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치는 내용을 담은 사극이다.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세자의 갈등과 비극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사도세자의 죽음에 얽힌 음모와 진실을 추적한다. 2014년 SBS에서 방영되었으며, 평균 6.3%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연기와 흥미로운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장조를 소재로 한 작품 - 한중록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사도세자의 죽음과 궁중 생활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궁중의 권력 다툼과 사회상을 기록하고 가족의 억울함을 풀고자 쓴 책으로, 여성의 시각에서 기록된 역사적 자료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 조선 장조를 소재로 한 작품 - 한중록 (드라마)
드라마 한중록은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일부로,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삶과 궁중 암투를 다루며 최수종, 최명길, 김성원 등이 출연했고 광주특위청문회 중계 등으로 결방되기도 했다.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어사 박문수
《어사 박문수》는 1981년 MBC에서 방영된 조선시대 어사 박문수의 활약상을 그린 드라마이다. - 조선 영조를 소재로 한 작품 - 대왕의 길
1998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대왕의 길은 영조, 사도세자, 정조 3대에 걸쳐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사도세자의 고뇌와 비극, 그를 둘러싼 정치적 암투를 그린 작품이다. - 윤선주 시나리오 작품 - 한반도 (드라마)
한반도는 가상의 통일 한반도를 배경으로 남북 과학자 간의 로맨스와 열강들의 암투를 그린 드라마로, 100억 원의 제작비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시청률로 방영 횟수가 축소되었다. - 윤선주 시나리오 작품 - 스타트 (드라마)
스타트 (드라마)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방영된 드라마로, 강성진, 주민준, 김정민 등이 출연하여 총 49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다.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사극 드라마 정치 미스터리 |
작가 | 윤선주 |
연출 | 김형식 |
출연 | 한석규 이제훈 김유정 윤소희 박은빈 김민종 최원영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채널 | 서울방송 |
방송 기간 | 2014년 9월 22일 ~ 2014년 12월 9일 |
방송 시간 | 월요일, 화요일 밤 10시 (KST) |
방송 횟수 | 24 |
제작진 | |
책임 프로듀서 | 최문석 길돈섭 |
프로듀서 | 이영준 이상민 |
제작사 | 폴로니아 |
제목 | |
한국어 | 비밀의 문: 의궤 살인 사건 |
로마자 표기 | Bimir-ui mun |
영어 | Secret Door |
관련 정보 | |
관련 작품 | 비밀의 문 |
2. 역사적 배경
사도세자의 죽음은 조선 왕조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힌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심각한 정신 질환과 폭력적인 행동으로 인해 영조의 명에 따라 뒤주에 갇혀 사망했다. 그러나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을 비롯한 일부 자료에서는, 사도세자가 정치적 음모의 희생양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이 드라마는 이러한 다양한 해석을 바탕으로,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을 파헤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드라마 비밀의 문은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세자 이선 사이의 갈등을 다룬 사극이다. 영조는 왕권을 강화하려 하지만, 사도세자는 평등한 사회를 꿈꾼다.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즉위 후 아버지의 묘를 기리고 존경했으며, 사도세자와 혜경궁은 사후에 황제와 황후로 추존되었다.
