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공임신중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공임신중절은 인위적인 임신 중단을 의미하며, 각 국가별로 법적, 사회적 입장이 다르다. 대한민국에서는 2019년 헌법재판소의 헌법 불합치 결정으로 낙태죄가 폐지되었지만, 모자보건법에 따라 특정 사유에 한해 임신 24주 이내의 인공임신중절 수술을 허용한다. 인공임신중절은 수술 방법, 시기에 따라 소파술, 흡인술, 유도 분만, 자궁절개술 등으로 나뉘며, 부작용 및 후유증,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각국의 법률과 정책은 낙태 허용 범위, 조건, 사회적 인식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낙태율은 국가별로 큰 편차를 보인다. 인공임신중절을 줄이기 위해 성교육, 응급 피임약 접근성 확대, 특별입양, 위탁 부모 제도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낙태 - 커탄지 브라운 잭슨
    커탄지 브라운 잭슨은 2022년 미국 대법원 부대법관으로 취임한 미국의 법조인으로, 하버드 대학교와 로스쿨을 졸업하고 연방 공공 변호인 경력을 가지며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여성 대법관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 낙태 - 낙태법
    낙태법은 임신 중절을 규율하는 법률로, 사회와 문화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허용 또는 제한되어 왔으며, 20세기 이후 자유화 추세에도 불구하고 합법성과 접근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인공임신중절
인공 임신 중절
분야산과학
부인과학
메들린플러스007382
이메디신252560
메시 IDD000028

2. 대한민국 법제상의 인공임신중절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형법 제269조(낙태) 및 제270조(의사 등의 낙태, 부동의낙태)에 따라 낙태를 한 여성과 시술자를 처벌했었다.[1] 그러나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과 2021년 1월 1일 낙태죄 폐지로 인해 현재는 처벌받지 않는다.

다만, 낙태죄 폐지 이전에도 모자보건법 제1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라 특정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되었다.[2] 허용 사유는 다음과 같다.

허용 사유
본인이나 배우자가 연골무형성증, 낭성섬유증 등 유전학적 질환이나 풍진, 톡소플라즈마증 등 전염성 질환을 가진 경우
강간 또는 준강간에 의한 임신, 법률상 혼인할 수 없는 혈족 또는 인척 간의 임신
임신 유지가 모체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이 경우, 임신 24주 이내에 본인과 배우자의 동의를 받아 수술을 할 수 있었다. 배우자가 사망, 실종 등으로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본인 동의만으로 가능했다.[2]

2. 1.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2019년)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낙태죄’를 정하여 인위적인 낙태를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에서 낙태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후 수정된 법안이 발의되지 않아 2021년 1월 1일 낙태죄는 폐지되었다.

과거에는 형법 제269조에 따라 낙태를 한 임신부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고, 임신부 외에 낙태행위를 한 사람 또한 처벌했었다. 다만, 모자보건법의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낙태죄로 처벌하지 않았다.

2. 2. 낙태죄 폐지 (2021년)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낙태죄’를 정하여 인위적인 낙태를 전면적으로 금지하고, 낙태를 한 임신부는 형법 제269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임신부 외에 낙태행위를 한 사람 또한 처벌했었다. 그러나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에서 낙태죄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고, 이후 수정된 법안이 발의되지 않아 2021년 1월 1일 낙태죄는 폐지되었다.

다만, 과거에도 모자보건법의 인공임신중절 허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낙태죄로 처벌하지 않았다.

2. 3.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 허용 사유

대한민국에서는 2021년 1월 1일 낙태죄가 폐지되기 전에도 모자보건법에 따라 특정 사유에 해당하면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되었다. 모자보건법 제14조(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에 따르면, 의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에 본인과 배우자(사실상의 혼인관계에 있는 사람을 포함)의 동의를 받아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할 수 있었다.[2]

허용 사유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우생학적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이 있는 경우[2]
본인이나 배우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염성 질환이 있는 경우[2]
강간 또는 준강간에 의하여 임신된 경우[2]
법률상 혼인할 수 없는 혈족 또는 인척 간에 임신된 경우[2]
임신의 지속이 보건의학적 이유로 모체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고 있거나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2]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15조에 따르면, 임신 24주일 이내인 사람만 인공임신중절수술을 할 수 있었다.[2] 이때, 허용되는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우생학적 또는 유전학적 정신장애나 신체질환: 연골무형성증, 낭성섬유증 및 그 밖의 유전성 질환으로서 그 질환이 태아에 미치는 위험성이 높은 질환[2]
  • 전염성 질환: 풍진, 톡소플라즈마증 및 그 밖에 의학적으로 태아에 미치는 위험성이 높은 전염성 질환[2]


배우자의 사망·실종·행방불명,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로 동의를 받을 수 없으면 본인의 동의만으로 수술을 할 수 있었다. 본인이나 배우자가 심신장애로 의사표시를 할 수 없을 때에는 그 친권자나 후견인의 동의로, 친권자나 후견인이 없을 때에는 부양의무자의 동의로 각각 그 동의를 갈음할 수 있었다.[2]

3. 인공임신중절술의 종류

인공임신중절술은 임신 주 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된다.[370]

인공임신중절술의 종류
임신 주수시술 방법설명비고
임신 초기 (12주 미만)소파술큐렛이라는 강철 칼을 사용하여 태아의 신체를 절단하여 긁어내는 수술. 출혈이 많고, 자궁천공, 감염 등의 위험이 있으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임신 초기 (12주 미만)흡인술튜브 모양의 관을 자궁에 넣어 태아의 신체와 태반을 진공으로 빨아내는 수술. 소파술보다 출혈과 감염증 발생률이 낮다.
임신 4개월 이후유도분만자궁경부에 라미나리아를 삽입하여 넓힌 후 태아, 태반 등을 꺼낸다.
임신 13주 이후 (주로 4~5개월)프로스타글란딘 약제약제를 질에 삽입하거나 자궁에 주입하여 자궁경부를 연화, 자궁 수축, 경관 팽창을 유도하여 임신산물을 배출시킨다.
임신 중기, 임신부가 중증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옥시토신 주사법옥시토신 정맥주사로 자궁을 수축시켜 유산하게 한다. 수분중독증, 자궁파열 등의 부작용이 있다.
임신 24주 이후자궁절개술산모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꺼내는 수술. 제왕절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대한민국에서는 원칙적으로 불법이다.태아 생존 확률이 높아 시술 시 살인죄로 처벌될 수 있음
임신 중기, 자궁 출혈 과다 시자궁절제술자궁을 제거하는 수술. 더 이상 임신이 불가능하다.


3. 1. 임신 초기 (12주 미만)

인공임신중절은 임신 주 수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시행된다. 임신 초기(12주 미만)에는 주로 흡인술이나 소파술이 시행된다.[370]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과 같이 법정 임신 중절 기한 또는 의학적 사유를 제외한 임의 임신 중절 기한을 이 초기 임신 중절에 해당하는 시기까지로 제한하는 나라도 있다.[13]

진공 흡인법


세계 보건 기구(WHO)는 소파술은 시대에 뒤떨어진 외과적 낙태 방법이며, 진공 흡인법 또는 약물에 의한 낙태 방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25] 반면, 일본 산부인과 의사회는 자국의 소파술은 역사도 있으며, 숙련된 의사는 안전하게 시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9]

2021년 7월, 후생노동성은 일본 산부인과 의사회와 일본 산부인과학회에 WHO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전동식 흡인법과 수동식 흡인법을 주지할 것을 요구하는 통지를 발송했다.[26]

3. 1. 1. 약물에 의한 중절

미페프리스톤(RU-486)은 임신 초기에 자궁내막 발달을 돕는 황체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의 작용을 차단하여 자궁내막을 파괴하고 태아를 자궁에서 떨어져 나가게 하는 낙태약이다.[370] 단독 사용 시 낙태 실패율이 20~40%에 이르기 때문에, 자궁수축제인 프로스타글라딘과 함께 사용하여 낙태 성공률을 높인다.[370] 부작용이 많아 한국에서는 허용되지 않고 있다.[370]

일본, 폴란드, 아일랜드 등 미페프리스톤이 승인되지 않은 국가에서는 소파술 또는 흡인 시술이 선택된다. 이는 자궁 천공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고 안전성 측면에서 "약물 낙태"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미페프리스톤이 개발되기 전에는 임신 초기에도 흡인술이나 소파술이 우선적인 선택이었지만, 미페프리스톤이 승인된 국가에서는 위험 문제로 인해 우선적인 선택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또한, 자궁내막이 얇아지는 자궁내막 위축, 자궁에 구멍이 생기는 자궁 천공[19] 및 수술 후 아셔만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며, 불임이 되는 경우도 있다.

