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릅스카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릅스카 공화국은 남동 유럽 발칸 반도에 위치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정치 실체 중 하나이다.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후, 독립에 반대하는 세르비아인들이 스릅스카 공화국을 선포하면서 보스니아 내전이 발발했다. 데이턴 협정으로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자치 공화국으로 인정받았다. 수도는 바냐루카이며, 세르비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세르비아계가 다수를 차지하며, 세르비아 정교회가 주된 종교이다. 경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르크를 사용하며, 법인세가 낮아 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체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은 1994년 워싱턴 협정으로 설립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며, 데이턴 협정에 의해 국가 면적의 51%를 차지하고, 10개의 칸톤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연방 대통령, 정부, 의회 등의 정부 기관을 갖춘 자치 공화국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리주의 -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은 보스니아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크로아티아인들이 세운 자치 공동체로, 후에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나 워싱턴 협정에 따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통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논쟁의 중심에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로마자 표기 | Republika Srpska |
약칭 | 스릅스카 |
한국어 국명 | 스릅스카 공화국 |
유형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 국가 |
소속 국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 |
![]() | |
국가 모토 | (없음) |
국가 | Моја Република (세르비아어) |
국가 (로마자) | Moja Republika |
국가 (번역) | 나의 공화국 |
수도 | |
공식 수도 | 사라예보 이스토치노 사라예보 (법적) |
사실상 수도 | 바냐루카 |
최대 도시 | 바냐루카 |
언어 | |
공식 언어 |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
언어 (표기) | 세르비아인의 언어, 보스니아인의 언어, 크로아티아인의 언어 |
인구 | |
민족 구성 (2013년) | 세르비아인: 81.51% 보스니아인: 13.99% 크로아티아인: 2.41% 기타: 2.09% |
인구 (2013년) | 1,228,423명 |
인구 (2023년 추정) | 1,114,819명 |
인구 밀도 | 45.2명/km² |
정치 | |
정부 형태 | 연방 국가 |
대통령 | 밀로라드 도디크 |
총리 | 라도반 비슈코비치 |
국민 의회 의장 | 네나드 스테반디치 |
입법부 | 국민 의회 |
역사 | |
공표 | 1992년 1월 9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로 인정 | 1995년 12월 14일 |
면적 | |
면적 | 24,641km² |
경제 | |
명목 GDP (2023년) | 88억 9,200만 달러 |
1인당 명목 GDP | 7,976 달러 |
통화 | 태환 마르카 |
통화 코드 | BAM |
기타 | |
시간대 | UTC+01:00 |
서머타임 | UTC+02:00 |
차량 통행 방향 | 오른쪽 |
국제 전화 코드 | +387 |
ISO 코드 | BA-SRP |
2. 명칭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자, 이 지역 세르비아인들은 분리·독립에 반대하며 스릅스카 공화국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잔류를 선언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보스니아인들을 공격하면서 보스니아 내전이 발생하였다.[129]
""라는 명칭에서 ""는 세르비아인의 민족명에서 유래된 명사이며, "" '세르비아'와는 다른 접미사를 사용한다. 세르비아어에서 많은 국가 이름은 "-sk-sr" 접미사를 사용하여 형성된다(예: "Bugarskasr" '불가리아', "Danskasr" '덴마크', "Finskasr" '핀란드', "Hrvatskasr" '크로아티아', "Irskasr" '아일랜드', "Turskasr" '터키'). 이와 유사한 영어 형태는 "Serbland"이다.[9][10][11] 영어로 "Republic of Srpska"라는 이름을 사용한다.[12]
는 영어로 "'''세르비아 공화국'''",[13] "'''보스니아 세르비아 공화국'''",[14] 또는 "'''Republika Srpska'''"로 다양하게 해석되지만, BBC,[15] ''뉴욕 타임스'',[16] ''가디언''[17]과 같은 영어권 뉴스 매체는 일반적으로 음역을 사용한다.
바냐루카 일간지인 ''Glas Srpske''에 따르면, 현대적 실체의 이름은 초대 문화부 장관인 류보미르 주코비치가 만들었다.[18] 세르비아어로는 ''Република Српскаsr''이다. 스릅스카(Српскаsr)는 세르비아(Србијаsr)의 형용사형으로, "세르비아인 공화국"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세르비아 공화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일본 외무성에서는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표기하고 있다.
영어로도 ''Serb Republic영어''이지만, 세르비아 공화국 (Republic of Serbia영어)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Republika Srpska영어''가 자주 사용된다.
3. 역사
같은 해 라도반 카라지치는 이곳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라도반 카라지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함께 보스니아 내전을 주도하였다. 내전 당시 카라지치는 사라예보를 공격해 1만 2천여 명을 살해했으며 1995년 스레브레니차에서 8천 명의 무슬림을 무차별 살인하는 등의 만행을 주도해 현상수배됐다.[129] 카라지치는 2008년 7월 21일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붙잡혀 네덜란드로 후송되어 전범 재판을 받고 있다.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결정했을 때, 독립에 반대한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인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 수립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다. 이 대립은 무력 충돌로 이어져 1995년 데이턴 협정까지 계속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이 되었다. 데이턴 협정으로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구성체 중 하나로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았다. 체트니크는 역사적 배경 때문에 아직도 일부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독립 당시 배경으로 인해 중앙 정부의 의회 하원에서는 일정한 의석수를 확보하고 있다(정수 42석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28석, 스릅스카 공화국 14석).[128]
2022년 11월 15일, 밀로라드 도디크가 재선되었다. 강경한 급진적, 보수파 성향의 초국가주의, 민족주의 정책을 추구하는 독립 사회민주 동맹의 시대가 다시 시작되었다.
3. 1. 초기 역사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 유고슬라비아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1991년까지는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다.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자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르비아인들이 분리·독립에 반대하면서 스릅스카 공화국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잔류를 선언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지원을 받아 보스니아인들을 공격하면서 보스니아 내전이 발생하였다.
같은 해 라도반 카라지치는 이곳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라도반 카라지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함께 보스니아 내전을 주도하였다. 내전 당시 카라지치는 사라예보를 공격해 1만 2천여 명을 살해했으며 1995년 스레브레니차에서 8천 명의 무슬림을 무차별 살인하는 등의 만행을 주도해 현상수배됐다.[129] 카라지치는 2008년 7월 21일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붙잡혀 네덜란드로 후송되어 전범 재판을 받고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접 지역의 고고학적 증거는 구석기 시대의 두드러진 인류 활동을 보여준다. 특히 1976년, 당시 비교적 살기 좋은 네레트바 분지의 현대 도시 스톨라츠 근처에서 바다뉴(Badanj)의 동굴 벽화와 그 지역의 사슴 뼈 형태의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어 기원전 14,000년~10,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수렵 채집 활동을 보여준다.[19] 헤르체고비나 광역 지역에서 이와 유사한 발견들은 이 지역의 초기 활동을 몬테네그로와 크로아티아 해안 지역과 연결시켜 준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가 되면서 더 영구적인 정착이 이루어졌다. 남동쪽에서 농업이 확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강을 따라 발생했다. 특히 부트미르 문화는 오늘날 사라예보 동부의 보스나(Bosna) 강 근처에서 발전했다. 부트미르 유적지에서는 대부분 여성 형상의 다양한 우상과 함께 움푹 파인 곳이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인도유럽인의 이동과 함께 이 지역에서 최초로 금속 도구가 사용되었다. 이와 함께 매장 봉분—토총묘 또는 쿠르간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봉분의 유적은 오늘날 스릅스카 공화국의 북부 중심부에 더욱 조밀한 정착지가 있었음을 증명하는 청동기 시대 유물과 함께 프리예도르 근처 보스니아 북서부에서 발견될 수 있다.[20]
철기 시대의 유입과 함께 스릅스카 공화국 동부의 소콜라츠 근처에서 발전한 글라시나츠 문화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 거주했던 인도유럽인인 일리리아인 중 가장 중요한 문화 중 하나였다. 나중에 이 일리리아인들—아우타리아타이—은 갈리아인의 발칸 반도 침략 이후 켈트인의 영향을 받았다.[21]
일리리아 전쟁이 끝나면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대부분은 일리리쿰(Illyricum) 속주 내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왔다. 이 시기에 로마인들은 촘촘한 도로망 건설과 현지 주민의 로마화를 통해 이 지역을 통합했다. 이러한 도로 중에는 보스니아 동부 광산에서 로마 중심지로 은을 수송했던 비아 아르겐타리아(Via Argentaria) 또는 '은의 길'이 있었다. 북서부의 우나(Una) 강과 사나(Sana) 강과 같은 현대 지명은 라틴어 기원으로, 각각 "하나"와 "건강한"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배는 중단되지 않았다. 한때 지배적이었던 일리리아 인구의 억압은 바토니아 전쟁(Bellum Batonianum)과 같은 반란을 불러왔다. 그러나 서기 20년 이후에는 국가 전체가 로마에 정복되었고 판노니아(Pannonia)와 달마티아(Dalmatia) 사이에 분할되었다. 보스니아에서 가장 눈에 띄는 로마 도시는 이 지역 북부에 있는 현대 그라디슈카(Gradiška, Bosnia and Herzegovina) 근처에 있는 비교적 작은 세르비티움(Servitium)이었다.
