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워드 호는 아프리카에 위치한 호수로, 길이는 77km, 너비는 42km이며, 913m의 고도에 위치한다. 1875년 헨리 모턴 스탠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빅토리아 여왕의 아들인 에드워드 7세를 기리기 위해 에드워드 호로 명명되었다. 우간다와 콩고 민주 공화국의 국경에 걸쳐 있으며, 석유 탐사 분쟁, 하마 개체수 감소, 2018년 해상 교전 등 다양한 사건의 배경이 되었다. 호수 주변에는 비룽가 국립공원과 퀸 엘리자베스 국립공원이 위치해 있으며, 틸라피아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간다-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 북위 2도
북위 2도는 본초 자오선 동쪽으로 뻗어 나가 기니 만을 시작으로 여러 대륙과 국가, 영토를 통과하며 가이아나와 베네수엘라, 가이아나와 수리남 사이의 분쟁 지역도 지난다. - 우간다-콩고 민주 공화국 국경 - 스탠리산
스탠리산은 우간다와 콩고민주공화국 국경에 위치한 루웬조리 산맥의 최고봉으로, 마르게리타 봉을 비롯한 여러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초기 탐험과 등반을 통해 고산 등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우간다의 호수 - 빅토리아호
빅토리아호는 우간다, 탄자니아, 케냐에 걸쳐 있는 거대한 호수로, 존 해닝 스피크가 빅토리아 여왕을 기려 명명했으며, 고유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생태계이지만, 환경 문제와 외래종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변국에 다양한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호수이다. - 우간다의 호수 - 키오가호
키오가호는 우간다 중앙에 위치한 얕은 호수로, 다양한 동식물과 특히 60종 이상의 하플로크로미스 시클리드를 포함한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며 나일악어를 비롯한 수생 동물과 물배추, 파피루스 등의 식물군이 분포한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호수 - 탕가니카호
탕가니카호는 동아프리카 지구대 내 알버틴 지구대에 위치한 아프리카 최대의 지구대 호수이자 세계에서 두 번째로 부피가 큰 호수로서, 다양한 고유종 서식지이며 주변 국가의 어업 자원 및 수운 교통로로 기능하지만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콩고 민주 공화국의 호수 - 툼바호
| 에드워드호 |
|---|
2. 역사
1875년 헨리 모턴 스탠리는 이 호수를 앨버트호의 일부분으로 착각하고 "비트라이스 만(Beatrice Gulf)"이라 명명했다. 1888년과 1889년 이 지역을 다시 방문한 스탠리는 이 호수가 앨버트호와는 독립된 호수라는 사실을 깨닫고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1]
1970년대 우간다는 이 호수의 이름을 당시 독재자 이디 아민의 이름을 따 "이디 아민 호"로 개명했다. 그러나 1979년 그가 정권에서 물러나자 호수의 이름은 다시 "에드워드 호"로 환원되었다.[1]
2. 1. 발견과 명칭
1875년 헨리 모턴 스탠리가 처음 이 호수를 발견했을 당시, 그는 이 호수를 앨버트호의 일부분으로 착각하고 "비트라이스 만(Beatrice Gulf)"이라 명명했다.[1] 1888년과 1889년 이 지역을 다시 방문한 스탠리는 이 호수가 앨버트호와는 독립된 호수라는 사실을 깨닫고, 당시 영국의 군주 빅토리아 여왕의 아들이자 훗날 에드워드 7세가 된 앨버트 에드워드 왕자를 기리기 위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다.[1]1970년대 우간다는 이 호수의 이름을 당시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의 이름을 따 "이디 아민 호(Lake Idi Amin, Lake Idi Amin Dada)"로 개명했다.[1] 그러나 1979년 그가 정권에서 물러나자 호수의 이름은 다시 "에드워드 호"로 환원되었다.[1]
2. 2. 석유 분쟁과 갈등
2014년, 이 호수는 석유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SOCO International은 호수가 위치한 비룽가 국립공원 구역에 진입하여 석유 탐사를 시작했다. 그러나 석유 회사의 진입을 막으려던 마을 주민들과 노동자들은 구타를 당하고 심지어 납치되어 고문을 당했다. 비룽가 국립공원의 경계선을 다시 긋고 호수를 제외하려는 계획이 고려되었으나, 국립공원은 세계유산이며 호수가 그 일부이므로 그러한 계획은 세계유산 협약에 위배된다.[1]3. 지리
에드워드 호는 고도 913m에 위치하며 길이 77km, 너비 42km의 호수이다. 북동쪽으로 조지 호라는 더 작은 호수와 연결되는데, 두 호수의 표면적은 2500km2에 달한다. 에드워드 호의 물은 북쪽 셈리키 강을 통해 앨버트 호로 빠져나간다. 에드워드 호 북쪽과 남쪽은 낮은 평원이지만 동부와 서부의 대부분은 가파른 절벽이며, 북쪽에 4,800m가 넘는 루웬조리 산맥이 솟아 있어 활발한 화산 활동을 보이고 있다. 이 호수에는 물고기가 풍부하며 호숫가에서 사는 야생동물은 콩고 민주공화국의 비룽가 국립공원과 우간다의 루웬조리 국립공원에서 보호되고 있다.[1]
3. 1. 지형 및 수계
