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붓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붓펜은 붓과 펜의 장점을 결합한 필기구로, 유연한 닙을 통해 필압 조절이 가능하며, 서예, 캘리그래피, 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1972년 세일러 만년필에서 처음 발명되었으나, 쿠레타케가 1973년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펜텔은 1976년 나일론 강모를 채택한 붓펜을 출시했으며, 2010년에는 휴대성을 높인 '포켓 브러시'를 출시하여 붓펜 크기의 표준을 만들었다. 붓펜은 닙의 섬유가 모세관 현상으로 잉크를 공급하며, 서예 및 캘리그래피 교육, 만화, 일러스트레이션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그래피 - 쌍춘
    쌍춘은 다양한 브랜드의 상업 캘리그라피 디자인과 기업 특강을 진행하는 캘리그라피 작가이다.
  • 펜 -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펜 - 만년필
    잉크를 내장하여 휴대 가능한 필기구인 만년필은 10세기 파티마 왕조 시대에 기원을 두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발명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1884년 루이스 에드슨 워터만이 현대적인 형태로 개발하여 고급 필기구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 미술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미술 -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붓펜
개요
붓펜
다양한 붓펜
종류필기구
용도서예, 그림, 캘리그라피
재료잉크, 플라스틱, 섬유
설명
정의잉크를 내장한 펜의 일종
특징붓의 느낌을 낼 수 있음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함
구조
몸체잉크 저장 공간
펜촉인조 섬유 또는 플라스틱 재질
다양한 굵기와 형태로 제작
잉크 공급 방식카트리지 교체식
잉크 충전식
사용법
사용 전잉크가 잘 나오는지 확인
사용 시펜촉에 힘을 주어 굵기 조절
다양한 각도로 표현
사용 후펜촉 보호
장점
휴대성간편하게 휴대 가능
편리성잉크 보충 용이
다양성다양한 굵기와 색상
단점
잉크잉크 번짐 가능성
내구성펜촉 손상 가능성
가격제품에 따라 가격 차이 큼
종류
형태일반 붓펜
만년필형 붓펜
마커형 붓펜
잉크수성 잉크 붓펜
유성 잉크 붓펜
안료 잉크 붓펜
제조사
주요 제조사펜텔
지그
세일러
쿠레타케
기타 정보
활용 분야서예
캘리그라피
그림
스케치
일러스트
만화
관련 상품잉크, 카트리지, 펜촉

2. 역사

붓펜은 1972년 세일러 만년필에서 발명되었지만, 쿠레타케 주식회사가 1973년 출시를 통해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쿠레타케는 닉슨 쇼크로 인한 엔화의 갑작스러운 평가 절상으로 펠트 펜 수출 계획이 차질을 빚자, 펠트 펜 기술을 적용하여 붓펜을 개발했다.[3] 펜텔1976년에 나일론 털을 사용한 붓펜을 출시했다.[12] 2010년에는 휴대성을 높인 '포켓 브러시'를 출시했는데, 만년필처럼 교체 가능한 방수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했다.

서예용으로 만들어진 붓펜은 만화 작가들에게도 인기를 얻어, 딥펜이나 전통 붓 대신 작품에 먹칠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미국의 만화가 닐 아담스도 붓펜(특히 펜텔 붓펜)을 사용한 작가 중 한 명이다.[4]

사쿠라[5]와 톰보는 "브러시 펜"이라는 이름의 브러시 팁 마커 펜을 판매하지만, 펜텔이나 쿠레타케 제품과는 달리 리필 가능한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중세 이후, 붓과 먹물을 휴대하기 위해 야다테가 사용되었다.[9]

2. 1. 붓펜의 발명과 발전

1972년 세일러 만년필에서 '후데펜'을 발명했지만,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둔 것은 쿠레타케 주식회사가 1973년에 출시하면서부터이다. 쿠레타케는 닉슨 쇼크로 엔화 가치가 갑작스럽게 상승하여 펠트 펜 수출 계획이 어려워지자, 펠트 펜 기술을 활용해 붓펜을 개발했다.[3]

펜텔1976년에 나일론 털을 사용한 붓펜을 출시했으며,[12] 2010년에는 휴대성을 높인 '포켓 브러시'를 출시했다. '포켓 브러시'는 만년필처럼 교체 가능한 방수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했고, 이후 출시된 붓펜 크기의 표준이 되었다.

서예용으로 만들어진 붓펜은 만화 작가들에게도 인기를 얻었는데, 딥펜이나 전통 붓 대신 붓펜을 사용하기도 한다. 미국의 만화가 닐 아담스도 붓펜(특히 펜텔 붓펜)을 사용한 작가 중 한 명이다.[4]

사쿠라와 톰보는 "브러시 펜"이라는 이름의 브러시 팁 마커 펜을 판매하지만, 펜텔이나 쿠레타케 제품과는 달리 리필 가능한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에도 시대 후반, 구니토모 후지베는 "고카이추 붓"이라는 붓펜과 유사한 것을 만들었다.[10]

1933년부터 1934년에 걸쳐 작가 다니자키 준이치로는 수필 음영예찬에서 "만약 만년필을 옛날 일본인이나 중국인이 고안했다면, 붓끝을 펜이 아닌 모필로 하고, 잉크도 먹물에 가까운 액체로 만들어 털 쪽으로 스며 나오도록 했을 것이다."라며 붓펜의 아이디어를 언급했다.

