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낙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한의 낙태는 북한 역사 초기부터 금지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1970년대에는 피임 방법 도입과 함께 낙태가 허용되기도 했다. 1983년 합법화 이후 1993년 다시 금지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낙태율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2015년에는 출산율 감소를 막기 위해 낙태와 자궁 내 장치 삽입이 전면 금지되었으나, 불법 낙태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탈북자들과 비정부기구들의 보고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강제 낙태가 자행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 임신 후 강제 송환된 탈북 여성들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정주 (2010년)
김정주(2010년)는 김정은의 장남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며, 대한민국 국정원에 의해 아들임이 확인되었으나, 자녀 정보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정보가 제한적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성 권리 -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
조선사회주의녀성동맹은 조선로동당의 외곽 단체로서 여성들을 당의 정책에 따라 사회주의 건설에 동원하며, 1945년 창설되어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당의 지침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낙태 - 커탄지 브라운 잭슨
커탄지 브라운 잭슨은 2022년 미국 대법원 부대법관으로 취임한 미국의 법조인으로, 하버드 대학교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연방 공공 변호인 경력을 가지며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여성 대법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 낙태 - 인공임신중절
인공임신중절은 임신 상태를 인위적으로 중단시키는 시술 또는 행위로,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법률 및 사회적 인식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의학적, 윤리적, 종교적 측면에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북한의 낙태 | |
---|---|
개요 | |
합법 여부 | 불법 (사실상 합법) |
낙태 허용 사유 | 요청 시 가능 |
접근성 | 널리 이용 가능 |
일반적인가 | 일반적임 |
상세 정보 | |
법적 지위 | 법적으로 불법이지만, 실제로 널리 행해지고 처벌받지 않음. 원칙적으로 불법이나 묵인되는 상황. |
낙태 시술의 보편성 | 북한 여성들은 임신을 원치 않을 경우 낙태를 하는 경향이 있음. 피임법 접근성이 낮아 낙태가 피임의 한 형태로 간주됨. 낙태는 임신중절의 주요 방법으로 사용됨. |
낙태 시술의 접근성 | 낙태는 일반적으로 쉽게 이용 가능하며, 의사들은 돈을 벌기 위해 시술을 제공함. 낙태 비용은 일반적으로 저렴함. |
낙태 시술의 안전성 | 낙태 시술은 종종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수행되어 여성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낙태 후 감염은 흔하며, 의료 자원이 부족하여 치료가 어려울 수 있음. |
사회적 인식 | 낙태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크지 않으며, 여성들은 낙태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음. 남아 선호 사상으로 인해 성별 선택 낙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 |
관련 문제 | 낙태가 흔하게 이루어지지만, 안전하지 않은 환경에서 시술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여성 건강에 대한 우려가 있음. 피임법에 대한 접근성 부족과 성교육 부족이 문제로 지적됨. |
참고 자료 | 이규창,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사회통제와 처벌 실태는 어떠한가? |
2. 역사
북한 역사의 대부분 기간 동안 낙태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었다.[14][2] 또한 낙태는 북한 역사 초기부터 금지된 것으로 여겨진다.[15] 1970년대에는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이해하거나 용인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5][3]
== 1970년대~1990년대: 피임 도입과 낙태 허용 및 금지 ==
1970년대와 1980년대 북한은 현대적인 피임 방법을 도입하여 산부인과 병원과 모성 상담 센터 등에서 경구 피임약, 콘돔, 자궁 내 장치(IUD)를 제공했다.[15][3] 1980년대 후반부터 성 개방 문화와 성매매 증가로 혼전·혼외 임신이 증가하면서[16][22][4][10] 1983년 낙태가 합법화되었으나, 1993년에 다시 금지되었다.[15][3] 1990년대 출산 장려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피임약은 계속 사용되었다.[15] [3]
== 2000년대 이후: 낙태 금지와 불법 낙태 ==
2000년대 이후 북한의 낙태율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98년 인구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기혼 여성 낙태율은 1.77%였으나, 2001년에는 1.11%로 감소했다.[16][4] 2014년 유엔 개발 계획의 조사에서는 기혼 여성의 11%가 낙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5]
