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세관 현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세관 현상은 좁은 공간에서 액체가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17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다. 로버트 보일 등 초기 연구자들은 압력 차이 또는 액체와 고체 간의 인력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려 했다. 18세기에는 토머스 영과 피에르시몽 라플라스가 영-라플라스 방정식을 유도하여 정량적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1901년에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모세관 현상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모세관 현상은 표면 장력, 부착력, 응집력에 의해 발생하며, 쥐랭의 법칙으로 액체의 높이를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연 현상에서 식물의 수분 이동, 동물의 물 섭취, 눈물 배출 등에 기여하며, 종이 타월, 스펀지, 만년필 등 일상생활 및 산업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2. 역사

모세관(Capillary)은 라틴어 단어 capillaris에서 유래되었으며, "머리카락의, 또는 머리카락과 같은"을 의미한다. 이는 모세관의 작고 가느다란, 머리카락과 같은 직경에서 비롯되었다. 모세관 현상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남겼다.[50][51] 이후, 갈릴레오의 제자였던 니콜로 아지운티도 연구를 진행했다고 전해진다.[52]

2. 1. 초기 연구 (17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모세관 현상을 최초로 관찰하고 기록했다.[1][2][50][51] 갈릴레오의 제자였던 니콜로 아지운티(1600~1635년)도 모세관 현상을 연구했다고 전해진다.[3][52] 1660년, 아일랜드 화학자 로버트 보일은 "몇몇 호기심 많은 프랑스인들"이 모세관을 물에 담갔을 때 물이 "관 속에서 어느 정도 높이"까지 올라가는 것을 관찰했다고 보고했다. 보일은 이어서 모세관을 적포도주에 담근 후 부분 진공 상태에 놓는 실험을 보고했다. 그는 진공이 모세관 내 액체의 높이에 관찰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따라서 모세관 내 액체의 거동은 수은 기압계를 지배하는 현상과는 다른 어떤 현상에 기인한다는 것을 알아냈다.[4]

보일의 연구를 이어 다른 사람들도 연구를 진행했다.[5] 오노레 파브리,[6] 야코프 베르누이[7] 등은 액체가 모세관으로 상승하는 이유가 공기가 액체만큼 쉽게 모세관으로 들어갈 수 없어서 모세관 내부의 공기압이 더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아이작 보시우스,[8] 조반니 알폰소 보렐리,[9] 루이 카레,[10] 프랜시스 혹스비,[11] 요시아 바이트브레히트[12] 등은 액체의 입자들이 서로와 모세관 벽에 끌린다고 생각했다.

2. 2. 18세기~19세기: 정량적 연구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최초로 모세관 현상을 관찰하고 기록했다.[50][51]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제자였던 니콜로 아지운티도 모세관 현상을 연구했다고 전해진다.[52] 1660년, 아일랜드의 화학자 로버트 보일은 "몇몇 호기심 많은 프랑스인들"이 모세관을 물에 담갔을 때 물이 "관 속에서 어느 정도 높이"까지 올라가는 것을 관찰했다고 보고했다. 보일은 모세관을 적포도주에 담근 후 부분 진공 상태에 놓는 실험을 통해 진공이 모세관 내 액체의 높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했고, 모세관 현상이 수은 기압계와는 다른 현상에 기인한다고 결론 내렸다.[4]

이후 오노레 파브리,[6] 야코프 베르누이[7] 등은 액체가 모세관으로 상승하는 이유가 공기가 액체만큼 쉽게 모세관으로 들어갈 수 없어서 모세관 내부의 공기압이 낮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아이작 보시우스,[8] 조반니 알폰소 보렐리,[9] 루이 카레,[10] 프랜시스 혹스비,[11] 요시아 바이트브레히트[12] 등은 액체의 입자들이 서로와 모세관 벽에 끌린다고 생각했다.

