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십자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의 십자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을 중심으로 1927년 설립된 프랑스의 우익 단체이다. 프랑수아 드 라 로크가 지도권을 잡은 후 대중 운동으로 발전했으며, 반공주의, 가톨릭주의, 전통 숭상, 권위주의를 내세웠다. 1936년 인민 전선 정부에 의해 해산된 후 프랑스 사회당으로 재편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비시 정권을 지지하기도 했다. 불의 십자단의 성격과 파시즘 여부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파시즘 - 악시옹 프랑세즈
악시옹 프랑세즈는 1899년 드레퓌스 사건을 계기로 결성된 프랑스의 극우 왕당파 정치 운동으로, 샤를 모라스의 사상에 기반하여 군주제 복고를 주장하며 극우적 이념을 표방하고 폭력적인 활동을 펼쳤으나, 내부분열과 외부탄압, 비시 정권 협력 등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해산되었고 현재는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 프랑스의 파시즘 - 모라스주의
모라스주의는 샤를 모라스의 사상에 기반하며, 프랑스의 쇠퇴를 진단하고 질서, 이성, 고전주의, 자유를 해결책으로 제시하며 군주제와 가톨릭 교회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적 이념이다. - 프랑스 국민주의 정당 - 재정복
프랑스 극우 정당 재정복은 에리크 제무르가 창당하여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의 재정복"을 목표로 내세웠으나, 내부 분열과 의석 확보 실패를 겪었다. - 프랑스 국민주의 정당 - 프랑스 사회당
프랑스 사회당은 프랑수아 드 라 로크가 창당한 우익 정당으로, 사회 가톨릭, 협동조합주의 등을 지지하며 대중 정당으로 성장했으나, 종전 후 영향력을 잃었고 프랑스 정치사에서 최초의 우익 대중 정당으로 평가받는다.
| 불의 십자단 - [정당]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불의 십자단 |
![]() | |
| 약칭 | 크루아드푀 |
| 설립 | 1927년 11월 11일 |
| 해산 | 1936년 1월 10일 |
| 후계 정당 | 프랑스 사회당 |
| 본부 | 파리 |
| 신문 | 횃불 (Le Flambeau) |
| 학생 조직 | Groupes Universitaires |
| 청소년 조직 | Fils et Filles de Croix-de-Feu |
| 준군사 조직 | 국민의용대 (Volontaires Nationaux) |
| 여성 조직 | Sections Féminines |
| 회원 수 (1936년 추정) | 15,000명 |
| 회원 수 (1934년) | 10만명 이상 |
| 이념 | 프랑스 국민주의 사회 조합주의 원시 파시즘 반공주의 반동주의 |
| 정치적 위치 | 우익 정치 ~ 극우 정치 |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색상 | 검은색 |
| 인물 | |
| 지도자 | 프랑수아 드 라 로크 |
| 설립자 | 모리스 다르투아 |
| 관련 인물 | 프랑수아 코티 프랑수아 미테랑 |
2. 초기 (1927-1930)
1927년 11월 26일,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을 중심으로 모리스 다르투아가 '불의 십자단'을 설립하였다. 초기에는 부유한 조향사 프랑수아 코티의 지원을 받았으며, 기관지 《르 플랑보》를 발행했다.[15] 1926년 가톨릭 교회가 아시옹 프랑세즈를 금지하면서, 보수주의 성향의 가톨릭 신자들이 불의 십자단에 합류하였다.[1] 이들 중에는 장 메르모즈와 젊은 시절의 프랑수아 미테랑도 있었다.
프랑수아 드 라 로크 대령은 1930년 불의 십자단의 지도권을 인수하여 단체를 대중 운동으로 발전시켰다.[15] 라 로크는 '사회 제일!'을 모토로 내걸고, 조합주의와 자본-노동 간 협력을 옹호하고 군사적 노력을 강조하는 등 우익적 성격을 강화했다.[4]
불의 십자단은 알제리에서 유럽 정착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대규모 선전 캠페인을 벌였다. 콘스탄틴과 알제에서 수천 명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현지 무슬림과의 동맹을 제안하고 좌파를 공격했다.[3] 이는 유럽 정착민과 현지 알제리인 사이의 경제적 격차로 인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전술로 평가받는다. 오랑에서는 무슬림이 적고 반유대주의 성향이 더 강했기 때문에 쥘 몰과 라틴 연합과 유사한 선전을 사용했다.[3]
3. 라 로크 체제 (1930-1936)
불의 십자단은 비참전 용사를 포함한 다양한 계층을 회원으로 받아들였고, '불의 십자단의 아들과 딸', '프랑스 사회운동', '기동돌격대', '국민의용대' 등 여러 부속 협회를 설립하여 조직을 확장했다.[15]
1934년 스타비스키 사건으로 인한 반정부 시위에 참여했으나, 라 로크는 폭동을 거부하고 질서 유지를 강조했다. 이 때문에 불의 십자단은 1934년 2월 6일 시위에서 부르봉 궁전을 에워싼 다른 폭동 단체들과 거리를 두게 되었다.
1935년, 불의 십자단은 알제리에서 반유대주의 정치를 밀어붙였다. 이들은 레옹 블룸 총리의 선출과 인민 전선에 반대하며 식민지에서 반유대주의 감정을 부추겼다.[4]
3. 1. 이념
불의 십자단은 가톨릭 민족주의, 반공주의, 권위주의를 주요 이념으로 내세웠다.[15] 이들은 전통에 대한 존중과 변화를 추구하는 역동성을 결합하여, 사회 각 계급이 조화롭게 협력하는 유기체적 민족공동체를 목표로 했다.
