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위 2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위 2도는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뻗어 나가며, 기니 만을 시작으로 아프리카, 인도양, 동남아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 대륙을 지난다. 이 선은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케냐, 소말리아, 몰디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키리바시, 콜롬비아, 브라질, 베네수엘라 등 여러 국가와 영토를 통과한다. 또한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 가이아나와 수리남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 에드워드호
에드워드호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우간다 국경에 있는 호수로, 비룽가 국립공원과 퀸 엘리자베스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지만, 최근 석유 탐사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다. - 우간다-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 스탠리산
스탠리산은 우간다와 콩고민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루웬조리 산맥의 최고봉으로, 마르게리타 봉을 비롯한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기 탐험과 등반을 통해 고산 등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위선 - 남회귀선
남회귀선은 태양 남중고도가 90°가 되는 남위 23° 26′ 11.7″의 위도로, 동짓날 태양이 머리 위에 나타나는 지점이며, 대서양, 아프리카, 인도양, 오스트랄라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하고 남아프리카는 안정적인 계절 강우, 오스트레일리아는 변동성이 큰 강우량, 남아메리카의 아타카마 사막은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이다. - 위선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북위 2도 | |
---|---|
위치 정보 | |
위치 | 북위 2도선 |
통과 지역 | 인도네시아 키리바시 나우루 솔로몬 제도 파푸아뉴기니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케냐 소말리아 몰디브 |
상세 정보 | |
길이 | 약 40,008 km (지구 둘레의 약 99.7%) |
특징 | 이 위선은 적도에서 북쪽으로 2도 떨어진 지점을 연결한다. 아프리카, 인도양, 동남아시아, 태평양, 남아메리카를 통과한다. |
2. 지나는 지역
본초 자오선에서 시작하여 동쪽 방향으로 이동할 때, 북위 2도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지역과 국가들을 통과한다.
먼저 대서양의 기니만을 지나 아프리카 대륙으로 들어서며 적도 기니, 가봉, 콩고 공화국,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 우간다, 케냐, 소말리아를 차례로 지난다. 이후 인도양을 건너면서 몰디브의 환초[1]와 인도네시아의 섬들 인근 해역을 통과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와 말레이시아(말레이 반도, 보르네오섬) 영토를 지나고, 믈라카 해협과 남중국해, 술라웨시해, 말루쿠해 등의 해역을 통과한다.
넓은 태평양을 건너면서 인도네시아의 일부 섬들과 키리바시의 환초들[2]을 지나 남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콜롬비아, 브라질,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을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여러 국가의 국경과 일부 영토 분쟁 지역을 지난다. 마지막으로 브라질 동쪽 해안을 떠나 다시 대서양으로 이어진다.
각 대륙과 국가별 상세 경로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아프리카
북위 2도선은 본초 자오선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대서양의 기니만을 지나 아프리카 대륙 서해안의 적도 기니에 도달한다. 이후 내륙으로 이동하며 가봉, 콩고 공화국, 카메룬, 콩고 민주 공화국을 차례로 통과한다. 특히 콩고 공화국과 카메룬 국경 지역에서는 두 나라 영토를 여러 번 번갈아 지나간다. 동쪽으로 더 나아가 콩고 민주 공화국과 우간다 국경에 있는 앨버트호를 가로지르며, 계속해서 우간다와 케냐 영토를 통과한다. 아프리카 대륙 동쪽 끝에서는 소말리아를 지나 인도양으로 이어지며,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 바로 남쪽 해역을 통과한다.2. 1. 1. 적도 기니
북위 2도선은 적도 기니를 지난다.2. 1. 2. 가봉
북위 2도선은 가봉을 지난다. 동경 11도 20분 지점을 통과한다.2. 1. 3. 콩고 공화국
