치론''(De Administrando Imperio)이다. 32장("세르비아인과 그들이 현재 거주하는 국가에 관하여")의 끝 부분에서 그는 상세한 정치적 역사를 언급한 후 세르비아의 군주는 로마의 지역 경쟁자인 불가리아보다 로마에 항상 복종했다고 주장한다. 그런 다음 그는 ''kastra oikoumena''(거주 도시) 두 목록을 제공하는데, 첫 번째는 "''en tē baptismenē serbia''"(세례받은 세르비아에 있는 도시, 6개 도시 목록)이고, 두 번째는 "''εἱς τὸ χορίον Βόσονα, τὸ Κάτερα καί τὸ Δεσνήκ'' / ''eis to chorion Bosona, to Katera kai to Desnēk''"(보소나 지역의 [도시] 카테라와 데스니크)이다.[46] 티보르 지브코비치(Tibor Zivkovic)에 따르면 이는 10세기 비잔틴의 관점에서 보스니아는 세르비아 공국 내의 영토였음을 시사한다.[47] 콘스탄티누스 7세가 "세례받은 세르비아"와 보소나 지역을 암묵적으로 구분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 후 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와 두클랴의 다양한 통치자들에게 명목상 종속되었을 수 있지만, 12세기 말에 이르러 자치 통치자 반 쿨린이 통치하는 독립적인 단위가 되었으며, 그는 스스로를 보스니아인이라고 불렀다.

유스티니아누스 (재위 527–565)에 의해 서부 발칸 반도는 "비잔틴 제국의 야만인"으로부터 재정복되었다. 6세기에는 슬라브족 (Sclaveni)이 보스니아를 포함한 서부 발칸 반도를 약탈했다. ''제국 통치론''(DAI; ca. 960)은 보스니아(Βοσωνα|보소나el)를 비잔틴 제국의 일부인 "작은/작은 땅"(또는 "작은 국가",χοριον Βοσωνα|호리온 보소나el)으로 언급하고 있다. 이는 슬라브족이 보스나 강을 따라 자훔례 및 트라부니아 (둘 다 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 있음)와 함께 정착한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보스니아 실체에 대한 최초의 언급이다. 이것은 국가적 실체가 아니라 지리적 실체였으며, 엄격하게 비잔틴의 일부로 언급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보스니아의 세르비아 편입은 단순히 DAI 시대의 지위를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중세 초기에 Fine, Jr.는 오늘날 서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크로아티아 공국의 일부였고, 나머지는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공국 (중세 초기)으로 분할되었다고 믿는다.

세르비아 통치자 차슬라브 (재위 ca. 927–960)의 죽음 이후, 보스니아는 세르비아 국가에서 분리되어 정치적으로 독립된 것으로 보인다. 불가리아는 10세기 초에 보스니아를 잠시 굴복시켰고, 그 후 비잔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1세기에 보스니아는 두클랴의 세르비아 국가의 일부였다.

1137년에 헝가리 왕국은 보스니아 (지역)의 대부분을 병합한 후, 1167년에 비잔틴에 잠시 빼앗겼다가 1180년대에 다시 되찾았다. 1180년 이전 (반 쿨린의 통치)에 보스니아의 일부는 잠시 세르비아 또는 크로아티아 단위에 속해 있었다. 안토 바비치는 "보스니아는 이 지역의 다른 모든 [남 슬라브] 지역과 마찬가지로 동등한 중요성을 가진 지역으로 여러 번 언급된다"고 언급한다.

2. 1. 2. 보스니아 공국과 보스니아 교회

9세기부터 로마와 콘스탄티노플에서 온 기독교 선교사들이 발칸 반도로 들어와 크로아티아에는 가톨릭을,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그리고 세르비아 대부분 지역에는 정교회를 확고하게 세웠다. 그 사이에 있는 보스니아는 험준한 지형과 열악한 통신 환경으로 인해 기독교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12세기 무렵 대부분의 보스니아인들은 명목상 가톨릭의 영향을 받았지만, 문맹률이 높고 보스니아 성직자들의 라틴어 지식도 부족했다.[70]

이 시기에 헝가리의 종주권으로부터 보스니아가 독립하면서 쿨린 반 통치(1180–1204) 기간 동안 토착 보스니아 교회와 관련된 종교 정치적 논쟁이 시작되었다. 헝가리인들은 보스니아의 불완전한 기독교를 이단으로 폄하하여 보스니아에 대한 권위를 다시 세우려 했다. 그러나 보스니아인들의 충성심을 얻으려는 헝가리의 노력은 실패했고, 헝가리는 교황청을 설득하여 십자군을 선포, 1235년에서 1241년 사이에 보스니아를 침공했다. 보스니아인들의 완강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헝가리는 점차 성공을 거두었지만, 몽골의 공격으로 약화되어 결국 철수했다.

헝가리의 요청으로 보스니아는 교황에 의해 헝가리 대주교에게 종속되었지만, 보스니아인들은 이를 거부하고 헝가리가 임명한 주교를 쫓아냈다. 보스니아인들은 국제 가톨릭과의 관계를 거부하고 보스니아 교회라는 독립 교회를 세웠는데, 이 교회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 모두에게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학자들은 이 교회가 이원론적 우주론, 또는 신마니교 또는 보고밀 성격을 띠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John Fine과 같은 일부 학자들은 기본적인 가톨릭 신학이 유지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강조했다.[70]

이 교회의 신자들은 스스로를 ''dobri Bošnjani'' 또는 ''Bošnjani'' ("선한 보스니아인" 또는 "보스니아인"), ''Krstjani'' (기독교인), ''dobri mužje'' (선한 사람들), ''dobri ljudi'' (좋은 사람들) 및 ''boni homines'' (이탈리아의 이원론 그룹)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렀다. 가톨릭 자료는 그들을 ''파타리니'' (파타레네스)라고 불렀고, 세르비아인들은 보고밀에 대한 세르비아 용어인 ''바부니''(바부나 산에서 유래)라고 불렀다. 오스만 제국은 그들을 ''크리스티안라르''라고 불렀고, 정교회와 가톨릭교도들은 "불신자"를 의미하는 ''게비르'' 또는 ''카피르''라고 불렀다.[70]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에 흩어져 있는 중세 기념 스테치치 무덤(''스테치치'')은 역사적으로 보스니아 교회 운동과 관련이 있다.

2. 1. 3. 보스니아 왕국

보스니아 왕국의 영토 확장


14세기에는 보스나 강을 중심으로 보스니아 왕국이 등장했다. 그곳 사람들은 지역(군, 지방) 이름을 사용하지 않을 때 스스로를 보스니아인이라고 불렀다.[70]

보스니아 국가는 반 스테판 2세 (1318~1353년경)의 통치하에 크게 강화되었는데, 그는 헝가리 왕국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보스니아 국가를 확장하여 서쪽과 남쪽의 가톨릭 및 정교회 영토를 병합했다. 특히 세르비아의 네마니치 왕조로부터 자후믈례(대략 현대 헤르체고비나)를 정복하기도 했다.[70] 1340년대에는 보스니아의 "이단" 혐의에 대한 프란치스코회 선교가 시작되었다. 이 전에는 거의 한 세기 동안 보스니아 자체에는 가톨릭 신자, 적어도 가톨릭 성직자나 조직이 없었다.[70] 1347년까지 스테판 2세는 가톨릭을 받아들인 최초의 보스니아 통치자가 되었으며, 이후 적어도 명목상으로는 스테판 오스토야 (1398~1404, 1409~18)를 제외한 모든 보스니아 중세 통치자의 종교가 되었다. 그는 보스니아 교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보스니아 귀족들은 그 후 "이단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명목상의 맹세를 자주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보스니아 국가는 1463년 오스만 제국의 보스니아 침공까지 종교적 다원성과 관용으로 특징지어졌습니다.[70]

1370년대에 보스니아 반국은 트브르트코 1세가 1377년에 최초의 보스니아 왕으로 즉위하면서 강력한 보스니아 왕국으로 발전하여 인접한 세르비아 및 크로아티아 영토로 더 확장되었다. 그러나 왕국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보스니아 정체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종교적 다원성, 독립적인 귀족, 거칠고 산악 지형으로 인해 문화적, 정치적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70]

2. 2.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보고밀파를 믿던 중세 보스니아 왕국의 보스니아인(Bošnjani / Бошњани|보슈냐니bs)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무슬림이 되었다. 1461년 스테판 토마세비치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 헝가리와 동맹을 맺고 교황 비오 2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지만, 기독교 세계로부터의 지원은 오지 않았다.[74] 헝가리의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 알바니아의 스칸데르베그, 라구사인 모두 약속을 지키지 못했고,[75] 베네치아인들은 왕의 요청을 거절했다.[76]

크로아티아의 인본주의자이자 시인인 마르코 마룰리치는 1493년에서 1500년 사이에 쓰여진 'Molitva suprotiva Turkom'(터키인에 반대하는 기도)에서 오스만 제국에 저항한 사람들 중 하나로 보스니아인을 언급했다.[78]

1460년경 야코포 벨리니가 그린 보스니아의 스테판 토마세비치.


보스니아의 스테판 토마세비치는 교황 비오 2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만약 보스니아인들이 이 전쟁에서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안다면 더 용감하게 싸울 것이고, 터키인들은 감히 내 땅을 공격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72][73]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및 종교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보스니아 가톨릭교도들은 합스부르크 군주국베네치아 공화국이 통치하던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로베니아 지역으로 후퇴했다. 오스만 제국은 인구가 감소한 북부와 서부 보스니아 에얄레트를 채우기 위해 세르비아헤르체고비나에서 군사 기술을 가진 정착민들의 이주를 장려했는데, 이들 중 상당수는 블라흐인이었고,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세르비아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오스만 군사 개혁 노력으로 중앙 통제 군대('니잠')가 확장되고 새로운 세금과 관료주의가 강화되면서 보스니아 귀족의 특권은 약화되었다. 보스니아 무슬림 군인과 지방 영주들은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더 큰 독립을 요구하게 되었고,[90] 바바라 옐라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들은 [...] 오스만 정부에 점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고 기록했다.[91]

2. 2. 1. 이슬람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인 이유로, 보고밀파를 신봉하던 보스니아 왕국의 보스니아인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해 무슬림이 되었다.[79]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부상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종교적 상황이 바뀌었다. 오스만 제국은 새로운 종교인 이슬람교를 가져왔다. 보스니아는 현지 인구의 이슬람교로의 급속하고 광범위한 개종을 경험했으며, 1600년대 초까지 보스니아 인구의 약 3분의 2가 무슬림이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들은 보스니아 인구의 이슬람화가 폭력적인 개종 방법의 결과가 아니라 대부분 평화적이고 자발적인 결과였다는 데 동의한다. 학자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보스니아인들의 이슬람교 집단 수용이 가능하게 된 이유에 대해 논쟁해 왔지만, 중세 보스니아의 종교적 역학이 자주 언급된다.[79]

피터 마사레치는 보스니아에서 더욱 집중적인 이슬람화에 대한 네 가지 기본적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보았다.