2. 1. 임오화변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다룬 ''비밀의 문''은 사도세자의 생애 마지막 8년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을 담고 있다.[2]역사적 기록, 특히 부인 혜경궁이 저술한 ''한중록''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폭력적이었으며, 연쇄 강간범이자 살인범이었다. 그는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지만, 궁중 법규는 영조가 왕족을 직접 살해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래서 영조는 1762년 더운 7월, 사도세자에게 큰 나무 궤짝에 들어가 밀봉되도록 명하는 왕명을 내렸다. 8일 후, 사도세자는 27세의 나이로 질식과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19세기에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은 것이 아니라 혁명적인 변화를 추구했고, 그로 인해 정치적 반대자들이 그에게 죄를 씌웠다는 음모론이 제기되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은 한국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
2. 2. 혜경궁 홍씨와 한중록
혜경궁이 저술한 ''한중록''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폭력적이었으며, 연쇄 강간범이자 살인범이었다.[1] 그는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지만, 궁중 법규는 영조가 왕족을 직접 살해하는 것을 금지했다.[1] 그래서 영조는 1762년 더운 7월, 사도세자에게 큰 나무 궤짝에 들어가 밀봉되도록 명하는 왕명을 내렸다.[1] 8일 후, 사도세자는 27세의 나이로 질식과 굶주림으로 사망했다.[1]3. 줄거리
사도세자의 죽음을 둘러싼 비밀을 파헤치는 이야기를 다뤘다.[1] 사극은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세자 이선 사이의 갈등적이고 비극적인 관계를 탐구한다.[2] 영리한 영조는 왕권을 강화하려 하지만, 열정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아들은 평등하고 신분 없는 사회를 꿈꾼다.[2]
1754년, 영조의 아들이자 섭정을 맡고 있는 이선(후일 사도세자)은 어느 날, 유일한 친구인 화원 신흥복과 함께 신분을 숨기고 거리에 나선다.[3] 거기서 책 대여업이 불법적인 상업 행위로 단속되고 있다는 실태를 알고, 독단적으로 책 대여업을 허가하겠다고 선언하지만, 정치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노론의 중신들뿐만 아니라 영조에게도 반발을 산다.[3]
며칠 후, 신흥복이 선대 왕 경종이 잠든 왕릉의 우물에서 시체로 발견된다.[4] 하지만 그의 죽음은 자살로 조기에 처리되고, 신흥복과 그의 가족은 역적으로 몰린다.[4] 이에 의문을 품은 이선은 거리에서 알게 된 아름답고 총명한 책 대여점의 딸 서지담에게 은밀히 협력을 구하고, 친구의 죽음의 진상을 파헤친다.[4]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선은 어떤 연판장의 존재를 알게 되지만, 그것은 아버지 영조가 숨겨왔던 어떤 "비밀의 문"을 열게 되는 것이었다.[5]
4. 등장인물
- 한석규 - 영조 역
- 이제훈 - 이선 역
- 김유정 - 서지담 (1~13화)[6]
- 윤소희 - 성인 서지담 / 박빙애 (14~24화)
- 박은빈 - 혜경궁 역
- 김민종 - 나철주[7] 역
- 최원영 - 채제공 역
- 김창완 - 김택 역
- 장인섭 - 장동기 역
- 이원종 - 박문수 역
- 강서준 - 민우섭 역
- 서준영 - 신흥복 역
- 최재환 - 허정운 역
- 김명국 - 홍봉한 역
- 장현성 - 홍계희 역
- 김하균 - 김상로 역
- 엄효섭 - 민백상 역
- 정문성 - 변종인 역
- 전국환 - 이종성 역
- 김승욱 - 조재호 역
- 백승현 - 신치운 역
- 하승리 - 정순왕후 역
- 이설 - 문숙의 역
- 손병호 - 김성익 역
- 박현숙 - 최 상궁 역
- 김강현 - 장 내관 역
- 김미란 - 김 상궁 역
- 김태훈 - 강필재 역
- 이원재 - 강서원 역
- 최원홍 - 엄재선 역
- 박효주 - 운심 역
- 김보령 - 춘월 역
- 정욱 - 흑표 역
- 윤충 - 장삼 역
- 지상혁 - 이사 역
- 박소은 - 신고은 역
- 권해효 - 서균 역
- 정규수 - 양순만 역
- 김영선 - 흥복의 어머니 역
- 김한준 - 최 포졸 역
- 김현 - 화가 장씨 역
- 윤서현 - 천승세 역
- 곽희성 - 김무 역
- 고온 - 이교 역
- 이원근 - 김문 역
4. 1. 주요 인물
- 한석규 : 영조 역
- : 숙종의 넷째 아들이자 숙빈 최씨의 소생으로 조선의 21대 군왕이다.