북위 2도선은 가봉을 지나 콩고 공화국으로 들어선다. 이후 카메룬을 약 9km 통과한 뒤 다시 콩고 공화국을 약 17km 지난다. 그 다음 다시 카메룬을 통과하고, 세 번째로 콩고 공화국을 지나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넘어간다.2. 1. 4. 카메룬
북위 2도선은 콩고 공화국을 지난 뒤 동경 15도 2분에서 카메룬 영토를 통과하기 시작하여 약 9km 구간을 지난다. 이후 다시 콩고 공화국 영토를 약 17km 통과한 뒤, 동경 15도 16분 지점에서 다시 카메룬 영토로 들어와 동경 16도 3분까지 이어진 후 콩고 공화국으로 넘어간다.2. 1. 5. 콩고 민주 공화국
북위 2도선은 콩고 공화국을 지나 동경 18도 5분 지점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으로 들어선다. 이후 동쪽으로 계속 나아가 동경 31도 3분에서 앨버트 호에 이르며, 이 호수는 우간다와의 국경을 형성한다.2. 1. 6. 앨버트 호
북위 2도선은 앨버트 호를 지나며, 이 호수 안에서 우간다와의 국경이 형성된다.2. 1. 7. 우간다
북위 2도선은 콩고 민주 공화국을 지나 앨버트 호로 들어선다. 이 호수 안 북위 2도선 상에서 우간다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국경이 형성된다. 북위 2도선은 앨버트 호를 나온 뒤 우간다 영토를 동서로 가로지르며 동쪽의 케냐로 넘어간다.2. 1. 8. 케냐
북위 2도선은 케냐를 지난다.2. 1. 9. 소말리아
북위 2도선은 동경 41도 0분 지점에서 소말리아 영토를 지난다. 이후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경 45도 17분 지점에서 인도양으로 진입하는데, 이 해역은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 바로 남쪽에 위치한다.2. 2. 인도양
북위 2도선은 인도양에서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 바로 남쪽 해역을 지난다. 이후 동쪽으로 나아가 몰디브의 환초와 인도네시아의 섬들을 지난다.2. 2. 1. 몰디브
북위 2도 선은 몰디브의 라무 환초를 지난다.[1]2. 2. 2. 인도네시아 (인도양)
인도양에서 인도네시아의 반야크 제도 바로 남쪽을 지난다.2. 3. 동남아시아
북위 2도선은 인도양에서 인도네시아의 바냑 제도 남쪽을 지나 동남아시아로 진입한다.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과 루팟섬, 믈라카 해협, 말레이시아의 말레이 반도 남단(조호르주)을 차례로 통과한다. 이후 남중국해를 건너 보르네오섬에서는 인도네시아(칼리만탄)와 말레이시아(사라왁주) 영토를 지난다. 다시 술라웨시해와 말루쿠해를 거쳐 인도네시아의 할마헤라섬과 모로타이섬을 통과한 뒤 태평양으로 이어진다.2. 3. 1.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위 2도선은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과 루팟섬을 통과한다.2. 3. 2. 말라카 해협
북위 2도선은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과 루팟 섬을 통과한 뒤 말라카 해협으로 진입한다. 해협을 지나서는 말레이시아의 조호르 지역을 통과한다.2. 3. 3. 말레이시아
북위 2도선은 말레이시아 영토를 지난다. 말라카 해협을 지나 말레이 반도 남단의 조호르주 지역을 통과한 뒤 남중국해로 이어진다. 이후 보르네오섬에서는 인도네시아 영토를 잠시 거친 후 사라왁주 지역을 약 3km 통과하고, 다시 남중국해를 건너 사라왁 지역을 지난다.2. 3. 4. 남중국해
북위 2도선은 말레이시아 조호르주를 통과한 후 남중국해로 진입한다. 이후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 서칼리만탄 지역 약 3km와 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섬 사라왁 지역 약 3km를 차례로 통과한 뒤 다시 남중국해를 지나간다. 이어서 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섬 사라왁 지역과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 북칼리만탄 및 동칼리만탄 지역을 통과한 후 술라웨시해로 이어진다.2. 3. 5.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북위 2도선은 남중국해를 지나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으로 들어선다. 먼저 서칼리만탄 지역을 약 3km 통과한 뒤, 말레이시아 사라왁 지역으로 넘어가 약 3km를 지난다. 이후 다시 남중국해를 잠시 거쳐 말레이시아 사라왁 지역을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인도네시아의 보르네오섬으로 돌아와 북칼리만탄과 동칼리만탄 지역을 가로지른다.2. 3. 6.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
북위 2도선은 인도네시아 서칼리만탄주를 약 3km 통과한 후, 말레이시아 보르네오섬의 사라왁주를 약 3km 통과한다. 이후 남중국해를 잠시 지나 다시 말레이시아 사라왁주를 통과하여 인도네시아 북칼리만탄주로 이어진다.2. 3. 7. 술라웨시 해
북위 2도선은 인도네시아의 동칼리만탄 지역을 통과한 뒤 술라웨시해를 지난다.2. 3. 8. 말루쿠 해