  • 보스니아인의 '이단적인 과거'는 그들을 신앙적으로 약하게 만들고 이슬람으로 충성을 옮길 수 있게 했다.
  • 데브시르메를 통해 고위직에 오른 많은 보스니아인들의 예시는 강력한 사람들이 친척과 지인들의 개종을 장려할 수 있는 입장에 있었다.
  • 비무슬림 시민에게 부과된 세금 및 기타 의무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 정교회 인구 사이에서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의 개종 횡포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똑같이 강한 욕망.[80]


동양학자 토마스 워커 아놀드는 당시 이 지역의 주요 이단으로 인해 가톨릭교도에게 억압받았고 교황 요한 22세가 1325년에 십자군을 일으킬 정도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오스만 터키인들을 더 잘 받아들였다고 말한다. 실제로 보스니아 기독교 전통에는 이슬람교와 유사한 몇 가지 관행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루에 다섯 번 기도하기 (주기도문 암송) 등이 있었다.[82]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슬람교 수용을 향한 망설이는 발걸음이 이루어졌다. 처음에는 이러한 이슬람화가 다소 명목적이었다. 실제로는 두 종교를 조화시키려는 시도였다. 이는 그들의 믿음을 최종적으로 포기하기 위한 길고 더딘 진전이었다. 수세기 동안 그들은 완전한 무슬림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심지어 기독교인처럼 세금을 납부했다.[83]

보슈냐크인의 개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화와 관련이 있다. 이 지역의 이슬람화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1480년대 무렵이다. 그 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로마 가톨릭 등 기독교가 신앙되었지만, 토착 신앙에 기초한 "이원론"의 채용 등 교리가 독자적인 변용을 겪어 "이단"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마침내 "보스니아 교회"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보스니아 교회"는 체계적인 교리를 확립하는 데 이르지 못하고, 수도원 등에서 신앙될 뿐 널리 포교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중 수준에는 거의 침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민중은 급속도로 이슬람화되었다.

또한 지주·부농 계층 등은 새로운 지배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기득권을 안도받기 위해 앞다투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 때문에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는 소수의 이슬람교도 지주가 다수의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 소작농을 사용하는 사회 구조가 나타났다.

2. 2. 2. 오스만 제국의 통치

오스만 제국이 발칸 반도를 지배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종교 상황은 크게 변화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슬람교를 전파했고, 발칸 반도 전역에서 개종이 이루어졌지만, 보스니아에서는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급속하고 광범위하게 개종했다. 1600년대 초에는 보스니아 인구의 약 3분의 2가 무슬림이었다.[79] 1530년대 슬로베니아 관찰자 베네딕트 쿠리페치치는 종교 공동체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1528년과 1529년 기록에 따르면 보스니아, 즈보르니크, 헤르체고비나의 산자크(오스만 행정 단위)에는 총 42,319가구의 기독교인과 26,666가구의 무슬림이 있었다. 1624년 피에테르 마자레쿠의 보고서(헤르체고비나 제외)에 따르면 보스니아 인구는 무슬림 45만 명, 가톨릭 신자 15만 명, 정교회 기독교인 7만 5천 명이었다. 역사학자들은 대체로 보스니아 인구의 이슬람화가 강제적인 방법이 아닌, 대부분 평화적이고 자발적이었다는 데 동의한다.

보스니아인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인 이유로는 중세 보스니아의 종교적 상황이 자주 언급된다.[79] 피터 마사레치는 보스니아의 집중적인 이슬람화에 대해 다음 네 가지 이유를 제시했다.[80]

  • 보스니아인의 '이단적인 과거'로 인한 신앙적 약화
  • 데브시르메를 통해 고위직에 오른 많은 보스니아인들의 영향
  • 비무슬림에게 부과된 세금 및 기타 의무를 피하려는 욕망
  • 정교회 인구 사이에서 프란체스코 수도사들의 개종 강요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


오스만 기록에 따르면, 많은 경우 데브시르메는 보스니아에서 자발적이었다. 1603-4년에 보스니아와 알바니아에서 징수한 징수금은 젊은이들과 그들의 가족이 선택된 사람들 사이에 포함되려고 시도했음을 시사한다. 징병 완료까지 1년이 걸렸다는 것을 보여준다. 보스니아에서 파견된 그룹 중 특이하게도 410명의 어린이는 무슬림이었고 82명만이 기독교인이었는데, 이는 메흐메트 2세가 보스니아 에얄레트에 요청한 것에 대한 응답으로 부여된 '특별 허가' 때문이었다. 이들은 "포투로굴라르"(예니체리 군대에 징집된 보스니아 무슬림 소년)라고 불렸으며, 보스탄지-바시가 톱카프 궁전 정원에서만 복무하도록 데려갔다.[81]

시간이 지나면서 이슬람교 수용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처음에는 명목적인 이슬람화였고, 두 종교를 조화시키려는 시도였다. 수세기 동안 그들은 완전한 무슬림으로 간주되지 않았고 기독교인처럼 세금을 납부하기도 했다.[83] 1670년 폴 리카우트는 "기독교와 마호메트교를 기묘하게 혼합하는 이 종파의 사람들은 세르비아와 보스니아 경계에 사는 많은 병사들"이라고 언급하며, 이들이 슬라브어로 복음을 읽고 코란과 아라비아어 율법을 배우는 데 열심이라고 기록했다. 보스니아의 무슬림들은 기독교인처럼 세금을 내고, 형상과 십자가를 혐오하며 할례를 했다.[84]

스타리 모스트는 16세기 오스만 제국다리로, 터키 건축가 미마르 시난이 설계했다.


보스니아 여성들의 전통 의상에는 오스만 제국의 영향이 나타난다.


많은 기독교 부모의 자녀들이 예니체리 군단 구성원으로 양육되었는데(데브시르메), 이들은 예술, 과학, 수학, 시, 문학 및 여러 언어를 배웠다.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는 오스만 제국의 외교 언어 중 하나가 되었다. 오스만 시대에는 바자, 군사 주둔지, 모스크 도입으로 정착촌이 점진적으로 변화했다. 이슬람교로 개종하면 오스만 무역 네트워크, 관료직, 군대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많은 보스니아인들이 이스탄불, 예루살렘, 메디나 등에서 고위직을 맡았는데, 보스니아의 지기스문트 공(후에 이샤크 베이 크랄로글루), 헤르세크자데 아흐메드 파샤, 이사-베그 이사코비치, 가지 후스레브-베그, 다마트 이브라힘 파샤, 페르하드 파샤 소콜로비치, 랄라 무스타파 파샤, 사르 수레이만 파샤 등이 대표적이다. 최소 7명의 재상이 보스니아 출신이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였다.[85] 오스만 통치 하에 보스니아에는 많은 건축 투자가 이루어졌고 사라예보, 모스타르 등 새로운 도시가 건설, 개발되었다. 터키인들은 보스니아를 "이슬람의 요새"로 간주했고, 주민들은 국경 경비병(''세르하틀리에'')으로 봉사했다.

오스만 제국 내 보스니아인들의 존재는 강력한 국가 관리 계급을 형성하여 봉건 군사 시파히와 갈등을 일으켰고, 봉건적 토지 소유에서 사유 재산과 세금 농부로의 이동을 가속화했다.[86] 지리적으로 유럽에 위치했지만, 보스니아는 강한 이슬람적 특성 때문에 '유럽 내 진정한 동양'으로 인식되었다.[87] 1870년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여행한 영국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는 "보스니아는 마호메트교[무슬림]의 선택된 땅 [...] 광신주의는 그녀의 배신자 인구 사이에 가장 깊은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심지어 복장에도 반영된다"고 주장했다.[88][89]

오스만 통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및 종교 구성에 영향을 미쳤다. 많은 보스니아 가톨릭교도들은 합스부르크 군주국베네치아 공화국이 통제하던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슬로베니아 지역으로 후퇴했다. 오스만 제국은 인구가 감소한 북부와 서부 보스니아 에얄레트를 채우기 위해 세르비아헤르체고비나에서 군사 기술을 갖춘 정착민들의 이주를 장려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블라흐인이었는데, 이들은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대부분 세르비아 정체성을 채택했다.

오스만 군사 개혁 노력은 중앙 통제 군대('니잠')의 확장, 새로운 세금, 더 많은 오스만 관료주의를 요구했는데, 이는 보스니아 귀족의 특별한 지위와 특권을 약화시켰다. 보스니아 무슬림 군인과 지방 영주들은 콘스탄티노플로부터 더 큰 독립을 요구했다.[90] 바바라 옐라비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들은 [...] 오스만 정부에 점점 환멸을 느끼고 있었다. 중앙 집권적 개혁은 그들의 특권을 직접적으로 삭감했으며 보상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고 말한다.[91]

2. 2. 3. 보스니아 민족주의의 태동

19세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세 민족 집단 사이에 민족 의식이 발달했으며, 새롭게 등장한 민족 정체성은 오스만 사회에 존재했던 밀레트 시스템의 영향을 받았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무슬림과 비무슬림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있었고, 서로 다른 세금 범주와 옷이 존재했다. 쇠렌 카일(Soeren Keil)에 따르면,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이러한 차별화는 민족적, 국가적 정체성 형태로 발전했다.[92]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자국 영토로 주장했고, 종교, 민족 정체성, 영토 주장의 조합은 세 개의 별개의 국가의 기초가 되었다.[92]

그러나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의 구성원이었던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이반 프란요 유키치는 자신의 필명 "슬라브 애호가 보스니아인"(''Slavoljub Bošnjak'')에서 보스니아주의를 명확히 드러내며,[93] 보스니아인들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과 함께 "일리리아 민족"을 구성하는 "부족" 중 하나로 강조했다.[94]

프랑스 혁명과 일리리아 운동의 영향을 받은 일부 보스니아 프란체스코회는 모든 남슬라브족의 자유, 박애, 단결을 지지하는 동시에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정체성과는 별개의 독특한 보스니아 정체성을 강조했다. 이반 프란요 유키치는 1851년에 "베그(begs)와 다른 무슬림 영주들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무슬림 농민]을 ''포투리체''(Poturice)[튀르크화된 사람들] 또는 ''초세''(Ćose)[수염 없는 사람들]라고 부르지만, 기독교인들은 그들을 ''발리예''(Balije)[오스만 시대에서 유래된 저속한 용어로, 산악 지역에 살았던 보스니아 무슬림 유목민들에게 적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보스니아인에게 가장 모욕적인 용어로 여겨진다]라고 부른다."라고 기록했다.[95]

때때로 ''튀르친''(Turčin)(튀르크인)이라는 용어는 보스니아와 다른 슬라브 무슬림들을 묘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민족적 소속이 아닌 종교적 소속을 나타냈다. 19세기 보스니아의 프로이센 영사관 통역관인 클레멘트 보지치는 "보스니아 기독교인들은 동료 무슬림을 '튀르크인'이라고 부르고 외국인 무슬림을 '오스만인'이라고 부른다. 또한 무슬림 보스니아인은 오스만인에게 자신이 튀르크인이라고 말하거나 그를 형제라고 부르지 않을 것이다. [...] 보스니아 무슬림은 오스만인을 용납할 수 없고, 그[오스만인]는 보스니아인을 경멸한다."라고 말했다.[97]

크로아티아 작가 마티야 마주라니치는 1842년에 "보스니아에서는 기독교인들이 스스로를 보스니아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감히 하지 못한다. 무슬림들은 자신들만 보스니아인이라고 생각하고 기독교인들은 보스니아 농노(''라야'')이거나, 다른 단어를 사용하자면, 발라흐인이다."라고 썼다.[99] 무슬림 도시 사람들, 장인 및 수공업자, 즉 농노가 아닌 자유로운, 즉 면세 대상자들도 스스로를 보스니아인이라고 불렀고 그들의 언어를 ''보슈냐츠키''(Tur. ''boşnakça'')라고 불렀다. 1855년 보스니아를 방문한 프랑스 외교관이자 학자인 마시외 드 클레르발은 보고서에서 "보스니아 그리스인[즉, 정교회 기독교인], 무슬림, 가톨릭교인들이 함께 살고 있으며, 외국 세력이 광신주의와 종교적 자부심 문제를 깨우지 않는 한 매우 좋은 조화를 이루고 있다."라고 말했다.[100]

1878년 사라예보 포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 대한 저항을 묘사한 삽화.