세계 70개 국가 및 지역이 승인한 미페프리스톤·미소프로스톨 낙태약은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WHO도 권장하고 있다.[28] 많은 국가에서 수술보다 약물 낙태 비율이 높으며, 핀란드에서는 약물 97%, 수술 3%로 국제적으로는 약물 낙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28]

3. 1. 2. 소파술과 흡인법

인공임신중절술은 크게 소파술과 흡인술로 나뉜다.[370]
소파술은 태아를 긁어내 배출하는 수술로, 주로 임신 16주 이내에 시술된다.[370] 해초로 만든 '라미나리아'라는 경부 확장물을 자궁경부에 삽입하여 자궁경부를 부드럽게 만든 후, 큐렛이라는 강철 칼을 사용하여 태아의 신체를 절단하여 긁어낸다.[370] 이 수술은 출혈이 많고, 자궁천공, 출혈, 수술감염증 등의 위험이 있으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370]
흡인술은 태아를 관으로 빨아 배출하는 수술로, 주로 임신 12주 이내에 시술된다.[370] 자궁경부를 확장시킨 후 튜브 모양의 관을 자궁에 넣어 태아의 신체와 태반을 진공으로 빨아낸다.[370] 흡인기의 흡인력은 가정용 진공 청소기보다 20배 정도 강하다.[370] 이후 큐렛으로 훑어 자궁천공이 생길 수 있지만, 출혈과 감염증 발생률이 낮아 소파술보다 우수하다.[370]

세계 보건 기구(WHO)는 2012년 개정판 '안전한 중절: 의료 보건 시스템을 위한 기술 및 정책 핸드북'에서 미페프리스톤(RU-486)과 미소프로스톨을 사용한 약물 유도 낙태를 권고한다.[17] 미페프리스톤은 자궁 내막과 자궁 근의 프로게스테론 작용을 억제하고, 미소프로스톨은 자궁 수축 및 경관 숙화 작용을 한다.[17] 메토트렉세이트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14]

일본에서는 2021년까지 임신 12주 미만의 조기 인공 임신 중절에 약물 사용이 승인되지 않았지만,[17] 2023년 4월 28일 '메피고 팩'이라는 경구 낙태약이 정식 승인되었다.[20] 임신 9주까지의 임산부가 모자 보호법 지정 의사의 처방 하에 복용할 수 있다.[20]

3. 2. 임신 중기 (12주~24주)

임신 중기(12주~24주)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인공임신중절이 이루어진다.[370]

  • 유도분만: 임신 4개월 이후에 시행된다. 자궁경부에 라미나리아를 삽입하여 5cm 정도 넓혀 태아, 태반, 잔류물을 꺼낸다.
  • 프로스타글란딘 약제: 임신 13주 이후, 주로 4~5개월 된 임신 중기의 태아를 낙태할 때에 많이 사용된다. 약제를 질에 삽입하거나 자궁에 주입함으로써 자궁경부를 연화시키고 자궁을 수축시키며 경관(頸管)을 팽창시켜 임신산물을 배출시키는 수술이다.
  • 옥시토신 주사법: 임신부가 혈관질환이나 저산소혈증을 보이는 중증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에는 옥시토신 정맥주사로 자궁을 수축시켜 유산하게 한다. 이 시술은 수분중독증, 자궁파열 등의 부작용이 있다.

3. 3. 임신 후기 (24주 이후)

대한민국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수술은 임신 24주 이내에만 가능하므로, 임신 후기(24주 이후)에 시행되는 인공임신중절은 극히 제한적이다.[370] 이 시기 이후에 시행되는 낙태 목적의 자궁절개술은 원칙적으로 불법이며, 태아의 생존 확률이 높아 시술자가 살인죄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370]

  • 자궁절개술: 산모의 복부와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꺼내는 수술로, 제왕절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370]
  • 자궁절제술: 자궁을 제거하는 수술로, 자궁절개술 등의 낙태 과정에서 자궁 수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출혈이 과다할 경우 시행된다.[370] 이 수술을 받으면 더 이상 임신이 불가능하다.[370]

4. 인공임신중절술의 부작용/후유증

인공임신중절은 시술 과정에서 자궁천공, 출혈, 감염 등의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이후 임신을 원할 때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4. 1. 정신 건강 문제

주어진 원본 소스는 인공임신중절 후 여성의 정신 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신 건강 문제' 섹션에 이 내용을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섹션 제목과 요약에 맞는 새로운 내용을 찾아 작성해야 한다.

5. 각국의 인공임신중절 현황

'''낙태에 관한 국가별 입장'''


세계 각국의 인공임신중절 관련 법률 및 정책은 매우 다양하다. 대한민국에서는 2019년 헌법재판소헌법불합치 결정으로 2021년 낙태죄가 폐지되기 전까지 형법상 낙태죄가 존재했다.[1] 그러나 모자보건법에 따른 예외적인 허용 사유가 존재했다.[1]

일본에서는 모자보호법에 따라 특정 조건 하에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 유럽의 경우, 독일은 임신 초기 상담을 조건으로, 프랑스는 여성의 요청에 따라, 아일랜드는 2018년 국민투표를 통해 제한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고 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미국이 2022년 로 대 웨이드 판결 파기 이후 주별로 다른 법률을 적용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1988년 대법원 판결로 인공임신중절이 전면 합법화되었다.

현시점에서 어떠한 이유로든 낙태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는 국가로는 도미니카 공화국, 온두라스, 몰타, 니카라과, 바티칸 시국이 있다.[69] 또한, 기독교, 이슬람교 또는 불교 신자가 다수인 국가의 대부분에서는 임산부의 생명 또는 건강에 현저한 손해를 가져오는 경우에만 낙태가 허용된다.[69]

5. 1. 아시아

일본에서는 모자보호법에 따라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 모자보호법은 '태아가 모체 밖에서 생명을 보존할 수 없는 시기에 인공적으로 태아 및 그 부속물을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인공임신중절로 정의한다.[58]

헤이안 시대의 『고금물어집』에 이미 낙태에 관한 기재가 보이지만[38], 가장 성행했던 것은 에도 시대이다.[39] 중절이 제도화되기 전에는 민간에 의해 중절이 행해졌다. 메이지 정부는 1868년 산파에 의한 낙태를 금지하고, 1880년1907년 낙태죄를 제정했다.[41] 1940년 국민 우생법은 유전성 질환 단종을 제정하고, '건강한 소질을 가진 자'의 인공임신중절을 규제했다.[53] 태평양 전쟁 후, 후쓰카이치 보양소 등에서 일본 여성에 대한 낙태 수술이 정부 묵인 하에 시행되었다.[57] 1948년 우생보호법이 성립되어 유전적 질환, 강간 등에 의한 임신 중절이 합법화되었다.[56] 1949년 경제적 이유가 중절 사유에 추가되었고,[56] 1996년 우생보호법이 모자보호법으로 개정되었다.[58]

'''일본의 인공 임신 중절 실시율 (출생비)의 비율[36][34][37]'''
연도실시 건수출생 건수실시율
(출생 대비 : %)
1949101,6012,696,6383.8
1950320,1502,337,50713.7
1951458,7572,137,68921.5
1952798,1932,005,16239.8
19531,068,0661,868,04057.2
19541,143,0591,769,58064.6
19551,170,1431,730,69267.6
19561,159,2881,665,27869.6
19571,122,3161,566,71371.6
19581,128,2311,653,46968.2
19591,098,8531,626,08867.6
19601,063,2561,627,93966.2
19611,035,3291,611,77265.1
1962985,3511,639,63160.9
1963955,0921,681,24257.6
1964878,7481,737,27751.2
1965843,2481,844,45246.2
1966808,3781,378,96859.4
1967747,4901,956,72538.6
1968757,3891,893,21940.5
1969744,4511,910,92739.4
1970732,0331,955,27737.8
1971739,6742,022,20437.0
1972732,6532,059,53335.9
1973700,5322,091,98333.5
1974679,8372,029,98933.5
1975671,5971,901,44035.3
1976664,1061,832,61736.2
1977641,2421,755,10036.5
1978618,0441,708,64336.2
1979613,6761,642,58037.4
1980598,0841,576,88937.9
1981596,5691,529,45539.0
1982590,2991,515,39239.0
1983568,3631,508,68737.7
1984568,9161,489,78638.2
1985550,1271,431,57738.4
1986527,9001,382,97638.2
1987497,7561,346,65837.0
1988486,1461,314,00637.0
1989466,8761,246,80237.4
1990456,7971,221,58537.4
1991436,2991,223,24535.7
1992413,0321,208,98934.2
1993386,8071,188,28232.6
1994364,3501,238,32829.4
1995343,0241,187,06428.9
1996338,8671,206,55528.1
1997337,7991,191,66528.3
1998333,2201,203,14727.7
1999337,2881,177,66928.6
2000341,1461,190,54728.7
2001341,5881,170,66229.2
2002329,3261,153,85528.5
2003319,8311,123,61028.5
2004301,6731,110,72127.2
2005289,1271,062,53027.2
2006276,3521,092,67425.3
2007256,6721,089,81823.6
2008242,3261,091,15622.2
2009226,8781,070,03621.2
2010212,6941,071,30519.9
2011202,1061,050,80719.2
2012196,6391,037,23119.0
2013186,2531,029,81718.1
2014181,9051,003,53918.1
2015176,3881,005,72117.5
2016168,015977,24217.2
2017164,621946,14617.4
2018161,741918,40017.6
2019156,430865,23918.0
2020141,433840,83216.8
2021126,174811,60415.5
2022122,725770,74715.9
2023126,734727,28817.4



일본의 인공임신중절 건수는 1955년 117만 건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23년 약 13만 건이다.[34] 출생 대비 인공임신중절 비율은 1955년 67.6%에서 2023년 17.4%로 감소했다.[34] 2023년 기준, 임신자의 중절 비율은 10대 후반(약 69.6%)과 20대 전반(약 40.8%)이 높다.[34][60] 출산 전 진단을 통한 장애아 중절은 명시적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경제적 이유' 확대 해석으로 사실상 행해진다.

과거 중국에서는 유교적 가치관으로 인해 인공임신중절이 사실상 금지되었으나, 한 자녀 정책 시행 후에는 공적으로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후계자인 남아를 원하는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임신 중 성별 검사에서 여아로 판명된 태아를 중절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구 구성이 편중되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226]

인도에서는 임신 20주까지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227] 20주 이후에는 산모의 생명에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지만,[227] 미성년자 성적 학대 등의 경우에는 법원 판단에 따라 20주 이후에도 임신중절이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227]

5. 1. 1. 대한민국

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대한민국에서 ‘낙태죄’를 규정하여 인위적인 낙태를 전면 금지하고, 낙태를 한 임신부를 형법 269조에 따라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낙태 시술을 한 사람 또한 처벌하던 법 조항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다.[1] 이후 개정 법안이 발의되지 않아 2021년 1월 1일 낙태죄는 폐지되었다.[1]

그러나 과거에도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 허용 사유에 해당하면 낙태죄로 처벌받지 않았다.[1]

낙태죄 폐지 후에도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여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 등 보수 진영에서는 태아의 생명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5. 1. 2. 일본

일본에서는 모자보호법에 따라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 모자보호법은 '태아가 모체 밖에서 생명을 보존할 수 없는 시기에 인공적으로 태아 및 그 부속물을 모체 밖으로 배출하는 것'을 인공임신중절로 정의한다.[58]
합법적 중절 사유[58]

다음 두 가지 경우에만 합법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이 가능하다.

