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성왕후는 조선의 제21대 왕 영조의 왕비이다. 1692년 달성 서씨 서종제와 섬성부부인 이씨 사이에서 태어나, 1704년 연잉군(영조)과 혼인하여 달성군부인이 되었다. 1721년 왕세제빈, 1724년 영조 즉위 후 왕비가 되었으며, 효장세자와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꼈다. 1757년 창덕궁 대조전에서 6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홍릉에 묻혔다.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의 존호를 받았으며,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3년 출생 - 존 해리슨
존 해리슨은 영국의 시계 제작자로, 해상용 크로노미터(H4)를 발명하여 경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장기간의 연구 끝에 정확한 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했으나, 당시 과학계의 반대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 1693년 출생 - 교황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3세는 169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758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예수회 옹호와 유럽 군주들의 교황 권위 약화, 예수회 추방 운동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급사했다. - 조선 장조 - 정조
정조는 조선의 제22대 왕으로, 탕평책 계승, 규장각 설치, 장용영 설치, 신해통공 실시, 수원 화성 건설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47세에 사망하여 건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 장조 - 영빈 이씨
영빈 이씨는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생모로, 궁녀로 입궁하여 영조의 총애를 받아 빈까지 올랐으며 사도세자의 죽음에 관련된 고변을 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영조의 깊은 애도를 받았고 묘는 서오릉 수경원에, 신주는 칠궁에 봉안되었다. - 1757년 사망 - 베르나르 퐁트넬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은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과학 저술가로, 르네 데카르트의 사상을 옹호하며 과학 지식의 대중화에 기여했고, 17세기와 18세기를 잇는 가교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 1757년 사망 - 데이비드 하틀리
데이비드 하틀리는 18세기 영국의 의사이자 철학자로, 감각 경험의 연합을 통해 복잡한 의식이 형성된다는 '진동설'과 '관념연합설'을 제시하며 경험주의적 심리학에 기여했고, 그의 이론은 결정론적 입장과 연결되어 당대 지식인들과 현대 심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정성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정성왕후 서씨 |
한글 | 정성왕후 |
한자 | 貞聖王后 |
로마자 표기 | Queen Jeongseong |
별칭 | 달성군부인(達城郡夫人) |
시호 | 정성(貞聖) |
존호 | 혜경장신강선(惠敬莊愼康宣) |
휘호 | 공익인휘소헌원렬단목장화(恭翼仁徽昭獻元烈端穆章和) |
출생일 | 1693년 1월 2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가회방 사저 |
사망일 | 1757년 3월 23일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창덕궁 관리각 |
묘소 | 홍릉(弘陵, 서오릉)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9 |
종교 | 한국 불교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달성부원군 서종제 |
어머니 | 잠성부부인 우봉 이씨 |
배우자 | 영조 |
자녀 | 없음 |
양자 | 이행, 진종 이선, 장조 |
혼인 정보 | |
혼인 | 1703년 |
가문 (출생) | 대구 서씨 |
가문 (혼인) | 전주 이씨 |
재위 정보 | |
왕세자빈 책봉 | 1721년 11월 15일 - 1724년 10월 16일 |
왕비 즉위 | 1724년 10월 16일 - 1757년 3월 23일 |
선대 왕비 | 선의왕후 |
후대 왕비 | 정순왕후 |
기타 | |
전호 | 휘령전(徽寧殿) |
서명 | The_Seal_of_Queen_Jeongseong.png |
참고 문헌 | 혜경궁 홍씨 회고록 |
2. 생애
정성왕후는 1692년(숙종 18년) 달성부원군 서종제와 잠성부부인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704년(숙종 30년) 11세의 나이로 연잉군(훗날의 영조)과 혼인하여 달성군부인이 되었다. 1721년 연잉군이 왕세제로 책봉되면서 왕세제빈이 되었고, 1724년 경종이 승하하고 영조가 즉위하면서 왕비가 되었다. 정성왕후는 어질고 너그러운 성품으로, 정빈 이씨 소생 효장세자와 영빈 이씨 소생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꼈다고 전해진다.[6]
1757년 창덕궁 대조전에서 64세로 승하하였으며, 능은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내 홍릉이다.[2]
2. 1. 어린 시절과 혼인
1692년 음력 12월 7일 술시에 가회방 사제에서 달성부원군 서종제(徐宗悌)와 섬성부부인 이씨(李氏) 사이에서 태어났다.[5] 1704년 (숙종 30년), 연잉군과 혼인하여 달성군부인이 되었다.혼인 첫날 밤, 연잉군은 정성왕후의 손을 보고 왜 이리 곱냐고 물었다. 정성왕후는 고생을 안 한 덕에 손에 물을 묻히지 않아 그렇다고 대답했고, 연잉군은 자신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를 깔본 것으로 간주하여 이후 정성왕후를 찾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한다.
