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르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르섬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비사야 제도 동쪽에 위치하며 레이테섬, 루손섬과 인접해 있다. 섬의 대부분은 산지와 밀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몬순의 영향으로 태풍 피해가 잦다. 역사를 살펴보면,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필리핀에 처음 발을 디딘 곳이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필리핀 전쟁을 거쳤다. 현재 동사마르주, 북사마르주, 사마르주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언어는 와라이와라이어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이며, 항공, 육상, 해상 교통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사마르주의 섬 - 호몬혼섬
    호몬혼섬은 필리핀 동부 비사야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1521년 마젤란이 상륙하여 필리핀에 기독교가 전래된 곳이며, 현재는 니켈과 크롬철광 채굴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마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필리핀 내 위치
필리핀 내 위치
군도비사야 제도
면적13,428.8 km²
해안선 길이800.6 km
최고점후라우산
높이890 m
위치레이테만
필리핀해
사마르해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후안니코 해협
행정 구역
국가필리핀
지방동비사야 지방
동사마르주
북사마르주
사마르주
최대 도시칼바요그
최대 도시 인구186,960명
인구 통계
인구1,909,537명
인구 밀도142.2 명/km²
민족비사야인 (와라이와라이족)

2. 지리

사마르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남서쪽으로는 레이테섬, 북서쪽으로는 루손섬과 가깝고, 몬순과 태풍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리적 특징을 가진다. 섬의 대부분은 산지와 밀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변 해역으로는 사마르해, 산후아니코 해협, 산베르나디노 해협, 레이테만, 필리핀해 등이 있다.

2. 1. 자연 지리

사마르섬은 비사야 제도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필리핀에서는 루손섬과 민다나오 섬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섬이며[4], 섬의 대부분은 산지와 밀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마르섬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후라우 산으로, 해발 890m이다.[5]

지리적으로 사마르섬은 남서쪽의 레이테섬사마르해를 사이에 두고 있다. 이 두 섬 사이의 남쪽 해역은 좁고 긴 산후아니코 해협으로 이어지며, 해협의 가장 좁은 부분은 폭이 약 2km이다. 이 해협 위에는 산후아니코 대교가 놓여 레이테섬과 연결된다. 북서쪽으로는 산베르나디노 해협을 사이에 두고 루손섬비콜반도와 마주보고 있다. 섬의 남쪽은 레이테만에 접하는데, 이곳은 1944년 10월 제2차 세계 대전 중 중요한 해전인 레이테 만 해전이 벌어진 곳이다.[6] 사마르섬의 북쪽과 동쪽 해안은 태평양의 일부인 필리핀해에 면해 있다.

사마르섬은 몬순의 영향을 많이 받아 태풍 피해가 잦은 편이다. 11월부터 4월까지는 '아미한', 8월부터 10월까지는 '하바갓'이라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가 자주 내린다. 5월부터 7월까지는 비교적 건조한 여름에 해당한다. 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이 서쪽으로 이동하며 사마르섬이나 레이테섬에 접근할 경우, 높은 산악 지형으로 인해 매우 강한 비가 내리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비사야 제도 중부에서는 태풍의 세력이 약화되기도 한다.

2. 2. 기후

사마르섬은 몬순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잦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특정 시기에 비가 집중되는데, 11월부터 4월까지는 아미한(tl) 계절풍이 불어 비가 자주 내리고, 8월부터 10월까지는 하바갓(tl) 계절풍으로 인해 비가 많이 온다. 반면, 5월부터 7월까지는 여름에 해당하며 건기이다.

또한 태평양에서 발생하여 서쪽으로 이동하는 태풍이 사마르섬이나 레이테섬에 접근할 때, 섬의 높은 산악 지형과 부딪혀 매우 강한 비를 뿌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지리적 영향으로 인해 비사야 제도 중부 지역에서는 태풍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3. 역사

비사야 제도의 다른 지역처럼 초기 공동체가 존재했으나 통일된 국가는 형성되지 못했고, 주요 해상 교역로에서는 다소 벗어나 있었다.