18세기에 실험 연구가 계속되었지만,[13] 1805년 영국의 토머스 영[15]과 프랑스의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6]가 영-라플라스 방정식을 유도하면서 모세관 현상에 대한 정량적 처리가 이루어졌다.[14] 1830년,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모세관 현상을 지배하는 경계 조건을 결정했다.[17] 1871년, 영국의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 경(켈빈 경)은 켈빈 방정식을 통해 액체의 증기압에 대한 메니스커스의 영향을 밝혔다.[18] 이후 독일 물리학자 프란츠 에른스트 노이만은 두 개의 혼합되지 않는 액체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했다.[19]

2. 3. 20세기: 현대적 연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00년 ''아날렌 데어 피지크''에 제출한 첫 번째 논문은 모세관 현상에 관한 것이었다.[20][21]

3. 원리

내부 벽에 습기가 올라오는 현상


모세관 현상은 표면 장력, 응집력, 부착력과 같은 액체의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좁은 관이나 다공성 물질에서 이러한 힘들은 액체를 중력에 반하여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3. 1. 표면 장력

가로축은 모세관의 직경(d)이고 세로축은 물의 높이(h)


표면 장력에 의해 액면은 수축하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벽면 근처의 기울기를 가진 액면이 수축하려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면을 끌어올린다. 즉, 액체가 상승하는 힘은 벽면 근처의 표면 장력의 수직 성분과 같다.[53]

액면이 상승하는 높이는 끌어올린 액체의 무게와 위의 두 힘(표면 장력에 의한 힘)이 평형을 이룰 때까지이다. 액체의 무게는 밀도 × 부피(관 단면적 × 높이)로 구해지지만, 가는 관의 경우에는 이 관 단면적이 미소해진다. 이 때문에 액면이 상승하는 높이는 매우 커진다.

수직 유리 튜브(모세관)의 하단 끝에 임의의 액체가 놓여졌을 때,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 기둥의 높이는 Jurin's Law영어에 의해 주어진다. 표면장력을 T라고 할 때, T는 관벽으로부터 θ만큼 기울어져서 작용하며, 액체 기둥 최상단의 둘레 부분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액체 기둥이 정지해 있으므로, 액체 기둥 자체의 무게(좌변)와 표면장력에 의한 힘(우변)이 같다.

:\pi R^2 h \gamma = 2 \pi R T \cos \theta

메니스커스의 높이 h에 대해 정리하면 h = \frac{2T \cos \theta}{R \gamma}이다. 즉 메니스커스의 높이 h는 모세관의 반지름 R과 반비례하며(좁은 관에서 모세관 현상이 더 잘 나타남) 액체 기둥의 무게는 모세관 반지름의 제곱(R²)에 비례한다.

표준 실험실 조건에서 공기 주입구 튜브의 경우 T=0.0728 N, ρ=1000kg/m³, g=9.81 m/s²의 물로 채워진다. 이 경우, 물 기둥의 높이와 튜브 직경의 관계는 우측 그림과 같다.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모세관 흐름과 현상을 조사하기 위한 모세관 흐름 실험


다공성 매질 내의 모세관 침투는 속이 빈 튜브 내의 흐름과 동적 메커니즘을 공유하며, 두 과정 모두 점성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22] 결과적으로, 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장치는 '모세관'이다. 유리 튜브의 하단이 물과 같은 액체에 놓이면 오목한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와 고체 내벽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하여 액주가 분자간의 힘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액체 질량이 될 때까지 액주를 따라 당긴다. 액주 상단과 튜브 사이의 접촉 길이(가장자리 주변)는 튜브의 반경에 비례하는 반면 액주의 무게는 튜브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좁은 튜브는 더 넓은 튜브보다 액주를 더 멀리 당기게 되는데, 내부 물 분자가 외부 물 분자에 충분히 응집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3. 2. 부착력과 응집력



수직 유리 튜브(모세관) 하단 끝에 액체가 있으면 메니스커스(meniscus)가 형성된다. 액체 기둥의 높이는 유린의 법칙(Jurin's Law)에 의해 결정된다. 표면장력을 T라 할 때, T는 관 벽으로부터 θ만큼 기울어져 작용하며, 액체 기둥 최상단 둘레 부분에 작용한다. 액체 기둥이 정지해 있으므로, 액체 기둥 자체의 무게(좌변)와 표면장력에 의한 힘(우변)이 같다.