북위 2도선은 동경 125도 17분에서 몰루카 해를 통과한다. 이 해역은 인도네시아의 비아로섬 바로 남쪽을 지난다.2. 3. 9. 인도네시아 (할마헤라섬, 모로타이섬)
북위 2도선은 인도네시아의 할마헤라섬을 통과한다. 이후 태평양을 지나 다시 인도네시아 영토인 모로타이섬을 약 1km 구간 통과한 뒤 태평양으로 계속 이어진다.2. 4. 태평양
인도네시아의 할마헤라섬을 지난 뒤 태평양으로 들어선다. 이후 동쪽으로 계속 나아가 인도네시아의 모로타이섬을 약 1km 통과하고 다시 태평양으로 진입한다. 태평양을 건너면서 키리바시의 여러 섬들을 지나[2] 남아메리카 대륙의 콜롬비아 서쪽 해안에 도달한다.2. 4. 1. 키리바시
북위 2도선은 태평양을 지나면서 키리바시의 아바이앙 환초 바로 북쪽 해상을 통과한다. 이후 동쪽으로 더 나아가 마라케이 환초와 키리티마티 환초(크리스마스섬)를 직접 통과한다.[2]2. 5. 남아메리카
북위 2도선은 남아메리카 대륙을 동쪽으로 가로지르며 콜롬비아, 브라질,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수리남 등 여러 나라의 영토를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국경을 여러 차례 넘나들며, 특히 브라질 북부의 아마조나스주, 호라이마주, 파라주, 아마파주 등을 여러 구간에 걸쳐 지나간다.또한, 북위 2도선은 두 곳의 영토 분쟁 지역을 통과한다. 첫 번째는 가이아나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며, 두 번째는 마찬가지로 가이아나가 실효 지배 중이지만 수리남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다.
남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여정은 브라질의 아마파주 본토와 마라카 섬을 마지막으로 통과한 뒤 대서양으로 이어진다. 각 국가별 통과 지점과 관련된 자세한 정보는 해당 국가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5. 1. 콜롬비아
북위 2도선은 콜롬비아를 지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태평양 연안에서 내륙으로 들어온 뒤, 브라질 영토를 잠시 통과했다가 다시 콜롬비아 영토를 지나 베네수엘라 및 브라질과의 국경 지대로 이어진다.2. 5. 2. 브라질
북위 2도선은 남아메리카 대륙을 지나면서 브라질의 북부 지역을 여러 차례 통과한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며 다음과 같은 경로를 따른다.- 콜롬비아에서 넘어와 아마조나스주를 약 3km 지난 후, 다시 콜롬비아 영토를 잠시 거쳐 아마조나스주를 재차 통과한다.
- 이후 베네수엘라를 지나 다시 브라질로 들어서며 아마조나스주와 호라이마주를 거친다.
- 가이아나 및 인접 국가와의 분쟁 지역들을 사이에 두고, 파라주를 약 8km 통과한다.
- 마지막으로 수리남을 지나 다시 브라질 영토로 들어와 파라주와 아마파주 본토, 그리고 마라카 섬을 통과한 뒤 대서양으로 나아간다.
2. 5. 3. 베네수엘라
북위 2도선은 콜롬비아를 지나 서경 67도 7분에서 베네수엘라 영토로 들어서며, 서경 63도 46분까지 이어진다. 이후 브라질 영토를 잠시 통과한 뒤, 서경 59도 44분부터 서경 58도 28분 사이에서는 가이아나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을 지나간다.2. 5. 4. 가이아나
북위 2도선은 가이아나 영토를 통과한다. 이 위도선은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 간의 분쟁 지역도 지나가는데, 해당 지역은 가이아나가 실효 지배하고 있지만 베네수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가이아나와 수리남 사이의 분쟁 지역 역시 북위 2도선이 통과하며, 이 지역도 가이아나가 통제 중이나 수리남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상황이다.2. 5. 5. 수리남
북위 2도선은 수리남 영토를 지나간다. 또한 이 위도선은 가이아나와 수리남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 두 곳을 통과하는데, 이 지역들은 현재 가이아나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수리남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3. 영토 분쟁 지역
북위 2도선은 가이아나와 수리남 사이의 영토 분쟁 지역을 지난다. 해당 지역은 가이아나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나, 수리남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Indian Ocean Tsunami: The Global Response to a Natural Disas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24-11-13
[2]
서적
Acts of the Parliament of Canada
https://books.google[...]
Queen's Printer
2024-11-10
[3]
웹사이트
Duration of Daylight/Darkness Table for One Year
http://aa.usno.navy.[...]
2013-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