- 이제훈 : 이선 역 (아역: 조연호, 양온유, 이호준, 김우석)
- : 영조의 차남이자 영빈 이씨의 소생이다. 훗날 사도세자로 불린다.
- 이제훈 : 이산 역 (아역: 홍지오, 이도현, 김단율, 김우석)
- : 영조의 손자로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차남. 훗날의 조선 22대 군주.
- 김유정 : 서지담(徐池談) 역 (청년 윤소희)
- : 가상의 인물
- 박은빈 : 혜경궁 홍씨 역
- : 사도세자의 비.
- 김민종 : 나철주(羅哲柱) 역
- : 광통교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검계 동방(東方)의 수장. 가상의 인물이다.
- 김창완 : 김택(金澤) 역
- : 호는 해연(垓?). 노론의 영수로 현직 의정부 영의정. 역시 가상의 인물이다.
- 이원종 : 박문수 역
- : 호는 기은(耆隱). 현직 우참찬, 세자의 스승이자 소론의 실세.
- 미상 : 인원왕후 역
- : 숙종의 둘째계비이자 영조의 모.
- 미상 : 숙빈 최씨 역
- : 숙종의 총관후궁으로 영조의 모친.
- 미상 : 정성왕후 역
- : 영조의 비이자 사도세자의 법적모.
- 미상 : 영빈 이씨 역
- : 영조의 총관후궁으로 사도세자의 모친.
- 하승리 : 정순왕후 역
- : 영조의 계비이자 사도세자의 법적모.
- 이경은 : 숙의 문씨 역
- : 영조의 후궁.
- 손병호 : 김상익 역
- : 영조의 최측근 내관이자 내시부 수장으로 종2품, 상선이다.
- 박현숙 : 최상궁 역
- : 동궁전 상궁.
- 김강현 : 장내관 역
- : 본명은 장홍기로 동궁전 내관이다.
- 김미란 : 김상궁 역
- : 빈궁전 상궁.
- 이미영 : 민상궁 역
- : 대전 지밀상궁이자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를 모셨던 생각시 출신이다.
- 김태훈 : 강필재(姜弼載) 역
- : 동궁전 별감.
- 이원재 : 강서원(姜曙元) 역
- : 동궁전 별감.
- 최원홍 : 엄재선 역
- : 대전의 어린내관.
- 최원영 : 채제공 역
- 장인섭 : 장동기 역
- 강서준 : 민우섭 역
- 서준영 : 신흥복 역
- 최재환 : 허정운 역
- 김명국 : 홍봉한 역
- 장현성 : 홍계희 역
- 김하균 : 김상로 역
- 엄효섭 : 민백상 역
- 정문성 : 변종인 역
- 전국환 : 이종성 역
- 김승욱 : 조재호 역
- 백승현 : 신치운 역
- 이설 : 문숙의 역
- : 영조의 후궁
- 박효주 : 운심 역
- 김보령 : 춘월 역
- 정욱 : 흑표 역
- 윤충 : 장삼 역
- 지상혁 : 이사 역
- 박소은 : 신고은 역
- 권해효 : 서균 역
- 정규수 : 양순만 역
- 김영선 : 흥복의 어머니 역
- 김한준 : 최 포졸 역
- 김현 : 화가 장씨 역
- 윤서현 : 천승세 역
- 곽희성 : 김무 역
- 고온 : 이교 역
- 이원근 : 김문 역
4. 2. 사도세자 주변 인물
- 한석규 : 영조 역
- 이제훈 : 이선 (사도세자) 역
- 박은빈 : 혜경궁 홍씨 역
- 최원영 : 채제공 역 - 홍문관 수찬, 훗날 도승지. 당색은 남인.
- 강서준 : 민우섭 역 - 노론 실세 민백상의 양자, 세자익위사.
- 권해효 : 서균 역 - 지담의 아버지이자 책쾌(오늘날의 서적상). 가명 인물.
