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센테 루크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센테 루크반은 1860년 필리핀에서 태어나 변호사, 사업가, 혁명가,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법학 학위를 취득하고 치안 판사로 일하다가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사업을 시작했다. 프리메이슨으로 활동하며 카티푸난에 자금을 지원했고,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에 참여하여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특히 사마르 지역에서 미국의 식민 통치에 저항했으며, 발랑이가 학살 이후 체포되어 저항이 종결되었다. 이후 타바야스 주지사로 당선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지명과 기념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푸티난 - 에밀리오 아기날도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필리핀 혁명의 지도자이자 초대 대통령으로, 스페인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독립을 선언하고 미국과의 전쟁을 치렀으나, 논쟁적인 사건들과 일본과의 협력 등으로 그의 업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카푸티난 - 아폴리나리오 마비니
    아폴리나리오 마비니는 필리핀의 사상가, 법률가, 독립운동가, 정치가로서 필리핀 혁명에 참여하여 제1 필리핀 공화국의 총리 겸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소아마비에도 독립운동에 헌신하여 "혁명의 두뇌", "고결한 불구자"로 불리는 필리핀의 국민적 영웅이다.
  • 필리핀의 군인 - 피델 V. 라모스
    피델 V. 라모스는 필리핀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92년부터 1998년까지 제12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경제 개혁과 국가 통합을 추진했고,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 에둘사 혁명에 참여하여 마르코스 축출에 기여, 코라손 아키노 정부에서 육군 참모총장과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필리핀의 군인 - 라푸라푸
    라푸라푸는 1521년 막탄 전투에서 페르디난드 마젤란을 물리치고 스페인 제국주의에 저항한 막탄 섬의 추장으로, 필리핀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라푸라푸 시와 기념비가 세워졌다.
비센테 루크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비센테 루크반 (1901년경)
루크반 (1901년경)
별칭엔텡(Enteng)
사마르 장군(El General de Samar)
출생 이름비센테 루크반 이 리예스 (Vicente Lukbán y Rilles)
출생일1860년 2월 11일
출생지라보, 암보스 카마리네스, 필리핀 제도
사망일1916년 11월 16일
사망지마닐라, 필리핀 제도
사망 원인질병
정치
직위타야바스 주지사
임기 시작1912년
임기 종료1916년 11월 16일
이전프리미티보 산 아구스틴 (Primitivo San Agustin)
이후막시모 로드리게스 (Maximo Rodriguez)
소속 정당민족주의당
군사 경력
소속필리핀 제1공화국
군 종류필리핀 공화국군
복무 기간1898년–1902년
계급대장
주요 전투미-필리핀 전쟁
발랑기가 전투
비콜 군사 지역 작전
레이테 군사 지역 작전
사마르 군사 지역 작전
훈장필리핀 공화국 메달
학력
출신 학교아테네오 시립 마닐라
산토 토마스 대학교 (LL.B)
콜레히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 (LL.B)
가족
배우자소피아 디손 바르바 (Sofía Dízon Barba)
파시엔시아 곤살레스 (Paciencia Gonzales)
자녀12명

2. 생애

비센테 루크반은 카티푸난에 참여하여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스페인 항전을 도왔고, 1899년부터는 미국의 식민통치에 저항하는 전쟁을 계속하였다.[1]

1901년 에밀리오 아기날도미군에 생포되자 미구엘 말바르 장군은 독립 전쟁을 계속할 것을 선언했고, 루크반 역시 이에 호응하였다. 1901년 9월 28일, 루크반은 사마르 지역의 발랑기가에서 미군 기지를 기습 공격하여 미군 수비대를 전멸시켰다. 이 사건은 "발랑기가 학살"로 불리며, 필리핀 병력이 가한 최후의 괄목할 만한 성과로 기록된다. 그러나 미군은 보복으로 10세 이하의 소년, 소녀들을 포함한 민간인들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1902년 2월 27일, 루크반은 미군에 생포되었고, 사마르 지역의 저항은 종결되었다. 1912년 타바야스 주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16년 11월 16일 마닐라의 자택에서 사망했다.[1]

1886년, 루크반은 비콜 반도에 기반을 둔 농업 및 상업 협동조합인 "코포라시온 포풀라"를 설립하기 위해 치안 판사 직을 사임했다. 이 협동조합은 소규모 및 중규모 생산자의 사업 활동을 촉진하여 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고 제품을 판매하여 토지로부터의 수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1]