:\pi R^2 h \gamma = 2 \pi R T \cos \theta

메니스커스의 높이 h에 대해 정리하면 h = \frac{2T \cos \theta}{R \gamma}이다. 즉 메니스커스의 높이 h는 모세관의 반지름 R에 반비례하며(좁은 관에서 모세관 현상이 더 잘 나타남), 액체 기둥의 무게는 모세관 반지름의 제곱(R²)에 비례한다.[53]

다공성 매질 내의 모세관 침투는 속이 빈 튜브 내의 흐름과 동적 메커니즘을 공유하며, 두 과정 모두 점성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22] 유리 튜브 하단이 물과 같은 액체에 놓이면 오목한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와 고체 내벽 사이의 부착력은 액체 기둥을 끌어당긴다. 이 힘은 분자간의 힘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액체 질량이 될 때까지 작용한다. 액주 상단과 튜브 사이의 접촉 길이(가장자리 주변)는 튜브의 반경에 비례하는 반면, 액주의 무게는 튜브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좁은 튜브는 넓은 튜브보다 액주를 더 멀리 당기게 되는데, 이는 내부 물 분자가 외부 물 분자에 충분히 응집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표면 장력에 의해 액면은 수축하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벽면 근처의 기울기를 가진 액면이 수축하려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면을 끌어올린다. 즉, 액체가 상승하는 힘은 벽면 근처 표면 장력의 수직 성분과 같다. 위의 두 힘과 끌어올린 액체의 무게가 평형을 이룰 때까지 액면은 상승한다. 액체의 무게는 밀도 × 부피(관 단면적 × 높이)로 구해지지만, 가는 관의 경우에는 이 관 단면적이 미소해진다. 이 때문에 액면이 상승하는 높이는 매우 커진다.

4. 메니스커스의 높이 (수학적 설명)



메니스커스의 높이 ''h''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31][53]

:h=\over{\rho g r}}


  • ''T'' : 표면 장력
  • ''θ'' : 접촉각
  • ''ρ'' : 액체의 밀도
  • ''g'' : 중력 가속도
  • ''r'' : 관의 내경(반지름)


즉, 액체가 이동하는 공간이 좁을수록 액체는 더 높이 올라간다. 가벼운 액체와 낮은 중력 또한 액체 높이를 증가시킨다.

표준 실험 조건(20°C)에서 공기 중 물로 채워진 유리 튜브의 경우, ''T'' = 0.0728 N/m, ''θ'' = 20°, ''ρ'' = 1000 kg/m3, ''g'' = 9.80665 m/s2 이다. 이러한 값을 적용하면, 물 기둥의 높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h\approx \over r}

유리관의 반지름 ''r'' = 0.05 mm라면, 액면 상승 높이는 약 28cm가 된다.

4. 1. 쥐랭의 법칙 (Jurin's Law)

수직 유리 튜브(모세관)의 하단 끝에 임의의 액체가 놓여졌을 때,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 기둥의 높이는 쥐랭의 법칙에 의해 주어진다.[31] 표면장력을 T라고 할 때, T는 관벽으로부터 θ만큼 기울어져서 작용하며, 액체 기둥 최상단의 둘레 부분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액체 기둥이 정지해 있으므로, 액체 기둥 자체의 무게(좌변)와 표면장력에 의한 힘(우변)이 같다.

:\pi R^2 h \gamma = 2 \pi R T \cos \theta

메니스커스의 높이 h에 대해 정리하면 h = \frac{2T \cos \theta}{R \gamma}이다. 즉 메니스커스의 높이 h는 모세관의 반지름 R과 반비례하며(좁은 관에서 모세관 현상이 더 잘 나타남) 액체 기둥의 무게는 모세관 반지름의 제곱(R²)에 비례한다.[53]

액주 높이 ''h''는 쥐랭의 법칙에 의해 주어진다.[31]

:h=\over{\rho g r}}

여기서 \scriptstyle \gamma 는 액체-공기 표면 장력 (힘/단위 길이), ''θ''는 접촉각, ''ρ''는 액체의 밀도 (질량/부피), ''g''는 국소 중력 가속도 (길이/시간의 제곱[32]), ''r''은 튜브의 반지름이다.

''r''이 분모에 있으므로,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좁을수록 더 높이 올라간다. 마찬가지로, 가벼운 액체와 낮은 중력은 액주의 높이를 증가시킨다.