2015년 북한 당국은 출산율 감소를 막기 위해 낙태와 자궁내 장치 삽입을 전면 금지했다.[20][8]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낙태 시술을 한 산부인과 의사는 벌금형을, 비(非) 산부인과 의사는 최대 3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20]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의 피임 및 낙태 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불법 낙태, 특히 혜산시와 같은 낙후된 지역에서 위험한 낙태가 증가하는 추세이다.[16][4] 미혼 여성들은 처벌을 피하기 위해 의사나 조산사의 집에서 불법 낙태 시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20][8] 한편, 북한에서 성 감별 낙태가 행해지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18][6]
2. 1. 1970년대~1990년대: 피임 도입과 낙태 허용 및 금지
1970년대와 1980년대 북한은 현대적인 피임 방법을 도입하여 산부인과 병원과 모성 상담 센터 등에서 경구 피임약, 콘돔, 자궁 내 장치(IUD)를 제공했다.[15][3] 1980년대 후반부터 성 개방 문화와 성매매 증가로 혼전·혼외 임신이 증가하면서[16][22][4][10] 1983년 낙태가 합법화되었으나, 1993년에 다시 금지되었다.[15][3] 1990년대 출산 장려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피임약은 계속 사용되었다.[15] [3]2. 2. 2000년대 이후: 낙태 금지와 불법 낙태
2000년대 이후 북한의 낙태율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1998년 인구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기혼 여성 낙태율은 1.77%였으나, 2001년에는 1.11%로 감소했다.[16][4] 2014년 유엔 개발 계획의 조사에서는 기혼 여성의 11%가 낙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7][5]2015년 북한 당국은 출산율 감소를 막기 위해 낙태와 자궁내 장치 삽입을 전면 금지했다.[20][8]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낙태 시술을 한 산부인과 의사는 벌금형을, 비(非) 산부인과 의사는 최대 3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밝혔다.[20]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병원에서의 피임 및 낙태 서비스 부족으로 인해 불법 낙태, 특히 혜산시와 같은 낙후된 지역에서 위험한 낙태가 증가하는 추세이다.[16][4] 미혼 여성들은 처벌을 피하기 위해 의사나 조산사의 집에서 불법 낙태 시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20][8] 한편, 북한에서 성 감별 낙태가 행해지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18][6]
3. 강제 낙태
탈북자들과 비정부기구들의 보고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국가안전보위부 요원들에 의해 강제 낙태가 자행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 임신 후 강제 송환된 탈북 여성들에게 흔하게 발생한다고 한다.[23][11] 2002년 초에는 교도소에서 강제 낙태와 영아 살해가 있었다는 보고도 있었다.[16][4]
중국에서 강제 결혼과 매춘을 강요당한[21][9] 북한의 인신매매 피해자들이 탈출을 시도하면 강제로 북한으로 송환된다. 2022년 6월, 북한인권위원회와 국제변호사협회 전범위원회는 다년간의 조사 결과 "중국인 아기를 낳게 될 경우 강제 낙태 집행"이라는 북한 정책의 증거가 입증되었다고 보고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의 이 정책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북한 민족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공식적인 이념에 의해 추진되었다"고 결론지었다.[23][11]
정치범수용소에서도 교도관들이 여성 수감자들을 성폭행한 후 강제 낙태를 진행했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22][10] 강제 낙태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 정치범들, 그리고 정부 관리들에 의한 강간으로 인한 임신에도 흔하다고 미국 국무부의 2022년 보고서에 명시되었다.[23][11] 1992년에 진행한 연구에서는 북한이 고 위험군의 임신을 면밀히 관찰하고 임신 6개월 째에 초음파 검사 후 기형 태아에게 낙태를 시행하는 것을 발견하였다.[24][12]
3. 1. 정치범수용소와 강제 낙태
탈북자들과 비정부기구들의 보고에 따르면, 북한 여성들은 국가안전보장부 관리들에 의해 강제낙태의 대상이 되어 왔다고 한다.[23][11] 특히 강제 낙태는 중국에서 임신을 하고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북한 여성들에게 흔히 발생한다.[23][11] 2002년 초에는 교도소에서 강제 낙태와 영아 살해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었다.[16][4]중국에서 강제결혼과 매춘을 당한[21][9] 북한의 인신매매 피해자들이 탈출을 시도하면 강제로 북한으로 송환된다. 2022년 6월, 북한 인권 위원회와 국제변호사협회 전범위원회는 다년간의 조사 결과 "중국인 아기를 낳게 될 경우 강제 낙태 집행"이라는 북한 정책의 증거가 입증되었다고 보고했다. 위 보고서는 북한의 이 정책이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북조선 민족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공식적인 이념에 의해 추진되었다"고 결론지었다.[23][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범수용소에서도 교도관들이 여성 수감자들을 성폭행한 후 강제 낙태를 진행했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22][10] 강제 낙태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 정치범들, 그리고 정부 관리들에 의한 강간으로 인한 임신에도 흔하다고 미국 국무부의 2022년 보고서에 명시되었다.[23][11] 1992년에 진행한 연구에서는 북한이 고 위험군의 임신을 면밀히 관찰하고 임신 6개월 째에 초음파 검사 후 기형 태아에게 낙태를 시행하는 것을 발견하였다.[24][12]