기독교는 이 지역에 비교적 늦게 전파되었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시골 지역의 산악 지형과 대규모 정착지의 부족 때문이었다. 그러나 4세기에 이르러 이 지역은 집단적으로 기독교화되기 시작했다.[22] 395년 서로마 제국과 동로마 제국의 분열과 함께, 현대 스릅스카 공화국은 서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동로마 제국의 국경 지역으로 정복되었다는 것은, 이 지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종교적 양극화를 보여주는 증거이며, 앞으로 종교적 분열의 전조가 되었다.
1992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결정했을 때, 독립에 반대한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인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의 수립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다. 대립은 무력 충돌로 발전하여 1995년의 데이턴 협정까지 이어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이 되었다.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구성체 중 하나로서 스릅스카 공화국의 존재가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되었다. 체트니크에 대해서는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아직도 일부에서 지지가 있다.
3. 2. 중세 시대
로마 제국의 지배가 약해지면서, 유럽 남동부에 위치한 스릅스카 공화국 지역에는 다양한 민족들이 관여한 민족 대이동이 일어났다. 가장 먼저 동쪽과 북쪽에서 게르만 부족들이 침입했고, 이 지역은 476년 오스트로고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535년, 이 지역은 다시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제국의 지배는 상대적으로 느슨했고, 슬라브족이 주변 지역을 침입했다. 오늘날 스릅스카 공화국은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23]과 행정에 관하여(De Administrando Imperio)에 따른 중세 세르비아의 ''주판(župan)'' 지역, 보스나, 자흘루미아, 트라부니아, 그리고 당시 동보스니아 땅을 포함한 세르비아 사이에 분할되었다.[24] 오늘날 스릅스카의 일부 지역은 원래 백색 세르비아인들이 정착한 곳이었다.[25]
11세기 말, 보스니아 전체는 헝가리 왕국령의 일부가 되었다. 헝가리 통치하에 이 지역은 보스니아 반국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쿨린 반(Ban Kulin)의 통치 아래 이 지역은 사실상 독립되었다. 1377년, 보스니아 반국은 코트로마니치 가문(House of Kotromanić)의 트르트코 1세(Tvrtko I) 치하에서 중세 보스니아 왕국이 되었다. 왕국의 수도는 모두 중앙에 위치했고, 북쪽 변두리는 우소라 지역으로서 명목상 헝가리의 지배하에 있었다. 이 시대의 건축 유산으로는 바냐루카의 카스텔 요새(Kastel Fortress), 도보이 요새, 그리고 전국에 걸쳐 있는 성, 교회, 수도원 등이 있다.
오스만 제국의 성장과 함께, 마지막 코트로마니치 통치자였던 스테판 토마셰비치(Stefan Tomašević)는 보스니아와 세르비아를 오스만 제국의 속국으로 넘겨주었다. 가톨릭 신자였던 그는 세르비아 정교회 인구와 보스니아 교회 구성원들에게 인기가 없었다.[26] 메흐메드 2세(Mehmed the Conqueror)에게 조공을 바치기를 거부한 스테판 왕은 처형되었고, 보스니아의 대부분은 1463년 보스니아 에얄레트로서 직접적인 오스만 통치하에 들어갔다. 헤르체고비나 산자크(Sanjak of Herzegovina) 건설과 함께 1482년에 국가 전체가 함락되었다.
3. 3. 16세기 ~ 19세기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오늘날의 스릅스카 공화국에는 이슬람교가 또 다른 종교적 요소로 추가되었다. 보스니아 교회 신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정교회 신자들과 가톨릭 신자들도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스릅스카 공화국에 깊은 건축적 유산을 남겼다. 이 시대의 가장 유명한 모스크는 반야루카(Banja Luka)에 있는 페르하디야 모스크이다. 이보 안드리치(Ivo Andrić)의 책 ''드리나 강의 다리(The Bridge on the Drina)''의 주제인 비셰그라드(Višegrad)의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 다리(Mehmed Paša Sokolović Bridge)는 가장 유명한 오스만 제국 건축가인 미마르 시난(Mimar Sinan)이 1577년에 그랜드 비지어(Grand vizier) 소콜루 메흐메드 파샤(Sokollu Mehmed Pasha)를 위해 건설했다. 수년 전, 같은 그랜드 비지어는 보스니아의 작은 마을에서 정교회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부모에게서 떨어져 예니체리로 양육되었다. 그의 다리는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특징짓는 종교적, 문화적 범위, 그리고 결국 갈등을 상징한다.
17세기 후반과 18세기의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으로 스릅스카 공화국의 북부 지역은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합스부르크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1878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침략 이후 지배는 더욱 영구적인 것이 되었다. 당시 낙후된 오스만 제국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는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러나 많은 무슬림들이 보스니아를 떠나면서 세르비아인들이 공동 통치 지역 전체에서 다수가 되었다.[27]
3. 4. 20세기 ~ 현재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자, 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르비아인들이 분리·독립에 반대하면서 스릅스카 공화국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잔류를 선언하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보스니아인들을 공격하면서 보스니아 내전이 발생하였다.[129]
같은 해 라도반 카라지치는 이곳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라도반 카라지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대통령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함께 보스니아 내전을 주도하였다. 내전 당시 카라지치는 사라예보를 공격해 1만 2천여 명을 살해했으며 1995년 스레브레니차에서 8천 명의 무슬림을 무차별 살인하는 등의 만행을 주도해 현상수배됐다.[129] 카라지치는 2008년 7월 21일 세르비아의 수도 베오그라드에서 붙잡혀 네덜란드로 후송되어 전범 재판을 받고 있다.
1914년,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이자 유고슬라비아주의 단체인 믈라다 보스나 회원이 오스트리아-헝가리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전쟁 후, 오늘날의 스릅스카 공화국 영토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유고슬라비아로 개명)의 브르바스, 드리나, 제타 바노비나에 편입되었다.