표준 실험 조건에서 공기 중의 물로 채워진 유리 튜브의 경우, γ영어는 0.0728 N/m (20°C), ρ영어는 1000 kg/m3, g영어는 9.81 m/s2이다. 물은 깨끗한 유리 위에서 퍼지기 때문에, 유효 평형 접촉각은 대략 0이다. 이러한 값에 대해, 물 기둥의 높이는 다음과 같다.

:h\approx {{1.48 \times 10^{-5} \ \mbox{m}^2}\over r}

해수면 고도에서 유리관과 물 조합의 경우, ''T'' = 0.0728 N/m (20℃), θ = 20°, ρ = 1000 kg/m3, ''g'' = 9.80665 m/s² 가 되어, 액면의 상승 높이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h\approx \over r}

유리관의 반지름이 ''r'' = 0.05 mm라면 액면의 상승은 약 28cm가 된다.

4. 2. 두 유리판 사이의 모세관 현상



수직 유리 튜브(모세관) 하단 끝에 임의의 액체가 놓여졌을 때,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 기둥의 높이는 Jurin's Law|주린의 법칙영어에 의해 주어진다. 표면장력을 T라고 할 때, T는 관벽으로부터 θ만큼 기울어져서 작용하며, 액체 기둥 최상단의 둘레 부분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액체 기둥이 정지해 있으므로, 액체 기둥 자체의 무게와 표면장력에 의한 힘이 같다.[53]

:πR²hγ = 2πRTcosθ

메니스커스의 높이 h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h = (2Tcosθ) / (Rγ)

즉 메니스커스의 높이 h는 모세관의 반지름 R과 반비례하며(좁은 관에서 모세관 현상이 더 잘 나타남) 액체 기둥의 무게는 모세관 반지름의 제곱(R²)에 비례한다.[53]

표준 실험실 조건에서 공기 주입구 튜브는 T=0.0728 N, ρ=1000kg/m³, g=9.81 m/s²의 물로 채워진다. 이 경우, 물 기둥의 높이와 튜브 직경의 관계는 우측 그림과 같다.

층 두께(''d'')와 상승 높이(''h'')의 곱은 일정하며(''d''·''h'' = 상수), 이 두 양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평면 사이 액체의 표면은 쌍곡선이다.

5. 흙에서의 모세관 현상

Hazen은 사질토에서 모세관 상승 높이 h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식을 제시하였다.

:h = \frac{C}{e D_{10}}

::D10 : 모래의 유효입경(mm)

::e : 공극비

::C : 상수(10 ~ 50)

건조한 다공성 매체가 액체와 접촉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속도로 액체를 흡수한다. 증발을 고려할 때 액체 침투는 온도, 습도 및 투과율의 매개변수에 따라 제한에 도달한다. 이 과정은 증발 제한 모세관 침투[22]로 알려져 있으며, 종이로의 유체 흡수와 콘크리트 또는 조적 벽의 상승 습기 등 일반적인 상황에서 널리 관찰된다. 단면적 ''A''를 가진 막대 모양의 재료가 한쪽 끝에서 젖을 때, 시간 ''t'' 이후 흡수된 액체의 누적 부피 ''V''는 다음과 같다.

:V = AS\sqrt{t},

여기서 ''S''는 m·s−1/2 또는 mm·min−1/2 단위의 매체의 흡수율이다. 이 시간 의존성 관계는 모세관 및 다공성 매질의 위킹에 대한 Washburn 방정식과 유사하다.[33] 다음 수량

:i = \frac{V}{A}

는 길이의 차원을 가진 누적 액체 흡입량이라고 한다. 막대의 젖은 길이, 즉 막대의 젖은 끝과 소위 "젖은 전선" 사이의 거리는 공극이 차지하는 부피의 분수 ''f''에 따라 달라진다. 이 숫자 ''f''는 매질의 기공률이다. 그러면 젖은 길이는 다음과 같다.

:x = \frac{i}{f} = \frac{S}{f}\sqrt{t}.