2. 1. 초기 생애

라보(암보스 카마리네스, 현재 카마리네스 노르테 주의 일부)에서 1860년 2월 11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암보스 카마리네스 출신 아구스틴 루크반이며, 어머니는 루반(타야바스) 출신 안드레아 릴레스이다. 후스토 루크반은 그의 형제이다. 루반의 "에스쿠엘라 피아"에서 초등 교육을 마쳤고, 마닐라 아테네오 시립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으며, 산토 토마스 대학교와 산 후안 데 레트란 대학교에서 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소피아 디손 바르바와 결혼하여 세실리아, 펠릭스, 아구스틴, 빈센테 주니어 등 4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소피아는 막내를 낳은 후 사망했다. 이후 루크반은 혁명에 헌신하기 위해 형제자매들에게 자녀를 맡겼다.

2. 2. 필리핀 혁명 참여

1884년 프리메이슨 조직인 ''Luz de Oriente''(동방의 빛)에 가입했다. 이 조직에는 많은 지식인과 중산층 필리핀인들이 회원으로 있었다. 안드레스 보니파시오의 혁명 운동인 카티푸난에 협동조합 수익의 일부를 비밀리에 보냈으며, 이 협동조합은 혁명 이념을 전파하는 효과적인 비밀 수단으로 작용하여 회원들은 스페인 당국의 의심 없이 자유롭게 활동했다.[2]

1896년 협동조합 자금을 혁명 자금으로 통합하여 정기적으로 혁명 운동에 송금했다. 비콜 지방카티푸난 특사로 활동하며 마닐라의 스페인군 동향과 비콜 지방에 미칠 영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마닐라로 가던 중 ''경비대''에 체포되어 정부 전복 음모 혐의로 빌리비드 감옥에 수감되었고 산티아고 요새에서 고문을 받았다.[2] 1897년 8월 18일에 석방되었다.[1]

감옥에 있는 동안 필리핀 혁명이 시작되었다.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장교 중 한 명으로 임명되어 전쟁 전략과 활동 계획을 도왔다. 비악나바토 조약 체결 후, 홍콩 훈타와 함께 망명길에 올랐으며, 홍콩에서 영국 해군 지휘 하에 군사 과학을 공부했다.[1] 이를 통해 펜싱, 사격, 화약 및 탄약 준비, 전쟁 전략 및 전술 계획, 실행을 익혔다.

1898년 아기날도가 필리핀 독립을 선포한 직후, 비콜 지역에서 스페인군에 대항하는 군사 작전을 지휘했다. 이후 레이테와 사마르의 정치·군사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3. 필리핀-미국 전쟁

카티푸난에 참여하여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스페인 항전을 도왔고, 1899년부터는 미국의 식민통치에 저항하는 전쟁을 계속하였다.

1901년 에밀리오 아기날도미군에 생포되자, 미구엘 말바르 장군은 모든 희생을 감수할 각오로 독립 전쟁을 계속할 것을 선언하고 국민들을 규합하였다. 미구엘 말바르의 결사 항전 주장에 많은 국민들이 후원을 보냈으며, 외곽에서 게릴라전을 수행하던 비센테 루크반 역시 이에 호응하였다. 이에 미군은 가혹한 정책으로 맞섰다.

미군의 혹독한 탄압에 맞서 루크반은 계속 게릴라전을 이끌며 산악 지대를 이동하며 미군을 공격하였다.

3. 1. 사마르섬 저항

1899년 12월 31일, 루크반 휘하의 필리핀 병사 100명이 모여 사마르의 새 총독을 자처하며 제1 필리핀 공화국에 복속되었다. 1901년 1월 미국 제1 보병 연대가 사마르 해안에 상륙했을 때, 그들은 루크반의 지휘 아래 보병 돌격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크반은 곧 섬 내부로 후퇴해야 했고, 조직적인 저항 네트워크를 남겨두었다.[1] 미국에 협력하는 사마르인들은 신속하고 극적으로 처형되었다. 미국 아서 맥아더 주니어 소장이 루크반에게 항복하면 사면하겠다고 제안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하고 끝까지 싸울 것을 맹세했다.