1941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오늘날의 스릅스카 공화국은 나치 괴뢰 국가인 독립국 크로아티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약 30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학살 캠페인의 결과로 우스타샤 정권 하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28] 스릅스카 공화국에서는 전쟁 중에 대량 학살과 다양한 강제 수용소와 집단 학살 수용소의 사용이 이루어졌다. 오늘날 크로아티아에 위치한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는 약 10만 명이 사망한 곳이며, 그중 약 4만 7천~5만 2천 명이 세르비아인이었다.[29] 보스니아 동부의 가라비체와 크루슈치차 강제 수용소에서도 대량 학살이 발생했다. 우스타샤 정권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시골 마을의 세르비아인들을 체계적이고 잔혹하게 학살했다.[30] 이러한 폭력의 규모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 약 6명 중 1명이 학살의 희생자였고, 거의 모든 세르비아인이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전쟁에서(주로 우스타샤에 의해) 살해당했다는 것을 의미한다.[31] 전쟁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에서 약 20만 9천 명의 세르비아인(보스니아 인구의 16.9%)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32] 오늘날 이러한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는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쟁 기간 거의 대부분 점령군과 전술적 또는 선택적 협력을 한 유고슬라비아 왕당파 및 세르비아 민족주의 운동인 체트니크 게릴라 부대는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에 대한 학살[34][35]을 자행했으며, 여기에는 오늘날 스릅스카 공화국 영토에서 살해된 수천 명의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 민간인이 포함된다. 체트니크는 약 5만~6만 8천 명의 무슬림과 크로아티아인을 살해한 것으로 추산된다.[36] 체트니크 지도자 드라자 미하일로비치에게 돌려진 1941년 12월 지시문은 샌자크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무슬림과 크로아티아인의 민족 청소를 명시적으로 명령했다.[37] 약 300개의 마을과 소도시가 파괴되었고 많은 수의 모스크와 가톨릭 교회도 파괴되었다.[38] 체트니크는 세르비아인으로 신원을 확인한 많은 수의 몬테네그로인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적으로 세르비아인으로 구성되었다.[37]
유고슬라비아에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보스니아 파르티잔의 64.1%가 세르비아인이었다.[39]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상대적으로 평화롭고 경제적으로 발전하는 시기가 찾아왔다. 류비야 광산과 아그로코메르츠와 같은 기업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의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읽기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1975년에는 바냐루카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90년 10월 1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의 주요 정당 대표들과 다른 여러 국가 기구 및 기관 대표들은 바냐루카에서 회의를 열고 세르비아 정치 기구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민족 의회'를 구성했다.[40] 1991년 10월 14~15일 회의에서 당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의회는 이미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가 그랬던 것처럼 유고슬라비아 나머지 지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는 방법으로 '주권에 관한 각서'를 승인했다. 이 각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민주당(세르비아 의회 대표 대부분)과 세르비아 르네상스 운동, 개혁 세력 연합에 속한 83명의 세르비아 의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채택되었다. 이들은 이 조치가 불법적이라고 간주했다.[41][42]
1991년 10월 24일, 세르비아 의원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인민 의회(''Skupština srpskog naroda u Bosni i Hercegovini'')를 구성하여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인구의 최고 대표 및 입법 기구로 삼았다.[43][44] 이로써 3자 연립 정부는 종식되었다.
개혁 세력 연합은 곧 해체되었지만, 그 구성원들은 무소속 의원 모임으로 의회에 남았다. 의회는 세르비아인과 다른 민족 간의 평등 달성과 세르비아인들의 이익 보호에 힘썼는데, 그들은 보스니아 의회의 결정으로 세르비아인들의 이익이 위협받았다고 주장했다.[43] 1992년 1월 9일,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유고슬라비아의 일부라고 선언했다.[45]
1992년 2월 28일,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는데, 여기에는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지역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박해로 소수 민족이 된 지역의 구, 시, 지역이 포함되었다. 이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의 일부였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민족을 대표하는 정치 기구와 연합할 수 있었다.[46]
세르비아 의원들이 없는 보스니아 의회는 1992년 2월 29일과 3월 1일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독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지만, 대부분의 세르비아인들은 의회가 이전(1991년 11월 9~10일)에 세르비아 지역에서 실시한 주민 투표(96%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구성한 유고슬라비아 연방 가입을 선택)로 인해 이를 보이콧했다.[47]
국민투표 투표율은 64%였고, 92.7% 또는 99%(출처에 따라 다름)가 독립에 찬성표를 던졌다.[48][49] 3월 6일, 보스니아 의회는 국민투표 결과를 선포하고 유고슬라비아로부터의 공화국 독립을 선언했다. 이 공화국의 독립은 1992년 4월 6일 유럽 공동체에 의해, 4월 7일에는 미국에 의해 인정되었다. 같은 날 바냐루카에서 열린 세르비아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의 정부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50]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이름은 1992년 8월 12일에 채택되었다.[51]
정치적 논쟁은 보스니아 전쟁으로 확대되었고, 1995년 가을까지 지속되었다.[52] 이 전쟁은 11월 21일 오하이오주 데이턴 근처 라이트-패터슨 공군 기지에서 체결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적 기본 틀 협정에 의해 종식되었고, 1995년 12월 14일 파리에서 공식 서명되었다. 이 협정의 부록 4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이며, 스릅스카 공화국을 두 주요 정치-영토적 구분 중 하나로 인정하고 두 실체의 정부 기능과 권한을 정의한다. 실체 간의 경계선은 협정 부록 2에 명시되어 있다.[53]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스릅스카 공화국 헌법은 121차례 개정되었다. 제1조는 스릅스카 공화국이 영토적으로 통합되고 불가분하며 양도할 수 없는 헌법적이고 법적 실체이며, 헌법상의 입법, 행정 및 사법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고 명시하고 있다.[5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은 이 나라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998년 유네스코(UNESCO) 보고서에 따르면, 약 200만 명, 즉 이 나라 인구의 절반 정도가 난민이 되었다. 1996년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서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피난한 세르비아계 난민이 약 43만 5,346명이었고, 다른 19만 7,925명은 세르비아로 갔다.[55] 1991년 보스니아의 비농업 노동 인구의 27%가 실업자였고, 전쟁으로 인해 이 수치는 증가했다.[55] 중앙정보국(CIA)의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09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실업률은 29%로 추산되었다.[56]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예전에 인정받지 못했던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에서 온 세르비아계 난민 유입으로 스릅스카 공화국의 세르비아인 인구는 54만 7,741명 증가했다. 새로운 크로아티아 공화국도 포함된다.[57]
보스니아 동부에서는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이 스레브레니차 등 여러 도시를 포위했다. 스레브레니차는 1993년 유엔 안전지대로 선포되었고, 보스니아 전쟁 말년까지 보슈냐크인 난민들의 거주지 역할을 했다. 1995년 7월 중순, 스레브레니차 인근 마을에서 8,000명 이상의 보슈냐크인, 주로 남성과 소년들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스레브레니차 학살로 알려지게 되었고, 이후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와 국제사법재판소에 의해 집단 학살(genocide) 행위로 규정되었다.
인종 청소 행위로 다른 민족의 수가 감소했다. 세르비아 경찰, 군인, 비정규군은 무슬림과 크로아티아인들을 공격하고, 그들의 집을 불태우고 약탈했다. 일부는 현장에서 살해되었고, 다른 이들은 체포되어 다른 곳에서 살해되거나 도망치도록 강요받았다.[58] 크로아티아인 수는 13만 5,386명(전쟁 전 인구의 대다수) 감소했고, 보스니아크족 수는 약 43만 4,144명 감소했다. 현재 스릅스카 공화국 영토에서 도망치도록 강요받은 약 49만 6,000명의 보스니아크족 난민 중 13만 6,000명이 귀환했다.[59]
2008년 기준으로 보스니아크족의 40%와 크로아티아인의 8.5%가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돌아왔고, 보스니아크족이나 크로아티아인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집을 떠난 세르비아인의 14%도 전쟁 전 지역 사회로 돌아왔다.[60]
2000년대 초, 비정부 기구(NGO)와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헬싱키 위원회는 비세르비아인에 대한 차별을 주장했다. 국제위기그룹은 2002년 보고서에서 스릅스카 공화국 일부 지역에서는 비세르비아인 귀환자가 현지 세르비아인보다 폭력 범죄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10배나 높다고 밝혔다.[61] 헬싱키 위원회는 2001년 '관용과 차별 금지' 성명에서 비세르비아인에 대한 폭력을 지적하며, 바냐루카[62]와 트레비네[63]에서 새로운 모스크 건설을 시도하는 사람들을 폭도들이 공격했다고 밝혔다.