일부 저자는 ''S/f''의 양을 흡수율로 사용한다.[34]

위의 설명은 중력과 증발이 역할을 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흡수율은 상승 습기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축 재료의 관련 속성이다. 건축 재료의 흡수율에 대한 일부 값은 아래 표에 나와 있다.

선택된 재료의 흡수율 [35]
재료흡수율
(mm·min−1/2)
기포 콘크리트0.5mm
석고 플래스터3.5mm
점토 벽돌1.16mm
모르타르0.7mm
콘크리트 벽돌0.2mm


6. 다양한 현상 및 응용



다공성 매질 내의 모세관 침투는 속이 빈 튜브 내의 흐름과 동적 메커니즘을 공유하며, 두 과정 모두 점성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22] 좁은 튜브는 더 넓은 튜브보다 액체 기둥을 더 멀리 당긴다.

모세관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다양하게 관찰되고 활용된다. 건축 환경에서는 콘크리트조적조에서 발생하는 상승 습기 현상의 원인이 된다. 산업 및 진단 의학에서는 종이 기반 미세 유체 공학 분야에서 활용된다.[22]

생리학에서는 눈물 액체를 눈에서 배출하는 데 필수적이다. 눈물관에는 작은 직경의 두 개의 소관이 존재한다. 종이 타월은 모세관 작용을 통해 액체를 흡수하며, 스펀지의 작은 구멍은 작은 모세관 역할을 한다. 일부 섬유 직물은 흡수성 직물이라고 불리며, 양초 및 램프 심지의 모세관 특성을 따른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용매가 모세관 작용을 통해 판 위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만년필은 잉크를 펜촉 끝으로 끌어올리는 데 모세관 작용을 이용한다. 수은과 유리처럼 액체 내의 분자간 힘이 고체와 액체 사이의 힘보다 큰 경우, 볼록한 반월판이 형성되고 모세관 작용이 반대로 작용한다.

수문학에서 모세관 작용은 물 분자가 토양 입자에 끌리는 현상을 설명하며, 토양의 습한 지역에서 건조한 지역으로 지하수를 이동시킨다. 토양 수분 포텐셜(\Psi_m)의 차이가 토양에서 모세관 작용을 유발한다.

모세관 사이펀은 모세관 작용을 활용한 장치로, 섬유질 재료로 만들어진 코드를 사용한다. 모세관 작용과 중력으로 인해 물은 저장소에서 받는 용기로 천천히 이동한다. 이 장치는 실내 식물에 물을 주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증기 기관차 윤활에도 사용된다.[25]

6. 1. 자연 현상

많은 식물에서 모세관 현상이 관찰된다. 물은 높은 위치에 있는 가지까지 운반되는데, 식물의 잎의 증산 작용에 의해 증발되는 물은 모세관(식물에서는 물관/체관)을 타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올라간다.

다공성 매질 내의 모세관 침투는 속이 빈 튜브 내의 흐름과 동적 메커니즘을 공유하며, 두 과정 모두 점성력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22] 유리 튜브의 하단이 물과 같은 액체에 놓이면 오목한 메니스커스가 형성된다. 액체와 고체 내벽 사이에 부착력이 발생하여 액주가 분자간의 힘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액체 질량이 될 때까지 액주를 따라 당긴다. 액주 상단과 튜브 사이의 접촉 길이(가장자리 주변)는 튜브의 반경에 비례하는 반면, 액주의 무게는 튜브 반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좁은 튜브는 더 넓은 튜브보다 액주를 더 멀리 당기게 되는데, 내부 물 분자가 외부 물 분자에 충분히 응집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모세관 현상은 많은 식물에서 관찰되며, 증산 작용에 기여한다. 물은 나뭇가지에 의해 나무 위로 높이 운반된다. 잎에서의 증발은 감압을 생성하며, 아마도 뿌리에서 추가되는 삼투압에 의해, 그리고 식물 내부의 다른 위치, 특히 기근으로 습도를 모을 때 발생한다.[26][27][28]

물의 흡수를 위한 모세관 현상은 ''Ligia exotica''[29] 및 ''Moloch horridus''[30]와 같은 일부 작은 동물에서 설명되었다.