3. 2. 기타 강제 낙태 사례
탈북자들과 비정부기구들의 보고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국가안전보장부 관리들에 의해 강제 낙태가 시행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중국에서 임신하고 북한으로 강제 송환된 여성들에게 흔하게 발생한다.[23][11] 2002년 초에는 교도소에서 강제 낙태와 영아 살해가 있었다는 보고도 있었다.[16][4]중국에서 강제 결혼과 매춘을 강요당한 북한의 인신매매 피해자들은 탈출을 시도하면 강제로 북한으로 송환된다.[21][9] 2022년 6월, 북한인권위원회와 국제변호사협회 전범위원회는 다년간의 조사 결과 "중국인 아기를 낳게 될 경우 강제 낙태 집행"이라는 북한 정책의 증거가 입증되었다고 보고했다. 이 정책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북조선 민족의 순수성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공식적인 이념에 의해 추진"되는 것으로 결론지어졌다.[23][11]
정치범수용소에서도 교도관들이 여성 수감자들을 성폭행한 후 강제 낙태를 진행했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22][10] 미국 국무부의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강제 낙태는 장애인, 정치범, 그리고 정부 관리들에 의한 강간으로 인한 임신에도 흔하다고 명시되었다.[23][11] 1992년에 진행한 연구에서는 북한이 고위험군의 임신을 면밀히 관찰하고 임신 6개월 째에 초음파 검사 후 기형 태아에게 낙태를 시행하는 것을 발견하였다.[24][12]
4. 성 선택 낙태
참조
[1]
웹사이트
In the Kim Jong Un Era, What Is the Reality of Social Control and Punishment in North Korea?
https://repo.kinu.or[...]
2023-07-24
[2]
서적
Abortio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77
[3]
서적
North Korea's Income-Population Puzzle
https://repo.kinu.or[...]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21
[4]
서적
Unsafe Abortion and Women's Health: Change and Liberaliz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5]
웹사이트
Abortion Policy Landscap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6]
논문
Do Parents Prefer Sons in North Korea?
1999-09
[7]
서적
South Korea: A Socioeconomic Overview from the Past to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8]
뉴스
North Korea Forbids Doctors To Perform Abortions, Implant Birth Control Devices
https://www.rfa.org/[...]
2015-10-14
[9]
서적
Escape from North Korea: The Untold Story of Asia's Underground Railroad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2012
[10]
서적
White Pape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2015
https://books.googl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2015-09-24
[11]
웹사이트
2022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North Korea
https://www.state.go[...]
2023-08-24
[12]
논문
Demographic changes in north Korea: 1993–2008
https://www.academia[...]
2012
[13]
웹인용
김정은 시대 북한의 사회통제와 처벌 실태는 어떠한가?
https://repo.kinu.or[...]
2023-07-24
[14]
서적
낙태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77
[15]
서적
북한의 소득-인구 문제
https://repo.kinu.or[...]
통일연구원
2021
[16]
서적
안전하지 못한 낙태와 여성의 건강: 변화와 자유화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7]
웹인용
낙태정책의 현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18]
저널
북한에서는 부모들이 아들을 선호할까요?
https://archive.org/[...]
1999-09
[19]
서적
South Korea: A Socioeconomic Overview from the Past to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
[20]
뉴스
북한정부가 의사들이 낙태 수술을 하는 것을 금지하자 사람들은 산아제한 장치를 이식한다
https://www.rfa.org/[...]
2015-10-14
[21]
서적
탈북이후: 전해지지 않는 이야기
https://books.google[...]
Encounter Books
2012
[22]
서적
2015년 북한인권백서
https://books.google[...]
통일연구원
2015-09-24
[23]
웹인용
2022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North Korea
https://www.state.go[...]
2023-08-24
[24]
저널
북한의 인구구조변화 : 1993~2008
https://www.academia[...]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