비세르비아인들은 원래 집으로 돌아가는 데 지속적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의회는 전쟁범죄, 반인륜 범죄, 집단 학살 혐의자 체포에 대한 협조가 부족하다.[64]
2008년 유엔 인권이사회에 보고한 위협받는 민족을 위한 사회와 같은 단체들은 스릅스카 공화국, 특히 드리나 계곡의 스레브레니차, 브라투나츠, 비셰그라드, 포차와 같이 실업률이 높은 지역에서 비세르비아인 난민에 대한 차별을 주장했다.[6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권 및 난민부, 유럽 연합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경찰 임무, 유엔난민기구(UNHCR) 및 기타 국제기구에 따르면, 2015년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모두의 치안은 양호했다.[60]
1992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결정했을 때, 독립에 반대한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인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의 수립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다. 대립은 무력 충돌로 발전하여 1995년의 데이턴 협정까지 이어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이 되었다.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구성체 중 하나로서 스릅스카 공화국의 존재가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되었다. 체트니크에 대해서는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아직도 일부에서 지지가 있다.
독립 당시 배경으로 인해 중앙 정부의 의회 하원에서 일정한 의석수를 확보하고 있다(정수 42석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28석, 스릅스카 공화국 14석)[128].
2022년 11월 15일, 밀로라드 도디크가 재선되었다. 강경한 급진적, 보수파가 된 초국가주의, 민족주의 정책을 추구하는 독립 사회민주 동맹의 시대가 다시 시작되었다.
4. 정치
1990년 10월 1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의 주요 정당 대표들과 여러 국가 기구 및 기관 대표들은 바냐루카에서 회의를 열고 세르비아 정치 기구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민족 의회'를 구성했다.[40] 1991년 10월 24일, 세르비아 의원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인민 의회를 구성하여 보스니아 세르비아인 인구의 최고 대표 및 입법 기구로 삼았다.[43][44]
1992년 1월 9일, 의회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유고슬라비아의 일부라고 선언했다.[45] 1992년 2월 2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공화국 헌법이 채택되었다.[46] ''스릅스카 공화국''이라는 이름은 1992년 8월 12일에 채택되었다.[51]
정치적 논쟁은 보스니아 전쟁으로 확대되었고, 1995년 가을까지 지속되었다.[52] 이 전쟁은 데이턴 협정으로 종식되었고, 이 협정의 부록 4는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이며, 스릅스카 공화국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주요 구성체 중 하나로 인정하고 두 구성체의 정부 기능과 권한을 정의한다.[53]
헌법에 따르면, 스릅스카 공화국은 자체 대통령, 입법부(83명으로 구성된 단원제 세르비아 공화국 국민의회), 행정부, 경찰, 법원, 세관(국가 차원의 세관 소속), 우체국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장, 깃발(세르비아 국기의 변형으로 국장이 없는 버전), 국가 등 공식 상징도 가지고 있다.
헌법은 사라예보를 스릅스카 공화국의 수도로 명명하지만, 바냐루카는 대부분의 정부 기관의 본부가 위치한 곳이며, 따라서 사실상의 수도이다.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의 독립을 결정했을 때, 독립에 반대한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인 공화국(스릅스카 공화국)의 수립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의 분리를 주장했다. 대립은 무력 충돌로 발전하여 1995년 데이턴 협정까지 이어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분쟁이 되었다.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성하는 두 구성체 중 하나로서 스릅스카 공화국의 존재가 국제 사회로부터 인정되었다.
독립 당시 배경으로 인해 중앙 정부의 의회 하원에서 일정한 의석수를 확보하고 있다(정수 42석 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28석, 스릅스카 공화국 14석).[128]
2022년 11월 15일, 밀로라드 도디크가 재선되었다. 강경한 급진적, 보수파가 된 초국가주의, 민족주의 정책을 추구하는 독립 사회민주 동맹의 시대가 다시 시작되었다.
5. 행정 구역
스릅스카 공화국의 행정 수도는 사실상 바냐루카이다. 바냐 루카는 2013년 기준 약 18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에서는 사라예보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6. 지리
남동유럽에 위치한 스릅스카 공화국은 발칸반도에 있으며, 북쪽 끝은 파노니아 분지에 이른다. 스릅스카 공화국은 북위 42°~46°와 동경 16°~20° 사이에 위치한다. 브르치코 구역에 의해 서쪽의 구릉지대와 동쪽의 다양한 지형(남쪽의 높은 산맥과 북쪽의 평평하고 비옥한 농경지)으로 나뉜다.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구성체와 달리 내륙국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스릅스카 공화국은 북쪽의 보스니아 지역과 남쪽 끝의 헤르체고비나 지역으로 나뉜다. 이 두 거시 지역 내에는 북서쪽의 보산스카 크라지나의 숲이 우거진 언덕에서 북동쪽의 셈베리아의 비옥한 평야에 이르기까지 더 작은 지리적 지역이 존재한다.
브르치코 구역을 제외하고 스릅스카 공화국의 면적은 24816.2km2이다. 브르치코 구역은 두 구성체가 공동 통치하지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 ''사실상'' 주권을 가지고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이 국가였다면 세계에서 146번째로 큰 나라였을 것이다. 고도는 크게 다르며, 몬테네그로 근처 디나르 알프스의 봉우리인 마글리치 산(Maglić (mountain))은 2386m에 달하고, 아드리아 해에 가까운 지역은 해수면까지 내려간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크고 인기 있는 스키 리조트는 이 지역 동부의 야호리나 산(Jahorina) 산자락에 위치해 있다.[68] 스릅스카 공화국에 있는 다른 주요 산으로는 볼루야크 산(Volujak (mountain)), 젤렌고라(Zelengora), 렐리야(Lelija), 레브르슈니크(Lebršnik), 크르반(Crvanj), 오리옌(Orjen), 클레코바차(Klekovača), 비토로그(Vitorog), 코자라(Kozara), 로마니야(Romanija), 트레스카비차(Treskavica) 및 트레베비치(Trebević)가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은 북쪽으로 크로아티아, 동쪽으로 세르비아, 남동쪽으로 몬테네그로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는 구분선(IEBL)이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행정 구역을 구분하며, 기본적으로 보스니아 전쟁 종전 당시의 최전선을 따르되, 데이턴 협정(Dayton Agreement)에 따라 일부 조정(가장 중요한 것은 서부 지역과 사라예보 주변)이 이루어졌다. IEBL의 총 길이는 약 km이다. IEBL은 군 또는 경찰의 통제를 받지 않는 행정상의 경계선이며,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다.[69]
스릅스카 공화국은 유럽에서 가장 숲이 우거진 지역 중 하나이며, 면적의 50% 이상이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페루치차(Perućica)는 유럽에서 마지막 남은 고대림(old-growth forest) 중 하나이다.[70]
대부분의 강은 흑해 유역에 속한다. 주요 강으로는 크로아티아와의 북쪽 경계를 이루는 다뉴브 강의 지류인 사바 강, 북쪽으로 흘러 사바 강으로 유입되는 보스나 강, 브르바스 강, 사나 강, 우나 강, 세르비아와의 동쪽 경계의 상당 부분을 이루는 북쪽으로 흐르는 사바 강의 지류인 드리나 강이 있다. 트레비슈니차 강은 세계에서 가장 긴 침강하천 중 하나이며 아드리아해 유역에 속한다. 페루치차 강의 스카카바츠 폭포는 높이 약 로, 이 나라에서 가장 높은 폭포 중 하나이다. 가장 중요한 호수로는 Bileća Lake, 보호 습지대를 포함하는 Lake Bardača, Balkana Lake가 있다.[71]
이름 | 사진 | 면적 (km2) | 설립 |
---|---|---|---|
수티예스카 국립공원(Sutjeska National Park) | ![]() | 173 | 1965[72] |
드리나 국립공원(Drina National Park) | 63 | 2017[73] | |
코자라 국립공원(Kozara National Park) | ![]() | 34 | 1967[74] |
7. 경제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르크(KM)를 통화로 사용하며, 이 통화는 유로에 1.95583KM의 고정 환율로 연동되어 있다. 유엔은 스릅스카 공화국을 중상위 소득 국가로 분류한다.[92] 스릅스카 공화국 개발은행(IRBRS)에 따르면, 2017년 스릅스카 공화국의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8739KM (4457EUR)이다.