  • 임신의 지속 또는 분만이 신체적 또는 경제적 이유로 산모의 건강을 현저히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 폭행 또는 협박에 의하여, 또는 저항하거나 거절할 수 없는 사이에 강간되어 임신한 경우

중절 가능 시기인공임신중절은 임신 22주 미만에만 가능하다.[58] 이는 미숙아의 생존 가능성에 관한 의료 수준 향상에 따라 1990년에 개정된 기준이다.[58]
배우자 동의인공임신중절을 위해서는 배우자의 동의가 필요하다.[62] 미혼인 경우에도 파트너의 동의를 요구하는 병원이 있다.[62] 그러나 이 제도는 성폭력 가해자에게도 동의를 요구해야 하는 문제점을 낳아 비판받고 있다.[62]
최근 판례 및 논란

  • 아이치현에서 연락이 두절된 태아 아버지의 동의를 요구하는 사이 중절 가능 주수를 넘겨 여성이 아이를 유기한 사건이 발생,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 판결을 받았다.[63]
  • 2020년, 성폭력으로 임신한 미혼 여성이 중절 수술을 거부당하는 사례가 발생, 일본 의사회는 배우자 동의 관련 해석 변경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경우 본인 동의만으로 충분하다고 밝혔다.[64]
  • 전국 여성 쉘터 넷은 모자보호법의 배우자 동의 요건 철폐를 요구하는 요구서를 제출했다.[65]
  • 2018년, 오키나와현에서 이혼 조정 중인 여성의 중절 수술을 남편 동의 없이 진행한 의사에 대한 소송에서 법원은 의사의 행위가 합리적이었다고 판결했다.[68]

역사적 배경

  • 에도 시대에 인공임신중절이 성행했다.[39]
  • 메이지 정부는 1868년 산파에 의한 낙태를 금지하고, 1880년과 1907년 낙태죄를 제정했다.[41]
  • 1940년 국민 우생법은 유전성 질환 단종을 제정하고, '건강한 소질을 가진 자'의 인공임신중절을 규제했다.[53]
  • 태평양 전쟁 후, 후쓰카이치 보양소 등에서 일본 여성에 대한 낙태 수술이 정부 묵인 하에 시행되었다.[57]
  • 1948년 우생보호법이 성립되어 유전적 질환, 강간 등에 의한 임신 중절이 합법화되었다.[56]
  • 1949년 경제적 이유가 중절 사유에 추가되었다.[56]
  • 1996년 우생보호법이 모자보호법으로 개정되었다.[58]

통계

'''일본의 인공 임신 중절 실시율 (출생비)의 비율[36][34][37]'''
연도실시 건수출생 건수실시율
(출생 대비 : %)
1949101,6012,696,6383.8
1950320,1502,337,50713.7
1951458,7572,137,68921.5
1952798,1932,005,16239.8
19531,068,0661,868,04057.2
19541,143,0591,769,58064.6
19551,170,1431,730,69267.6
19561,159,2881,665,27869.6
19571,122,3161,566,71371.6
19581,128,2311,653,46968.2
19591,098,8531,626,08867.6
19601,063,2561,627,93966.2
19611,035,3291,611,77265.1
1962985,3511,639,63160.9
1963955,0921,681,24257.6
1964878,7481,737,27751.2
1965843,2481,844,45246.2
1966808,3781,378,96859.4
1967747,4901,956,72538.6
1968757,3891,893,21940.5
1969744,4511,910,92739.4
1970732,0331,955,27737.8
1971739,6742,022,20437.0
1972732,6532,059,53335.9
1973700,5322,091,98333.5
1974679,8372,029,98933.5
1975671,5971,901,44035.3
1976664,1061,832,61736.2
1977641,2421,755,10036.5
1978618,0441,708,64336.2
1979613,6761,642,58037.4
1980598,0841,576,88937.9
1981596,5691,529,45539.0
1982590,2991,515,39239.0
1983568,3631,508,68737.7
1984568,9161,489,78638.2
1985550,1271,431,57738.4
1986527,9001,382,97638.2
1987497,7561,346,65837.0
1988486,1461,314,00637.0
1989466,8761,246,80237.4
1990456,7971,221,58537.4
1991436,2991,223,24535.7
1992413,0321,208,98934.2
1993386,8071,188,28232.6
1994364,3501,238,32829.4
1995343,0241,187,06428.9
1996338,8671,206,55528.1
1997337,7991,191,66528.3
1998333,2201,203,14727.7
1999337,2881,177,66928.6
2000341,1461,190,54728.7
2001341,5881,170,66229.2
2002329,3261,153,85528.5
2003319,8311,123,61028.5
2004301,6731,110,72127.2
2005289,1271,062,53027.2
2006276,3521,092,67425.3
2007256,6721,089,81823.6
2008242,3261,091,15622.2
2009226,8781,070,03621.2
2010212,6941,071,30519.9
2011202,1061,050,80719.2
2012196,6391,037,23119.0
2013186,2531,029,81718.1
2014181,9051,003,53918.1
2015176,3881,005,72117.5
2016168,015977,24217.2
2017164,621946,14617.4
2018161,741918,40017.6
2019156,430865,23918.0
2020141,433840,83216.8
2021126,174811,60415.5
2022122,725770,74715.9
2023126,734727,28817.4


  • 1955년 117만 건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2023년 약 13만 건이다.[34]
  • 출생 대비 인공임신중절 비율은 1955년 67.6%에서 2023년 17.4%로 감소했다.[34]
  • 2023년 기준, 임신자의 중절 비율은 10대 후반(약 69.6%)과 20대 전반(약 40.8%)이 높다.[34][60]
  • 출산 전 진단을 통한 장애아 중절은 명시적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경제적 이유' 확대 해석으로 사실상 행해진다.

중절 방법

  • 전동 흡인관, 수동 진공 흡인법, 소파법 등이 사용된다.[61]
  • 경구 중절약은 일본에서 인가되지 않았다.[61]

5. 1. 3. 중국

과거 중국에서는 유교적 가치관으로 인해 인공임신중절이 사실상 금지되었으나, 한 자녀 정책 시행 후에는 공적으로 인정되었다. 이에 따라, 후계자인 남아를 원하는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임신 중 성별 검사에서 여아로 판명된 태아를 중절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구 구성이 편중되는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226]

5. 1. 4. 인도

인도에서는 임신 20주까지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227] 20주 이후에는 산모의 생명에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지만,[227] 미성년자 성적 학대 등의 경우에는 법원 판단에 따라 20주 이후에도 임신중절이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227]

5. 2. 유럽

루마니아에서는 공산당 정권 시기인 1966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정권이 인구 증가를 목표로 인공 임신 중절과 이혼을 금지했다.[229] 그러나 이는 '차우셰스쿠의 아이들'이나 '맨홀 아이들'로 불리는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었다.[229]

5. 2. 1. 독일

독일에서는 1972년 동독에서 처음으로 여성의 요청에 따라 임신 12주 이내의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는 법률이 제정되었다. 서독에서는 1976년 형법 개정을 통해 특정 조건 하에 임신중절이 허용되었는데, 이는 강간, 건강상의 이유, 사회적응 문제 등이 있는 경우였다.[56]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동서독의 상이한 법률을 조화시키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1992년 연방의회는 임신 초기(12주 이내)에는 상담을 조건으로, 임신 중기(22주 이내)에는 의학적·범죄학적 이유가 있을 때 임신중절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러나 1993년 연방헌법재판소는 이 법안이 태아의 생명권을 침해한다고 판결하여 효력이 중지되었다.[56]

1995년, 독일은 새로운 형법 조항(제218a조)을 통해 임신중절 관련 법제를 정비했다. 이 조항에 따르면, 임신 12주 이내에 의무적인 상담을 거친 경우, 그리고 의학적·범죄학적 적응증이 있는 경우에는 임신중절이 허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 하에서도 임신중절은 여전히 불법으로 간주되며, 다만 처벌을 받지 않을 뿐이다.[56]

독일 사회에서는 임신중절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가톨릭 교회를 비롯한 종교 단체들은 임신중절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여성 단체들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옹호하며 임신중절의 자유화를 주장하고 있다.

5. 2. 2.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1975년 시몬 베유 보건부 장관의 주도로 인공임신중절을 합법화하는 법률인 '베유 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여성의 요청에 따라 임신 10주(이후 14주로 연장)까지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베유 법 통과 이전에는 인공임신중절이 불법이었기 때문에 많은 여성들이 불법 시술로 인해 심각한 위험에 처해 있었다. 베유 법은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 여성의 건강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프랑스 사회에서는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찬반 논쟁이 존재하지만, 대체로 여성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2001년에는 인공임신중절을 방해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법률이 제정되어 여성의 권리를 더욱 강화했다.

5. 2. 3. 아일랜드

가톨릭 국가인 아일랜드는 전통적으로 낙태를 엄격하게 금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사회적 변화와 여성 인권 운동의 영향으로 낙태 금지법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2018년, 아일랜드는 국민투표를 통해 임신 12주까지의 낙태를 허용하는 헌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낙태를 금지해 온 아일랜드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5. 3. 아메리카

미국에서는 1973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통해 여성의 낙태 권리가 헌법적으로 보장되었으나, 2022년 이 판결이 파기되면서 각 주 정부가 낙태를 규제하거나 금지할 수 있게 되었다.

