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호 (170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재호(1702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좌의정 조문명의 아들이자 효순왕후의 오빠이다. 1729년 진사가 된 후 세자시강원에 등용되었으며, 1744년 춘당대 문과에 급제하여 승지로 특진했다. 이후 충청도 관찰사, 이조참판, 강원도 관찰사, 개성부 유수 등을 거쳐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소론의 당론 해결을 이유로 사직을 반복했다. 1759년 영조의 새 왕비 간택에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사도세자를 옹호하려다 역모로 몰려 사사되었다. 1775년 딸의 상소로 복권되었으며, 정조 때 관련 인물들이 복권되었다.
조재호는 효장세자빈 효순왕후(후일 효순왕후로 추존)의 친정 오빠이다. 1729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했으나, 과거 시험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2. 생애
이후 관직 생활을 하면서 소론의 당색을 가졌으나, 당론이 해결된 다음에 관직에 오르겠다며 번번히 사직소를 제출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1759년 돈령부영사 재직 중 영조의 새 왕비 간택에 반대하다 임천으로 유배되었다가, 두 달 만에 판부사로 임명되어 풀려났으나 곧 향리에 은거했다. 홍봉한, 홍인한 등 노론계 외척들의 감시를 받던 사도세자는 그에게 비밀리에 도움을 청했고, 이는 영조에게 빌미를 제공하여 위리안치되었다가 사형당하는 원인이 되었다.
1762년 사도세자가 화를 입게 되자 그를 구하려고 서울로 올라왔으나, 발언이 문제 되어 역모로 몰렸다. 단천부에 안치되었다가 종성으로 유배된 뒤, 사사되었다. 관련된 남경용 등도 함께 사형당했다.
1775년 딸이 신문고를 두들겨 억울함을 상소하자 영조가 특별히 복권시켰다. 영조는 딸의 신문고 격고(擊鼓)를 가상히 여겨 의자(衣資)와 식물(食物)을 하사하였다. 정조 즉위 후에도 죄적에 등재되어 있던 남경용 등은 1790년에 가서 복권되었다.
2. 1. 가계 및 초기 생애
아버지는 의정부좌의정 풍릉부원군(豊陵府院君) 조문명이고,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로 교관 김창업(金昌業)의 딸이다. 김창집, 김창협은 그의 외종조부가 된다. 영의정 풍원군 조현명은 그의 삼촌이다. 효장세자빈 현빈 조씨(후일의 효순왕후로 추존)의 친정 오빠이다.
1729년(영조 5년)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19위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과거 시험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시험을 보지 않았다. 후일 이 일로 의정부우의정 송인명의 눈에 들게 되었다.
2. 2. 관직 생활
1729년(영조 5년) 참봉으로 재직 중 식년시(式年試) 진사에 2등(二等) 19위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과거 시험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아 시험을 보지 않았으나, 후에 이 일로 의정부우의정 송인명의 눈에 들게 되었다.
1739년(영조 15) 학식과 재간이 있고 기우(氣宇)가 뛰어나다 하여 우의정 송인명의 추천을 받아 세자시강원에 등용되고 이후 서연에 참여했다. 이후 상호군을 거쳐 1744년 홍산현감(鴻山縣監)으로 재직 중 춘당대 문과에 병과(丙科) 1위로 급제하였다. 공신의 적장자라 하여 영의정 김재로의 추천을 받고 승지로 특진한 뒤 그해 이조참의가 되었다. 1745년 다시 송인명의 추천을 받아 비국 부제조(備局副提調)가 되었다가 그해 5월 15일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 4개월만에 이조참판으로 승진했으나 그가 너무 빨리 승진한다며 삼촌 조현명이 간곡히 아뢰어 결국 충청도관찰사로 유임됐다.
1746년 대사성, 승지, 이조참의, 다시 승지를 거쳐 강원도관찰사, 개성부 유수로 나갔다. 1748년 동의금, 1749년 병조참판을 거쳐 한때 김약로로부터 재상 후보자의 한 사람으로 복상 추천을 받기도 했다. 1750년 좌의정 김약로의 추천으로 이천보와 함께 정2품으로 승진했다. 그해 판윤이 되었으나 삼촌 조현명이 그의 빠른 승진을 두고 '신은 아경(亞卿)으로 8년을 있다가 승품하였는데도 이수항의 박정(駁正)하는 논계(論啓)가 있었으니, 대간의 풍기를 볼 수 있습니다. 조재호는 등과한 지 겨우 7년인데도 여기에 이르렀으니, 이는 바로 오기(吳起)의 병졸의 어머니가 '나는 죽을 곳을 알지 못하겠다'고 말한 경우와 같습니다.'며 만류했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
다시 판윤에 임명되고 형조판서, 홍문관제학을 역임했다. 그해에 다시 판윤에 임명되고 지경연, 약방제조를 역임하고 지돈녕부사가 됐다가 사직을 청했으나, 1개월만에 다시 판윤이 되었다. 그해 말 다시 형조판서가 됐다가 1751년 2월 2일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했으나 2월 20일 동궁에게 체작을 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그해 5월 동지성균관사로 돌아왔고 홍문관제학이 되었다가 곧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했다. 1752년 대사헌, 병조판서, 우빈객, 이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조현명의 제문에 쓴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 그해 우빈객이 되고 다시 이조판서에 재임명된 뒤 다시 우빈객에 임명됐다. 1752년 효순현빈의 빈전의 아헌관(亞獻官)의 한 사람으로 참석했다. 같은 해 소론 당내 완론 지도자 조태구, 이광좌를 비판하고 이들이 무신란에 책임이 있다며 이광좌의 사후 관직 추탈을 탄원하여 소론 당내 인사들의 미움을 받았다.
1753년 동춘추를 겸하다가 이조판서에서 체직되고, 곧 형조판서가 되었다. 그해 12월 서종급(徐宗伋) 대신 홍문제학이 되었다가 곧 체직됐다. 바로 지춘추가 되고 1754년 특진하여 의정부우의정이 되자 여러번 사직을 청했으나 임금이 거절하였다. 그해 천의소감(闡義昭鑑)의 편찬을 주장하였다. 1756년에 우의정에서 면직됐다. 1758년 영돈녕부사에 임명되어 사직을 청했으나 세자가 허용하지 않고 도리어 다시 영돈녕부사로 서용했다.
당색은 소론이나 당론이 해결된 다음에 관직에 오르겠다며 번번히 사직소를 제출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1759년 돈령부영사로 재직 중에는 영조 임금의 새 왕비를 세우자는 건의가 올라오자 이를 반대하다가 충청남도 임천으로 유배되었다. 두달만에 판부사에 임명되고 풀려났으나 곧 향리에 은거했다.
2. 3. 사도세자와의 관계 및 죽음
1759년 돈령부영사로 재직 중 영조가 새 왕비를 세우자는 건의에 반대하다가 충청남도 임천으로 유배되었다. 두 달 뒤 판부사에 임명되었으나 곧 향리에 은거했다. 홍봉한, 홍인한 등 처족과 정후겸, 홍계희, 김한구 가문 등 노론계 외척들의 감시를 받던 사도세자는 그에게 비밀리에 도움을 청했다. 그러나 이는 영조에게 빌미를 제공하여 위리안치되었다가 사형당했다.
1762년 장헌세자가 화를 입게 되자 그를 구하려고 서울로 올라왔으나, 그의 발언이 문제되어 역모로 몰렸다. 곧 함경북도 단천부에 안치되었다가 종성으로 유배된 뒤, 사사되었다. 그와 관련된 남경용 등도 함께 사형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