에드워드 호는 해발 913m(영어 문서 기준 920m)에 위치하며 길이 77km, 너비 42km(영어 문서 기준 40km)이다. 총 면적은 2325km2로, 아프리카에서 15번째로 큰 호수이다. 냠가사니 강, 이샤샤 강, 루츠루 강, 퉁구웨 강, 르윈디 강 등으로부터 물이 유입된다.[2] 북동쪽의 조지 호와 카징가 해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북쪽의 셈리키 강을 통해 앨버트 호로 물이 흘러 나간다.[2]서쪽 해안은 가파른 절벽 지형이며, 남쪽과 동쪽 해안은 평평한 용암 평원이다.[2] 북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 루웬조리 산맥이 위치한다.[2]
3. 2. 화산 활동
이 지역은 지난 5,000년 동안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증거를 많이 보여준다. 카징가 해협 양쪽에는 카트웨-키코롱고와 분야루구루 화산 지대가 있으며, 광범위한 원뿔과 분화구가 있다.[2] 과거에는 조지 호와 에드워드 호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었지만, 이 지역에 용암이 흘러들어와 두 호수를 나누었고, 현재의 카징가 해협만이 과거 연결의 흔적으로 남아있다.[2]카트웨-키코롱고 지대는 에드워드 호와 조지 호 사이 30km x 15km 면적에 걸쳐 수십 개의 큰 분화구와 원뿔이 있으며, 7개의 분화구 호수를 포함한다.[3] 이 중 가장 큰 카트웨 호수는 길이 2.5km로, 4km 넓이의 분화구를 차지하며 에드워드 호와는 불과 300m 떨어져 있다.[3] 분화구 깊이는 약 100m이며, 카트웨 호수 표면은 에드워드 호수보다 약 40m 낮다.[3] 1894년 G. F. 스콧 엘리엇이 보고하기 전까지 이 지역의 화산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3]
카징가 해협 반대편에 있는 분야루구루 지대에는 약 30개의 분화구 호수가 있으며, 일부는 카트웨 호수보다 더 크다.[5][6]
4. 생태
에드워드 호에는 ''Bagrus docmak'', ''Oreochromis niloticus'', ''Oreochromis leucostictus'' 등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며, 50종 이상의 ''Haplochromis'' 및 기타 haplochromine 종도 서식한다. 이 중 25종만이 공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어업은 지역 주민들의 중요한 생계 수단이다. 호숫가에는 침팬지, 코끼리, 악어, 사자 등 다양한 야생동물이 서식하며, 비룽가 국립공원(콩고민주공화국)과 퀸 엘리자베스 국립공원(우간다)에서 보호받고 있다. 또한 많은 다년생 및 철새 종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4. 1. 하마와 틸라피아 개체 수 변화
1970년대 에드워드 호와 그 주변에는 약 29,000마리의 하마가 살고 있었다. 그러나 밀렵이 늘면서 2006년에는 하마 개체수가 95%나 줄어들어 수백 마리밖에 남지 않았다.[8] 2019년 조사에서는 약 1,500마리의 하마가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9] 하마는 고기와 이빨의 상아 때문에 밀렵꾼들의 표적이 되곤 한다. 하마 고기와 상아는 비싸기 때문에 밀렵꾼들은 계속해서 하마를 사냥했고, 이는 하마뿐만 아니라 에드워드 호의 생태계와 어업에 의존하는 지역 주민들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10]하마는 에드워드 호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마의 똥은 틸라피아의 먹이가 되는데, 틸라피아는 한때 에드워드 호에 많이 서식하던 물고기였다. 하마 한 마리는 하루에 약 25kg의 똥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는 수천 마리의 틸라피아를 먹여 살릴 수 있다.[11] 그러나 밀렵으로 하마 개체수가 줄면서 틸라피아의 먹이도 줄어들었다. 이는 틸라피아 개체수의 급격한 감소로 이어졌고, 에드워드 호 주변 마을의 어부들과 생태계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에드워드 호 주변 마을들은 가족의 식량과 생계를 위해 물고기, 특히 틸라피아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에드워드 호는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전체의 물고기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호수는 연간 15,000~20,000톤의 틸라피아를 생산할 수 있었고, 약 700척의 어선이 있었다. 그러나 밀렵으로 하마가 줄면서 호수의 틸라피아 양도 줄었고, 이는 인근 마을 어부들과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지역에 어려움을 안겨주었다. 많은 시장들이 자체적으로 물고기를 확보할 수 없게 되면서, 다른 지역에서 물고기를 수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8][11]
하지만, 줄어드는 하마 개체수만이 에드워드 호의 틸라피아를 위협하는 것은 아니다. 틸라피아 개체수가 줄면서 어부들에게는 틸라피아 산란 지역과 어장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일부 반군 단체와 불법 어부들이 이 지역에서 계속해서 고기를 잡으려 하면서, 틸라피아 개체수를 보존하고 늘리려는 노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11] 이 때문에 에드워드 호 주변의 많은 마을과 에드워드 호의 생태계가 고통받고 있다.