프랑수아 드 라 로크는 1934년 기관지 <프랑보>의 기사에서 "우리는 전통에 대한 숭배와 역동성에 대한 숭배를 우리 속에서 결합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우리의 속성은 우파에도 좌파에도 귀속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또한, 의회 절차 개혁, 산업 간 협력, 최저 임금, 유급 휴가, 여성 참정권 등을 주장했다.[4] 조합주의와 자본과 노동의 동맹을 지지하기도 했다.
4. 프랑스 사회당 (1936-1940)
라 로크는 1936년 인민 전선 정부에 의해 불의 십자단이 해산되자, 프랑스 사회당(PSF)으로 조직을 재편했다.[15] PSF는 의회 정치 체제를 수용하고, "노동, 가족, 조국"이라는 슬로건을 내걸며 대중 정당으로 변모했다. 이 슬로건은 훗날 비시 프랑스가 공화국의 슬로건인 "자유, 평등, 박애"를 대체하는 데 사용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PSF는 50만 명의 회원을 확보하여 프랑스 최대 보수 정당으로 성장했다.[15] 그러나 프랑스 멸망과 함께 PSF는 사라졌다.
5. 제2차 세계 대전 (1940-1945)
프랑스 점령 기간 동안 라 로크는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가담했지만, 전쟁 직후 상당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1] 일부 당원들은 비시 정권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라 로크 자신은 한직에 머물렀다. 라 로크는 실권을 요구하며 운동했지만 무시당했다.[1] 1943년 라 로크는 연합국의 스파이 혐의로 체포되어 독일로 연행되었다.[1]
6.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프랑스 사회당은 재결성이 금지되었고, 라 로크는 병사했다. 1961년 드골 대통령에 의해 라 로크의 명예가 회복되었다.[8] 이후 불의 십자단의 성격과 유산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6. 1. 불의 십자단에 대한 논쟁
르네 레몽을 비롯한 일부 역사학자들은 불의 십자단이 프랑스 고유의 보수 우익 운동이며, 파시즘과는 거리가 있다고 주장한다.[8] 이들은 불의 십자단의 목표가 비밀스럽고 이념이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한다.[8] 레몽은 "반동"과 극우를 프랑스에 수입되어 지지자가 거의 없었던 "혁명적" 파시즘과 구별하며, 불의 십자단은 후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9]반면, 제브 스턴헬과 같은 역사학자들은 불의 십자단이 파시즘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지만, 프랑스 내 파시즘의 존재를 인정한다.[11] 스턴헬은 파시즘을 "마르크스주의의 반물질적 수정" 또는 반자본주의적, 조합주의적 극단적 민족주의로 정의하며,[12] 불의 십자단은 프랑스 파시스트들에게 조롱받았다고 지적한다.[13] 프랑스 파시스트 지도자들은 자신들을 낡은 질서를 파괴하고 자본주의의 부패를 거부하는 자들로 여겼고, 불의 십자단과 같은 연맹은 이러한 부패한 정권의 보루로 간주되었다.[13]
로베르 브라질라크는 불의 십자단을 "정치의 영원히 속는 남편들, 우파의 늙은 중신들"이라고 칭하며, "국가 재건의 적은 좌파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우파에 있다"고 주장했다.[13]
존 거너는 1940년에 라 로크를 "프랑스 파시스트 1호"라고 묘사했지만, 그가 "다소 창백한 파시스트"였으며 권력 장악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14]
대한민국에서는 불의 십자단에 대해 상반된 시각이 존재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이들을 파시즘 세력으로 규정하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한다. 일본에서는 불의 십자단을 "가장 두려운 파시즘 단체"라고 불렀지만, 실제로는 온건·보수적이었고 과격한 주장은 보이지 않았으며, 다른 우익과는 적대 관계에 있었다고 평가한다.
7. 주요 인물
- 장 보로트라
- 장 메르모즈
참조
[1]
서적
Une jeunesse française
[2]
서적
French Colonial Fascism: The Extreme Right in Algeria 1919-1939
Palgrave Macmillan
2013
[3]
서적
French Colonial Fascism: The Extreme Right in Algeria 1919-1939
Palgrave Macmillan
2013
[4]
논문
Anti-Semitism and municipal government in interwar French colonial Algeria
https://www.tandfonl[...]
2012
[5]
논문
Fascism in France and the Strange Case of the Croix de Feu
https://www.jstor.or[...]
1991
[6]
논문
Boy Scouting for Grown-Ups? Paramilitarism in the Croix de Feu and the Parti Social Francais
[7]
논문
French Fascism and the Croix de Feu: A Dissenting Interpretation
[8]
문서
1968, p. 290
[9]
문서
first published in 1954 and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traditions of Bonapartist and royalist "Reaction"
[10]
서적
[11]
문서
1983/86, p.103
[12]
문서
one restatement of this comes in pp. 101-108
[13]
서적
Neither Right nor Left: Fascist Ideology in Fra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California
1983/86
[14]
서적
Inside Europe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5]
논문
1930년대 프랑스 파시즘과 보수주의
한국서양사학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