스릅스카 공화국의 법인세율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보다 낮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이다.[93]
2020년 11월,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정부는 드리나 강에 5.2억유로 규모의 세 개의 수력 발전소 건설을 발표했다.[94][95]
GDP (스릅스카 공화국, 백만 KM)[96]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추정) |
---|---|---|---|---|---|---|---|---|---|---|---|---|---|---|---|---|---|---|---|---|---|---|
3,373 | 3,666 | 4,208 | 4,560 | 5,116 | 5,763 | 6,546 | 7,352 | 8,490 | 8,236 | 8,318 | 8,682 | 8,584 | 8,760 | 8,831 | 8,899 | 8,931 | 9,087 | 9,200 | 9,299 | 8,953 | 9.312 | 9,932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경제 전체에서의 참여율 | ||||||||||||||||||||||
30.62% | 31.8% | 31.63% | 27.23% | 27.17% | 25.98% | 26.47% | 27.79% | 28.94% | 28.08% | 27.54% | 27.28% | 25.9% | 25.34% | 24.79% | 25.84% | 26.40% | 24.16% | 25.08% | 24.02% | 24.11% | 22.61% | 22.73% |
2001년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은 세제 개혁을 통해 세 부담을 28.6%로 낮추었다. 자본 이득세와 소득세율은 10%로 유럽에서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06년에는 부가가치세(VAT)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세제상의 이점은 일부 기업들이 다른 지역에서 스릅스카 공화국으로 사업장을 이전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99]
2018년 기준, 스릅스카 공화국에는 266,309명이 법인에 고용되어 있다.[100] 스릅스카 공화국 통계청(RZS)에 따르면, 2019년 2월 기준 평균 순 임금은 월 896KM (458EUR)이며, 전월 대비 명목 성장률은 1.0%이다.[101]
8. 주민
이 지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곳이다. 그러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역에서 오랫동안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이 어울려 살았기 때문에 보스니아 내전 이후에도 소수의 보스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 등이 거주하고 있다.
2013년 인구 조사 기준, 스릅스카 공화국의 총 인구는 1,228,423명이며, 인구 밀도는 평방킬로미터당 49.9명이다. 스릅스카 공화국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면적의 48%를 차지하며, 국가 총 인구의 34.79%가 거주하고 있다. 2019년 스릅스카 공화국의 출생 시 평균 수명은 77.15세였다.[75]
스릅스카 공화국 통계청은 2023년 인구를 1,114,819명으로 추산했다.[5]
2019년 기준 스릅스카 공화국의 합계출산율은 어머니당 1.34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 중 하나이다. 스릅스카 공화국 통계청(RZS)에 따르면, 2019년 출생아 수는 총 9,274명이었다. 같은 해 사망자 수는 15,081명으로, 5,807명의 자연 감소가 발생했다. 이러한 자연 감소와 함께, 이 지역은 상당한 이민 문제에도 직면하고 있다.
순위 | 지자체 | 역사적 지역 | 인구 | 시 관할 지역 (km2) |
---|---|---|---|---|
1 | 바냐 루카 | 보스니아 크라이나 | 185,042 | 1239km2 |
2 | 비엘리나 | 셈베리아 | 107,715 | 734km2 |
3 | 프리예도르 | 보스니아 크라이나 | 89,397 | 834km2 |
4 | 도보이 | 우소라 | 71,441 | 772km2 |
5 | 이스토치노 사라예보 | 브르흐보스나 | 61,516 | 1450km2 |
6 | 즈보르니크 | 포드리니예 | 58,856 | 376km2 |
7 | 그라디슈카 | 보스니아 포사비나 | 51,727 | 762km2 |
8 | 테슬리치 | 우소라 | 38,536 | 838km2 |
9 | 프르냐보르 | 우소라 | 38,399 | 762km2 |
10 | 락타시 | 보스니아 크라이나 | 34,966 | 388km2 |
스릅스카 공화국의 의료 시스템은 공공 및 민간 의료 기관을 통해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의료 활동은 스릅스카 공화국 의료법에 따라 채택된 법률 및 규정에 따라 수행된다.[81]
스릅스카 공화국의 공공 부문에는 54개의 보건소와 가정의학 클리닉,[82] 11개의 병원,[82] 4개의 전문 병원,[82] 1개의 임상 센터[82] 및 7개의 연구소가 있다.[82]
입원 치료는 데르벤타(Derventa)와 프르냐보르(Prnjavor)에 있는 병원에서 제공된다.[83] 물리 치료 및 재활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으로는 코자르스카 두비차(Kozarska Dubica)의 "Mlječanica" 병원과 바냐루카(Banja Luka)의 "Dr Miroslav Zotović" 연구소가 있다.[20] 정신 질환 환자는 소콜라츠 법정정신의학연구소(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y Sokolac)[84] 와 모드리차 만성 정신 질환자 병원(Hospital for Chronic Psychiatric Patients Modriča)[85]에서 치료받는다.
대학 병원은 포차(Foča)[86]와 바냐루카(Banja Luka)에 있다. 스릅스카 공화국 대학 임상 센터(The University Clinical Center of Republika Srpska)[87] (UCC RS)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공공 의료 기관이다. 대학 임상 센터의 주요 활동은 2차 및 3차 의료 수준에서 환자의 입원, 진단 및 치료를 포함한 병원 치료이다. 센터는 21개의 클리닉, 6개의 연구소 및 10개의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88]
9. 언어
10. 문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만큼 세르비아 문화와 세르비아 정교회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그 밖에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 등도 존재한다.
세르비아 공화국 과학예술 아카데미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가장 중요한 과학, 문화, 업무 및 대표 기관이다. 이 아카데미 기관의 임무는 과학 및 예술 활동을 개발하고 촉진하며 장려하는 것이다. 이 아카데미는 스릅스카 공화국에 특별한 국가적 중요성을 지닌 기관이다.[120]
바냐루카와 그 전체 지역에서 극예술 발전의 중요한 요소는 스릅스카 공화국 국립극장으로, 정규직 직원 80명과 배우 앙상블 내에 26명의 극예술가가 있다. 도시에서 가장 중요하고 방문객이 많은 문화 행사 중 하나는 매년 이 극장에서 열리는 극장 축제로, 국내외 다수의 앙상블이 참여한다.
스릅스카 공화국 국립대학교 도서관은 바냐루카 대학교의 중앙 도서관이자 스릅스카 공화국 모든 공립 대학교의 주요 도서관이며, 스릅스카 공화국 전체의 중앙 국립 도서관 역할을 한다.
