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붓꼬리파스코갈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붓꼬리파스코갈레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주머니고양이의 일종으로, 1793년 처음 기술되었으며, 꼬리 끝에 붓 모양의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주머니쥐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파스코갈레속으로 분류되며, 붉은꼬리파스코갈레와 근연종 관계이다. 붓꼬리파스코갈레는 호주 남동부, 서남부, 킴벌리 지역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포식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야행성이며 잡식성으로, 곤충, 작은 포유류, 조류 등을 먹고, 6월에서 8월 사이에 번식하며, 수컷은 짝짓기 후 사망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3년 기재된 포유류 -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
    깃꼬리유대하늘다람쥐는 몸길이 6.5~8cm의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공 포유류로, 호주 동부 해안에 분포하며, 잡식성으로 꿀, 꽃가루, 곤충 등을 먹고, 야행성으로 나무 구멍에서 생활하며, 사회적인 생활을 한다.
  • 1793년 기재된 포유류 - 딩고
    딩고는 호주에 서식하는 개과 동물로, 짖지 않고 으르렁거리며 다양한 털 색깔을 가지며, 야행성으로 사냥과 의사소통을 하며, 개와의 잡종화로 순수 혈통 개체 수가 감소하고 법적 지위는 호주 주와 준주에 따라 다르다.
  • 주머니고양이과 - 북부쿠올
    북부쿠올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쿠올의 일종으로, 호주에서 가장 독특하며, 퀸즐랜드, 노던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지역에 개체군이 존재하고, 수컷은 짝짓기 후 사망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과 - 물가라
    물가라는 호주 건조 지역에 사는 주머니고양이목 동물로, 꼬리 털과 젖꼭지 수에 따라 붓꼬리물가라와 볏꼬리물가 두 종류로 나뉘며, 매일 동면하고 임신 기간에는 동면을 늘려 에너지 보존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붓꼬리파스코갈레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붓꼬리파스코갈레 그림
붓꼬리파스코갈레
학명Phascogale tapoatafa
명명자(Meyer, 1793)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포유강
하강유대하강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고양이과
아과주머니고양이아과
파스코갈레족
파스코갈레속
붓꼬리파스코갈레 (P. tapoatafa)
아종
붓꼬리파스코갈레의 분포 지역
보전 상태
IUCN 적색 목록NT
IUCN 3.1Phascogale tapoatafa

2. 분류

붓꼬리파스코갈레는 1793년 프리드리히 마이어가 처음 기술했으며, 1800년 조지 쇼가 설명을 수정하여 발표했다. 처음에는 주머니쥐속(''Didelphis'')에 속하는 주머니쥐의 일종으로 여겨졌으나, 1844년 코엔라트 야코프 템민크가 파스코갈레속(''Phascogale'')을 새로 만들면서 현재의 분류가 확립되었다. 이 종은 붉은꼬리파스코갈레(''P. calura'')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학명 '타포아타파'(''tapoatafa'')는 이 동물을 가리키는 호주 원주민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과거에는 붓 모양의 꼬리를 뜻하는 ''Phascogale penicillata''라는 학명으로도 알려졌었다.

2015년 연구를 통해 아종 분류가 재정립되었으며, 기존 아종 중 하나였던 ''P. t. pirata''는 별도의 종인 ''P. pirata''로 인정받았다.[5][6]

2. 1. 아종

2015년 연구에 따르면, 붓꼬리파스코갈레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5][6]

  • ''P. t. tapoatafa'': 남호주에서 퀸즐랜드 중부 해안에 이르는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에서 발견된다.
  • ''P. t. wambenger'': 서호주 남서부에서 발견된다.
  • ''P. t. kimberleyensis'': 서호주 킴벌리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전에는 아종으로 여겨졌던 ''P. t. pirata''는 이 연구를 통해 별도의 종인 북부 붓꼬리파스코갈레(''P. pirata'')로 확인되었다.[5][6]

케이프요크반도에 서식하는 개체군의 아종 분류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3. 특징

존 굴드의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에 실린 헨리 콘스탄틴 리히터의 석판화


붓꼬리파스코갈레는 회색을 띤다.[14] 꼬리 아랫부분은 길고 검은 털로 덮여 있으며, 이 털은 수직으로 세울 수 있어 마치 병솔이나 쇠뜨기처럼 보이게 한다.[14][19] 몸길이는 16cm와 27cm 사이이고 꼬리 길이는 16cm~24cm이다.[7][18] 수컷 몸무게는 최대 310g까지 나가며, 일반적으로 210g 미만인 암컷보다 크다.[7][18]

4. 분포 및 서식지

붓꼬리파스코갈레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전역에 걸쳐 발견되지만, 태즈메이니아주에는 서식하지 않는다.[20][8] 이들의 분포는 연속적이지 않고 여러 지역에 나뉘어 파편적으로 나타난다.[20][8]