당시 제1 필리핀 공화국의 대통령이었던 에밀리오 아기날도1901년 3월에 체포되었다. 그는 4월 19일 미국에 충성을 맹세하고 추종자들에게 무기를 내려놓을 것을 촉구했다.[3] 루크반의 지도 아래 사마르는 필리핀 저항의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로 남았다. 미군은 공개적으로 싸울 적을 거의 만나지 못했고, 끊임없이 필리핀 병사들의 공격을 받았다. 일부 자료에서는 1901년 9월 발랑기가 학살의 전략가로 루크반을 꼽으며, 이 학살에서 50명 이상의 미국 군인들이 매복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4] 다른 자료에서는 루크반이 실제로 공격 계획에 참여하지 않았을 수 있지만, 그의 참모장인 에우헤니오 다자 대위가 계획한 작전을 승인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5][6]

두 명의 전쟁 포로가 카닥-안 강을 따라 위치한 루크반의 본부인 사마르 바세이의 위치를 ​​알려주며, 요새가 난공불락이라고 경고하자 리틀턴 월러 소령은 정찰병을 보내 조사했다. 1901년 11월 17일, 월러는 강을 따라 수륙 양용 공격대를 이끌고 공격했으며, 히람 베어스 대위와 데이비드 포터 대위는 바세이와 발랑이가에서 온 병력과 함께 육로로 공격했다. 수륙 양용 공격은 필리핀군이 세심하게 배치한 매복에 의해 좌절되었고, 포터는 혼자 공격했다. 필리핀 군인들은 미국 개틀링 기관총에서 쏟아지는 맹렬한 기관총 사격을 받기 시작하자 퇴각했고, 미국군을 위해 사다리를 남겨두었다. 이는 미국군의 승리였으며, 필리핀 군인 30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사마르에서의 전쟁은 풀라한의 통제를 받는 험준한 내륙을 정복하기 전까지는 진정으로 끝나지 않을 것이다.

루크반은 1902년 2월 18일 사마르 카투비그에서 체포되었다.

3. 2. 발랑기가 학살

1901년 9월 28일, 비센테 루크반은 사마르 지역 발랑기가의 미군 기지를 기습 공격하여 미군 수비대를 전멸시켰다. 이 공격으로 미군 장교 3명과 병사 43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부상당했다.[1] "발랑기가 학살"로 불리는 이 전투는 필리핀 병력이 거둔 최후의 괄목할 만한 성과로 기록된다. 일부 자료에서는 루크반이 이 학살의 전략가였다고 하며,[4] 다른 자료에서는 그가 실제로 공격 계획에 참여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참모장인 에우헤니오 다자 대위가 계획한 작전을 승인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5][6]

3. 3. 체포와 최후

1901년 에밀리오 아기날도미군에 생포되었지만, 비센테 루크반은 미구엘 말바르의 결사 항전 주장에 호응하여 게릴라전을 계속하였다. 미군의 가혹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1901년 9월 28일 샤마르 지역 발랑기가의 미군 기지를 기습 공격하여 미군 수비대를 전멸시키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발랑기가의 대학살").[4] 그러나, 계속된 미군의 병력 및 무기 증원으로 인해 1902년 2월 18일 사마르 카투비그에서 미군에 체포되었다.[1]

1912년 타바야스 주지사(현재의 케손주)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16년 재선되었다. 1916년 11월 16일 마닐라의 자택에서 사망했다.

4. 유산

루크반은 1912년 타야바스(현재의 케손주) 주지사로 선출되었고, 1916년에 재선되었다. 1916년 11월 16일 마닐라 자택에서 사망했다.[1]

그의 이름을 딴 시설 및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 루크반 수용소: 필리핀 육군 제8 보병 사단(8ID)의 군사 기지로, 사마르주 카발로간의 마울롱에 위치해 있다.[1]
  • 마닐라 톤도 구역 가가라링에 있는 거리[1]
  • 필리핀 도마뱀의 한 종인 ''Brachymeles lukbani''[1]
  • 필리핀 국립 경찰 사마르 지방 사무소 내 기념비[1]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3 volume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 서적 Honor in the Dust: Theodore Roosevelt, War in the Philippines, and the Rise and Fall of America's Imperial Dream New American Library
[3] 서적 Philippine history and government: conceptual – chronological approach National Book Store 1984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Spanish-American and Philippine-American Wars: A Political, Social, and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5] 웹사이트 The Balangiga, Samar, Massacre http://www.filipinoa[...] 2008-04-21
[6] 웹사이트 The Balangiga Conflict:Its Causes, Impact and Meaning http://www.geocities[...] 2008-04-21
[7]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9] 웹사이트 LUKBAN http://www.lukban.or[...] 2020-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