캐나다에서는 1988년 캐나다 대법원의 모르겐탈러 판결을 통해 인공임신중절을 규제하는 법률이 위헌으로 판결되어 전면 합법화되었다.[15] 현재 캐나다에서는 임신 주 수 제한 없이 인공임신중절이 가능하다.[15]

5. 3. 1. 미국

미국에서는 1973년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통해 여성의 낙태 권리가 헌법적으로 보장되었으나, 이는 오랜 기간 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이 판결로 여성은 임신 초기 3개월 동안 자유롭게 낙태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3개월 동안은 주 정부가 일부 규제를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22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로 대 웨이드 판결을 파기하면서 낙태 권리에 대한 헌법적 보호가 사라졌다. 이로 인해 각 주 정부는 낙태를 규제하거나 금지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었고, 실제로 많은 주에서 낙태를 엄격하게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법률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낙태 권리를 지지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사이의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다. 낙태 권리 옹호자들은 여성의 자기 결정권을 강조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으며, 낙태 반대론자들은 태아의 생명권을 주장하며 주 정부의 규제를 지지하고 있다.

5. 3. 2. 캐나다

캐나다에서는 1988년 캐나다 대법원의 모르겐탈러 판결을 통해 인공임신중절을 규제하는 법률이 위헌으로 판결되어, 인공임신중절이 전면 합법화되었다.[15] 이 판결은 해당 법률이 여성의 신체적 자율성과 안전에 대한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했다.[15]

현재 캐나다에서는 임신 주 수 제한 없이 인공임신중절이 가능하다.[15] 공공 의료 보험을 통해 인공임신중절 비용이 지원되지만, 지역에 따라 접근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15]

5. 4. 기타 국가

일본에서는 1948년 우생 보호법이 성립되어 인공임신중절이 조건부로 허용되었고, 1996년 모자 보호법으로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모자 보호법은 임신 22주 미만의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며, 임신 지속이 신체적, 경제적 이유로 모체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거나, 폭행 또는 협박으로 임신한 경우에 한해 허용된다.[34]

일본의 인공임신중절 건수는 1955년 약 117만 건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하여 2023년에는 약 13만 건을 기록했다.[34] 출생 대비 인공임신중절 비율은 1955년 67.6%에서 2023년 17.4%로 감소했다.[36][34][37]

'''일본의 인공 임신 중절 실시율 (출생비)의 비율'''[36][34][37]
연도실시 건수출생 건수실시율
(출생 대비 : %)
1949101,6012,696,6383.8
19551,170,1431,730,69267.6
2023126,734727,28817.4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으로 인한 긴급사태 선언 등의 영향으로 2020년2021년에는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이후 다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59]

프랑스에서는 1975년 시몬 베유 보건부 장관의 주도로 인공임신중절이 합법화되었다.[243] 이는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대통령 정권하에서 이루어졌으며, 가톨릭 국가 중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244] 여성 해방 운동의 영향과 배우들의 지지가 합법화에 영향을 미쳤다.[244]

6. 인공임신중절 관련 논쟁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논쟁은 사회 각계각층에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포르투갈은 1984년에 "성범죄 피해", "태아 기형", "모체의 위험"의 경우에 한해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했다.[245] 폴란드는 민주화 이후 인공임신중절을 엄격하게 규제했지만, 여성들의 불법 시술과 해외 원정 중절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2015년부터는 네덜란드의 한 단체가 '낙태 드론'을 이용해 폴란드 여성들에게 중절 약물을 제공하기도 했다.[246][247][248] 폴란드에서는 중절 규제 강화 시도에 대한 반대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249] 산마리노에서는 2021년 국민투표를 통해 인공임신중절 합법화가 결정되었다.[250]

6. 1. 찬성 (프로 초이스) 측 주장

폴란드에서는 민주화 이후 1993년부터 인공임신중절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법률이 시행되었다.[246] 국민의 90%가 가톨릭교인인 영향이 크다고 여겨진다.[247][249] 합법적으로 인정되는 경우는 강간 피해자나 근친상간, 모체에 건강상 위험이 있는 경우, 태아의 선천적 이상 등 일부의 경우뿐이다.[246][247] 그 때문에 연간 5만 명의 여성이 비합법적인 위험한 중절 수술을 받거나, 해외로 이동하여 중절 수술을 받고 있다.[246][247]

2015년,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승인된 미페프리스톤은 폴란드에서 승인되지 않았다.[248] 이에 네덜란드의 비영리 프로 초이스 단체가 드론을 사용하여 미페프리스톤을 밀수하여 폴란드 국내 여성에게 배포하는 '낙태 드론(Abortion Drone)'을 2015년부터 운용하고 있다.[246][247][248] 2016년 10월, 여당 '법과 정의'는 중절 금지 법안을 더욱 강화하여 중절이 모체에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에만 허용하는 개정안을 시도했다.[249] 그러나 반대 운동이 전국 곳곳에서 일어나 규제 강화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었고, 총리도 우려하는 논평을 발표했다.[249] 같은 해 10월 6일, 강화 법안은 하원 의회에서 반대 다수로 부결되었다.[249]

6. 2. 반대 (프로 라이프) 측 주장

포르투갈은 1984년 1월 27일에 "성범죄 피해", "태아 기형", "모체의 위험"의 경우에 한해 인공임신중절을 합법화했다.[245] 이탈리아 영토로 둘러싸여 있으며, 가톨릭 신자가 많은 소국 산마리노에서는 2021년 9월 26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합법화 찬성이 77%를 넘었다.[250]

7. 인공임신중절 회피를 위한 노력

인공임신중절을 줄이기 위한 노력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정확한 피임 방법을 교육하고, 응급 피임약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원치 않는 임신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7. 1. 특별입양 제도

제공된 원본 소스(`source`)에는 '인공임신중절' 문서의 '특별입양 제도'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2. 위탁 부모 제도

(없음)