- 서준영 : 신흥복 역 (특별출연) - 도화서 화원이자 예진화사(세자의 초상화를 그리는 화원). 가상 인물.
- 최재환 : 허정운 역 (특별출연) - 도화서 화원이자 신흥복의 절친.
4. 3. 조정 인물
- 김명국 : 홍봉한(洪鳳漢) 역 - 헌경왕후의 부친이다.
- 장현성 : 홍계희(洪啓禧) 역 - 병조판서이다.
- 김하균 : 김상로(金尙魯) 역 - 훗날 의정부 좌의정이 된다.
- 엄효섭 : 민백상(閔百祥) 역 - 부제학. 민우섭의 양부이다.
- 전국환 : 이종성(李宗城) 역 - 현직 의정부 좌의정으로 소론의 영수이자 정신적 지주이다.
- 김승욱 : 조재호(趙載浩) 역 - 호는 손재(損齋)이며, 소론의 실세이자 현직 한성부 판윤이다.
- 김광인 : 김한구(金漢耉) 역 (특별출연) - 정순왕후의 부친이다.
- 백승현 : 신치운(申致雲) 역 - 정치감각이 전무한 각 잡힌 선비. 소론 제일의 강경파이다.
- 정문성 : 변종인(卞宗仁) 역 - 좌포청 종사관이다.
- 정규수 : 양순만 역 - 대전 어의이다.
- 미상 : 유수원(柳壽垣) 역 - 호는 농암(聾菴)이며, 일찍이 관직을 버리고 여항에 뿌리를 내린 은둔 처사이다.
- 미상 : 윤지(尹志) 역 - 소론 재야 강경파로 가파른 성품의 소유자이다.
- 미상 : 이하징(李夏徵) 역 - 전 나주목사, 윤지와 더불어 괘서사건을 일으킨 주역이다.
- 미상 : 심정연(沈鼎衍) 역 - 문무겸전의 인재, 현 성균관 유생이다.
5. 제작
이 드라마는 사도세자의 생애 마지막 8년에 대한 수정주의적 해석을 담고 있다.[2]
역사 기록, 특히 부인인 혜경궁이 쓴 한중록에 따르면, 사도세자는 정신적으로 불안정하고 폭력적이었으며, 연쇄 강간범이자 살인범이었다. 그는 통치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졌지만, 궁중 법규는 영조가 왕족을 직접 살해하는 것을 금지했다. 그래서 영조는 1762년 더운 7월, 사도세자에게 큰 나무 궤짝에 들어가 밀봉되도록 명하는 왕명을 내렸다. 8일 후, 사도세자는 27세의 나이로 질식과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19세기에는 사도세자가 정신 질환을 앓은 것이 아니라 혁명적인 변화를 추구했고, 그로 인해 정치적 반대자들이 그에게 죄를 씌웠다는 음모론이 제기되었다. 그의 죽음을 둘러싼 상황은 한국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계속해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1]
6. 시청률 및 평가
2014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2] | AGB 시청률[13]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9월 22일 | 7.9% | 9.9% | 8.8% | 9.9% |
제2회 | 9월 23일 | 9.5% | 12.7% | 9.7% | 11.0% |
제3회 | 9월 29일 | 7.7% | 9.6% | 7.9% | 9.0% |
제4회 | 9월 30일 | 8.9% | 10.5% | 10.0% | 11.1% |
제5회 | 10월 6일 | 7.0% | 8.4% | 7.5% | 7.8% |
제6회 | 10월 7일 | 7.0% | 8.6% | 7.0% | 7.3% |
제7회 | 10월 13일 | 6.1% | 7.0% | 7.0% | 7.2% |
제8회 | 10월 14일 | 6.9% | 8.1% | 6.4% | 6.8% |
제9회 | 10월 20일 | 6.0% | 6.5% | 6.0% | 6.7% |
제10회 | 10월 21일 | 5.9% | 7.6% | 6.0% | 6.9% |
제11회 | 10월 27일 | 4.2% | 4.4% | 4.0% | 4.7% |
제12회 | 10월 28일 | 6.2% | 8.3% | 6.3% | 7.0% |
제13회 | 11월 3일 | 5.6% | 5.7% | 5.2% | 5.9% |
제14회 | 11월 4일 | 6.9% | 8.0% | 6.2% | 7.1% |
제15회 | 11월 10일 | 5.4% | 6.1% | 5.3% | 5.7% |
제16회 | 11월 11일 | 5.2% | 6.2% | 5.3% | 6.1% |
제17회 | 11월 17일 | 5.5% | 6.3% | 5.5% | 5.4% |