유키치의 제자이자 동료 수사였던 안툰 크네제비치도 다종교적인 ''보슈냐크''(보스니아인) 정체성의 주요 주창자 중 한 명이었으며, 유키치 수사보다 더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01][102] 그 전에는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필리프 라스트리치 (1700–1783)가 종교에 관계없이 보스니아 ''에야레트''의 시민들의 공통성에 대해 처음으로 썼다. 그의 저서 ''Epitome vetustatum provinciae Bosniensis''(1765)에서 그는 보스니아 지방(''에야레트'')의 모든 주민들이 같은 혈통의 "하나의 민족"을 구성한다고 주장했다.[103]

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던 보스니아에서는 종교와 민족 정체성이 밀접하게 얽혀 있었다. 무슬림과 비무슬림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있었지만, 19세기 말에는 이러한 차이가 민족적, 국가적 정체성 형태로 발전했다.[92] 이 시기 일리리아 운동의 영향을 받은 일부 보스니아 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과 함께 보스니아인을 "일리리아 민족"의 한 "부족"으로 강조하며 독특한 보스니아 정체성을 강조했다.[94]

프란체스코회 수도사 이반 프란요 유키치는 자신의 필명인 "슬라브 애호가 보스니아인"(''Slavoljub Bošnjak'')에서 보스니아주의를 분명히 드러냈다.[93] 그는 1851년에 무슬림 영주들이 무슬림 농민을 ''포투리체''(Poturice, 튀르크화된 사람들) 등으로 부르는 반면, 기독교인들은 그들을 ''발리예''(Balije, 보스니아인에게 모욕적인 용어)라고 부른다고 기록했다.[95]

보스냐크 1906년경, 루돌프 브루너-드보르작


당시 ''튀르친''(Turčin, 튀르크인)이라는 용어는 민족적 소속이 아닌 종교적 소속을 나타내는 말로, 보스니아와 다른 슬라브 무슬림들을 묘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96] 19세기 보스니아의 프로이센 영사관 통역관은 보스니아 기독교인들이 동료 무슬림을 '튀르크인'이라고 부르고 외국인 무슬림을 '오스만인'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97]

2. 3. 1.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통치



분쟁은 빠르게 확산되어 여러 발칸 국가들과 강대국들을 끌어들였고, 결국 오스만 제국은 베를린 조약을 통해 보스니아 지역에 대한 행정권을 오스트리아-헝가리에 양도해야 했다.[92] 헤르체고비나 봉기(1875–78) 이후 보스니아 무슬림과 정교회 기독교인의 인구가 감소했다. 정교회 기독교인 인구 (1870년 534,000명)는 7% 감소한 반면 무슬림 인구는 3분의 1 감소했다.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1879년)에 따르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는 총 449,000명의 무슬림, 496,485명의 정교회 기독교인, 209,391명의 가톨릭교도가 기록되었다. 손실은 무슬림 245,000명과 정교회 기독교인 37,500명이었다.[92]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특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합병과 발칸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의 거의 모든 영토를 잃으면서 많은 수의 무슬림들이 "무하지르"로 알려진 터키로 이주했다.


20세기 동안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문화적 정체성을 장려하고 보존하기 위해 여러 문화 및 복지 단체를 설립했다. 가장 두드러진 협회는 ''가예트'', ''메르하메트'', ''나로드나 우즈다니차''였고, 이후에는 ''프레포로드''가 있었다. 보스니아 무슬림 지식인들은 1860년대에 잡지 ''보스니아''를 중심으로 모여 통일된 ''보스냐크 민족''의 아이디어를 홍보했다. 이 보스냐크 그룹은 아이디어의 연속성과 ''보스냐크 이름''의 사용을 통해 수십 년 동안 활동을 유지했다. 1891년부터 1910년까지 그들은 라틴 문자로 된 잡지 ''보슈냐크''(Bosnjak)를 발행하여 ''보스냐크주의''(Bošnjaštvo)의 개념과 유럽 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장려했다. 그 이후로 보스냐크인들은 합스부르크 군주의 더 광범위한 영향력 아래 유럽 문화를 채택했다. 동시에 그들은 보스니아 이슬람 생활 방식의 독특한 특성을 유지했다. 이러한 초기의 중요한 이니셔티브에 따라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1870–1934), 에드헴 뮬라브디치(1862–1954) 및 오스만 누리 하지치(1869–1937)가 창립한 ''베하르''라는 새로운 잡지가 뒤따랐다.[92]

보스냐크는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병대의 31%-50%를 차지했다. BHI는 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 황제를 위해 용감하게 복무한 공로를 인정받아 다른 어떤 부대보다 많은 메달을 받았다.


187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점령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총독 벤자민 칼라이의 오스트리아 행정부는 공식적으로 기독교인과 무슬림을 포함하는 다종교 보스니아 민족의 기초로 "보스냐크성"을 지지했다. 이 정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이웃 국가(정교회 세르비아와 가톨릭 크로아티아, 그리고 오스만 제국의 무슬림)로부터 격리하고, 이 나라의 정교회와 가톨릭 공동체에서 이미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의 개념을 부정하려 했다. 그러나 보스니아 민족주의의 개념은 보스니아 무슬림들조차 거부했고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격렬하게 반대받았는데, 그들은 대신 보스니아 무슬림들을 자신들의 것으로 주장하려 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거부했다.[92]

칼라이가 1903년에 사망한 후, 공식 정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세 민족 현실을 점차 수용하는 방향으로 흘렀다. 궁극적으로 가톨릭과 정교회 사이에 보스냐크 정체성을 육성하려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야망이 실패하면서, 거의 독점적으로 보스니아 무슬림들이 이를 고수하게 되었고, 그 결과 '보스냐크성'은 민족주의 인물들에 의해 보스니아 무슬림 민족 이데올로기로 채택되었다.[92]

1881년 11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병대를 도입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정부는 모든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제국군에서 복무할 의무를 부과하는 군사법(''Wehrgesetz'')을 통과시켰고, 이는 1881년 12월과 1882년에 걸쳐 광범위한 폭동을 촉발했다. 오스트리아는 사라예보무프티 무스타파 힐미 하지오메로비치(1816년 출생)에게 호소했고, 그는 곧 "보스냐크인들에게 군법을 준수할 것을 촉구하는" 파트와를 발행했다. 사라예보 시장을 역임한 메흐메드-베그 카페타노비치 류부샤크와 같은 다른 중요한 무슬림 공동체 지도자들도 젊은 무슬림들에게 합스부르크 군대에서 복무할 것을 호소했다.[92]

1903년에는 가예트 문화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오스트리아-헝가리(오늘날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슬라브계 무슬림들 사이에서 세르비아인 정체성을 장려했고, 무슬림이 민족 의식이 부족한 세르비아인이라고 보았다. 무슬림이 세르비아인이라는 견해는 아마도 보스니아 무슬림 자신들 사이에서 가장 오래된 세 가지 민족 이론 중 하나일 것이다.[92]

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보스니아 무슬림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에 징집되었고, 일부는 동료 슬라브족과 싸우는 대신 탈영을 선택했고, 일부 보스냐크는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이후 분노한 듯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을 공격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약 5,500명의 저명한 세르비아인을 투옥하고 추방했으며, 그 중 700~2,200명이 감옥에서 사망했다. 460명의 세르비아인이 사형을 선고받았고, 주로 보스냐크로 구성된[111][112][113] Schutzkorps로 알려진 특별 민병대가 설립되어 세르비아인을 박해했다.[92]

2. 4. 유고슬라비아 시대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지속된 전란의 역사 속에서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하면서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아브도 후모, 하산 브르키치, 바히다 마글라일리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서 활동한 보스니아 무슬림 출신으로, 인민 영웅 훈장을 받았다.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무슬림은 민족 집단이 아닌 종교 집단으로 취급되었다.[126] 1948년 인구 조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은 "세르비아-무슬림", "크로아티아-무슬림", "민족 불명 무슬림"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126] 1953년 인구 조사에서는 "유고슬라비아, 민족 불명" 범주가 도입되었고, 대다수가 무슬림이었다.[126]

알렉산다르 랑코비치 등 세르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보스니아 무슬림 민족 인정을 반대했다.[129][127] 공산당 내 무슬림 당원들은 티토에게 지지를 설득하려 노력했다.[129] 1961년, 보스니아 무슬림은 민족 집단으로 인정되었지만 국적으로는 인정되지 않았다. 1964년 보스니아 당 제4차 회의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자기 결정 권리가 보장되었고,[126] 로돌류브 촐라코비치는 "무슬림 형제들"이 세르비아인 및 크로아티아인과 동등하며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으로 선언하도록 강요받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의 민족적 결정에 대한 완전한 자유"를 보장했다.[128] 랑코비치 실각 후, 티토는 무슬림과 그들의 민족 정체성 인정을 옹호했다.[129] 1968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에 대한 항의가 있었고, 도브리차 초시치 등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도 반대했다.[129] 1971년, 무슬림은 완전히 국적으로 인정되었고, 인구 조사에 "국적 무슬림"이라는 선택지가 추가되었다.[126]

2. 4.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알려짐)이 형성되었다. 이 왕국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은 마케도니아인몬테네그로인과 함께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16] 그러나 첫 번째 임시 내각에는 무슬림이 포함되었다.

정치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4개의 바노비나로 분할되었으며, 무슬림은 각 바노비나에서 소수였다.[117] 크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13개 군이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에 편입되었고, 38개 군이 유고슬라비아의 세르비아 부분에 편입되었다.[117] 이러한 분할에서 무슬림은 완전히 제외되었고,[117] 이는 보스니아 무슬림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자치 운동'을 창설하도록 자극했다.[118]

1919년 2월에 선포된 토지 개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토지의 66.9%에 영향을 미쳤다. 구 토지 소유가 주로 보스니아 무슬림이었기 때문에, 토지 개혁에 저항이 있었다. 이어서 무슬림에 대한 폭력과 강제적인 토지 몰수가 발생했다. 보스니아 무슬림에게는 보상이 제시되었지만, 이는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 정권은 40년 동안 6%의 이자율로 를 보상할 계획이었다. 지급은 1936년에 시작되어 1975년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1941년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예상 송금액의 10%만 이루어졌다.