참조

[1] 서적 発音・解説付 英和医語中字典 文光堂 1953-11-07
[2] 뉴스 【デスク日記】「あのころは『アウス医者』がたくさんおった https://web.archive.[...] 西日本新聞 2018-09-15
[3] 웹사이트 「結婚・離婚・出産」に対する「世界の宗教」の考え方 https://diamond.jp/a[...] 2019-09-06
[4] 웹사이트 「結婚・離婚・出産」に対する「世界の宗教」の考え方 https://diamond.jp/a[...] 2019-09-06
[5] 웹사이트 アルゼンチン、中絶合法化 ローマ教皇は反発 https://www.nikkei.c[...] 2020-12-31
[6] 웹사이트 米で勢いづく「人工中絶の反対派」…キリスト教信仰に基づき、殺人とみなす考え方 : 国際 : ニュース https://www.yomiuri.[...] 2021-10-19
[7] 웹사이트 妊娠は神の計画 「赤ん坊991人を救った」女性が語る生命の始まり: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4-14
[8] 웹사이트 米連邦最高裁 “中絶は女性の権利”だとした49年前の判断覆す https://web.archive.[...] 2022-10-03
[9] 웹사이트 米FDAが人工妊娠中絶薬の郵送を承認~リプロダクティブヘルスにとって勝利である理由~ https://www.harpersb[...] 2022-10-03
[10] 웹사이트 米国、中絶薬が薬局で入手可能に FDAが規制緩和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2-27
[11] 웹사이트 Abortion care guideline https://srhr.org/abo[...] 2022-04-15
[12] 웹사이트 堕胎罪とは https://kotobank.jp/[...] 2022-04-13
[13] 간행물 ドイツにおける妊娠中絶法の改革 -国際的比較法的観点におい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法学部
[14] 간행물 Current evidence on surgery, systemic methotrexate and expectant management in the treatment of tubal ectopic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5] 웹사이트 医薬品インタビューフォームプレグランディン膣坐剤 https://image.packag[...] 2022-10-3
[16] 웹사이트 ゲメプロスト https://www.pmda.go.[...] 2022-10-03
[17] 웹사이트 3.早期人工流産(以下,妊娠12 週未満の人工妊娠中絶)について http://www.jaog.or.j[...] 2019-06-25
[18] 웹사이트 経口中絶薬 年内めど承認申請へ “治験で有効性 安全性確認” https://web.archive.[...] 2021-10-14
[19] 웹사이트 “戦後まもなくから変わらない”日本の中絶 https://web.archive.[...] 2021-10-14
[20] 웹사이트 「飲む中絶薬」正式承認、厚労省 妊娠9週までの妊婦が対象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3-04-28
[21] 문서 医療用医薬品 : サイトテック https://www.kegg.jp/[...]
[22] 웹사이트 国内初の飲む中絶薬「メフィーゴパック」、発売半年で724人服用…副作用14件も重篤例なし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4-04-22
[23] 뉴스 About Women on Web https://www.womenonw[...] 2020-05-29
[24] 웹사이트 I need an abortion https://www.womenonw[...] 2020-05-29
[25] 웹사이트 Safe abortion: technical and policy guidance for health systems, 2nd ed. https://hdl.handle.n[...]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20-05-02
[26] 웹사이트 "「人工妊娠中絶等手術の安全性等について(依頼)」令和3年7月2日付け付け子母発 0702 第1号 厚生労働省子ども家庭局母子保健課長" https://www.jsog.or.[...] 2021-09-30
[27] 웹사이트 より安全な中絶・流産広まるか 世界の潮流は「吸引法」 厚労省、学会に周知するよう通知 https://www.tokyo-np[...] 2021-09-30
[28] 웹사이트 Trends in the method and gestational age of abortion in high-income countries https://srh.bmj.com/[...] BMJ jarnal 2021-09-30
[29] 서적 選べなかった命 文藝春秋 2018-07
[30] 문서 "「妊娠4か月(12週)未満の中絶胎児の取扱いに関するアンケート調査結果及び今後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報道発表資料 2004-09-24
[31] 서적 捨てられるいのち、利用されるいのち : 胎児組織の研究利用と生命倫理 生活書院 2009-02
[32] 문서 "中絶胎児(細胞)利用の衝撃" NHKオンライン
[33] 웹사이트 中絶胎児の臓器売買疑惑 共闘が徹底追及 大統領選の争点に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6-02
[34] 웹사이트 令和5年度衛生行政報告例 付表F06 人工妊娠中絶件数,年齢階級・年次別 https://www.e-stat.g[...] 2024-11-03
[35] 웹사이트 令和5年度衛生行政報告例 付表F07 人工妊娠中絶実施率(女子人口千対),年齢階級・年次別 https://www.e-stat.g[...] 2024-11-03
[36] 웹사이트 2024年版人口統計資料集 Ⅳ.出生・死産 表4-20 人工妊娠中絶数および不妊手術数 https://www.ipss.go.[...] 2024-05-10
[37] 웹사이트 人口動態調査 令和5年人口動態統計 上巻 出生 表4-1 年次別にみた出生数・出生率(人口千対)・出生性比及び合計特殊出生率 https://www.e-stat.g[...] 2024-09-17
[38] 문서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国史大系 第16巻』663頁~669頁 『今昔物語集』巻十二:書寫山性空聖人語第卅四 https://dl.ndl.go.jp[...] 経済雑誌社 1901-10-15
[39] 문서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堕胎間引の研究』9頁~54頁 https://dl.ndl.go.jp[...] 中央社会事業協会社会事業研究所 1936-10-07
[40] 뉴스 下谷白鼠横丁、堕胎施術を商売 https://dl.ndl.go.jp[...] 新聞集成明治編年史 1936-1940
[41] 뉴스 産婆、売薬禁止、堕胎禁止 https://dl.ndl.go.jp[...] 新聞集成明治編年史 1936-1940
[42] 뉴스 堕胎組ゾロゾロ出頭 https://dl.ndl.go.jp[...] 新聞集成明治編年史 1936-1940
[43] 뉴스 戦慄すべき堕胎事件 https://dl.ndl.go.jp[...] 朝日新聞社 1926
[44] 서적 助産婦の戦後 (株)勁草書房 1989-04-20
[45] 뉴스 馬島僴氏 執行猶予 1936-07-01
[46] 뉴스 堕胎女医に懲役8ヶ月 1935-07-28
[47] 뉴스 中佐未亡人の判決 1931-05-09
[48] 뉴스 執行猶予の恩典 暁子嬉し泣き 1936-11-25
[49] 뉴스 悪産婆とその夫 三百名堕胎 全国的に手をのばす 1932-02-07
[50] 뉴스 堕胎魔を躍らせ悪どいダニ男検挙 1935-08-12
[51] 뉴스 貧しき親達に何故生ます? 1934-09-19
[52] 뉴스 小川隆四郎、法廷で堕胎の気焔 1931-10-08
[53] 웹사이트 第1章 国民優生法の制定過程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8-19
[54] 웹사이트 優生法にみられる日本人の倫理観 https://www.cf.ocha.[...] お茶の水女子大学 2024-08-19
[55] 웹사이트 国際人権と優生思想 https://www.hurights[...] ヒューライツ大阪(一般財団法人アジア・太平洋人権情報センター) 2024-08-19
[56] 서적 沈黙の四十年 中央公論社 1985-07-20
[57] 뉴스 "引揚途中の強姦被害者47人 加害男性の国籍は朝鮮、ソ連など"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15-06-19
[58] 웹사이트 表4-21 人工妊娠中絶数および不妊手術数:1949~2004年 https://www.ipss.go.[...] 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 2024-09-02
[59] 뉴스 妊娠中絶 去年5月以降減少 新型コロナによる収入減で中絶も https://www3.nhk.or.[...] 2024-01-28
[60] 웹사이트 人口動態調査 令和5年人口動態統計 上巻 出生 表4-6 母の年齢(5歳階級)別にみた年次別出生数・百分率及び出生率(女性人口千対) https://www.e-stat.g[...] 2024-09-17
[61] 뉴스 目を背けてはいけない 日本の中絶問題 産婦人科医 遠見才希子さんインタビュー<最終回>【#FocusOn】 https://woman.excite[...] 2020-07-01
[62] 웹사이트 性暴力による妊娠中絶、なぜ「加害者の同意」が必要? 厚生省は通達で「いやしくも便乗して…」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20-07-11
[63] 뉴스 <法廷の窓 ドキュメンタリー> 予期せぬ妊娠 孤立深めた先に…(愛知・西尾赤ちゃん遺棄事件) https://www.chunichi[...] 2021-11-03
[64] 간행물 配偶者の同意に関する 日本医師会の疑義解釈照会文とその回答 日本産婦人科医会から回答が届きました http://association.o[...] 岡山県産婦人科医会 2021-03-18
[65] 뉴스 中絶に「配偶者の同意」求めず 婚姻関係破綻なら 厚労省方針 https://mainichi.jp/[...] 2021-03-14
[66] 뉴스 “戦後まもなくから変わらない”日本の中絶 https://web.archive.[...] 2021-11-03
[67] 보고서 要望書 https://2020-japan.w[...] 2021-11-03
[68] 문서 https://mainichi.jp/[...]
[69] 문서 Table 2: Countries by legal grounds for abortion (recoded)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9). World Population Policies 2017: Abortion laws and policies.
[70] 웹사이트 Viet Nam https://www.guttmach[...] 2022-10-26
[71] 웹사이트 "Madagascar {{!}} Guttmacher Institute" https://www.guttmach[...] 2022-10-25
[72] 웹사이트 Guinea-Bissau https://www.guttmach[...] 2022-10-27
[73] 웹사이트 Cuba https://www.guttmach[...] 2022-10-25
[74] 웹사이트 Cabo Verde https://www.guttmach[...] 2022-10-27
[75]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Greenland http://www.johnstons[...] 2023-02-01
[76] 웹사이트 Greenland: population by gender 2023 https://www.statista[...] 2024-01-17
[77] 웹사이트 India https://www.guttmach[...] 2022-10-25
[78] 웹사이트 Trinidad and Tobago https://www.guttmach[...] 2022-10-27
[79] 웹사이트 Cambodia https://www.guttmach[...] 2022-10-25
[80] 웹사이트 "Sierra Leone {{!}} Guttmacher Institute" https://www.guttmach[...] 2022-10-26
[81] 웹사이트 Barbados https://www.guttmach[...] 2022-10-27
[82] 웹사이트 Congo https://www.guttmach[...] 2022-10-26
[83] 웹사이트 Pakistan https://www.guttmach[...] 2022-10-25
[84] 웹사이트 Kenya https://www.guttmach[...] 2022-10-25
[85] 뉴스 Uganda https://www.guttmach[...] Guttmacher Institute 2022-10-25
[86] 웹사이트 Samoa https://www.guttmach[...] 2022-10-27
[87] 웹사이트 Peru https://www.guttmach[...] 2022-10-25
[88] 웹사이트 Liberia https://www.guttmach[...] 2022-10-26
[89] 웹사이트 Maldives https://www.guttmach[...] 2022-10-27
[90] 웹사이트 Nepal https://www.guttmach[...] 2022-10-25
[91] 웹사이트 Gabon https://www.guttmach[...] 2022-10-26
[92]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www.guttmach[...] 2022-10-25
[93] 웹사이트 Vanuatu https://www.guttmach[...] 2022-10-27
[94] 웹사이트 Sao Tome and Principe https://www.guttmach[...] 2022-10-27