1521년 3월 16일,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함대가 호몬혼 섬에 상륙하며 필리핀 제도에 처음으로 도달했다. 이후 1543년 루이 로페스 데 빌라로보스는 사마르섬과 레이테섬 등을 탐험하고, 당시 스페인 황태자였던 펠리페의 이름을 따 이 섬들을 '필리피나스 제도'라고 명명했는데, 이것이 현재 필리핀 국명의 유래가 되었다.

1649년부터 1650년까지 북사마르의 파라파그에서는 와라이족 영웅 후안 폰세 수무로이가 스페인의 강제 노역에 맞서 수무로이의 난을 일으켰다. 이는 필리핀 역사상 중요한 민중 저항 운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3.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스페인 식민 세력이 도착하기 전, 사마르섬에는 여러 독립적인 공동체가 존재했다. 안토니오 피가페타1521년 그의 일지에 이 섬을 '자말'(Zamal)이라고 기록했다.[8][9] 또한 섬에는 '이바바오'(Ibabaó|이바바오es 또는 Cibabao|시바바오es), '아찬'(Achan), '캄라야'(Camlaya), '타리돌라'(Taridola), '칸다야'(Candaya)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지역 또는 정치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 미겔 데 로아르카는 '칸다야'라는 이름을 기록했으며, 스페인 선장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섬의 영주 이름을 섬 전체의 이름으로 오인하여 '탄다야'(Tandaya|탄다야es)라고 부르기도 했다.[9]

1543년, 라완(Rawan) 출신의 다투(영주) 이베레인(Iberein)은 금으로 장식된 노를 저어 자신의 항구에 정박한 스페인 탐험대의 배에 접근했으며, 귀걸이와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당시 사마르섬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사마르논(Samarnon)의 서사시 '빙기'(Bingi)는 라완의 번영했던 라카나테(Racanate, 군주국)와 다투 하디 이베레인에 대해 이야기한다.[7]

당시 비사야 제도 전반에서는 동남아시아 및 중국과의 교역이 활발했으며, 다투나 라자 같은 영주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통일된 국가는 없었다. 사마르섬은 이러한 주요 해상 교역로에서는 다소 벗어나 있었다.

1521년 3월 16일,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가 태평양을 횡단하여 처음으로 사마르섬을 발견했다. 마젤란은 마리아나 제도에서 항해해 왔으며, 자신이 군도에 도착했음을 깨닫고 섬들을 지도에 기록했다. 발견한 날이 나자로 축일이었기 때문에 이 군도를 '산 라자로'(San Lázaro|산 라자로es, 성 라자로) 군도라고 명명했다.[8][9] 마젤란은 사마르섬 자체에는 상륙하지 않고 남쪽으로 항해를 계속하여 술루안 섬에서 잠시 닻을 내린 뒤, 3월 17일 호몬혼 섬에 최종적으로 상륙하여 필리핀 땅에 첫발을 내디뎠다.[10]

그 후 1543년, 루이 로페스 데 빌라로보스가 이끄는 또 다른 스페인 탐험대가 루손섬 남부를 거쳐 사마르섬에 도착했다. 빌라로보스는 사마르섬과 레이테섬 등을 탐험한 후, 당시 스페인 황태자였던 펠리페를 기리기 위해 이 섬들을 '필리피나스 제도'(Las Islas Filipinas|라스 이슬라스 필리피나스es)라고 명명했다. 이것이 오늘날 필리핀이라는 국가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3.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21년 3월 16일,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 탐험대는 태평양을 횡단하여 필리핀 제도에 도달했고, 가장 먼저 발견한 섬이 바로 사마르섬이었다.[8][9] 당시 마젤란과 동행했던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자신의 일기에 이 섬을 '자말'(Zamal)이라고 기록했다. 마젤란은 자신이 군도에 도착했음을 깨닫고 섬들을 지도에 기록했으며, 나자로 축일에 발견했기에 '산 라자로'(성 라자로)라고 명명했다. 하지만 마젤란은 사마르섬에 직접 상륙하지는 않고 남쪽으로 항해를 계속하여 술루안 섬에서 닻을 내린 뒤, 1521년 3월 17일 호몬혼 섬에 최종적으로 상륙했다.[10]