6. 2. 일상생활 및 산업 응용

건축 환경에서 증발에 의해 제한된 모세관 침투는 콘크리트조적조에서 발생하는 상승 습기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산업 및 진단 의학에서는 종이 기반 미세 유체 공학 분야에서 이 현상이 점점 더 활용되고 있다.[22]

생리학에서 모세관 작용은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눈물 액체를 눈에서 배출하는 데 필수적이다. 눈꺼풀 안쪽 구석, 즉 눈물관에는 작은 직경의 두 개의 소관이 존재하며, 눈꺼풀을 뒤집으면 눈물 주머니 안에서 그 구멍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종이 타월은 모세관 작용을 통해 액체를 흡수하여 유체를 표면에서 타월로 전달한다. 스펀지의 작은 구멍은 작은 모세관 역할을 하여 많은 양의 유체를 흡수한다. 일부 섬유 직물은 모세관 작용을 사용하여 피부에서 땀을 "흡수"한다고 하며, 흡수성 직물이라고 불린다. 이는 양초 및 램프 심지의 모세관 특성을 따른 것이다.

모세관 작용은 용매가 모세관 작용을 통해 판 위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관찰된다. 이 경우, 기공은 매우 작은 입자 사이의 틈새이다.

모세관 작용은 만년필 내부의 저장소 또는 카트리지에서 잉크를 펜촉 끝으로 끌어들인다.

수은과 유리와 같은 일부 재료 쌍의 경우, 액체 내의 분자간 힘이 고체와 액체 사이의 힘보다 크므로 볼록한 반월판이 형성되고 모세관 작용이 반대로 작용한다.

수문학에서 모세관 작용은 물 분자가 토양 입자에 끌리는 현상을 설명한다. 모세관 작용은 토양의 습한 지역에서 건조한 지역으로 지하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토양 수분 포텐셜(\Psi_m)의 차이가 토양에서 모세관 작용을 유발한다.

모세관 작용의 실용적인 응용 분야는 모세관 사이펀이다. 대부분의 사이펀과 달리 이 장치는 섬유질 재료(면 끈 또는 실이 잘 작동)로 만들어진 코드 길이로 구성된다. 코드를 물에 적신 후, (무게가 있는) 한쪽 끝은 물이 가득 찬 저장소에, 다른 쪽 끝은 받는 용기에 넣는다.[23] 모세관 작용과 중력으로 인해 물은 저장소에서 받는 용기로 천천히 이동한다. 이 간단한 장치는 아무도 집에 없을 때 실내 식물에 물을 주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속성은 증기 기관차 윤활에도 사용된다. 모직 심지는 저장소에서 베어링으로 이어지는 공급 파이프로 오일을 끌어오기 위해 사용된다.[25]