[95] 웹사이트 United Republic of Tanzania https://www.guttmach[...] 2022-10-25
[96] 웹사이트 Haiti https://www.guttmach[...] 2022-10-25
[97] 웹사이트 "Bolivia {{!}} Guttmacher Institute" https://www.guttmach[...] 2022-10-25
[98] 웹사이트 Jamaica https://www.guttmach[...] 2022-10-26
[99] 웹사이트 Ghana https://www.guttmach[...] 2022-10-25
[100] 웹사이트 Dominican Republic https://www.guttmach[...] 2022-10-25
[101] 웹사이트 Saint Lucia https://www.guttmach[...] 2022-10-27
[102]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www.guttmach[...] 2022-10-25
[103]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https://www.guttmach[...] 2022-10-25
[104] 웹사이트 Guyana https://www.guttmach[...] 2022-10-27
[105] 웹사이트 Bangladesh https://www.guttmach[...] 2022-10-25
[106] 웹사이트 Côte d'Ivoire ! Guttmacher Institute https://www.guttmach[...] 2022-10-25
[107] 웹사이트 Zamb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08] 웹사이트 Cameroon https://www.guttmach[...] 2022-10-25
[109] 웹사이트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https://www.guttmach[...] 2022-10-26
[110] 웹사이트 Paraguay https://www.guttmach[...] 2022-10-26
[111] 웹사이트 Timor-Leste https://www.guttmach[...] 2022-10-27
[112] 웹사이트 Over two million abortions occur annually in Nigeria – IPAS https://thisnigeria.[...] 2021-04-14
[113] 웹사이트 Over 3 million abortion cases in Nigeria yearly https://www.chronicl[...] 2020-01-26
[114] 웹사이트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guttmach[...] 2022-10-25
[115] 웹사이트 Argentina https://www.guttmach[...] 2022-10-25
[116] 웹사이트 Angola https://www.guttmach[...] 2022-10-25
[117] 웹사이트 Brazil https://www.guttmach[...] 2022-10-25
[118] 웹사이트 Benin https://www.guttmach[...] 2022-10-25
[119] 웹사이트 Togo https://www.guttmach[...] 2022-10-26
[120] 웹사이트 Bhutan https://www.guttmach[...] 2022-10-27
[121]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https://www.guttmach[...] 2022-10-27
[122] 웹사이트 Belize https://www.guttmach[...] 2022-10-27
[123] 웹사이트 Mexico https://www.guttmach[...] 2022-10-25
[124] 웹사이트 Malawi https://www.guttmach[...] 2022-10-25
[125] 뉴스 Kyrgyzstan https://www.guttmach[...] Guttmacher Institute 2022-10-26
[126] 웹사이트 Puerto Rico https://www.guttmach[...] 2022-10-26
[127] 웹사이트 Botswana https://www.guttmach[...] 2022-10-26
[128] 웹사이트 Comoros https://www.guttmach[...] 2022-10-27
[129] 웹사이트 Suriname https://www.guttmach[...] 2022-10-27
[130] 웹사이트 South Africa https://www.guttmach[...] 2022-10-25
[131] 웹사이트 Burkina Faso https://www.guttmach[...] 2022-10-25
[132] 웹사이트 Panama https://www.guttmach[...] 2022-10-26
[133]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34] 웹사이트 Namibia https://www.guttmach[...] 2022-10-26
[135] 웹사이트 Eswatini https://www.guttmach[...] 2022-10-27
[136] 웹사이트 French Guiana https://www.guttmach[...] 2022-10-27
[137] 뉴스 Limiting access to abortions won’t solve China’s population woes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4-01-17
[138] 웹사이트 Sri Lanka https://www.guttmach[...] 2022-10-25
[139] 웹사이트 Ecuador https://www.guttmach[...] 2022-10-25
[140] 웹사이트 Rwanda https://www.guttmach[...] 2022-10-25
[141] 웹사이트 Colomb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42] 웹사이트 Central African Republic https://www.guttmach[...] 2022-10-26
[143] 웹사이트 Myanmar https://www.guttmach[...] 2022-10-25
[144] 뉴스 Guinea https://www.guttmach[...] 2022-10-25
[145] 웹사이트 Burundi https://www.guttmach[...] 2022-10-25
[146] 웹사이트 Tajikistan https://www.guttmach[...] 2022-10-25
[147] 웹사이트 Indones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48] 웹사이트 Thailand https://www.guttmach[...] 2022-10-25
[149] 웹사이트 South Sudan https://www.guttmach[...] 2022-10-25
[150] 웹사이트 Tonga https://www.guttmach[...] 2022-10-27
[151] 웹사이트 Ethiop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52] 웹사이트 El Salvador https://www.guttmach[...] 2022-10-26
[153] 웹사이트 Uzbekistan https://www.guttmach[...] 2022-10-25
[154] 웹사이트 Mali https://www.guttmach[...] 2022-10-25
[155] 웹사이트 Lesotho https://www.guttmach[...] 2022-10-26
[156] 간행물 The Incidence of Abortion Worldwide https://www.guttmach[...] 2015-04-15
[157]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https://www.kaog.org[...] 2022-10-25
[158] 웹사이트 Honduras https://www.guttmach[...] 2022-10-25
[159] 웹사이트 Costa Rica https://www.guttmach[...] 2022-10-26
[160]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guttmach[...] 2022-10-26
[161] 웹사이트 Eritrea https://www.guttmach[...] 2022-10-26
[162] 웹사이트 Djibouti https://www.guttmach[...] 2022-10-27
[163]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Kazakhstan http://www.johnstons[...] 2022-10-25
[164] 웹사이트 Guatemala https://www.guttmach[...] 2022-10-25
[165] 웹사이트 Turkmenistan https://www.guttmach[...] 2022-10-26
[166] 웹사이트 Abortion statistics, England and Wales: 2021 https://www.gov.uk/g[...] 2022-10-25
[167] 웹사이트 Zimbabwe https://www.guttmach[...] 2022-10-25
[168] 웹사이트 Republic of Moldova https://www.guttmach[...] 2022-10-26
[169] 뉴스 Chad https://www.guttmach[...] 2022-10-25
[170] 웹사이트 Sweden https://www.guttmach[...] 2022-10-25
[171] 웹사이트 Mauritania https://www.guttmach[...] 2022-10-26
[172] 웹사이트 Australia https://www.guttmach[...] 2022-10-25
[173] 웹사이트 Gambia https://www.guttmach[...] 2022-10-26
[174] 웹사이트 Abortion Reporting: Georgia (2022) https://lozierinstit[...] 2023-10-16
[175] 웹사이트 France https://www.guttmach[...] 2022-10-25
[176] 웹사이트 Abortion rate in France https://www.statista[...] 2022-10-25
[177] 웹사이트 Niger https://www.guttmach[...] 2022-10-25
[178] 웹사이트 Senegal https://www.guttmach[...] 2022-10-25
[179] 웹사이트 Greece https://www.guttmach[...] 2022-10-25
[180] 웹사이트 What the data says about abortion in the U.S. https://www.pewresea[...] 2024-01-17
[181] 웹사이트 Nicaragua https://www.guttmach[...] 2022-10-26
[182]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https://www.guttmach[...] 2022-10-27
[183] 웹사이트 Number of abortions in Russia 2020 https://www.statista[...] 2022-10-27
[184] 웹사이트 Интерфакс-Религия: В России за год снизилось число абортов - Минздрав http://www.interfax-[...] 2022-10-27
[185] 웹사이트 Iceland https://www.guttmach[...] 2022-10-27
[186] 웹사이트 Canada https://www.guttmach[...] 2022-10-25
[187] 웹사이트 New Zealand https://www.guttmach[...] 2022-10-26
[188] 웹사이트 Denmark https://www.guttmach[...] 2022-10-26
[189] 웹사이트 Eurostat - Data Explorer https://appsso.euros[...] 2022-10-25
[190] 웹사이트 Eurostat - Data Explorer https://appsso.euros[...] 2022-10-25
[191]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Belarus https://www.johnston[...] 2022-10-25
[192] 웹사이트 Norway https://www.guttmach[...] 2022-10-26
[193] 웹사이트 Uruguay https://www.guttmach[...] 2022-10-26
[194]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guttmach[...] 2022-10-26
[195] 웹사이트 Iran: Repeal "crippling" new anti-abortion law – UN experts https://www.ohchr.or[...] 2022-10-27
[196] 웹사이트 Poland https://www.guttmach[...] 2022-10-27
[197] 웹사이트 Israel abortion rate continues 32-year decline https://righttolife.[...] 2022-10-26
[198] 웹사이트 Belgium https://www.guttmach[...] 2022-10-25
[199] 웹사이트 Chile https://www.minsal.c[...]