4. 1. 보존 상태

붓꼬리파스코갈레는 테즈메이니아 주를 제외한 오스트레일리아 모든 주에 널리 분포하지만, 그 분포는 파편적이다. 서식지 파괴붉은여우, 야생고양이 등에 의한 포식의 결과로 이전 분포 지역의 거의 절반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20][8] 이 종은 지역적인 절멸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간주된다.[20][8]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1995년 위협종 보존법 (TSC Act) 부속 명세서 2에 따라 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20][8] 그러나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준위협 (NT, near threatened species)으로 분류하고 있으며,[20][8] EPBC 조례의 적용 대상은 아니다.[20][8]

5. 생태

붓꼬리파스코갈레는 검은색을 띠며, 꼬리의 아랫쪽 절반은 길고 검은 털로 덮여 있어 수직으로 세우면 쇠뜨기처럼 보일 수 있다.[19] 몸길이는 16cm에서 27cm 사이이고, 꼬리 길이는 16cm에서 24cm이다. 수컷의 몸무게는 최대 310g에 달하며, 보통 210g 이하인 암컷보다 무겁다.[18]

이 종은 오스트레일리아의 테즈메이니아 주를 제외한 모든 주에 널리 분포하지만, 서식지는 파편화되어 있다. 서식지 파괴와 붉은여우, 야생고양이와 같은 도입된 포식자들로 인해 이전 분포 지역의 거의 절반이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심각한 멸종취약종으로 간주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절멸 상태이다.[20] 1995년 뉴사우스웨일스 주의 멸종위기종 보존 조례(TSC Act) 부속 명세서 2에 따라 멸종취약종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취약근접종(NT, Near Threatened)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EPBC 조례의 보호 대상은 아니다.

붓꼬리파스코갈레는 극피동물문에 속하는 장내 기생충인 ''Australiformis semoni''의 숙주이기도 하다.[13]

5. 1. 먹이

붓꼬리파스코갈레는 야행성 동물이며,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수목성 사냥꾼이다.[19][9] 이들은 기회주의적인 잡식성 동물로, 주로 무척추동물, 특히 거미를 먹는다.[9][19] 또한 작은 포유류, , 도마뱀 등도 사냥하며,[14][19] 의 알을 먹는 것도 관찰되었다.[10] 꽃이 피는 나무의 꿀을 섭취하기도 한다.[14][19] 일부 보고에 따르면 가축을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11][12]

5. 2. 생식

번식은 암컷에게 발정기가 오는 6월부터 8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모든 수컷 붓꼬리파스코갈레는 일반적으로 한 차례의 격렬한 짝짓기 과정에서 에너지를 모두 소모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관련 질병으로 한 살이 되기 전에 죽는다.[19][14] 그러나 사육된 일부 수컷은 3살까지 생존하기도 하지만, 첫 해 이후에는 생식 능력을 잃어버린다.[19][14] 암컷은 속이 빈 나무에 둥지를 만들며, 7~8마리의 새끼를 낳아 새끼가 5개월이 될 때까지 둥지에서 머문다.

참조

[1] MSW3
[2] 간행물 Phascogale tapoatafa 2020
[3] 문서 Chambers English Dictionary.
[4] 뉴스 A Hollow Victory https://themoorabool[...] The Morabool News
[5] 학술지 Taxonomic revision of Phascogale tapoatafa (Meyer, 1793) (Dasyuridae; Marsupialia), including descriptions of two new subspecies and confirmation of P. pirata Thomas, 1904 as a 'Top End' endemic
[6]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7] 웹사이트 arkive.org http://www.beetlebre[...]
[8]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9] 학술지 Diet and foraging behaviour of brush-tailed phascogales (Phascogale tapoatafa) in the jarrah forest of south-western Australia https://www.publish.[...] 2022-10-06
[10] 학술지 An observation of nest robbing and bird predation by wild Brush-tailed Phascogales in central Victoria 2019
[11] 뉴스 Attacks on Poultry http://nla.gov.au/nl[...] 2020-09-10
[12] 뉴스 He's Playing Possum With the Poultry http://nla.gov.au/nl[...] 2020-09-10
[13] 학술지 Australiformis semoni (Linstow, 1898) n. Gen., n. Comb. (Acanthocephala: Moniliformidae) from Marsupials of Australia and New Guinea
[14]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ttps://archive.org/[...] Harper Perennial
[15] MSW3
[16] 간행물 Phascogale tapoatafa
[17] 문서 Chambers English Dictionary.
[18] 웹사이트 arkive.org http://www.beetlebre[...]
[19] 서적 No Turning Back: The Life and Death of Animal Species Harper Perennial
[20] 서적 The Mammals of Australia Reed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