메흐메드 스파호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유고슬라비아) 시대에 보스니아 무슬림 공동체의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2. 4. 2. 제2차 세계 대전

SS "한자르"의 보스니아 무슬림 병사들이 나치 선전 서적인 ''이슬람과 유대교''를 나치 점령 하의 남부 프랑스에서 읽고 있다. (Bundesarchiv, 1943년 6월 21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보스니아 무슬림 엘리트와 저명인사들은 여러 도시에서 크로아티아-나치의 협력 조치, 법률, 그리고 세르비아인에 대한 폭력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결의안 또는 각서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프리예도르 (9월 23일), 사라예보 (10월 12일의 사라예보 무슬림 결의), 모스타르 (10월 21일), 바냐 루카 (11월 12일), 비옐리나 (12월 2일), 투즐라 (12월 11일)가 포함된다.[119] 이 결의안들은 무슬림에 대한 학대와 무슬림과 세르비아인을 서로 대립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우스타샤를 비난했다.[119] 각서에서는 우스타샤 정권이 시작된 이래로 무슬림들이 일부 우스타샤, 일부 크로아티아 정부 당국 및 다양한 불법 단체들이 세르비아인에게 저지른 무법적인 활동을 두려워했다고 선언했다.[120]

그러나 보스니아 무슬림 인구의 일부는 우스타샤와 협력하기도 했다. 무슬림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공무원과 군대의 약 12%를 차지했다.[121] 그들 중 일부는 우스타샤의 잔혹 행위에 참여했으며, 나치 '바펜-SS' 부대의 보스니아 무슬림은 블라세니차 등지에서 세르비아인 학살에 책임이 있었다.[121] 이 시기에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체트니크는 보스니아 무슬림을 상대로 몇 차례 학살을 자행했다.[122][123]

전쟁에서 75,000명의 무슬림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최대 86,000명(전쟁 전 인구의 6.8%)에 달했을 수도 있다. 다수의 무슬림이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부대에 합류하여 "진정으로 다민족적인 군대"를 만들었다.[115] 전쟁 전체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23%가 무슬림이었다.[124]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인이 지배하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종종 보스니아 무슬림 마을에 들어가 보스니아 무슬림 지식인과 잠재적인 반대 세력을 제거하기도 했다. 1943년 2월, 독일은 13 바펜 산악사단 한자르(제1 크로아티아)를 승인하고 징집을 시작했다.[125]

2. 4. 3.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성립되었으나, 이 왕국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은 마케도니아인 및 몬테네그로인과 함께 별개의 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했다.[116] 정치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4개의 바노비나로 분할되었고, 각 바노비나에서 무슬림은 소수였다.[117] 크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13개 군이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에, 38개 군이 유고슬라비아의 세르비아 지역에 편입되면서 무슬림은 완전히 배제되었고,[117] 이는 보스니아 무슬림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자치 운동' 결성을 촉발시켰다.[118] 1919년 2월 선포된 토지 개혁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토지의 66.9%에 영향을 미쳤는데, 토지 소유자가 주로 보스니아 무슬림이었기 때문에 토지 개혁에 대한 저항이 있었고, 무슬림에 대한 폭력과 강제적인 토지 몰수가 발생했다.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보상이 제시되었지만 완전히 실현되지 못했다.[117]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도 무슬림은 민족 집단이 아닌 종교 집단으로 취급되었다.[126] 1948년 인구 조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은 "세르비아-무슬림", "크로아티아-무슬림", "민족 불명 무슬림" 중 하나를 선택해야 했다.[126] 1953년 인구 조사에서는 "유고슬라비아, 민족 불명" 범주가 도입되었고, 대다수가 무슬림이었다.[126] 알렉산다르 랑코비치 등 세르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보스니아 무슬림 민족 인정을 반대했다.[129][127] 공산당 내 무슬림 당원들은 티토에게 지지를 설득하려 노력했다.[129] 1961년, 보스니아 무슬림은 민족 집단으로 인정되었지만 국적으로는 인정되지 않았다. 1964년 보스니아 당 제4차 회의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자기 결정 권리가 보장되었고,[126] 로돌류브 촐라코비치는 "무슬림 형제들"이 세르비아인 및 크로아티아인과 동등하며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으로 선언하도록 강요받지 않을 것"이라며 "자신의 민족적 결정에 대한 완전한 자유"를 보장했다.[128] 랑코비치 실각 후, 티토는 무슬림과 그들의 민족 정체성 인정을 옹호했다.[129] 1968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이에 대한 항의가 있었고, 도브리차 초시치 등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도 반대했다.[129] 1971년, 무슬림은 완전히 국적으로 인정받았고, 인구 조사에 "국적 무슬림"이라는 선택지가 추가되었다.[126]

2. 5. 보스니아 전쟁

보스니아 전쟁1992년부터 1995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벌어진 국제적인 무력 충돌이다. 이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해체 과정에서 발생했으며, 보스니아 내 보슈냐크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간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특히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한 스레브레니차 학살은 보슈냐크인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1]

2. 5. 1. 전쟁의 발발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지속된 전란의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다른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들의 독립은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1]

사라예보 포위전 20주년 기념 행사로 열린 사라예보 붉은 선. 11,541개의 빈 의자는 사라예보 연구 문서 센터에 따르면 사라예보 포위 중에 사망한 11,541명의 전쟁 희생자를 상징한다.


스레브레니차 학살 추모 기념관 묘비. 약 8,000명 이상의 보스니아계 남성과 소년들이 1995년 7월 스레브레니차 학살 동안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보스니아인들은 보스니아 전쟁에서의 인종 청소와 보스니아 집단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보스니아인들이 나라를 떠나야 했다. 또한 전쟁은 보스니아의 인구 통계에 많은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1991년, 전쟁이 공식적으로 발발하기 1년 전, 보스니아인들은 거의 모든 보스니아에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전쟁의 결과로 보스니아의 보스니아인들은 독립 전쟁 동안 보스니아 정부가 점령했던 지역에 주로 집중되었다.[1]

보스니아 전쟁 초기에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군대는 보스니아 동부의 보스니아 무슬림 민간인을 공격했다. 마을과 마을이 안전하게 그들의 손에 들어가자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군대, 경찰, 준군사 조직, 때로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마을 사람들까지 같은 패턴을 적용했다. 집과 아파트는 체계적으로 약탈당하거나 불에 탔고, 민간인들은 체포되거나 붙잡혔으며, 그 과정에서 때때로 구타를 당하거나 살해되었다. 남녀는 분리되었고, 많은 남성들은 학살되거나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여성들은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살아야 하는 다양한 구금 센터에 수용되었고, 반복적으로 강간을 당하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학대를 받았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군인이나 경찰은 이 구금 센터에 와서 한 명 이상의 여성을 선택하여 데리고 나가 강간했다.[1]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으로부터 받은 더 강력한 무기(인력 부족에도 불구하고)로 우위를 점했고, 세르비아인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지역뿐만 아니라 사라예보모스타르의 대도시를 제외한 농촌 및 도시 지역에서도 상당한 소수를 차지하는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군사 및 정치 지도부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로부터 전쟁 범죄에 대한 가장 많은 비난을 받았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이 ICTY 재판에서 전쟁 후에 확인되었다.[1]

수도 사라예보의 대부분은 보스니아인들이 지배했다. 44개월 동안의 포위 기간 동안 사라예보 주민들에 대한 테러는 강도가 다양했지만, 그 목적은 보스니아 당국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의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민간인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이었다.[1]

2. 5. 2. 인종 청소와 학살

보스니아 전쟁 동안 보스니아인들은 인종 청소와 집단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보스니아인들이 나라를 떠나야 했으며, 보스니아의 인구 분포에 큰 변화가 생겼다. 1991년, 전쟁 발발 1년 전에는 보스니아인들이 보스니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었으나, 전쟁 결과 독립 전쟁 동안 보스니아 정부가 점령했던 지역에 주로 집중되었다. 오늘날 보스니아인들은 사라예보와 그 주변 지역, 비하치 주변의 보스니아 북서부, 브르치코 구, 고라즈데, 포드리네 및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전쟁 초기 스릅스카 공화국군은 보스니아 동부의 보스니아 무슬림 민간인을 공격했다. 마을이 점령되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군대, 경찰, 준군사 조직, 때로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마을 사람들까지 동원하여 집과 아파트를 약탈하거나 불태웠고, 민간인들을 체포, 구타, 살해했다. 남녀를 분리하여 많은 남성들이 학살되거나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여성들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강간당하는 등 학대를 받았다.[1]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으로부터 받은 무기를 바탕으로 우위를 점했고, 사라예보와 모스타르를 제외한 농촌 및 도시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군사 및 정치 지도부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ICTY)로부터 전쟁 범죄에 대한 많은 비난을 받았다.[1]

수도 사라예보는 보스니아인들이 지배했다. 44개월 동안의 포위 기간 동안 사라예보 주민들에 대한 테러는 강도가 다양했지만, 그 목적은 민간인에게 고통을 가하여 보스니아 당국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의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었다.[1]

1995년 7월에는 스레브레니차에서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약 8,000명의 보슈냐크인이 살해된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했다.[1]

2. 5. 3. 전쟁의 종식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지속된 전란의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다른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들의 독립은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보스니아인들은 보스니아 전쟁에서의 인종 청소와 보스니아 집단 학살의 대상이 되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수십만 명의 보스니아인들이 나라를 떠나야 했다. 또한 전쟁은 보스니아의 인구 통계에 많은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1991년, 전쟁이 공식적으로 발발하기 1년 전, 보스니아인들은 거의 모든 보스니아에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전쟁의 결과로 보스니아의 보스니아인들은 독립 전쟁 동안 보스니아 정부가 점령했던 지역에 주로 집중되었다. 오늘날 보스니아인들은 사라예보와 그 사라예보 주, 비하치 주변의 보스니아 북서부 대부분, 브르치코 구, 고라즈데, 포드리네 및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에서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보스니아 전쟁 초기에 스릅스카 공화국군의 군대는 보스니아 동부의 보스니아 무슬림 민간인을 공격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군은 군대, 경찰, 준군사 조직, 때로는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마을 사람들까지 동원해 집과 아파트를 체계적으로 약탈하거나 불태웠고, 민간인들을 체포하거나 붙잡아 구타하거나 살해했다. 남녀는 분리되었고, 많은 남성들은 학살되거나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여성들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살아야 하는 다양한 구금 센터에 수용되었고, 반복적으로 강간을 당하는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학대를 받았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으로부터 받은 더 강력한 무기를 바탕으로 우위를 점했고, 세르비아인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지역뿐만 아니라 농촌 및 도시 지역에서도 상당한 소수를 차지하는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했다. 보스니아계 세르비아 군사 및 정치 지도부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로부터 전쟁 범죄에 대한 가장 많은 비난을 받았으며, 그 중 많은 부분이 재판에서 확인되었다.

수도 사라예보의 대부분은 보스니아인들이 지배했다. 44개월 동안의 포위 기간 동안 사라예보 주민들에 대한 테러는 강도가 다양했지만, 그 목적은 보스니아 당국이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의 요구를 받아들이도록 민간인에게 고통을 가하는 것이었다.

2. 6. 현대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지속된 전란의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다른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전신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들의 독립은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됐다.