[200] 웹사이트 Netherlands https://www.guttmach[...] 2022-10-25
[201] 웹사이트 Japan https://www.guttmach[...] 2022-10-25
[202] 웹사이트 Montenegro https://www.guttmach[...] 2022-10-27
[203]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Luxembourg https://www.johnston[...] 2022-10-27
[204] 웹사이트 Singapore https://www.guttmach[...] 2022-10-26
[205]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Turkey https://www.johnston[...] 2022-10-27
[206] 웹사이트 Historical abortion statistics, Austria https://www.johnston[...] 2022-10-26
[207] 웹사이트 ALGERIA - Abortion has not been legalised in Algeria https://www.safeabor[...] 2022-10-27
[208] 뉴스 韓国の裁判所、中絶禁じた刑法は「違憲」 https://www.bbc.com/[...] 2020-10-20
[209] 뉴스 韓国の裁判所、中絶禁じた刑法は「違憲」 https://www.bbc.com/[...] 2019-04-11
[210] 뉴스 「堕胎罪は違憲」韓国憲法裁が宣告 妊婦の権利を尊重か https://www.asahi.co[...] 2019-04-11
[211] 뉴스 【社説】韓国、66年ぶりの堕胎罪の憲法不合致決定…性平等の契機に https://japanese.joi[...] 2019-11-23
[212] 뉴스 「女性の自己決定権を認めよ」...韓国で新法案成立控え'堕胎罪'めぐる議論が活発化 https://news.yahoo.c[...] 2021-02-13
[213] 뉴스 7주면 당장 가능, 60만원에 해드릴게" 낙태 헌법불합치 그후(堕胎罪違憲判決のその後「60万ウォン支払えば、すぐに出来ます。」) https://news.joins.c[...] 2019-11-23
[214] 간행물 女性の権利の勝利:韓国で刑法の「中絶禁止規定」廃止 https://www.ippf.org[...] 国際家族計画連盟 2021-02-13
[215] 뉴스 妊娠9カ月で中絶したとされる女性、殺人容疑で捜査 中絶禁止法のない韓国で https://www.cnn.co.j[...] 2024-11-27
[216] 뉴스 韓国、堕胎罪違憲判決から5年たつのに「病院探すのも難しい」 https://japan.hani.c[...] 2024-11-27
[217] 뉴스 韓国の人工妊娠中絶件数、「堕胎罪」違憲決定後に増加 https://www.chosunon[...] 2024-11-27
[218] 뉴스 胎児殺人? でっち上げ?…韓国政府「36週妊娠中絶映像」に殺人罪捜査依頼 https://japanese.joi[...] 2024-11-27
[219] 뉴스 「妊娠36週で中絶」本当だった 殺人容疑で立件=韓国警察 https://jp.yna.co.kr[...] 2024-11-27
[220] 웹사이트 韓国1月1日から堕胎罪が無効に 女性と医師のみ罪に問われる社会は変わるか https://www.newsweek[...] Newsweek 2021-02-27
[221] 논문 【韓国】人工妊娠中絶に関する憲法不合致決定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19-11-23
[222] 보고서 사법연감(司法年鑑) https://www.scourt.g[...] 2019-11-23
[223] 보고서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2021년) 주요결과 발표- 만 15~49세 여성 8,500명 대상 온라인 조사-(人工妊娠中絶の実態調査(2021年)の主な結果 15~49歳の女性8,500人を対象としたオンライン調査 -) https://www.kihasa.r[...] 2024-11-27
[224] 뉴스 15~49세 여성 7% 낙태 경험…위헌결정 후 3년째 ‘무법’상태(15~49歳の女性の7%が中絶を経験しています…違憲判決から3年間の「無法」) https://www.joongang[...] 2024-11-27
[225] 뉴스 낙태 12년 새 34만건→5만건…의료계 “실제는 정부 발표 3배(2005年から2017年の12年の間で、中絶件数が約34万件から約5万件に減少 しかし、実態は政府発表の3倍以上に上る。) https://news.joins.c[...] 2019-11-23
[226] 서적 中国リバイバルの躍進 アジア・アウトリーチ
[227] 뉴스 「義父の性的虐待で妊娠、10歳女児が司法に中絶の許可求める インド」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7-05-23
[228] 뉴스 オランダの「妊娠中絶船」がモロッコで物議 https://www.afpbb.co[...] 2012-10-05
[229] 웹사이트 ICMA - Laws on Abortion - Romania https://medicalabort[...]
[230] 뉴스 「レイプだとは知らなかった」 合意なく避妊具外すステルシング、被害者の体験 https://www.bbc.com/[...] 2021-08-13
[231] 뉴스 アイルランドが国民投票で中絶合法化、同性婚に続く「静かな革命」が進行中 https://www.newsweek[...] 2019-11-28
[232] 뉴스 アイルランドで人工妊娠中絶を一部合法化 https://www.cnn.co.j[...] 2013-07-12
[233] 뉴스 カトリックの国アイルランドで中絶容認 http://www.donga.com[...] 2019-11-28
[234] 보고서 Abortion statistics for England and Wales: 2017(2017年のイギリスでの人工妊娠中絶統計) https://www.gov.uk/g[...] 2019-11-28
[235] 뉴스 アイルランド、年内にも妊娠中絶を認める新法を制定へ https://www.bbc.com/[...] 2019-11-28
[236] 웹사이트 Ireland’s Abortion Provisions(アイルランドの中絶条項) https://reproductive[...] Center for Reproductive Rights 2019-11-28
[237] 뉴스 同性婚と中絶の権利、北アイルランドにも拡大 https://www.afpbb.co[...] 2019-11-28
[238] 문서 ドイツにおける秘密出産の制度化 : 匿名出産及び赤ちゃんポストの経験を踏まえて https://dl.ndl.go.jp[...]
[239] 문서 私たち、中絶しました! Wir haben abgetrieben ! http://www.newsdiges[...] ニュースダイジェス 2019-11-29
[240] 간행물 中絶は殺人か ドイツ(in・short) 1993-06-15
[241] 간행물 海外短信 ドイツ連邦医薬・医療製品庁 妊娠中絶薬「ミフェジーヌ」を認可する方針を発表 日刊薬業 1999-07-09
[242] 간행물 海外短信・FDA 中絶用ピル「RU-486」の認可決定を延期 日刊薬業 2000-02-24
[243] 간행물 幻の中絶薬RU-486の効能 発見に強い風当たり 嵐の中の胎児 1990-02-27
[244] 뉴스 1月17日きょうの歴史 2020-01-17
[245] 서적 20世紀全記録 クロニック 講談社 1987-09-21
[246] 뉴스 【日々是世界】カトリック国に舞い降りた中絶ドローン 「教会は現実を見つめよ!」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7-21
[247] 뉴스 「中絶ドローン」がポーランドへ飛ぶ German 'Abortion Drone' to Drop Pills to Polish Women http://www.newsweekj[...] ニューズウイーク日本語版 2015-07-13
[248] 웹사이트 Abortion pills being delivered to Poland by drone https://www.thestar.[...] 2015-06-25
[249] 뉴스 「ポーランドで中絶をほぼ全面禁止する法案に抗議する10万人デモ、政府も可決阻止へ」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Japan 2016-10-06
[250] 뉴스 「欧州のサンマリノ、中絶合法化へ 住民投票で歴史的な賛成多数」 https://www.afpbb.co[...] AFP BB 2021-09-27
[251] 논문 William FaulknerのThe Wild PalmsとRichard Wrightの"Down by the Riverside"における1927年のミシシッピ川大洪水 https://doi.org/10.3[...] 都留文科大学
[252] 뉴스 米の中絶反対運動、暴力化-医師殺害事件も発生。クリントン政権の容認、保守派を強く刺激。保険適用で進む“緩和” 北海道新聞 1993-05-11
[253] 웹사이트 医師は死の危険と隣り合わせ…今も続く中絶問題 米国 https://www.afpbb.co[...] AFPBB 2020-03-05
[254] 뉴스 米ノースダコタ州、全米で最も厳しい中絶禁止法律が成立 https://www.afpbb.co[...] 2013-03-28
[255] 뉴스 アメリカ最高裁、中絶制限のテキサス州法を無効と判断 http://www.newsweekj[...] Newsweekjapan 2016-06-28
[256] 뉴스 全米で最も厳しい中絶禁止の州法が成立 アラバマ州 https://www.bbc.com/[...] 2019-05-16
[257] 뉴스 米国で「中絶禁止法」続々 大統領選焦点に トランプ氏は対応に苦慮 https://www.sankei.c[...] 2019-06-07
[258] 뉴스 米最高裁、中絶規制審理へ https://www.nishinip[...] 2019-10-05
[259] 뉴스 米保守派、最高裁に不満噴出 中絶制限に違憲判決で https://www.nikkei.c[...] 2020-06-30
[260] 웹사이트 Cass Sunstain, Minimal Apeal - MINIMALISM V. FUNDAMENTALISM, New Republic Online. https://ssl.tnr.com/[...]
[261] 뉴스 米ジョージア州の厳格な中絶規制法、連邦地裁が施行差し止め https://www.afpbb.co[...] 2019-10-02
[262] 뉴스 アメリカで広がる「中絶禁止」州。なぜ再び妊娠中絶問題は政治の争点になったのか https://www.business[...] 2019-06-27
[263] 간행물 Abortion Incidence and Service Availability in the United States, 2017(2017年の米国における中絶実施率とサービスの利用可能性) https://www.guttmach[...] 가트마허 연구소 2019-09
[264] 간행물 Induced Abortion in the United States(米国における人工妊娠中絶) https://www.guttmach[...] 가트마허 연구소 2019-09
[265] 간행물 Long-Term Decline in US Abortions Reverses, Showing Rising Need for Abortion as Supreme Court Is Poised to Overturn Roe v. Wade(米国の人工妊娠中絶の長期的な減少傾向は逆転し、連邦最高裁判所が「ロー対ウェイド」判決を覆そうとしているように、人工妊娠中絶の必要性が高まっていることを示す。) https://www.guttmach[...] 가트마허 연구소 2022-06-15
[266] 뉴스 米国の中絶率、過去最低に その理由は? https://www.bbc.com/[...] 2019-11-18
[267] 뉴스 テキサス州、「全米で最も厳しい」中絶禁止法施行 妊娠6週以降 https://mainichi.jp/[...] 2021-09-03
[268] 웹사이트 米連邦最高裁、中絶の権利認めた「ロー対ウェイド判決」覆す https://www.bloomber[...] 2022-06-24
[269] 뉴스 米連邦最高裁、人工中絶権の合憲性認めず 重要判決を半世紀ぶりに覆す https://www.bbc.com/[...] 2022-06-24
[270] 뉴스 カナダ 最高裁、中絶認める 母親は決定待たず手術 1989-08-10
[271] 웹사이트 2007年4月のメキシコの内政・外交の概要 https://www.mx.emb-j[...] 2007-04
[272] 뉴스 メキシコ最高裁、人工妊娠中絶の権利認める判断 https://www.cnn.co.j[...] 2023-09-07
[273] 뉴스 メキシコ最高裁、全土で人工妊娠中絶の権利認める判断 禁止は「女性の人権侵害」 https://www.bbc.com/[...] 2023-09-07
[274] 웹사이트 人工中絶は合法 禁止は「女性の人権侵害」―メキシコ最高裁 https://www.jiji.com[...] 2023-09-08
[275] 뉴스 メキシコ最高裁、中絶の犯罪扱いは違憲と判決 https://www.bbc.com/[...] 2021-09-08
[276] 뉴스 メキシコ最高裁、中絶を犯罪として罰するのは「違憲」と判断 https://jp.reuters.c[...] 2023-09-07
[277] 웹사이트 「露出の多い女性はレイプされて当然」、ブラジル世論調査 https://www.afpbb.co[...] AFPBB News
[278] 간행물 기사명 불명 クーリエ・ジャポン 2010-04
[279] 뉴스 人工妊娠中絶の合法化 医師の間でも賛否両論 サンパウロ新聞 2014-10-24
[280] 뉴스 孤児院経営者の夫婦 子供の人身売買容疑で捜査 サンパウロ新聞 2015-07-15
[281] 뉴스 最高裁、中絶認めず=「命の危機」の妊婦反発-エルサルバドル http://www.jiji.com/[...] 2013-05-31
[282] 뉴스 中絶で禁錮30年の女性、10年服役で釈放 エルサルバドル https://www.afpbb.co[...] 2022-03-15
[283] 뉴스 エルサルバドル最高裁、難病女性の中絶認めず https://www.afpbb.co[...] 2013-05-31
[284] 뉴스 中絶申請却下の女性が帝王切開、新生児は死亡 エルサルバドル https://www.afpbb.co[...] 2013-06-04