이후 1543년, 루이 로페스 데 빌라로보스가 이끄는 또 다른 스페인 탐험대가 루손섬 남부를 거쳐 사마르섬에 도착했다. 빌라로보스는 레이테섬 등을 포함한 이 지역 섬들을 당시 스페인 황태자였던 펠리페를 기리기 위해 '필리피나스 제도'(Las Islas Filipinas)라고 명명했으며, 이는 현재 필리핀이라는 국가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스페인인들이 도착하기 전, 사마르섬에는 여러 부족 공동체가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 1543년 라완(Rawan) 출신의 다투(Datu, 부족장) 이베레인(Iberein)은 금으로 장식된 노를 저어 자신의 항구에 정박한 스페인 배에 접근했으며, 귀걸이와 체인을 착용하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7] 이는 당시 사마르 지역 사회의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초기 스페인 기록에는 '이바바오'(Ibabao 또는 Cibabao), '아찬'(Achan), '캄라야'(Camlaya), '타리돌라'(Taridola) 등 다른 지역 이름들도 언급된다. 스페인 선장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섬의 영주 이름을 섬 전체의 이름으로 착각하여 '탄다야'(Tandaya)라고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미겔 데 로아르카에 의해 '칸다야'(Candaya)로 기록되기도 했다.[9] 당시 비사야 제도 전반에서는 동남아시아와 중국을 잇는 교역이 활발했지만, 사마르섬은 주요 해상 교역로에서는 다소 벗어나 있었다.

스페인의 식민 통치가 시작되면서 필리핀 민중의 저항도 나타났다. 북사마르의 팔라파그(Palapag)는 1649년부터 1650년까지 이어진 '수무로이의 난'(Sumuroy Rebellion)의 중심지였다. 와라이족 영웅 후안 폰세 수무로이(Juan Ponce Sumuroy)가 주도한 이 봉기는 필리핀 역사상 최초의 주요 민중 반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당시 스페인 통치자들은 루손섬 카비테 시의 조선소에서 일할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마르섬 주민들에게 과도한 노역을 강요했고, 이에 수무로이를 비롯한 주민들이 반발하여 봉기를 일으켰다. 반란은 한때 필리핀 중부 지역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였으나, 결국 스페인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고 수무로이는 산속에서 저항하다 살해되었다.

1700년대 기록에 따르면, 당시 사마르섬에는 약 103 가구의 스페인계 필리핀인과 3,042 가구의 토착민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1]

3. 3. 필리핀-미국 전쟁

필리핀-미국 전쟁 (1899-1902)의 마지막 주요 작전은 사마르 섬에서 벌어졌으며, 이 전쟁 전체에서 가장 잘 알려지고 악명 높은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된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곳에서의 충돌은 특히 격렬했다.

1900년 4월 15일, 카투비그에서는 필리핀 게릴라 부대가 미군 부대를 급습하여 마을을 4일 동안 점령하는 카투비그 전투가 벌어졌다. 미군은 증원군이 도착할 때까지 저항했다.

이후 1901년 9월 28일, 사마르 섬 남동부 지역 사령관 에우제니오 다사와 마을 경찰서장 발레리아노 아바나도르가 이끄는 필리핀 저항군은 발랑이가를 점령하고 있던 미국 육군 제9보병연대 C 중대를 공격했다. 이 사건은 흔히 '발랑이가 학살'로 알려져 있으며, 전쟁 중 필리핀이 거둔 몇 안 되는 중요한 승리 중 하나이자 수십 년 만에 미국이 겪은 최악의 군사적 패배였다. 1989년 동사마르에서는 이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발랑이가 조우의 날"을 지방 공휴일로 지정했다.[12][13]

발랑이가에서의 패배는 미군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이는 제이콥 H. 스미스 장군이 이끄는 잔혹한 보복 작전, 이른바 사마르 섬 평정으로 이어졌다. 스미스 장군은 다음과 같은 악명 높은 명령을 내렸다.

"포로를 잡지 말라. 죽이고 불태우기를 바란다. 더 많이 죽이고 불태울수록 더 기쁠 것이다... 사마르 섬 내륙을 울부짖는 황무지로 만들어야 한다..." — 제이콥 H. 스미스 장군


이 명령에 따라 미국 해병대는 사마르 섬에서 수천 명의 필리핀 민간인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역사가 브라이언 맥앨리스터 린은 그의 저서에서 "사마르는 육군의 업적에 먹구름을 드리웠고, 수 세대 동안 필리핀 전쟁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대중의 마음에 각인되었다."[14]라고 평가하며 이 사건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사마르섬 동쪽 해역에서는 1944년 10월 25일에 사마르 해전이 벌어졌다. 이 해전에서 미국 해군의 소규모 비(非) 장갑 호위 함대는 일본 전함 ''야마토''를 포함한 일본 제국 해군의 중앙 부대와 교전을 벌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섬은 대규모 미국 해군 기지인 레이테-사마르 해군 기지의 일부였다.