3. 민족 정체성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으로, 복잡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민족 정체성을 형성했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을 수립했으나, 이는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보스니아인들의 전통적인 상징은 백합 문양으로, 6개의 금색 백합으로 장식되어 있다. 이는 이 지역 고유종인 보스니아 백합(Lilium bosniacum)을 나타낸다.[164] 이 문장은 중세 보스니아 왕국, 특히 트브르트코 1세 시대에 사용되었으며, 일부에서는 프랑스 앙주 왕가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165] 1992년 보스니아 민족의 상징으로 다시 사용되었고,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의 국기로 사용되었다.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국기에도 크로아티아 체커판과 함께 백합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군대 보스니아인 연대의 휘장으로도 사용된다.[166]

14세기의 코트로마니치 왕조 문장 뒷면 – 현재 보스니아인 민족 상징으로 사용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국기에 등장했던 백합 문양


또 다른 보스니아 국기는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녹색 바탕에 흰색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다. 이 깃발은 19세기 독립 보스니아와 후세인 그라다셰비치가 이끈 보스니아 봉기의 상징이었다.

3. 0. 1. 명칭의 유래와 변천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영어에서 "보슈냐크인"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1680년 영국의 외교관이자 역사가인 폴 리코였다. 그는 "보스나크"(Bosnack)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라틴어 "보스니아쿠스"(Bosniacus, 1682년 이전), 프랑스어 "보스니악"(Bosniaque, 1695년 이전), 독일어 "보스니악"(Bosniak, 1737년 이전)과 관련이 있다.[17] 현대적인 철자인 "Bosniak"는 1836년 ''페니 사이클로피디아''에 등장한다.[18]

슬라브어에서 '-ak'는 남성 명사를 만드는 흔한 접미사이다. 예를 들어 폴란드인(''폴라크'', Polak)과 슬로바키아인(''슬로바크'', Slovák)에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 출신"을 의미하는 "보스니아인"과 어원적으로 같다.[19] 보슈냐크인의 관점에서 ''보산스트보''(Bosanstvo, 보스니아인)와 ''보슈냐슈트보''(Bošnjaštvo, 보슈냐크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20]

가장 초기의 보스니아 민족명은 ''"보슈냐니"''(Bošnjani, 라틴어: Bosniensis)였으며, 이는 중세 보스니아 왕국 사람들을 가리켰다.[21] 15세기까지[17] 접미사 ''-(n)in''은 ''-ak''로 대체되어 현재의 ''보슈냐크''(Bošnjak, Bosniak)가 되었다. 1440년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2세가 헝가리-폴란드 왕 브와디스와프 바르넨치크에게 사절단을 보내 보슈냐크인과 폴란드인이 공통된 슬라브 조상과 언어를 가졌다고 주장하면서 처음 언급되었다.[22][23][24]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어학 연구소는 ''보슈냐크인''을 "오스만 제국 이전 시대 보스니아 통치자, 오스만 제국 시대 술탄의 신하, 그리고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3개 구성 민족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민족을 지칭하는 이름. 보슈냐크는 오래된 용어인 ''보슈냐닌''(라틴어 ''Bosnensis'')과 마찬가지로 원래 중세 보스니아 국가의 주민을 정의하는 이름이다."라고 정의한다.[25]

언어학자들은 지명 보스니아가 보스나 강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보스나는 슬라브 이전의 수문명으로, 서기 1세기 로마 역사가 마르쿠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가 ''바티누스 플루멘''(Bathinus flumen)이라고 처음 언급했다.[26][27][28]

일부 학자들은 5세기에 처음 언급된 로마 도로 기지인 ''Ad Basante''를 보스니아와 연결하기도 한다.[30][31] 영국의 중세학자 윌리엄 밀러는 보스니아의 슬라브 정착민들이 "라틴어 명칭인 [...] 바산테를 자신들의 언어에 적응시켜 강을 보스나라고 부르고 자신들을 보슈냐크인이라고 불렀다 [...]"라고 주장한다.[30]

언어학자 안톤 마이어는 ''보스나''라는 이름이 일리리아어 ''바스-안-아스(-아)''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흐르는 물"을 의미하는 원 인도유럽어 어근 *''보그''-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보았다.[32] 크로아티아 언어학자 페타르 스코크는 이 수문명의 변천이 *''바사누스''> *''바세누스''> *''바시누스''> *''보시나''> ''보스냐''> ''보스나'' 순서로 일어났다고 보았다.[32]

다른 이론들은 경계를 의미하는 희귀한 라틴어 용어인 ''보시나''와 슬라브족, 트라키아족의 기원을 포함한다.[26][33] 보스니아의 이름과 보슈냐크인의 초기 슬라브족 북유럽과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이론은 19세기 역사가인 요아힘 르레벨과 요한 카스파 제우스가 처음 제기했다. 이들은 보스니아의 이름이 프라이머리 크로니클과 바이에른 지리학자의 기록에 나오는 슬라브족 민족명인 부잔스 (라틴어: Busani)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르레벨과 제우스에 따르면 부잔스는 보스니아에 정착했다.[34][35] 20세기와 21세기 유고슬라비아 및 보스니아 역사가인 마르코 베고,[36] 무하메드 하지야히치,[37] 무스타파 이마모비치도 이러한 이론을 지지했다.[38]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보슈냐크인"이라는 단어는 보스니아의 모든 주민을 지칭하게 되었으며, 당시에는 국가적 의미가 아닌 지역적 의미를 지녔다. 오스트리아-헝가리가 187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을 때, 국가 정체성은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여전히 생소한 개념이었다. 보스니아 주민들은 다양한 이름으로 자신을 칭했는데, 보슈냐크인에서 시작하여 영토적 지정을 기반으로 하는 단어, 지역적 및 종교적 이름을 거쳐 현대의 국가적 이름에 이르렀다. 보스니아의 기독교인들은 19세기 이전, 특히 1878년 오스트리아 점령 이전에는 자신들을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으로 묘사하지 않았다. 이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현재 3민족 현실이 종교적 소속을 기반으로 구성되었다.[39]

3. 0. 2.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와의 관계

보슈냐크인은 발칸반도에서 지속된 전란의 역사 속에서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나치 독일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이들의 독립은 보스니아 전쟁의 원인이 됐다.

보스니아인들의 전통적인 상징은 6개의 금색 백합으로 장식된 백합 문양 문장으로, 이 지역의 고유 백합인 보스니아 백합(Lilium bosniacum)이라고도 불린다.[164] 이 보스니아 민족 상징은 중세 보스니아 왕국의 문장에서 유래되었으며, 특히 보스니아 왕 트브르트코 1세의 통치와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6개의 금색 백합이 있는 보스니아 문장은 프랑스에서 유래한 앙주 왕가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165] 이 왕조의 일원인 헝가리의 루이 1세는 반 스테판 2세의 딸인 보스니아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했으며, 트브르트코 1세는 앙주 가문과 보스니아 왕가 사이의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징표로 문장 백합을 보스니아 왕족의 상징으로 채택했다.

이 문장은 1992년 보스니아 민족의 상징으로 부활하여 1992년부터 1998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의 국기를 나타냈다. 1999년 다른 두 민족의 요청에 따라 국가 상징이 교체되었지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국기에는 여전히 크로아티아 체커판과 함께 백합 문양이 새겨져 있다. 보스니아 백합은 또한 많은 칸톤, 자치시, 도시 및 마을의 국기와 문장에 나타난다. 여전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군대의 보스니아인 연대의 공식 휘장으로 사용된다.[166] 백합 문양은 또한 모스크와 무슬림 묘비에서 장식으로 흔히 발견된다.

또 다른 보스니아 국기는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녹색 배경에 흰색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다. 이 국기는 19세기에 단명했던 독립 보스니아와 후세인 그라다셰비치가 이끈 투르크에 대한 보스니아 봉기의 상징이기도 했다.

4. 종교

가지 후스레브 베그 모스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


중세 보스니아 왕국의 보스니아인(Bošnjani / Бошњани|보슈냐니bs)은 영지주의 계열의 보고밀파를 신봉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던 역사적인 이유로, 보고밀파를 신봉하던 보스니아인들은 이슬람교로 개종해 무슬림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치하에서 보스니아 무슬림들은 무슬리마니로 분류됐지만 오늘날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인의 민족종교집단인 보슈냐크인으로 엄밀하게 구분된다.[14][151] 대체로 하나피파 이슬람교를 믿는다.[152]

역사적으로 수피즘은 보스니아 무슬림 사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그들은 나크쉬반디, 리파이, 카디리야와 같은 주류 수니교단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비교파 무슬림과 문화적 무슬림으로 분류될 수 있는 보스니아인도 있다.[153] 보스니아 이슬람 공동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류 하나피 학파 외에도 특히 1990년대 전쟁 이후 다른 이슬람 흐름의 영향을 받았다.[154]

오스만 제국 시대 보스니아의 수피즘 위치는 제국의 다른 지역과 법적으로 동일했다. 보스니아 수피들은 종종 아랍어와 터키어와 같은 동양 언어로 문학 작품을 제작했지만, Abdurrahman Sirri (1785–1846/47)와 압둘와하브 제프체위 (1773–1821)와 같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글을 쓰기도 했다.[155] 보스니아 출신의 또 다른 수피는 셰이크 함자 발리였는데, 그의 교리는 이슬람의 공식적인 해석과 상반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의 지지자들인 ''함제비예''는 ''바이라미-멜라미''의 타리카와 밀접하게 관련된 종파로 묘사되는 종교 운동을 형성했다.[156][157] 또 다른 저명한 보스니아 수피는 수피 사상가이자 16세기 보스니아인들의 과학 문헌과 지적 생활의 가장 저명한 인물인 하산 카피 프루슈차크였다.

1998년 여론 조사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보스니아인 78.3%가 자신이 종교적이라고 답했다. 보스니아 무슬림은 다른 무슬림 집단에 비해 온건하고, 세속적이며, 유럽 지향적인 것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158] 보스니아인들은 "문화적 무슬림"[159] 또는 "진보적 무슬림"으로 묘사되어 왔다.

가지 후스레브 베그 모스크는 보스니아의 산자크 베이인 가지 후스레브 베그가 1532년에 건설했으며, 사라예보에 위치해 있다.


Kjell Magnusson은 오스만 제국의 철수 이후 발칸 반도에서 민족 운동과 새로운 국가 형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종교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지적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이 사람들을 그들의 종교적 소속에 따라 구별했기 때문이다.[160]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민족 집단의 일상생활에서 종교는 작은 역할을 할 뿐이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은 고정 관념이 존재한다. 즉, 세르비아인은 정교회, 크로아티아인은 가톨릭, 보스니아인은 무슬림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고 기독교로 남아 있던 보스니아 원주민들은 세르비아인 또는 크로아티아인으로 정체성을 갖게 되었는데,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외견상 민족 혼합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여전히 위에서 언급한 패턴을 벗어나 적극적으로 다른 종교를 실천하는 몇몇 개인들이 있으며, 종종 혼인 관계 때문이다.[161]

보슈냐크인의 개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화와 관련이 있다. 이 지역의 이슬람화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1480년대 무렵이다. 그 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로마 가톨릭 등 기독교가 신앙되었지만, 가톨릭이면서 라틴어가 아닌 슬라브어로 전례를 행하는 것 외에, 토착 신앙에 기초한 "이원론"의 채용 등 교리가 독자적인 변용을 겪어 "이단"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마침내 "보스니아 교회"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이는 가톨릭이 일부 지배 계급의 신앙에 머물고, 대다수의 민중은 토착 신앙(기독교에서 보면 이단 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스니아 교회"는 체계적인 교리를 확립하는 데 이르지 못하고, 수도원 등에서 신앙될 뿐 널리 포교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중 수준에는 거의 침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민중은 급속도로 이슬람화되었다.