공화국 문화·역사·자연유산 보호 연구소는 스릅스카 공화국의 공식 행정 기관이자 교육부 및 스릅스카 공화국 문화부 산하 기관이다. 연구소는 스릅스카 공화국 전역의 문화, 역사 및 자연 기념물의 중앙 등록부를 등록, 보호 및 유지 관리한다.
1993년, 니콜라 콜예비치 교수 겸 정치인의 의장 하에 야호리나에서 세르비아 작가 협회가 설립되었다. 2003년부터 조란 코스티치가 협회 회장을 역임하며 본부를 세르비아 사라예보에서 바냐루카로 이전했다. 사라예보-로마니야-드리나 지부 회장은 네델코 젤레노비치이다.
스릅스카 공화국 "밀로라드 에크메치치" 역사가 협회 창립 총회는 2015년 12월 바냐루카에서 열렸다. 이 협회의 목적은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역사 과학 분야의 과학 연구 활동 개선 및 그 결과의 보급, 역사 교육 개선 및 교직원의 전문성 개발이다.[121]
11. 종교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는 만큼 세르비아 문화와 세르비아 정교회가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그 밖에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 등이다. 스릅스카 공화국에는 공식 종교가 없다. 종교의 자유는 스릅스카 공화국 헌법에 명시된 권리이며, 모든 사람은 종교적 신념에 관계없이 법 앞에 평등함을 보장한다.[89]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릅스카 공화국 주민의 약 85%가 기독교인으로 신분을 밝혔다. 세르비아 정교회 신자가 가장 큰 종교 집단을 형성하며, 인구의 약 83% 미만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슬람교와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가 따른다. 0.59%의 사람들은 자신을 무신론자 또는 불가지론자라고 밝혔다.
[90]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종교는 민족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1] 세르비아인은 일반적으로 동방 정교회 신자로, 크로아티아인은 가톨릭 신자로, 보스니아인은 이슬람 신자로 자신을 확인한다. 종교 건축물은 사원과 교회가 혼합되어 있는 이 지역에서 마찬가지로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 -]--
12. 교육
2013년 기준 스릅스카 공화국의 문해율은 96.8%이다. 스릅스카 공화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모든 국민에게 무상 초등 교육이 제공된다. 11개의 음악학교와 학습 장애 학생을 위한 4개의 교육 센터 외에도 187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중등 교육은 크게 세 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3년제 직업학교, 4년제 기술학교, 그리고 4년제 김나지움(grammar school)(gimnazije)이 있다. 독립적인 김나지움은 10개가 있고, 다른 학교에 통합된 김나지움은 30개가 있다. 음악학교는 초등학교 졸업 후 학생들이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또 다른 선택지를 제공한다.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국립대학교는 1975년에 설립된 바냐루카 대학교(University of Banja Luka)이다.[76] 스릅스카 공화국의 두 번째 국립대학교는 사라예보 동부 대학교(University of East Sarajevo)이다.[77]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끝난 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미국 대학교(American University in Bosnia and Herzegovina), 슬로보미르 대학교(Slobomir University), Паневропски универзитет Апеирон|Pan-European University “APEIRON”sr, 시너지야 대학교(University Sinergija)를 포함한 여러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다.
13. 스포츠
스릅스카 공화국의 스포츠는 청소년·가족·체육부에서 관리한다.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농구, 축구, 배구이다.
가장 인기 있는 축구 클럽이자 일반적으로 가장 큰 스포츠 단체는 FK 보라츠 반야루카이다. FK 보라츠는 특히 전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리그, 201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컵, 1988년 유고슬라비아컵, 그리고 마지막 해인 1992년 중앙유럽컵을 우승했다. 다른 인기 축구 클럽으로는 FK 루다르 프리예도르, FK 라드니크 비엘리나, FK 레오타르 등이 있지만, 이 클럽들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그리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 사라예보의 더 큰 클럽으로 인재 유출을 겪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오래된 농구 클럽인 KK 보라츠는 1947년 반야루카에서 설립되었다.
스릅스카 공화국 출신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선수 | 주요 성적 |
---|---|---|
축구 | 토미슬라브 크네즈, 벨리미르 솜보라츠 | 1960년 올림픽 챔피언 |
축구 | 메흐메드 바즈다레비치 | 1976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핸드볼 | 조르제 라브르니치, 밀로라드 카랄리치, 네보이샤 포포비치 | 1972년 올림픽 챔피언 |
핸드볼 | 즐라탄 아르나우토비치 | 1984년 올림픽 챔피언 |
농구 | 라트코 라도바노비치 | 1980년 올림픽 챔피언 |
농구 | 슬라자나 졸리치 | 1988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복싱 | 안톤 요시포비치 | 1984년 올림픽 챔피언 |
복싱 | 슬로보단 카차르 | 1980년 올림픽 챔피언 |
복싱 | 타디야 카차르 | 1976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탁구 | 야스나 파즐리치 | 1988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스릅스카 공화국 출신의 많은 성공적인 선수들이 세르비아 (또는 이전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를 대표하기로 선택했다.
세르비아를 대표한 스릅스카 공화국 출신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종목 | 선수 | 주요 성적 |
---|---|---|
농구 | 블라디미르 라드마노비치 | 2002년 세계 챔피언 |
농구 | 사샤 차죠 | 2015년 유럽 챔피언 및 2016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농구 | 오그넨 쿠즈미치 | 2015년 NBA 챔피언, 2018년 유로리그 챔피언, 2017년 유로바스켓 은메달리스트 |
배구 | 티야나 보슈코비치 | 2018년 세계 챔피언 및 2016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배구 | 사샤 스타로비치 | 2011년 유럽 챔피언 |
축구 | 사보 밀로셰비치 | 2000년 유럽 선수권 대회 득점왕 |
축구 | 네벤 수보티치 | 두 번의 분데스리가 챔피언 |
축구 | 미야트 가치노비치, 밀라딘 스테바노비치, 스르잔 바비치 | 2015년 U-20 월드컵 챔피언 |
축구 | 오그넨 오제고비치 | 2013년 U-19 유럽 챔피언 |
축구 | 루카 요비치 |
다른 주목할 만한 선수로는 수영 선수 벨리미르 스테파노비치 (2014년 유럽 챔피언), 태권도 선수 조란 프레라드 (1998년 유럽 챔피언), 유도 선수 네마냐 마이도브 (2017년 세계 챔피언), 알파인 스키 선수 옐레나 롤로비치 (2005년 유니버시아드 챔피언) 등이 있다.
14. 국제 관계
2006년 9월, 스릅스카 공화국 관리들은 세르비아와 스릅스카 공화국 간의 경제적, 제도적 협력 증진을 목표로 세르비아와 "특별 관계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세르비아의 보리스 타디치 대통령과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 총리, 전 스릅스카 공화국 드라간 차비치 대통령, 그리고 스릅스카 공화국 밀로라드 도디크 총리에 의해 체결되었다.[115]
2009년 2월, 스릅스카 공화국은 브뤼셀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했다. 유럽 연합 대표자들은 개소식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스릅스카 공화국 고위 관리들은 행사에 참석하여 이를 통해 EU와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관계를 증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견해는 보스니아계 지도자들에 의해 강력하게 비난받았는데, 이는 스릅스카 공화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부터 더욱 멀어지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스릅스카 공화국의 대통령인 라이고 쿠즈마노비치는 기자들에게 이러한 조치가 스릅스카 공화국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지위를 위태롭게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스릅스카 공화국이 단지 '유럽과 관련된 발전의 중심지에 대표 사무소를 개설할' 헌법적 권리를 사용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릅스카 공화국은 벨그라드, 모스크바, 슈투트가르트, 예루살렘, 테살로니키, 워싱턴 D.C., 브뤼셀 및 빈에 공식 사무소를 두고 있다.[116][117][118]
참조
[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ka Srpska – official website of the Office of the High Representative
http://www.ohr.int/o[...]