사마르 섬 인근 레이테 만과 그 주변 해역은 해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이자 태평양 전쟁의 분수령이 된 레이테 만 해전의 무대이기도 하다. 이 해전 이후 이어진 육상전에서는 많은 일본군이 산악 지대로 쫓겨나 미군과 필리핀인 게릴라 부대에 맞서 싸웠으나, 결국 굶주림과 질병으로 인해 다수가 목숨을 잃었다.

3. 5. 현대

1980년대신인민군 등 반정부 게릴라와의 전쟁이 계속되었다.

4. 행정 구역

사마르섬은 3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3개 주는 동비사야 지방에 속한다. 사마르섬의 유일한 사마르주의 Calbayog|칼바요그영어이다.

5. 주민

사마르섬의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03266,237
1918379,575
1939546,306
1948757,212
1960867,994
19701,019,358
19751,120,192
19801,200,592
19901,246,722
19951,405,892
20001,517,585
20071,650,022
20101,751,267
20151,880,020
20201,909,537



사마르섬의 주요 언어는 와라이어(와라이와라이어 또는 사마르-레이테어)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세부아노어도 사용된다. 영어타갈로그어도 대체로 통용된다. 또한 고대 일본의 가카키와 매우 유사한 청년 남녀의 노래 시합 풍습인 바리타우가 남아있다.

6. 산업

주요 산업은 벼농사, 고구마 등을 중심으로 한 농업임업, 어업이다. 산업 기반이 취약하여 필리핀 내에서도 가난한 지역에 속한다.

7. 교통

사마르섬은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항공, 육상, 해상 교통으로 연결된다. 섬 내에는 여러 공항이 운영되고 있으며, 산 파니코 다리를 통해 레이테섬타클로반과 연결된다. 또한, 루손 섬, 마닐라, 세부 등 주요 지역으로 향하는 페리 노선이 운항되어 해상 교통도 활발하다.

7. 1. 항공


  • 카발로간 공항
  • 칼바요그 공항
  • 기우안 공항
  • 보롱안 공항

7. 2. 육상

산 파니코 다리는 사마르섬의 사마르주 산타 리타와 레이테섬레이테주 타클로반을 연결한다.

7. 3. 해상

사마르 섬을 오가는 주요 해상 노선은 다음과 같다.

출발지도착지비고
마토노그 (루손 섬 솔소곤 주)알렌 (사마르 섬 노던사마르 주)마닐라행 버스가 이용하는 주요 해상 경로
카트바로그안마닐라
카트바로그안세부
칼바요그세부


참조

[1] 간행물 2010 Philippine Yearbook https://psa.gov.ph/s[...]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5-12-14
[2] 웹사이트 Islands of Philippines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5-09-18
[3] 웹사이트 PHILIPPINE LAWS, STATUTES AND CODES - CHAN ROBLES VIRTUAL LAW LIBRARY http://www.chanroble[...]
[4] 웹사이트 Sama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3-02-23
[5] 웹사이트 Samar https://peakvisor.co[...] Peakvisor 2023-02-23
[6] 웹사이트 The Battle of Leyte Gulf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23-02-23
[7] 서적 Cracks in the parchment curtain and other essays in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8] 뉴스 The hospitable shores of Samar during Magellan’s landfall https://news.abs-cbn[...] ANCX 2023-02-23
[9] 서적 Looking Back: Volume 1 Anvil Publishing, Inc. 2012
[10] 서적 So Noble a Captain: The Life and Times of Ferdinand Magellan Thomas Y. Crowell
[11]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ia601608.us.[...]
[12]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1629, s. 2008 https://www.official[...] 2008-09-26
[13]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6692 https://www.official[...] 1989-02-10
[14] 서적 The Philippine War 1899-1902 University Press of Kans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