또한 지주·부농 계층 등은 새로운 지배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기득권을 안도받기 위해 앞다투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 때문에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는 소수의 이슬람교도 지주가 다수의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 소작농을 사용하는 사회 구조가 나타났다.

보스니아 전쟁1995년 7월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스레브레니차에서 추산 8,000명의 보슈냐크인이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살해된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했다.

5. 문화

보슈냐크인은 대체로 하나피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전통 콜로 춤을 추는 보스니아 소녀들


보스니아 민족은 고유의 애절한 민요인 ''세브달린카'', 사라예보의 옛 장인들이 만든 귀중한 중세 시대의 금박 세공, 그리고 구전으로 전해져 최근 여러 권의 책으로 기록된 광범위한 전통적인 지혜에 자부심을 느낀다. 또 다른 보편적인 전통은 좋은 소식을 가져온 사람에게 선물을 줘야 하는 "''무스툴루크''"이다.[148]

보스니아의 시골 민속 전통에는 소리치는 다성의 강가와 라브네 예스메("평평한 노래") 스타일, 그리고 나무 플루트와 샤르기야와 같은 악기가 포함된다. 발칸 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악기인 구슬레는 고대 남슬라브 서사시 를 반주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보스니아 민족 출신으로 가장 다재다능하고 숙련된 구슬레 연주자는 몬테네그로의 보스니아인 아브도 메제도비치(1875–1953)였다.

전통 의상을 입은 보스니아인들


''세브달린카''는 아마도 가장 독특하고 보스니아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음악으로, 사랑과 상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또는 가슴 아픔과 같은 슬픈 주제를 자주 묘사하는 일종의 감성적이고 애절한 민요이다. 세브달린카는 전통적으로 터키의 현악기인 사즈로 연주되었으며, 나중에는 아코디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일부 순수주의자들의 비웃음을 사는 보다 현대적인 편성은 일반적으로 아코디언과 함께 스네어 드럼, 업라이트 베이스, 기타, 클라리넷 및 바이올린이 반주하는 보컬이다. 세브달린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유의 음악이며, 오스만 보스니아에서 도시 보스니아 음악으로 시작되었고 종종 오리엔탈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초, 보스니아 시인 우미하나 추비디나는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시를 노래하며 세브달린카에 크게 기여했다.

보스니아인의 풍부한 유산에 크게 기여한 시인으로는 데르비시-파샤 바예지다기치, 압둘라 보스네비, 하산 카피 프루슈차크, 압두르라흐만 시리, 압둘베하브 일함미야, 물라 무스타파 바셰스키야, 하산 카이미야, 이반 프란요 유키치,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 무사 치아짐 치아티치, 마크 디즈다르, 엔베르 촐라코비치, 스켄데르 쿨레노비치, 압둘라 시드란, 네자드 이브리시모비치, 자임 탑치치, 즐라트코 탑치치 등이 있다. ''가이레트'', ''베하르'', ''보슈냐크''와 같은 역사적 저널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보스니아 정체성을 보존하는 데 크게 기여한 가장 저명한 출판물 중 일부이다. 보스니아 문학은 일반적으로 ''하산 아가의 귀부인의 애가''[149] (또는 하사나기니차로 더 잘 알려져 있음), ''스므르트 오메라 이 메리메''(오메르와 메리메의 죽음), ''스므르트 브라체 모리차''(모리치 형제의 죽음)와 같은 발라드로 유명하다. 하사나기니차는 1774년 이탈리아 인류학자 알베르토 포르티스가 그의 저서 ''달마티아 기행''에 기록하여 출판하기 전까지 구전으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졌다.[150]

5. 0. 1. 언어

대부분의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어를 사용하며, 이는 서부 남슬라브어에 속하는 슬라브어이다. 표준 보스니아어는 상호 이해가 가능한 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변이체로 간주되며, 이 모든 언어는 슈토카비아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135][136] 영어에서는 '세르보크로아트-보스니아어(SCB)' 또는 '보스니아어/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BCS)'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보슈냐크인은 구어 수준에서 슈토카비아 이외의 비표준 방언을 사용하는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보다 언어적으로 더 동질적이다. 보스니아어는 다른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변이체에 비해 더 많은 오스만 튀르크어(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차용어(일명 '오리엔탈리즘')를 사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보스니아어 첫 공식 사전은 1992년에 출판되었다.[137] 교회 슬라브어는 적어도 보스니아 왕국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키릴 문자로 작성된 쿨린 반의 헌장은 가장 오래된 슬라브 국가 문서 중 하나이다.

현대 보스니아어는 주로 가이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그러나 보스니아 키릴 문자(보산치차)는 중세 헌장과 기념 묘비(스테차크)에서 알 수 있듯이 훨씬 일찍 사용되었다. 보스니아 작가들이 보스니아 키릴 문자로 작성된 가장 오래된 공식 기록 문서 중 하나로 간주하는 쿨린 반의 헌장이 대표적이다.[138][139] 15세기에 이슬람이 도입되면서 엘리트층을 시작으로 아레비차('마투포비차', 페르시아-아랍 문자의 보스니아 변형)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140]

5. 0. 2. 민속



사라예보 구시가지에 있는 가지 후스레브 베이의 어머니 셀주클리야를 기리기 위해 1537년에 세워진 마드라사인 ''가지 후스레브베고바 메드레사'' 또는 ''쿠르슘리 메드레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아에는 이교 관습이 기독교를 거쳐 이슬람으로 이어진 흔적이 많이 남아있다. 산꼭대기를 예배 장소로 사용하거나, 20세기까지 페룬토르와 같은 이교 신의 이름이 구전으로 전해진 것 등이 그 예이다.[143] 용, 요정, ''빌라''와 같은 슬라브 전통도 존재하며, 요정은 보슈냐크 서사시, 시, 민요에서 자주 언급된다. 특히 "고르스케 빌레", 즉 매우 푸른 초원에서 춤을 추는 산에서 온 요정이 잘 알려져 있다. 이교 이후 페룬 숭배는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뇌우의 엘리야의 날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행사로 이어졌다. 무하메드 하지야히치는 "이 휴일을 기념하는 무슬림 축제에서 우리는 태양과 비에 대한 숭배와 관련된 고대 이교 전통의 흔적을 볼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 이 전통은 보스니아 무슬림 사이에서는 알리준으로, 세르비아인 사이에서는 일리예브단으로 알려져 있다. 슬라브 이전의 영향은 덜 일반적이지만, 고대 발칸 신앙의 특정 요소도 발견되었다.[144] 슬라브 이전 시대에서 유래했을 수 있는 전통 중 하나는 가뭄을 막기 위해 말의 해골을 밧줄로 묶어 보스나 강에 두는 보슈냐크 전통이다.[145]

''제보야츠카 페치나''(처녀의 동굴)는 보스니아 북동부 클라다니 근처에 있는 전통적인 '비 기도' 장소로, 보스니아 무슬림들이 동굴 입구에 무덤이 있다고 전해지는 처녀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는 곳이다. 이 전통은 이슬람 이전 시대에 유래되었으며, 중세 보스니아 교회 신자들이 순례를 했던 장소이다. 또 다른 보스니아 무슬림 순례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 프루사츠 근처에 있는 아이바토비차로, 유럽에서 가장 큰 이슬람 전통 종교 및 문화 행사이다. 이곳은 경건한 보스니아 무슬림들이 성지의 창시자인 아이바즈 데도에게 감사하는 곳으로, 아이바즈 데도의 40일 기도가 알라에 의해 응답받아 기적적으로 바위가 갈라지고 그곳에서 많은 물이 솟아났다고 전해진다. 아이바토비차 순례는 16세기 보스니아의 이슬람 개종을 기념하는 것이기도 하다.[146]

국가 영웅은 전형적으로 역사적인 인물이며, 그들의 삶과 전투 기술이 강조된다. 여기에는 전설적인 지위를 얻게 된 중세 보스니아의 창시자인 반 쿨린과 같은 인물들이 포함된다. 역사가 윌리엄 밀러는 1921년에 "오늘날에도 사람들은 그를 요정들이 가장 좋아하는 사람으로 여기며, 그의 통치를 황금기로 여긴다."라고 적었다.[147]

5. 0. 3. 전통과 관습



보스니아 민족은 고유의 애절한 민요인 ''세브달린카'', 사라예보의 옛 장인들이 만든 귀중한 중세 시대의 금박 세공, 그리고 구전으로 전해져 최근 여러 권의 책으로 기록된 광범위한 전통적인 지혜에 자부심을 느낀다. 또 다른 보편적인 전통은 "''무스툴루크''"인데, 이는 좋은 소식을 가져온 사람에게 선물을 줘야 하는 것이다.[148]

보스니아의 시골 민속 전통에는 소리치는 다성의 강가와 라브네 예스메("평평한 노래") 스타일, 그리고 나무 플루트와 샤르기야와 같은 악기가 포함된다. 발칸 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는 악기인 구슬레는 고대 남슬라브 서사시 를 반주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보스니아 민족 출신으로 가장 다재다능하고 숙련된 구슬레 연주자는 몬테네그로의 보스니아인 아브도 메제도비치(1875–1953)였다.

''세브달린카''는 아마도 가장 독특하고 보스니아인임을 식별할 수 있는 음악으로, 사랑과 상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또는 가슴 아픔과 같은 슬픈 주제를 자주 묘사하는 일종의 감성적이고 애절한 민요이다. 세브달린카는 전통적으로 터키의 현악기인 사즈로 연주되었으며, 나중에는 아코디언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일부 순수주의자들의 비웃음을 사는 보다 현대적인 편성은 일반적으로 아코디언과 함께 스네어 드럼, 업라이트 베이스, 기타, 클라리넷 및 바이올린이 반주하는 보컬이다. 세브달린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고유의 음악이며, 오스만 보스니아에서 도시 보스니아 음악으로 시작되었고 종종 오리엔탈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 초, 보스니아 시인 우미하나 추비디나는 잃어버린 사랑에 대한 시를 노래하며 세브달린카에 크게 기여했다.

보스니아인의 풍부한 유산에 크게 기여한 시인으로는 데르비시-파샤 바예지다기치, 압둘라 보스네비, 하산 카피 프루슈차크, 압두르라흐만 시리, 압둘베하브 일함미야, 물라 무스타파 바셰스키야, 하산 카이미야, 이반 프란요 유키치,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 무사 치아짐 치아티치, 마크 디즈다르, 엔베르 촐라코비치, 스켄데르 쿨레노비치, 압둘라 시드란, 네자드 이브리시모비치, 자임 탑치치, 즐라트코 탑치치 등이 있다. ''가이레트'', ''베하르'', ''보슈냐크''와 같은 역사적 저널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보스니아 정체성을 보존하는 데 크게 기여한 가장 저명한 출판물 중 일부이다. 보스니아 문학은 일반적으로 ''하산 아가의 귀부인의 애가''[149] (또는 하사나기니차로 더 잘 알려져 있음), ''스므르트 오메라 이 메리메''(오메르와 메리메의 죽음), ''스므르트 브라체 모리차''(모리치 형제의 죽음)와 같은 발라드로 유명하다. 하사나기니차는 1774년 이탈리아 인류학자 알베르토 포르티스가 그의 저서 ''달마티아 기행''에 기록하여 출판하기 전까지 구전으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졌다.[150]

5. 0. 4. 상징



보스니아인의 전통적인 상징은 보스니아 백합(Lilium bosniacum)이라고 불리는 고유 백합 6개로 장식된 백합 문양 문장이다.[164] 이 문장은 중세 보스니아 왕국, 특히 트브르트코 1세 통치 시기 사용되었으며, 일부에서는 프랑스 앙주 왕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165] 헝가리의 루이 1세는 스테판 2세의 딸 보스니아의 엘리자베스와 결혼했고, 트브르트코 1세는 앙주 가문과 보스니아 왕가 ബന്ധ을 나타내기 위해 백합 문양을 채택했다.