2008-09-13
[2]
서적
Spatial Conflicts and Divisions in Post-socialist Cities
Springer Verlag
[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epublika Srpska
http://www.ustavnisu[...]
[4]
보고서
Census 2013 - Final Results
http://www.statistik[...]
2024-06-22
[5]
웹사이트
Database of Economic Indicators
https://www.rzs.rs.b[...]
Republic of Srpska Bureau of Statistics
[6]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18-12-03
[7]
웹사이트
Deci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Republika Srpska
http://www.ohr.int/p[...]
Office of the High Representative
2010-06-03
[8]
뉴스
Bosnia-Herzegovina profile
https://www.bbc.co.u[...]
2013-04-14
[9]
웹사이트
Srpski jezik u Londonu
https://www.rastko.r[...]
2002-01-01
[10]
서적
Srpski pogledi na odnose između srpskog, hrvatskog i bošnjačkoga jezika
https://www.academia[...]
2012-01-01
[11]
서적
Bosnia-Herzegovina: The End of a Leg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1-01
[12]
웹사이트
Government of Republic of Srpska
https://www.vladars.[...]
2020-05-26
[13]
웹사이트
Serb Republic (region, Bosnia and Herzegovina)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0-08-29
[14]
뉴스
Bosnian Serb republic leader dies
http://news.bbc.co.u[...]
2010-05-22
[15]
뉴스
Bosnia echoes to alarming rhetoric
http://news.bbc.co.u[...]
2010-05-22
[16]
뉴스
Halting the downward spiral
https://www.nytimes.[...]
2010-05-22
[17]
뉴스
Bosnia lurches into a new crisis
https://www.theguard[...]
2010-05-22
[18]
웹사이트
Kako je nastalo ime Republika Srpska
https://www.glassrps[...]
2019-04-08
[19]
웹사이트
Službene stranice Općine Stolac – Badanj – paleolitsko nalazište
https://stolac.gov.b[...]
2019-04-08
[20]
웹사이트
Prethistorija na tlu BiH
https://forzes.files[...]
2019-01-01
[21]
서적
The Illyrians
Blackwell Publishing
[22]
웹사이트
The spread of Christianity in the Roman Empire
http://www.diercke.c[...]
2019-04-08
[23]
백과사전
http://www.larousse.[...]
[24]
문서
Moravcsik (1967)
[25]
서적
Srbi među europskim narodima
http://www.mo-vrebac[...]
Golden Marketing-Tehnička Knjiga
2020-10-26
[26]
문서
Ćirković (1964) p.276
[27]
서적
Religious Separation and Political Intolerance in Bosnia-Herzegovina
https://archive.org/[...]
Texas A&M University Press
[28]
서적
Century of Genocide: Critical Essays and Eyewitness Accou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01-01
[29]
웹사이트
Jasenovac
https://encyclopedia[...]
2019-04-12
[30]
서적
Visions of Annihilation: The Ustasha Regime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Fascism, 1941–1945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2-01-01
[31]
서적
The Fragmentation of Yugoslavia: Nationalism in a Multinational Stat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6-01-01
[32]
서적
The Breakup of Yugoslavia and the War in Bosn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01-01
[33]
서적
The Chetnik Movement and the Yugoslav Resistance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9-12-01
[34]
서적
Bosnia and Herzegovin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Frank Cass
[35]
서적
The History of Bosnia: From the Middle Ages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Saqi
[36]
journal
Human Losses of the Croats in World War II and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Caused by the Chetniks (Yugoslav Army in the Fatherand) and the Partisans (People's Liberation Army and the Partisan Detachments of Yugoslavia/Yugoslav Army) and the Communist Authorities: Numerical Indicators
https://hrcak.srce.h[...]
Croatian Institute of History
[37]
book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 The Chetniks
Stanford Univ. Press
1975
[38]
book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The Great Serbian threat, ZAVNOBiH and Muslim Bosniak entry into the People's Liberation Movement
https://publications[...]
Posebna izdanja ANUBiH
2020-12-21
[40]
book
Foreign Broadcast Information Service Daily Reports: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Serbian National Council of Bosnia
2018-12-07
[41]
뉴스
Bosnia Declares Sovereignty
https://www.washingt[...]
2017-12-04
[42]
magazine
Dayton is not Lisbon
http://www.ex-yupres[...]
ex-yupress.comex-yupress.comex-yupress.com
2015-04-08
[43]
press release
The Decision on Establishment of the Assembly of the Serb People in Bosnia and Herzegovina
Official Bulletin of the Serb People in Bosnia and Herzegovina
1992-01-15
[44]
book
Women, violence, and war: Wartime ...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0-08-29
[45]
press release
The Declaration of Proclamation of the Republic of the Serb People of Bosnia and Herzegovina
Official Bulletin of the Serb People in Bosnia and Herzegovina
1992-01-27
[46]
press release
The Constitution of the Serbian Republic of Bosnia and Herzegovina
Official Bulletin of the Serb People in Bosnia and Herzegovina
1992-03-16
[47]
PDF
Dissenting Opinion of Judge Kreća
The Registry of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1996-07-11
[48]
book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49]
book
Saving strangers: Humanitaria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0-08-29
[50]
뉴스
The Decision on Proclamation of the Serbian Republic of Bosnia and Herzegovina
Novosti a.d.
1992-04-08
[51]
press release
The Amendments VII and VIII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ka Srpska
Official Bulletin of the Republika Srpska
1992-09-29
[52]
웹사이트
Second Amended Indictment
http://www.icty.org/[...]
UN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8-18
[53]
웹사이트
The General Framework Agreement for Peace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ohr.int/d[...]
OHR.int
2015-05-28
[5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epublika Srpska
http://www.ustavnisu[...]
The Constitutional Court of Republika Srpska
2015-10-28
[55]
웹사이트
Review of the education system in the Republika Srpska
http://www.unesco.or[...]
2009-01-10
[56]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5-04-08
[57]
뉴스
Od pola miliona, u FBiH ostalo 50.000 Srba
http://pressrs.ba/sr[...]
2015-04-08
[58]
book
The Serbs
Yale University Press
[59]
웹사이트
Written statement submitted by the Society for Threatened Peoples
http://www.unhchr.ch[...]
United Nations
2015-07-13
[60]
웹사이트
Revidirana strategija Bosne i Hercegovine za provedbu Aneksa VII Dejtonskog mirovnog sporazuma
http://www.mhrr.gov.[...]
Bosnia and Herzegovina
2015-07-13
[61]
report
The Continuing Challenge of Refugee Return in Bosnia & Herzegovina
http://www.crisisgro[...]
Crisis Group
2002-12-13
[62]
뉴스
UN Condemns Serb 'Sickness'
http://news.bbc.co.u[...]
2010-01-04
[63]
뉴스
Serbs block Bosnia mosque ceremony
http://news.bbc.co.u[...]
2010-01-04
[64]
press release
Helsinki Commission Releases U.S. Statement on Tolerance and Non-Discrimination at OSCE Human Dimension Implementation Meeting
http://www.csce.gov/[...]
Helsinki Commission
2015-04-08
[65]
press release
7th Session of the UN Human Rights Council
http://forum-mensche[...]
Society for Threatened Peoples
2009-05-12
[66]
웹사이트
Signatures of Partnership for Peace Framework Document
http://www.nato.int/[...]
NATO
2016-03-05
[67]
웹사이트
Bosnian Serb Autonomous Region Reinstates Insult and Defamation in Criminal Code
https://www.occrp.or[...]