[285] 뉴스 流産で殺人罪、服役していた女性3人を減刑・釈放 エルサルバドル https://www.afpbb.co[...] 2022-03-15
[286] 뉴스 10歳少女の堕胎認めず=義父からレイプ被害-パラグアイ 時事通信 2015-05-09
[287] 뉴스 レイプ被害の11歳少女出産=中絶認められず-パラグアイ 時事通信 2015-08-14
[288] 웹사이트 エクアドルの中絶問題:女性の声は届くのか http://globalnewsvie[...] 2020-01-03
[289] 서적 初代教会と中絶 すぐ書房
[290] 서적 現代カトリック事典 エンデルレ書店
[291] 간행물 バルナバの手紙[解説] https://opac.time.u-[...] 東海大学出版 1966-02
[292] 회칙 '"Evangelium Vitae''「第三章:殺してはならない」' http://japan-lifeiss[...]
[293] 웹사이트 The Manhattan Declaration http://manhattandecl[...]
[294] 웹사이트 Abortion and Catholic Thought: The Little-Told History http://faculty.cua.e[...]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2009-12-09
[295] 웹사이트 胎児の人権宣言 https://web.archive.[...]
[296] 웹사이트 池端祐一朗「カトリックの教説から見る中絶問題――中絶に関わる諸事項の関連」『生存学研究センター報告[10]』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22-03-11
[297] 웹사이트 Where does God stand on abortion? http://www.usatoday.[...] USA TODAY 2009-12-09
[298] 웹사이트 The Protestant Churches on Abortion http://www.nrlc.org/[...] National Right to Life 2009-12-09
[299] 서적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キリスト教 洋泉社
[300] 서적 小さな鼓動のメッセージ いのちのことば社
[301] 서적 The New Christian Right Transaction 1983
[302] 웹사이트 http://www.bbc.co.uk[...]
[303] 웹사이트 Abortion in Buddhism http://dbts.edu/blog[...] 2013-01-13
[304] 웹사이트 『全仏』201号 http://www.jbf.ne.jp[...]
[305] 웹사이트 仏神案内地蔵菩薩「水子供養地蔵尊」 https://www.honkouji[...] 日蓮宗本光寺
[306] 웹사이트 水子供養とは https://hojiji.jp/mi[...] 曹洞宗嶺雲山寳持寺
[307] 웹사이트 http://www.bbc.co.uk[...]
[308] 웹사이트 BBC Abortion http://www.bbc.co.uk[...] 2009-07-15
[309] 서적 ゾロアスター教の悪魔払い 平河出版社
[310] 웹사이트 京都で神道式での水子供養のお祀り https://www.izumo-mu[...] 出雲大社紫野教会
[311] 웹사이트 水子のお祓い https://koyasujinja.[...] 子安神社
[312] 웹사이트 水蛭子社祭 https://awashimajinj[...] 淡島神社
[313] 웹사이트 http://www.cbcj.cath[...]
[314] 웹사이트 Mental Health and Abortion http://www.apa.org/p[...]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2-04-18
[315] PDF Induced Abortion and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http://www.aomrc.org[...] 2015-08-29
[316] 논문 Psychological responses after abortion
[317] 논문 Abortion Study Finds No Long-Term Ill Effects On Emotional Well-Being http://findarticles.[...]
[318] 논문 Abortion and anxiety: what's the relationship? 2008-07
[319] 논문 More on Koop's study of abortion
[320] 뉴스 Abortion Does Not Cause Mental Illness, Panel Says http://www.nytimes.c[...] 2008-08-12
[321] 논문 Abortion and long-term mental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322] 뉴스 Abortion 'does not raise' mental health risk http://www.bbc.co.uk[...] BBC 2011-12-09
[323] 논문 Abortion and psychiatric practice
[324] 뉴스 Post-Abortion Politics http://www.pbs.org/n[...] PBS 2007-07-20
[325] 문서 1981年プロライフ活動家のVincent Rueが最初に提唱
[326] 뉴스 Is There a Post-Abortion Syndrome? http://www.nytimes.c[...] 2007-01-21
[327] 뉴스 Research and Destroy: How the religious right promotes its own 'experts' to combat mainstream science http://www.washingto[...] 2004-10
[328] 뉴스 Science in support of a cause: the new research http://www.boston.co[...] 2005-07-31
[329] 논문 The myth of the abortion trauma syndrome Mooney 1992-10
[330] 뉴스 Abortion Under Attack http://www.msmagazin[...] 2001-08
[331] 논문 Controlling birth: science, politics, and public policy
[332] 웹사이트 The C. Everett Koop Papers: Reproduction and Family Health http://profiles.nl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1-06-18
[333] 뉴스 Bucking the Gipper http://www.washingto[...] 2004-10
[334] 뉴스 Koop Says Abortion Report Couldn't Survive Challenge http://query.nytimes[...] 1989-03-17
[335] 뉴스 Reagan's officials 'suppressed' research on abortion http://www.newscient[...] 1989-12-16
[336] 뉴스 「中絶してホッとする女性はこんなに多い──ネットで買える中絶薬利用、終身刑のリスクも」 http://zasshi.news.y[...]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6-10-18
[337] 웹사이트 中絶後に女性の自殺率が上昇、新たな調査結果 http://japan-lifeiss[...]
[338] 문서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udies documenting these symptoms, see the list of resources on the back page of this insert. You can also visit the web site of the Elliot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Research at www.prolife.org/afterabortion/ for documents on post-abortion research.
[339] 문서 Ashton, "The Psychosocial Outcome of Induced Abortion", British Journal of Ob & Gyn. (1980), vol. 87, p. 1115-1122.
[340] 문서 Badgley, et.al., Report of the Committee on the Operation of the Abortion Law (Ottawa: Supply and Services, 1977) p.313-321.
[341] 서적 Reardon, Aborted Women-Silent No More Chicago: Loyola University Press
[342] 서적 Linda Bir Franke, The Ambivalence of Abortion New York: Random House Inc.
[343] 문서 Strahan, Thomas, "Portraits of Post-Abortive Fathers Devastated by the Abortion Experience," Assoc.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Values and Social Change, Nov./Dec. 1994.
[344] 뉴스 病院から闇市場へ売られる新生児、インド中部 https://www.afpbb.co[...] 2016-06-20
[345] 뉴스 赤ちゃんポスト名乗る団体「産めば200万円」に人身売買と批判も https://jisin.jp/dom[...] 2015-12-09
[346] 웹사이트 経口中絶薬 年内めど承認申請へ “治験で有効性 安全性確認” https://web.archive.[...] 2022-04-14
[347] 웹사이트 未だに「かき出す中絶」が行われている日本の謎 英米では「消えた術式」がまだ主流に https://president.jp[...] PRESIDENTonine 2020-05-02
[348] 웹사이트 「妊娠中絶後進国」の日本女性に感じる哀れさ 「性と生殖の権利」について知っています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onine 2020-05-02
[349] 웹사이트 緊急避妊薬、入手の壁なお高く ネット処方解禁でも https://style.nikkei[...] 日経電子版ヘルスUP 2020-05-02
[350] 웹사이트 アフターピルが安くなります https://nagoya-yamah[...] レディースクリニック山原 2020-06-11
[351] 웹사이트 緊急避妊薬、処方箋不要に 厚労省、夏から試験運用 https://news.yahoo.c[...] 2023-06-26
[352] 웹사이트 産婦人科医会副会長、NHKで緊急避妊薬めぐり「安易な考えに流れてしまう」発言が物議 https://biz-journal.[...] Business Journal 2020-07-29
[353] 웹사이트 富山の10代人工妊娠中絶が激減、産婦人科医の“出張授業”の内容 https://www.news-pos[...] newsポストセブン 2020-04-15
[354] 웹사이트 ピルを出したがらない産婦人科医の屁理屈 "人工妊娠中絶"の収入減を懸念か https://president.jp[...] プレジデント社 2020-05-02
[355] 웹사이트 「世界一遅れた中絶手術」なぜ日本の医療は女性に優しくないのか? https://www.ohtabook[...] 太田出版ケトルニュース 2020-05-05
[356] 웹사이트 産婦人科医に聞く、日本の中絶医療の課題 https://www.nhk.or.j[...] NHK 2020-05-05
[357] 웹사이트 荻上チキsession体も心も痛い…「時代遅れの中絶手術」で傷つく日本の女性たちの叫び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20-05-05
[358] 웹사이트 避妊と妊娠中絶で取り残される日本。海の向こうから送られる経口妊娠中絶薬〈後編〉 https://www.huffingt[...] HuffPost News 2021-02-22
[359] 웹사이트 「帰国させられてしまう」乳児遺棄あいつぐ、技能実習生を追いつめる根深い課題 https://news.goo.ne.[...] 弁護士ドットコムニュース 2021-02-27
[360] 웹사이트 日本共産党 ジェンダー平等委員会連続講座 日本におけるリプロダクティブ・ライツの現状と問題点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ジェンダー平等委員会 2021-02-27
[361] 간행물 How many children were adopted in 2007 and 2008? https://www.childwel[...]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62] 웹사이트 マリリン・モンロー、マイケル・ベイ監督など、実は養子だった意外な有名人 https://www.crank-in[...]
[363] 뉴스 視点・論点「特別養子斡旋に法の規制を」 NHK
[364] 뉴스 「養子縁組 20施設が参加 養父母紹介へ協議会発足」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365] 간행물 特別養子縁組の普及および啓発~子どもたちに温かい家庭を~ http://www.nippon-fo[...] 日本財団
[366] 문서 「こうのとりのゆりかごとSOS赤ちゃんとお母さんの相談窓口」日本財団(2014年1月20日更新)
[367] 문서 公益財団法人全国里親会 里親の種類と要件
[368] 문서 유산의 사전적 의미 http://krdic.naver.c[...]
[369] 문서 임신중절수술 http://krdic.naver.c[...]
[370] 깨진 링크 건강샘 http://www.health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