참조

[1] 서적 Manuscripts of Léonardo de Vinci Paris
[1] 서적 Histoire des sciences mathématiques en Italie, depuis la Renaissance des lettres jusqu'a la fin du dix-septième siecle https://archive.org/[...] Jules Renouard et cie. 1840
[1] 간행물 Vom Einfluss der Temperatur auf die Erscheinungen in Haarröhrchen https://books.google[...] 1857
[2] 서적 Edinburgh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Joseph and Edward Parker 1832
[2] EB1911
[2] 간행물 References to capillarity to the end of the year 1900 https://books.google[...] 1902
[3] 서적 Saggio di Storia Letteraria Fiorentina del Secolo XVII https://books.google[...] Vincenzo Giuntini 1759
[4] 서적 New Experiments Physico-Mechanical touching the Spring of the Air http://echo.mpiwg-be[...] H. Hall 1660
[5] pamphlet An attempt for the explication of the Phenomena observable in an experiment published by the Right Hon. Robert Boyle, in the 35th experiment of his Epistolical Discourse touching the Air, in confirmation of a former conjecture made by R. Hooke. 1661
[5] 서적 Micrographia https://books.google[...] James Allestry 1667
[5] 서적 Pensieri fisico-matematici sopra alcune esperienze fatte in Bologna https://books.google[...] Bologna 1667
[5] 서적 Ars Nova et Magna Gravitatis et Levitatis https://books.google[...] Arnold Leers, Jr. 1669
[5] 서적 Collegium Experimentale sive Curiosum https://books.google[...] Wolfgang Moritz Endter & the heirs of Johann Andreas Endter 1676
[6] 서적 Dialogi physici https://books.google[...] Lyon (Lugdunum), France 1665
[6] 서적 Dialogi physici https://books.google[...] Antoine Molin 1669
[7] 서적 Dissertatio de Gravitate Ætheris https://books.google[...] Hendrik Wetsten 1683
[8] 서적 De Nili et Aliorum Fluminum Origine https://books.google[...] Adrian Vlacq 1666
[9] 서적 De motionibus naturalibus a gravitate pendentibus http://echo.mpiwg-be[...] Lyon, France 1670
[10] 간행물 Experiences sur les tuyaux Capillaires http://gallica.bnf.f[...] 1705
[11] 간행물 Several Experiments Touching the Seeming Spontaneous Ascent of Water https://books.google[...] 1708
[11] 서적 Physico-mechanical Experiments on Various Subjects Self-published 1709
[11] 간행물 An account of an experiment touching the direction of a drop of oil of oranges, between two glass planes, towards any side of them that is nearest press'd together http://babel.hathitr[...] 1711
[11] 간행물 An account of an experiment touching the ascent of water between two glass planes, in an hyperbolick figure http://babel.hathitr[...] 1712
[12] 간행물 Tentamen theoriae qua ascensus aquae in tubis capillaribus explicatur https://books.google[...] 1736
[12] 간행물 Explicatio difficilium experimentorum circa ascensum aquae in tubis capillaribus https://books.google[...] 1737
[13] 간행물 De phenomenis plumbi fusi in tubis capillaribus https://archive.org/[...] 1740
[13] 간행물 Mémoire sur quelques effets d'attraction ou de répulsion apparente entre les molécules de matière https://archive.org/[...] 1787
[14] 서적 Theorie de la Figure de la Terre tirée des Principes de l'Hydrostatique http://gallica.bnf.f[...] David fils 1743
[15] 간행물 An essay on the cohesion of fluids https://books.google[...] 1805-01-01
[16] 서적 Traité de Mécanique Céleste https://books.google[...] Courcier 1805
[17] 서적 Principia generalia Theoriae Figurae Fluidorum in statu Aequilibrii http://babel.hathitr[...] Dieterichs 1830
[18] 간행물 On the equilibrium of vapour at a curved surface of liquid https://books.google[...] 1871
[19] 서적 Vorlesungen über die Theorie der Capillarität http://babel.hathitr[...] B. G. Teubner 1894
[20] 간행물 Folgerungen aus den Capillaritätserscheinungen http://gallica.bnf.f[...] 1901
[21] 웹사이트 List of Scientific Publications of Albert Einstein http://www.einstein-[...] 2013-06-18
[22] 논문 Tuning capillary penetration in porous media: Combining geometrical and evaporation effects https://unsworks.uns[...] 2018-08
[23] 웹사이트 Capillary Action and Water https://www.usgs.gov[...] 2024-04-29
[24] 논문 Open capillary siphons 2022-02-10
[25] 서적 Lubrication of Locomotives Locomotive Publishing Company 1922
[26] 웹사이트 Tree physics http://npand.wordpre[...]
[27] 웹사이트 Water in Redwood and other trees, mostly by evaporation http://www.wonderque[...]
[28] 논문 Disjoining pressure driven transpiration of water in a simulated tree 2022-06
[29] 논문 Water transport mechanism through open capillaries analyzed by direct surface modifications on biological surfaces 2013-10-23
[30] 논문 Uptake of Water by the Lizard, Moloch horridus 1962-05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Fluid 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32] 문서 Introductory Geotechnical Engineering: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33] 논문 Evaporation Limited Radial Capillary Penetration in Porous Media 2016-09-27
[34] 서적 Water transport in brick, stone, and concrete. https://books.google[...] 2002
[35] 문서
[36] 웹사이트 毛管現象(モウカンゲンショウ)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16
[37] 서적 流体工学と伝熱工学のための次元解析活用法 共立出版
[38] 서적 流体工学と伝熱工学のための次元解析活用法 共立出版
[39] 문서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서적 토목기사 과년도 - 수리수문학 성안당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