2023-07-21
[68]
웹사이트
Jahorina ski resort
https://www.skiresor[...]
2019-04-09
[69]
book
Building Democracy from the Outside: the Dayton Agreement in Bosnia and Herzegovina
Zed Books
[70]
웹사이트
Perućica official website
http://www.npsutjesk[...]
2015-11-24
[71]
웹사이트
Endangered wetlands of Bardača Nature Park
https://www.itinari.[...]
2022-12-13
[7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ark
https://web.archive.[...]
Sutjeska National Park
2020-11-01
[73]
웹사이트
Nacionalni park "Drina" – novo zaštićeno područje u Republici Srpskoj, BIH
http://www.mojaplane[...]
Moja planeta
2017-09-20
[7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Park
https://web.archive.[...]
Kozara National Park
2020-11-01
[75]
웹사이트
Abbreviated (approximate) life tables, 2019
https://www.rzs.rs.b[...]
Republika Srpska
[76]
웹사이트
About the University
http://www.unibl.org[...]
University of Belgrade (UNIBL)
2018-06-29
[77]
웹사이트
Rethinking the Culture of Tolerance
http://kultor.org/or[...]
University of East Sarajevo
2018-06-29
[78]
웹사이트
Foundation, establishment, and status of the academy
http://www.anurs.org[...]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of the Republika Srpska (ANURS)
2018-06-29
[79]
웹사이트
Museum of Contemporary Art of Republika Srpska
http://museu.ms/muse[...]
2018-06-29
[80]
웹사이트
Popis 2013 u BiH – Republika Srpska
http://www.statistik[...]
[81]
간행물
Zakon o zdravstvenoj zaštiti Republike Srpske
Službeni glasnik Repulbike Srpske
[82]
웹사이트
Здравствене установе
http://www.investsrp[...]
Влад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2021-01-27
[83]
웹사이트
Болнички сектор – Агенција за сертификацију, акредитацију и унапређење квалитета здравствене заштите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https://www.askva.or[...]
2020-10-18
[84]
웹사이트
Opening ceremony of the Institute for Forensic Psychiatry Sokolac
https://pjp-eu.coe.i[...]
2014
[85]
웹사이트
JZU Bolnica Bolnica za hroničnu psihijatriju Modriča
https://www.bolnicam[...]
2021-01-27
[86]
웹사이트
The University hospital Foca
https://en.bolnicafo[...]
2021-01-25
[87]
웹사이트
UKC Republic of Srpska
https://www.kc-bl.co[...]
2021-01-25
[88]
웹사이트
УКЦ Република Српска – Мисија, визија и вриједност
https://www.kc-bl.co[...]
2020-10-18
[8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Republika Srpska
https://advokat-prnj[...]
[90]
보고서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Republika Srpska
2019-05-05
[91]
웹사이트
Religious Belief and National Belonging in Central and Eastern
https://www.pewforum[...]
Pew Research
2019-05-06
[92]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93]
웹사이트
Do you know how?
http://thesrpskatime[...]
2017-07-31
[94]
웹사이트
Serbia, Republic of Srpska sign joint statement on Gornja Drina hydropower project
https://balkangreene[...]
2020-12-04
[95]
웹사이트
Serbian, RS PMs sign document to build hydropower plants
https://web.archive.[...]
2020-12-04
[96]
웹사이트
Baza podataka o ekonomskim indikatorima Republike Srpske – IRBRS
https://web.archive.[...]
2018-01-04
[97]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Republika Srpska
http://www.rzs.rs.ba[...]
2018-01-04
[98]
웹사이트
RS external trade statistics, annual release 2016
http://www2.rzs.rs.b[...]
2018-01-04
[99]
뉴스
Bosnian Territory Opens Doors for Business
https://www.wsj.com/[...]
2007-06-17
[100]
웹사이트
Cities and Municipalities of Republika Srpska
http://www2.rzs.rs.b[...]
Institute of Statistics of Republika Srpska
2019-12-25
[101]
웹사이트
February 2019 Labor Statistics
https://www.rzs.rs.b[...]
2019-02-01
[102]
웹사이트
Министарство саобраћаја и вез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Саобраћајна инфраструктура у Републици Српској
http://www.vladars.n[...]
[103]
웹사이트
Infrastruktura
https://businessrpsk[...]
2021-01-27
[104]
웹사이트
Željeznice Republike Srpske
http://www.zrs-rs.co[...]
[105]
웹사이트
Планински туризам
http://turizamrs.org[...]
Туристичка организациј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2015-01-29
[106]
웹사이트
Етно-село Котроманићево
http://turizamrs.org[...]
Туристичка организациј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2016-07-19
[107]
웹사이트
Etno – Selo Stanišići: Ponos Semberije I Srpske
http://semberija.inf[...]
2020-10-31
[108]
웹사이트
Андрићград отворен за посјетиоце
http://rtrs.tv/vijes[...]
Братунац (репортажа)
2012-07-06
[109]
웹사이트
Андрићев институт ум и душа Андрићграда
https://www.politika[...]
[110]
웹사이트
Banja Vrućica » Health Tourism Center, Teslić, Bosnia and Herzegovina
https://banja-vrucic[...]
[111]
웹사이트
BANJE SRPSKE – Banje Srpske
https://banjesrpske.[...]
2020-10-31
[112]
웹사이트
Banje u Republici Srpskoj :: Banje u Srbiji :: Spa, Wellness & Smeštaj, Lečenje, Odmor, Rehabilitacija :: Balkan
https://banjeusrbiji[...]
2020-10-31
[113]
웹사이트
Печат (47,46 мин)
http://rtrs.tv/av/pu[...]
Радио телевизиј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2011-08-25
[114]
웹사이트
Pobjednik Grmečke koride na Popovića brdu prošlogodišnji – bik Medonja
https://sveosrpskoj.[...]
2020-10-31
[115]
웹사이트
Sporazum o specijalnim paralelnim odnosima – Dejtonski temelj odnosa Republike Srpske i Republike Srbije
https://www.research[...]
2014
[116]
웹사이트
Представништв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у иностранству
http://www.vladars.n[...]
2015-10-31
[117]
웹사이트
U Beču otvoreno Predstavništvo Republike Srpske
http://www.biznis.ba[...]
2015-08-03
[118]
웹사이트
Dodik otvorio predstavništvo Republike Srpske u Beču
http://www.smedia.rs[...]
2015-08-03
[119]
웹사이트
Statisticki Godisnjak Republike Srpske 2019
https://www.rzs.rs.b[...]
2019
[120]
웹사이트
Статут Академије наука и умјетности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Statute of the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of the Republic of Srpska)
http://www.anurs.org[...]
[121]
웹사이트
Osnovano prvo društvo istoričara Srpske
https://banjaluka.ne[...]
2021-05-24
[122]
웹사이트
Zakon o praznicima Republike Srpske
http://www.narodnask[...]
People's Assembly of Republika Srpska
2005-07-27
[123]
웹사이트
Прослављена слава Републике Српске – Свети архиђакон Стефан
http://www.spc.rs/sr[...]
Serbian Orthodox Church
2008-01-09
[124]
웹사이트
RS ne priznaje Dan nezavisnosti BiH
http://www.b92.net/i[...]
2015-01-03
[125]
문서
인구 통계
[126]
문서
중앙 유럽 표준시
[127]
웹사이트
CIA World Fact Book
https://www.cia.gov/[...]
[128]
웹사이트
ボスニア・ヘルツェゴビナにおける調査(平成22年度ODA調査資料)
https://www.sangiin.[...]
参議院
2018-10-08
[129]
웹인용
매일경제 "보스니아 대학살 주도, 라도반 카라지치 체포"
http://news.mk.co.kr[...]
2012-12-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