5. 2018년 에드워드 호 교전
2018년 7월 6일, 우간다와 콩고 민주 공화국 간에 에드워드 호에서 해상 교전이 발생했다. 이 교전은 콩고 해군 함정이 우간다 해군에 의해 체포된 콩고 어선 및 민간인에 대한 보고를 조사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 보고에서는 이 충돌로 1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전해졌다.[12][13]
콩고 현지 관리들은 초기 보고에서 7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으나, 양국 정부는 이를 확인하지 않았다.[14] 7월 9일, 북 키부의 관리 무힌도 캬콰는 교전에서 12명의 콩고 어부가 사망했다고 주장했다.[15]
6. 정착지

에드워드 호수는 비룽가 국립공원(콩고)과 퀸 엘리자베스 국립공원(우간다) 안에 위치하며, 호숫가에는 광범위한 인간 거주지가 없다. 주요 정착지는 다음과 같다.[7]
- 콩고민주공화국
- 이샹고: 북쪽에 위치하며, 공원 경비대 훈련 시설이 있다.
- 비슙비(Vitshumbi): 남쪽에 위치한다.
- 우간다
- 므웨야(Mweya): 북동쪽에 위치한다.
- 카트웨(Katwe): 북동쪽에 위치하며, 이름과 같은 분화구 호수 근처에 있다. 우간다의 주요 소금 생산지이다.
가장 가까운 도시는 우간다 카세세 (북동쪽, 약 50km)와 콩고민주공화국 부템보 (북서쪽, 약 150km)이다.
참조
[1]
뉴스
Oil Dispute Takes a Page From Congo's Bloody Past
https://www.nytimes.[...]
2017-12-21
[2]
문서
Google Earth/Geographic Features/Volcanoes
[3]
논문
Petrology of the Volcanic Fields East and South-East of Ruwenzori, Uganda
http://jgslegacy.lye[...]
1932
[4]
간행물
A high-resolution geochemical record from Lake Edward, Uganda Congo and the timing and causes of tropical African drought during the late Holocene
2005-07
[5]
웹인용
The mysterious twin lakes of Rubirizi
https://rubirizi.go.[...]
2022-03-02
[6]
웹사이트
Mystical 52 crater lakes, valley of the dead of Bunyaruguru
https://www.monitor.[...]
2022-03-02
[7]
서적
Afrique Nord-Est et Arabie
Pneu Michelin
1996
[8]
웹사이트
As Go the Hippos …
https://www.theatlan[...]
2021-11-04
[9]
웹사이트
Hippopotamus
https://virunga.org/[...]
2021-11-04
[10]
웹사이트
Elite rangers take on rebels to end the slaughter of Congo's hippos
http://www.theguardi[...]
2021-11-04
[11]
웹사이트
Conservation Efforts to Save Hippos May End Ongoing Tilapia Shortage in DRC Lakes
https://globalpressj[...]
2021-11-04
[12]
웹사이트
One killed, three wounded after clashes near Congo-Uganda border
https://web.archive.[...]
2018-07-06
[13]
웹사이트
One killed, three wounded after clashes near Congo-Uganda border
http://www.africanew[...]
2018-07-07
[14]
웹사이트
Uganda and DR Congo clash on Lake Edward
http://clubofmozambi[...]
2018-07-06
[15]
뉴스
Uganda and Congo forces clash in Lake Edward dispute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8-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