이 문장은 1992년 보스니아 민족 상징으로 부활, 1998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국기로 사용되었다. 1999년 국가 상징은 교체되었지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국기에는 크로아티아 체커판과 함께 백합 문양이 남아있다. 보스니아 백합은 여러 칸톤, 자치시, 도시, 마을의 국기와 문장에 나타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군대 보스니아인 연대 휘장으로도 사용된다.[166] 백합 문양은 모스크와 무슬림 묘비 장식으로도 흔히 발견된다. 역사학자 세니미르 레시치는 백합 문양이 1992년 보스니아인의 민족 상징이 된 것은 전쟁과 이슬람 혐오 속에서 서방 세계에 보스니아 무슬림의 기독교적, 중세 유럽적 과거를 알리기 위함이었다고 말한다.[167]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사용된 또 다른 보스니아 국기는 녹색 바탕에 흰색 초승달과 별이 그려져 있으며, 19세기 후세인 그라다셰비치의 보스니아 봉기 상징이기도 하다.

6. 분포

보슈냐크인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여러 지역에 분포한다.

보스니아 전쟁1995년 7월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스레브레니차에서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약 8,000명의 보슈냐크인이 살해된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했다.

유럽, 터키 외에도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도 상당한 규모의 보스니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 '''터키''': 터키 국가안보위원회의 2008년 추정에 따르면, 약 200만 명의 터키 시민이 보스니아인의 후손이다.[168] 이들은 주로 북서부 마르마라 지역에 거주한다.
  • '''미국''': 2000년 기준으로 약 35만 명의 보스니아계 미국인이 있다.[4] 한때 세인트루이스에는 7만 명의 보스니아인이 거주하여 가장 많은 보스니아인이 사는 도시였다.[169]
  • '''캐나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인 조상을 가진 사람은 25,665명이다.[170]

6. 0. 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슈냐크인의 개념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화와 관련이 있다. 이 지역의 이슬람화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간 1480년대 무렵이다. 그 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로마 가톨릭 등 기독교가 신앙되었지만, 가톨릭이면서 라틴어가 아닌 슬라브어로 전례를 행하는 것 외에, 토착 신앙에 기초한 "이원론"의 채용 등 교리가 독자적인 변용을 겪어 "이단"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마침내 "보스니아 교회"라고 불리는 독자적인 교회를 설립하게 되었다. 이는 가톨릭이 일부 지배 계급의 신앙에 머물고, 대다수의 민중은 토착 신앙(기독교에서 보면 이단 사상)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스니아 교회"는 체계적인 교리를 확립하는 데 이르지 못하고, 수도원 등에서 신앙될 뿐 널리 포교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중 수준에는 거의 침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자 민중은 급속도로 이슬람화되었다.

또한 지주·부농 계층 등은 새로운 지배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기득권을 안도받기 위해 앞다투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그 때문에 오스만 제국 통치 시대에는 소수의 이슬람교도 지주가 다수의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 소작농을 사용하는 사회 구조가 나타났다.

보스니아 전쟁1995년 7월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스레브레니차에서 추산 8,000명의 보슈냐크인이 라트코 믈라디치가 이끄는 스릅스카 공화국군에 의해 살해된 스레브레니차 학살이 발생했다.

6. 0. 2. 디아스포라

보스니아 디아스포라의 세계 지도 (민족적으로 보스니아인이 아닌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포함되지 않음)


보스니아 디아스포라는 유럽, 터키뿐만 아니라 미국캐나다와 같은 북미 지역에도 상당한 규모로 존재한다.

  • '''터키''': 터키의 보스니아 공동체는 19세기와 20세기 초 발칸 반도에서 오스만 제국의 붕괴로 인해 보스니아 에야레트에서 이슬람교도들이 이주한 데서 주로 기원한다. 터키 국가안보위원회가 2008년에 의뢰한 추정에 따르면, 약 200만 명의 터키 시민이 보스니아인의 후손이다.[168] 보스니아인들은 주로 북서부에 위치한 마르마라 지역에 거주한다. 터키에서 가장 큰 보스니아 공동체는 이스탄불에 있으며, 예니보스나 구역은 터키 공화국 건국 이후 오스만 발칸 반도에서 급격한 이주를 겪었다. 이즈미르, 카라뮈르셀, 얄로바, 부르사, 에디르네에도 주목할 만한 보스니아 공동체가 있다.

  • '''미국''': 최초의 보스니아인들은 1860년대에 도착했다. 2000년 추정에 따르면, 약 35만 명의 보스니아계 미국인이 있다.[4] 보스니아인들은 시카고의 이슬람 공동체를 설립하는 데 초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1906년, 그들은 공동체의 종교적, 민족적 전통을 보존하고 장례식과 질병에 대한 상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일리노이주에 Džemijetul Hajrije(자선 협회)를 설립했다. 이 조직은 1913년 인디애나주, 게리, 1916년 몬태나주, 버트에 지부를 설립했으며,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조직이다. 수많은 보스니아 문화, 스포츠 및 종교 협회가 존재한다. 보스니아어 신문과 기타 정기 간행물이 여러 주에서 발행되며, 미국에서 가장 큰 신문은 세인트루이스에 본사를 둔 신문 [http://sabahusa.com/ "사바"]이다. 세인트루이스에 보스니아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할 당시 7만 명의 보스니아인들이 그 도시에 살았다.[169]