2. 2. 붓펜 이전의 유사 도구

야다테는 중세 이후부터 붓과 먹물을 휴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9] 에도 시대 후반, 발명가 구니토모 후지베는 "고카이추 붓"이라는 붓펜과 비슷한 것을 만들었다.[10]

연필이나 만년필 보급으로 붓은 점차 줄어들었지만, 작가 다니자키 준이치로처럼 만년필의 필기감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다. 다니자키 준이치로1933년부터 1934년에 걸쳐 쓴 수필 음영예찬에서 "가령 만년필이라는 것을 옛날 일본인이나 중국인이 고안했다면, 반드시 붓끝을 펜으로 하지 않고 모필로 했을 것이다. 그리고 잉크도 저런 푸른색이 아니라, 먹물에 가까운 액체로 하여, 그것이 축에서 털 쪽으로 스며 나오도록 궁리했을 것이다."라며 붓펜의 아이디어를 언급했다.

3. 원리

붓펜은 붓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붓보다 취급과 관리가 간편하고 붓 끝의 탄성이 강한 경우가 많다.[1] 리필이 가능한 붓펜은 먹물이나 잉크를 빈 카트리지에 주입해 사용할 수도 있다.[1]

3. 1. 닙의 구조와 특징

붓펜의 닙은 유연성이 있는 섬유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섬유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잉크를 공급하여 글씨가 써지게 한다. 마커펜 같은 필기구도 같은 원리를 사용하지만, 붓펜은 닙의 끝뿐만 아니라 전체가 글씨를 쓰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과 닙의 섬유에 유연성이 있어 필압 조절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가의 붓펜은 실제 붓처럼 담비털이나 족제비털로 만들기도 한다. 선단은 부드러운 펠트펜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합성 섬유 등의 털을 사용한 본격적인 붓 타입이 있다. 본격적인 붓 타입은 가는 합성 수지를 묶어 만든 붓 끝에, 축에 내장된 잉크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일부 고급품에는 족제비 털을 사용한 것이 있다.

잉크는 염료안료가 있다.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한 제품도 있다.

3. 2. 잉크 공급 방식

붓펜의 닙은 유연성이 있는 섬유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섬유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잉크를 공급하여 글이 써지게 한다. 마커펜 같은 필기구도 같은 원리를 사용하지만, 붓펜은 닙의 끝뿐만 아니라 전체가 글씨를 쓰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과 닙의 섬유에 유연성이 있어 필압의 조절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선단은 부드러운 펠트펜으로 되어 있는 것과, 합성 섬유 등의 털을 사용한 본격적인 붓 타입이 있다. 본격적인 붓 타입은 가는 합성 수지를 묶어 만든 붓 끝에, 축에 내장된 잉크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잉크는 염료안료가 있으며,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한 제품도 있다.

4. 용례

붓펜은 서예캘리그래피, 만화 및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4. 1. 서예 및 캘리그래피

전통 붓보다 훨씬 사용이 간편하면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서예를 가르칠 때 많이 활용한다. 캘리그래피 용으로도 많이 활용되며, 이 경우 일반적인 붓펜뿐만 아니라 물붓펜의 활용도가 높다. 이때는 주로 고체케익형 물감이나 과슈 물감을 사용한다.[1]

다만 캘리그래피 입문 단계에서는 붓펜이 연습용으로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다.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해서 어디서나 연습이 가능하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오히려 깊이 있는 표현을 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처음부터 붓펜처럼 쓰기 쉬운 도구에 길들여지면 붓처럼 표현 난이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할 때 더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도 있다. 그래서 캘리그래피에서는 연습용보다는 주로 엽서 등 규모가 작고 간단한 작품을 제작할 때 많이 쓰는 편이다.[1]

4. 2. 만화 및 일러스트레이션

서예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권장되는 붓펜은 만화 작가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만화 작가들은 딥펜이나 전통적인 붓 대신 작품에 먹칠을 할 때 붓펜을 선택한다.[4] 붓펜(특히 펜텔 붓펜)을 사용하는 작가 중 한 명은 미국의 만화가 닐 아담스였다.[4]

사쿠라(Sakura Color Products Corporation)[5]와 톰보는 "브러시 펜"이라는 이름의 브러시 팁 마커 펜을 제조하여 판매하지만, 펜텔이나 쿠레타케 제품과 달리 사쿠라와 톰보 제품은 동일한 종류의 잉크를 사용하지 않으며 리필 가능한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Pentel pocket brush pen GFKP3BPA https://www.jetpens.[...] 2010
[2] 웹사이트 Pentel brush http://www.cultpens.[...]
[3] 웹사이트 筆ぺん誕生秘話 {{!}} 商品情報 {{!}} 墨、書道用具メーカーの株式会社呉竹 https://www.kuretake[...] 2024-09-27
[4] 인터뷰 Larry Hama interview https://www.cbr.com/[...] 2009-06-03
[5] 웹사이트 Pen brush https://sakuraofamer[...]
[6] 웹사이트 Dual brush pen https://www.tombowus[...]
[7] 웹사이트 意匠分類定義カード(F2) https://www.jpo.go.j[...]
[8] 웹사이트 くれ竹 万年毛筆 夢銀河 天然木/千本桜 https://www.kuretake[...]
[9] 웹사이트 矢立について https://www.tawara-m[...]
[10] 웹사이트 万年筆の基礎知識 https://www.sumi-ri.[...]
[11] 웹사이트 筆ぺん誕生秘話 | 商品情報 | 墨、書道用具メーカーの株式会社呉竹 https://www.kuretake[...]
[12] 웹사이트 製品開発ストーリー ぺんてる筆|特集|ぺんてる株式会社 https://www.pente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