제18회 | 11월 18일 | 6.3% | 6.7% | 5.6% | 6.0% |
제19회 | 11월 24일 | 5.0% | 6.0% | 5.5% | 5.9% |
제20회 | 11월 25일 | 5.0% | 5.4% | 5.4% | 5.5% |
제21회 | 12월 1일 | 5.1% | 6.0% | 6.1% | 6.7% |
제22회 | 12월 2일 | 5.2% | 6.2% | 5.4% | 5.7% |
제23회 | 12월 8일 | 4.5% | 5.5% | 4.3% | 4.4% |
제24회 | 12월 9일 | 5.1% | 5.5% | 5.2% | 5.7% |
평균 시청률 | 6.2% | 7.3% | 6.3% | 6.9% | |
AGB닐슨 기준 평균 시청률은 6.3%를 기록했다.[13] 역사 왜곡 논란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와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다.
7. 수상 내역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4 | SBS 연기대상 | 장편 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 이제훈 | 수상 |
한석규 | 후보 | |||
장편 드라마 부문 특별 연기상 | 최원영 | 후보 | ||
10대 스타상 | 이제훈 | 수상 | ||
뉴스타상 | 김유정 | 수상 | ||
네티즌 인기상 | 이제훈 | 후보 | ||
베스트 커플상 | 이제훈, 박은빈 | 후보 |
8. 일본 방영
일본에서는 BS후지에서 2016년 4월 21일부터 5월 25일까지 매주 월~금요일 14:59-16:00에 일본어 더빙으로 방송되었다.[9] NHK BS 프리미엄 해외 드라마 시간대(일요일 21:00-22:00)에서, 2018년 9월 2일부터 2019년 2월 17일까지 방송되었다.[10]
더빙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11]
참조
[1]
웹사이트
Pop culture resurrects Prince Sado
http://koreajoongang[...]
2014-11-09
[2]
웹사이트
Same role, different actors
https://www.koreatim[...]
2014-11-09
[3]
웹사이트
New TV dramas to look out for
http://www.koreahera[...]
2014-11-09
[4]
웹사이트
Secret Door's enthusiastic press conference
http://www.dramabean[...]
2014-11-09
[5]
웹사이트
Hidden tears in Secret Door's character posters
http://www.dramabean[...]
2014-11-09
[6]
웹사이트
Kim Yoo Jung to Take Role in ''Secret Door'' with Han Seok Gyu and Lee Je Hoon
https://web.archive.[...]
2014-11-09
[7]
웹사이트
Kim Min-jong signs for ''Secret Door''
http://koreajoongang[...]
2014-11-09
[8]
웹사이트
Secret Door (Drama - 2014)
https://www.hancinem[...]
hancinema.net
2019-04-20
[9]
뉴스
<トンイ>と<イ・サン>を繋ぐ朝鮮王朝最大の“謎”を解き明かす「秘密の扉」4/21BSフジで放送!予告動画
https://navicon.jp/n[...]
ナビコン・ニュース
2016-03-03
[10]
웹사이트
ナビコン・ニュース
https://navicon.jp/n[...]
[11]
웹사이트
BSフジオフィシャルサイトより
http://www.bsfuji.tv[...]
[12]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http://www.tnms.tv/r[...]
[13]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www.agbnielse[...]
2014-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