  • '''캐나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스니아인 조상을 가진 사람은 25,665명이다.[170] 보스니아계 캐나다인의 대다수는 보스니아 전쟁 중과 이후에 캐나다로 이주했지만, 보스니아 이주는 19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7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 사람들의 전통적인 거주지 및 문화 중심지는 토론토, 몬트리올, 밴쿠버이다. 수많은 보스니아 문화, 스포츠 및 종교 협회, 보스니아어 신문 및 기타 정기 간행물이 여러 주에서 발행된다. 캐나다에서 가장 큰 보스니아 단체는 북미 보스니아인 의회이다.[171]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Bosni i Hercegovini, 2013. Rezultati popisa http://www.popis2013[...] 2017-05-13
[3] 웹사이트 Türkiye'deki Kürtlerin sayısı! - Magazin Haberleri - Milliyet https://www.milliyet[...] 2006-06-09
[4] 웹사이트 U.S. Census website https://www.census.g[...] 2008-06-06
[5] 웹사이트 Коначни резултати Пописа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22. https://www.stat.gov[...] 2023-10-08
[6]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www.monstat.[...] 2024-10-15
[7] 웹사이트 About Bosniaks https://bosniak.org/[...] 2020-12-01
[8] 간행물 Kosovo Census 2011 ask.rks-gov.net
[9] 문서
[10] 웹사이트 Statistični urad RS - Popis 2002 http://www.stat.si/p[...] 2016-05-01
[11] 웹사이트 Kilde: "Ældre bosniske flygtninge søger hjem" http://www.folkedrab[...] Folkedrab.dk 2012-01-05
[12] 웹사이트 Macedonian Census 2002 http://www.stat.gov.[...] 2012-01-05
[13] 웹사이트 Zašto je teško procijeniti broj Bosanaca i Hercegovaca u Australiji? https://mojabih.oslo[...] 2019-09-17
[14] 서적 Islam in Europe: Diversity, Identity and Influ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1-15
[15] 웹사이트 Historic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Bosniak Nation https://www.research[...] 2019-07-26
[16] 간행물 The World Factbook American CIA 2016
[17]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9-01
[18] 서적 The Penny Cyclopaedia https://books.google[...]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19]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09-01
[20] 서적 Immigrants in American History: Arriv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ABC-CLIO
[21] 서적 "Myths and boundaries in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Hurst & Co.
[22] 서적 Poviest Bosne do propasti kraljevstva https://archive.org/[...] Troškom piščevim
[23] 서적 Dzieje Rzeczypospolitej Polskiej https://books.google[...] Nakładem i drukiem N. Kamieńskiego, 1844
[24] 문서
[25] 간행물 Bošnjaci http://www.enciklope[...]
[26] 서적 Onomastička analiza bosanskohercegovačkih srednjovjekovnih administrativnih tekstova i stećaka http://web.ffos.hr/p[...] Sveučilište Josipa Jurja Strossmayera 2015-03-17
[27] 서적 History of the Bosnian Muslim Community in Australia: Settlement Experience in Victoria http://vuir.vu.edu.a[...] Institute for Community, Ethnicity and Policy Alternatives, ICEPA, Victoria University 2015-03-16
[28] 서적 Ilirike https://books.google[...] Filozofski fakultet u Sarajevu
[29] 서적 AEVVM DOLABELLAE – DOLABELINO DOBA https://www.academia[...] Centar za balkanološka ispitivanja, Akademija nauka i umjetnosti 2018-07-21
[30] 서적 Essays on the Latin Orient https://books.google[...]
[31] 서적 The roots of the religious,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of the Bosnian-Herzegovinan Muslim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32] 서적 Onomastička analiza bosanskohercegovačkih srednjovjekovnih administrativnih tekstova i stećaka http://web.ffos.hr/p[...] Sveučilište Josipa Jurja Strossmayera 2015-03-17
[33] 서적 Bosna i Bošnjaci: Jezik i pismo http://www.muhsinriz[...] Preporod 2015-03-11
[34] 서적 Géographie du moyen âge https://books.google[...] Ve et J. Pilleit
[35] 서적 Die Deutschen und die Nachbarstämme https://archive.org/[...] Ignaz Joseph Lentner
[36] 서적 Postanak srednjovjekovne bosanske države https://www.scribd.c[...] '"Svjetlost", OOUR Izdavačka djelatnost' 2018-09-29
[37] 서적 Povijest Bosne u IX i X stoljeću https://www.scribd.c[...] 2018-09-29
[38] 서적 Historija Bošnjaka https://www.scribd.c[...] Preporod 2018-09-29
[39] 서적
[40] 서적 Islam and Bosnia: Conflict Resolution and Foreign Policy in Multi-Ethnic States McGill-Queen's Press
[41]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Palgrave Macmillan
[42] 서적 A History of Byzantium Wiley- Blackwell
[43] 서적 The Beginning of the Middle Ages in the Balkans Millenium
[44] 서적 Empires and Barbarians: The Fall of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5] 문서 The Origin of the Royal Frankish Annal's Information about the Serbs in Dalmatia
[46] 문서 De administrando imperio https://archive.org/[...] Dumbarton Oaks Texts
[47] 문서 On the Beginnings of Bosnia in the Middle Ages
[48]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49] 서적 "Historija Bošnjaka: Osmanska država i islamska civilizacija" https://www.scribd.c[...] Bošnjačka zajednica kulture Preporod, Matični odbor
[50] 간행물 The Geography of Recent Genetic Ancestry across Europe
[51] 간행물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52] 간행물 Standing at the Gateway to Europe - The Genetic Structure of Western Balkan Populations Based on Autosomal and Haploid Markers 2014-08-22
[53] 간행물 Genes mirror geography within Europe 2008-11
[54] 간행물 High-Resolution Phylogenetic Analysis of Southeastern Europe Traces Major Episodes of Paternal Gene Flow Among Slavic Populations http://svetlost.org/[...] 2019-04-19
[55] 간행물 Y-chromosomal haplogroup distribution in the Tuzla Canton of Bosnia and Herzegovina: A concordance study using four different in silico assignment algorithms based on Y-STR data
[56] 간행물 Ancient genomes show social and reproductive behavior of early Upper Paleolithic foragers
[57] 웹사이트 I-A16681 YTree v8.06.01 https://www.yfull.co[...] YFull.com 2020-06-27
[58] 간행물 Mitogenomic data indicate admixture components of Central-Inner Asian and Srubnaya origin in the conquering Hungarians 2018-10-18
[59] 간행물 The peopling of modern Bosnia-Herzegovina: Y-chromosome haplogroups in the three main ethnic groups
[60] 간행물 Mitochondrial DNA Variability in Bosnians and Slovenes
[61] 간행물 MtDNA variations in three main ethnic groups in Tuzla Canton of Bosnia and Herzegovina 2019-06
[62] 서적 Religion and the Cold War: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63] 간행물 "Bosniak or Muslim? Dilemma of one Nation with two Names." http://www.seep.ceu.[...] 2009-09-16
[64] 웹사이트 "Reagovanje na članak: Uz 90 godina od slavne Bitke za Čanakkale." http://nasagora.info[...] 2006-03-25
[6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Politics of the World 2nd. e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6] 서적 Ambivalent Peace: External Peacebuilding, Threatened Identity and Reconcili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books.google[...] Uppsala University; Report No. 78,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and the Programme for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67] 서적 Religion and the Cold War: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Vanderbilt University Press
[68] 서적 Being Muslim the Bosnian Wa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69] 서적 Understanding Evil: Lessons from Bosnia https://books.google[...] Fordham University Press
[70] 뉴스 What is a Bosnian? http://www.lrb.co.uk[...] London Review of Books 1994-04-28
[71] 서적 Iz istorije srednjovjekovne Bosne Svjetlost
[72] citation Povijest Hrvata od najstarijih vremena do svršetka XIX stoljeća Nakladni zavod Matice hrvatske
[73] 간행물 The Commentaries of Pius II Smith College
[74] 간행물 Peace and war in Byzantium: essays in honor of George T. Dennis, S.J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75] 서적 Jajce Grad: prilog povijesti posljednje bosanske prijestolnice HKD Napredak
[76]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77] 웹사이트 Marulianum Center for study of [[Marko Marulić]] and his literary activity 2008-11-28
[78] cite book Collectivistic religions: Religion, Choice, and Identity in Late Modernit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Company
[79] 서적 Historija Bošnjaka
[80] cite book The Poetics of Slavdom: The Mythopoeic Foundations of Yugoslavia, Vol. 2 https://books.google[...] Peter Lang
[81] Cite journal The Devshirme System and the Levied Children of Bursa in 1603-4 https://belleten.gov[...] 2015-12-01
[82] 문서
[83] 간행물 The Osmanli Conquest and the Islamization of Bosnia 1958-1959
[84] cite book The history of the present state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85]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86] 간행물 Arthur J. Evans in Bosnia and Herzegovina during the 1875 revolt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2011 / 2012
[87] 문서
[88] 간행물 Arthur J. Evans in Bosnia and Herzegovina during the 1875 revolt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2011 / 2012
[89] 문서
[90] 간행물 Arthur J. Evans in Bosnia and Herzegovina during the 1875 revolt Università degli Studi di Padova 2011 / 2012
[91] 문서
[92] cite book Multinational Federalism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4-15
[93] 간행물 Ivan Frano Jukić
[94] Cite book Taming Balkan Nationalism: The Habsburg 'Civilizing Mission' in Bosnia 1878–1914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5] 서적 Zemljopis i povjestnica Bosne
[96] cite book Od tradicije do identiteta – geneza nacionalnog pitanja bosanskih muslimana http://bs.scribd.com[...] Muslimanska nadklada, Putokaz
[97] cite book Od tradicije do identiteta – geneza nacionalnog pitanja bosanskih muslimana http://bs.scribd.com[...] Muslimanska nadklada, Putokaz
[98] cite book Univers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Quebec Mechanics' institute
[99] 문서 Pogled u Bosnu ...
[100] 간행물 Rapport adresse a Son Excellence Monsieur le Ministre de I'instruction publique sur une mission en Bosnie, accomplie en 1855
[101] cite book Zemljopis i poviestnica Bosne https://archive.org/[...] Demokratska Zajednica BiH 2012-01-13
[102] 웹사이트 Kratka povjest kralja bosanskih http://www.stanak.or[...] Dobra knjiga 2012-01-13
[103] 서적 Pregled starina Bosanske provincije / comments written by Andrija Zirdum; from the Latin and Italian Ignacije Gavran and Simun Šimić Synopsis
[104] 문서
[105] 문서 History of the Bosnian Muslim Community in Australia: Settlement Experience in Victoria Institute for Community, Ethnicity and Policy Alternatives, ICEPA, Victoria University
[106] 서적 The Emperor's Bosniaks
[107]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Habsburgs, Ottomans and the Battle for Europe, p. 264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09-04-28
[108] 서적 Eastern Europe and the 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Routledge
[109] 서적 Central and South-Eastern Europe 2004, Volume 4, p 110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10] 서적 From culture to ethnicity to conflict: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on international ethnic conflict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1] 서적
[112] 서적 Unholy Terror: Bosnia, Al-Qa'ida, and the Rise of Global Jihad https://books.google[...] Zenith Imprint
[113] 서적
[114] 서적 Austrian-Greek encounters over the centuries: history, diplomacy, politics, arts, economics https://books.google[...] Studienverlag 2008-02-28
[115] 서적 Bosnia-Herzegovina: The End of a Legacy Frank Cass
[116]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117]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Cornell University Press
[118]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19] 서적 The History of Bosnia: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Day SAQI
[120] 문서 Tomasevich 2001
[121] 서적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M.E. Sharpe 1999
[122]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 서적 The Balkans: Nationalism, War & the Great Powers, 1804–1999 Penguin Books
[124] 서적 Genocide and Resistance in Hitler's Bosnia: The Partisans and the Chetniks Oxford University Press
[125] 서적 The Waffen-SS: A Europe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26]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127] 간행물 Historic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Bosniak Nation https://www.research[...] 2012-04-01
[128] 문서 Prokletstvo Muslimana
[129] 서적 Genocide on the Drina Riv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30] 웹사이트 Sarajevo Red Line – 11541 http://www.city.ba/p[...] 2012-12-21
[131] 웹사이트 Red Line for the victims of the Siege of Sarajevo http://www.e-novine.[...] 2012-07-01
[132] 웹사이트 ICTY: Blagojevic and Jokic judgement http://www.icty.org/[...] 2012-03-30
[133] 웹사이트 ICTY: Kunarac, Kovač and Vuković judgement http://www.icty.org/[...] 2011-08-06
[134] 웹사이트 ICTY: Greatest suffering at least risk http://www.sense-age[...] 2007-10-13
[135] 문서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136] 웹사이트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www.phil.muni[...] 2012-02-04
[137] 서적 Atlas Ost- und Südosteuropa: Bevölkerung aktuelle Karten zu Ökologie, Bevölkerung und Wirtschaft https://books.google[...] Österreichisches Ost- und Südosteuropa-Institut
[138] 서적 Sarajevo essays: politics, ideology, and tradition https://archive.or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39] 서적 Die Kultur der Bosniaken, Supplement I: Inventar des bosnischen literarischen Erbes in orientalischen Sprachen Adolf Holzhausens, Vienna
[140] 서적 Katalog Arapskih, Turskih i Perzijskih Rukopisa (Catalogue of the Arabic, Turkish and Persian Manuscripts in the Gazihusrevbegova Library, Sarajevo)
[141] 웹사이트 The natural and architectural ensemble of Blagaj https://whc.unesco.o[...] 2009-05-21
[142] 웹사이트 Tekke in Blagaj on the Buna Spring, the natural and architectural ensemble of Blagaj http://www.aneks8kom[...] 2009-05-22
[143] 문서 Muhamed Hadžijahić, "Sinkretistički elementi"
[144] 웹사이트 Glasnik Zemaljskog Muzeja 1894./god.6 knj.1 https://www.scribd.c[...] 2017-09-08
[145] 서적 Predslavenski korijeni Bošnjaka: Tračko ime Bosna i Tračani u Bosni http://www.interlibe[...] BZK "PREPOROD"
[146] 서적 Balkan Idols: Religion and Nationalism in Yugoslav Stat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47] 간행물 Bosnia before the Turkish Conquest https://zenodo.org/r[...] 1898-10
[148] 뉴스 Šta je muštuluk i otkud u našem rječniku? https://www.cdm.me/z[...] 2019-08-18
[149] 문서 Yugoslavia and Its Historians Stanford University Press
[150] 문서 Venice and the Slavs Stanford University Press
[151] 서적 Islamic Studies https://books.google[...] Islamic Research Institute
[152] 서적 "L'ingérence iranienne en Bosnie-Herzégovine," in Xavier Bougarel and Nathalie Clayer, eds., Le Nouvel Islam balkanique
[153] 문서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154] 문서 Melamisufism i Bosnien
[155] 문서 Šabanović 1973
[156] 문서 Ćehajić 1986:69ff; Hadžijahić 1977:91ff
[157] 간행물 A subaltern hero: The 1573 execution of Sheikh Hamza Bali as part of the ‘Sunnitisation’ of the Ottoman Empire https://www.research[...] Gerlach Press 2022-05-18
[158] 문서 Bringa 2002:24; Bringa 1995:7
[159] 서적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2007
[160] 문서 Magnusson 1994:336; Olsson 1994:24
[161] 문서 Melamisufism i Bosnien
[162] 문서 E. Çabej, Ilirishtja dhe Shqipja
[163] 문서 Muslimanska licna imena
[164] 문서 "Republic of Bosnia and Herzegovina, 1992–1998"
[165] 웹사이트 SFOR – Bosnia and Herzegovina in ten flags http://www.nato.int/[...] 2016-05-01
[166] 웹사이트 Zakon o zastavi Bosne i Hercegovine http://www.mpr.gov.b[...] 2010-01-07
[167] 서적 En historia om Balkan – Jugoslaviens uppgång och fall http://www.adlibris.[...] Historiska Media
[168] 웹사이트 Türkiye'deki Kürtlerin sayısı! http://www.milliyet.[...] www.milliyet.com.tr 2008-06-06
[169] 뉴스 'It's Not the Same': Why War Refugees Who Helped Revive St. Louis Are Leaving https://www.nytimes.[...] 2019-08-18
[170] 웹사이트 immigration-online.org http://immigration-o[...] 2016-05-01
[171] 웹사이트 Congress of North American Bosniaks http://www.bosniak.o[...] 2016-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