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의 문씨 (영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문씨는 조선 영조의 후궁으로, 사도세자 제거에 가담한 인물이다. 궁인 출신으로 효순왕후의 상을 당한 영조의 눈에 들어 승은을 입었고, 정4품 소원에 책봉된 후 숙의로 진봉되었다. 사도세자를 모함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혐의로 정조에 의해 작위가 삭탈되었고, 사사되었다. 화령옹주와 화길옹주를 낳았으며, 드라마와 영화 등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위된 비빈 - 공빈 김씨
    조선 선조의 후궁인 공빈 김씨는 임해군과 광해군을 낳고 선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후궁들과의 갈등과 산후병으로 사망하여 광해군 즉위 후 왕후로 추존되었다가 인조반정 이후 빈으로 강등되었으며, 그녀의 묘소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폐위된 비빈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776년 사망 - 홍인한
    홍인한은 조선 후기 풍산 홍씨 가문 출신 문신으로, 영조와 정조 시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나 정조 즉위 후 탄핵받아 사사되었고, 철종 때 복권되었다.
  • 1776년 사망 - 데이비드 흄
    데이비드 흄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경험주의 철학자, 역사가, 경제학자, 수필가로서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폭넓은 사상을 전개했으며, 인과 관계와 귀납적 추론에 대한 회의적인 분석으로 철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사된 사람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 사사된 사람 - 견성군
    견성군 이돈은 조선 성종의 아들로 연산군 시대에 횡포와 부정행위를 저질렀으나 중종반정 이후 공신이 되었고, 이후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된 후 신원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다.
숙의 문씨 (영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배우자영조
별칭문녀 (Munnyeo)
자녀
화령옹주
화길옹주
주요 정보
출생일미상
사망일1776년 9월 11일 (양력)

2. 생애

숙의 문씨는 궁인 출신으로, 야사에 따르면 진종의 부인 효순왕후의 궁인으로 있었다가 1751년(영조 27년) 음력 11월, 효순왕후가 사망하자 빈전을 찾은 영조의 눈에 들어 승은을 입었다고 한다.[1]

1753년(영조 29년) 음력 2월 8일, 정4품 소원에 책봉되었다. 당시 영조는 승지에게 후궁 책봉 교지에 어보를 찍으라고 하였는데, 승지 윤광의가 이 명령을 받들지 않자 영조는 다른 승지를 시켜 어보를 찍게 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훗날 윤광의는 그 정직함이 가상하다 하여 영조로부터 이조참의에 제수되었다.[2] 이후 1771년(영조 47년), 종2품 숙의로 진봉되었다.[3]

사도세자가 제거되는데 관여한 숙의 문씨는 정조 즉위 후, 1776년(정조 즉위년) 음력 3월 30일 작위가 삭탈되어 사저로 내쫓겼고, 함께 일을 모의한 문씨의 오빠 문성국은 노비로, 문씨의 어머니는 제주도의 종으로 삼았다.[5] 이후 문씨는 '''문녀'''(文女)로 불렸다. 그 해 음력 5월 13일, 정조는 장문의 교지를 내려 문씨의 죄를 알리고,[6] 다음날 문씨를 도성 밖으로 쫓아냈다.[7] 정조는 영조의 국상이 끝나자 문씨에게 사약을 내렸다.[8]

1781년(정조 5년), 문씨의 사위 심능건이 문씨의 생전 재산을 마음대로 처분했다가 탄핵을 받아 삭직되기도 하였다.[9]

2. 1. 후궁 책봉

궁인 출신으로, 야사에는 진종의 부인 효순왕후의 궁인으로 있었다가 1751년(영조 27년) 음력 11월, 효순왕후가 사망하자 빈전을 찾은 영조의 눈에 들어 승은을 입었다고 한다.[1]

이후 1753년(영조 29년) 음력 2월 8일, 정4품 소원에 책봉되었다. 당시 영조는 승지에게 후궁 책봉 교지에 어보를 찍으라고 하였는데, 승지 윤광의가 이 명령을 받들지 않자 영조는 다른 승지를 시켜 어보를 찍게 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훗날 윤광의는 그 정직함이 가상하다 하여 영조로부터 이조참의에 제수되었다.[2] 이후 1771년(영조 47년), 종2품 숙의로 진봉되었다.[3]

2. 2. 사도세자 제거에 가담

1776년(정조 즉위년) 음력 3월 30일,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는 문씨의 작위를 삭탈하여 사저로 내쫓고, 문씨와 함께 일을 모의한 문씨의 오빠 문성국은 노비로 만들었으며, 문씨의 어머니는 제주도의 종으로 삼았다.[5] 이후 문씨는 '''문녀'''(文女)로 불리게 되었다.

그 해 음력 5월 13일, 정조는 장문의 교지를 내려 문씨의 죄를 포고하고,[6] 다음날 문씨를 도성 밖으로 쫓아냈다.[7]

2. 3. 폐위와 죽음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1776년(정조 즉위년) 음력 3월 30일에 숙의 문씨의 작위를 삭탈하여 사저로 내쫓았다. 또한 문씨와 함께 일을 모의한 문씨의 오빠 문성국은 노비로 만들었으며, 문씨의 어머니는 제주도의 종으로 삼았다.[5] 이후 문씨는 '''문녀'''(文女)로 불리게 되었다.

그 해 음력 5월 13일, 정조는 장문의 교지를 내려 문씨의 죄를 알리고,[6] 다음날 문씨를 도성 밖으로 쫓아냈다.[7] 이후 수많은 사람들이 문씨를 처벌하고 그 혈육인 화령옹주의 작위를 삭탈하라는 청을 올렸으나, 정조는 이를 모두 허락하지 않았다. 음력 8월 10일, 영조의 국상이 끝나자 정조는 문씨에게 사약을 내렸다.[8]

한편 1781년(정조 5년), 문씨의 사위 심능건이 문씨의 생전 재산을 마음대로 처분했다가 탄핵을 받아 삭직되기도 하였다.[9]

3. 가족 관계

숙의 문씨는 영조와의 사이에서 화령옹주화길옹주 두 딸을 두었다. 화령옹주는 어머니 문씨의 죄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배려로 목숨을 보전하였다.

3. 1. 친정


  • 아버지: 미상
  • 어머니: 미상
  • * 오빠: 문성국 (생몰년 미상)

3. 2. 왕가(전주 이씨)

4. 숙의 문씨가 등장하는 작품

=== 드라마 ===



=== 영화 ===

4. 1. 드라마

4. 2. 영화

박소담은 2015년에 개봉한 영화 《사도》에서 숙의 문씨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해냄 2007-10-30
[2]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영조 79권, 29년(1753 계유 / 청 건륭 18년) 2월 8일(갑오) 4번째 기사
[3]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숙의문씨1〉 https://web.archive.[...] 2012-07-28
[4]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영조 100권, 38년(1762 임오 / 청 건륭 27년) 9월 14일(계유) 2번째 기사
[5]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3월 30일(신축) 2번째 기사
[6]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5월 13일(계미) 2번째 기사
[7]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1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5월 14일(갑신) 2번째 기사
[8]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2권, 즉위년(1776 병신 / 청 건륭 41년) 8월 10일(기유) 1번째 기사
[9] 역사기록 《조선왕조실록》정조 11권, 5년(1781 신축 / 청 건륭 46년) 윤5월 25일(정묘) 1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