1721년, 연잉군이 왕세제로 책봉되자 세제빈이 되었으며, 1724년, 경종이 승하하고 연잉군이 조선 21대 국왕 영조로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2. 2. 왕비 시절
1704년(숙종 30년), 연잉군과 혼인하여 달성군부인(達城郡夫人)으로 봉해졌다.[5]혼인 첫날 밤, 연잉군이 정성왕후의 손을 보고 왜 이리 곱냐고 묻자, 정성왕후는 고생을 안 한 덕에 손에 물을 묻히지 않아 그리하였다고 대답하였다. 연잉군은 이 말을 자신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를 낮잡아 본 것으로 생각하고 이후로 정성왕후를 찾지 않았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1721년, 연잉군이 왕세제로 책봉되자 세제빈(世弟嬪)이 되었다.[5] 1724년, 경종이 승하하고 연잉군이 조선의 21대 국왕으로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정성왕후는 어질고 너그러운 성품을 가졌다고 전해지며, 정빈 이씨 소생인 효장세자와 영빈 이씨 소생인 사도세자를 친아들처럼 아꼈다.[6]
2. 3. 사후
1757년 창덕궁(昌德宮)의 대조전(大造殿)에서 인원왕후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향년 64세였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의 서오릉 내에 위치한 홍릉이다.1757년 정성왕후가 승하하자 영조는 정성왕후의 능을 아버지인 숙종의 명릉 근처에 만들고 훗날 자신이 정성왕후의 옆에 묻히기 위해 옆자리를 비워놓았다. 그러나 1776년 영조가 승하한 뒤 손자인 정조는 당시 왕대비(王大妃)였던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를 의식하여 현재의 동구릉 위치에 영조와 정순왕후의 무덤인 원릉을 조성하였다. 결국 정성왕후는 옆자리가 비워진 채 홍릉에 홀로 남겨지게 되었다.[2]
1740년 혜경(惠敬)이라는 존호가 올려진 뒤 생전에 장신(莊愼), 강선(康宣) 등의 존호가 올려졌고 승하 이후인 1772년에는 공익(恭翼)의 존호가 추상되었으며 인휘(仁徽), 소헌(昭獻)이 다시금 추상되어 혜경장신강선공익인휘소헌(惠敬莊愼康宣恭翼仁徽昭獻)의 존호를 가지게 되었다. 1778년 단목장화(端穆章和)의 존호가 추가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서문도(徐文道) | 1628년 ~ 1700년, 장례원사평, 증 영의정 |
조모 | 안동 김씨 | 1630년 ~ 1709년, 김정지(金鼎之)의 딸, 증 정경부인 |
외조부 | 이사창(李師昌) | 통정랑 |
외조모 | 의성 김씨 | 종사랑 김규(金圭)의 딸 |
아버지 | 서종제(徐宗悌) | 1656년 ~ 1719년, 신천군수, 증 영의정, 달성부원군, 시호는 효희(孝禧) |
어머니 | 우봉 이씨(牛峰 李氏) | 1660년 ~ 1738년, 잠성부부인 |
오빠 | 서명백(徐命伯) | 1678년 ~ 1733년, 증 이조판서 |
올케 | 여주 이씨(驪州 李氏) | 1676년 ~ 1733년, 이제(李濟)의 딸 |
조카 | 서덕수(徐德修) | 증 이조참판, 서재필의 6대조 |
조카 | 서인수(徐仁修) | 부사, 증 좌찬성 |
조카 | 서신수(徐信修) | 증 좌찬성, 서광범의 5대조 |
형제 | 서명휴(徐命休) | 지평 |
조카 | 서노수(徐魯修) | 황주목사 |
언니 | 이중경(李重慶) | 이조판서, 이영부(李英符)의 아들 |
언니 | 신정집(申正集) | 군수, 신영(申泳)의 아들 |
여동생 | 임거(林蘧) | 부사, 임정(林凈)의 아들 |
남편 | 영조(英祖) | 1694년 ~ 1776년,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년 ~ 1776년 |
4. 대중문화 속의 정성왕후
다음은 정성왕후가 등장하는 대중문화 작품들이다.
연도 | 종류 | 작품명 | 방송사/제작사 | 배역 |
---|---|---|---|---|
1988년 ~ 1989년 | 드라마 |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 MBC | 김애경 |
1998년 | 드라마 | 대왕의 길 | MBC | 문예지 |
2010년 | 드라마 | 동이 | MBC | 정모레 |
2017년 | 드라마 | 군주 - 가면의 주인 | MBC | 김선경 |
2019년 | 드라마 | 해치 | SBS | 최수임 |
2014년 | 영화 | 상의원 | 박신혜 | |
2015년 | 영화 | 사도 | 박명신 |
4. 1. 드라마
연도 | 작품명 | 방송사 | 배역 |
---|---|---|---|
1988년 ~ 1989년 | 조선왕조 오백년 한중록 | MBC | 김애경 |
1998년 | 대왕의 길 | MBC | 문예지 |
2010년 | 동이 | MBC | 정모레 |
2017년 | 군주 - 가면의 주인 | MBC | 김선경 |
2019년 | 해치 | SBS | 최수임 |
4. 2. 영화
참조
[1]
서적
The Memoirs of Lady Hyegyŏng: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of a Crown Princess of Eighteenth-Century Kore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
웹사이트
Biography of Crown Prince Sado of Korea (1735-1762), "The Rice-Box King"
http://www.xs4all.nl[...]
2011-02-19
[3]
웹사이트
서종제(徐宗悌)
https://encykorea.ak[...]
2024-02-09
[4]
웹사이트
정성왕후(貞聖王后)
https://encykorea.ak[...]
2024-02-09
[5]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6]
웹사이트
정성왕후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