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활성 전자쌍 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활성 전자쌍 효과는 13족에서 17족 원소에서, 주기율표상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최외각 s 오비탈의 전자가 화학 반응에 잘 참여하지 않아, 족의 최고 산화수보다 2 작은 산화수를 갖는 화합물이 안정해지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s 오비탈 전자의 결합력, 이온화 에너지, 상대론적 효과, 결합 엔탈피 감소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설명된다. 비활성 전자쌍은 입체 화학적으로 활성 또는 비활성일 수 있으며, 이는 분자의 기하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화학 - 알칼리
알칼리는 아랍어에서 유래하여 식물 재를 의미하며, 물에 녹아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고 pH가 높으며 부식성이 있고 피부에 미끈거리는 특징을 보이는 물질을 지칭하며, 염기의 하위 집합으로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염기성 염, 또는 물에 녹아 수산화 이온을 형성하는 염기를 포함한다. - 무기화학 - 동소체
동소체는 동일한 원소로 이루어졌으나 원자 배열의 차이로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을 지칭하며, 탄소의 다이아몬드와 흑연, 산소의 산소와 오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양자화학 - 태양광 발전
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직류 전기로 변환 후 교류 전기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 개발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초기 투자비용, 간헐성, 환경적 영향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양자화학 - 양공
양공은 반도체 내에서 전자가 빠져나간 자리를 의미하며, 마치 양의 전하를 띠는 입자처럼 행동하여 전기 전도에 기여하고, P형 반도체의 특성을 나타낸다. - 원자물리학 - 보어 반지름
보어 반지름()은 물리 상수들로 정의되며, 약 5.292 × 10-11 m의 값을 가지고, 보어 모형에서 가장 안쪽 전자 궤도의 반지름으로 제시되어 원자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로 사용된다. - 원자물리학 - 스핀-궤도 상호작용
스핀-궤도 상호작용은 전자의 스핀 각운동량과 궤도 각운동량의 결합으로 발생하는 상대론적 효과로, 원자 스펙트럼의 미세 구조를 설명하고 고체 내 에너지띠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비활성 전자쌍 효과 |
---|
2. 설명
13족의 탈륨(Tl)을 예로 들면, Tl의 +1 산화수가 가장 안정적인 반면, Tl3+ 화합물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1 산화 상태의 안정성은 Al+ < Ga+ < In+ < Tl+ 순서로 증가한다.[2] 이러한 경향은 14족, 15족, 16족에서도 나타나는데, 각 족에서 가장 무거운 원소인 납(Pb), 비스무트(Bi), 폴로늄(Po)은 각각 +2, +3, +4의 산화 상태에서 비교적 안정적이다.
4주기 이후의 13족 원소 ~ 17족 원소에서는 족에 따라 결정되는 최고 산화수보다 2 적은 산화수의 화합물이 안정되는 경향이 종종 보인다. 예를 들어 4주기에서는 비소의 할로젠화물은 5가보다 3가를 취하는 경향이 있으며, 셀레늄의 산화물이나 옥소산은 6가보다 4가가 안정되며, 브로민에서는 브롬산에서 과브롬산으로의 산화가 매우 어렵다. 5주기에서는 인듐, 주석, 안티몬의 염화물은 각각 최고 산화수와 그것보다 2 적은 산화수의 화합물이 모두 알려져 있다. 6주기가 되면, 탈륨, 납, 비스무트에서는 오히려 최고 산화수의 화합물이 불안정하며, 그것보다 2 작은 산화수가 안정하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원자가 껍질의 s 궤도에 대한 핵전하의 가림 효과가 약하기 때문에, 전자 구름이 원자핵 근방으로 끌려 에너지적으로 안정되어 원자가 전자로서 작용하지 않는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현상을 비활성 전자쌍 효과라고 한다.
s 오비탈의 최외각 전자가 p 오비탈의 전자보다 더 강하게 결합되어 있고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결합에 관여할 가능성이 적다는 부분적인 설명도 있다.[3]
2. 1. 이온화 에너지
13족 원소의 이온화 에너지를 살펴보면, s 오비탈의 두 전자에 대한 이온화 에너지(제2 + 제3 이온화 에너지)의 합은 붕소에서 알루미늄으로 갈수록 원자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그러나 갈륨, 인듐, 탈륨은 예상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4]IE | 붕소 | 알루미늄 | 갈륨 | 인듐 | 탈륨 |
---|---|---|---|---|---|
제1 | 800 | 577 | 578 | 558 | 589 |
제2 | 2427 | 1816 | 1979 | 1820 | 1971 |
제3 | 3659 | 2744 | 2963 | 2704 | 2878 |
제2 + 제3 | 6086 | 4560 | 4942 | 4524 | 4849 |
갈륨의 높은 이온화 에너지(제2 + 제3)는 d-구역 수축으로 설명되며, 인듐에 비해 탈륨의 높은 이온화 에너지(제2 + 제3)는 상대론적 효과로 설명된다.[4] 인듐에 비해 탈륨의 값이 더 높은 것은 란타넘족 수축의 영향과 그에 따른 채워진 4d 및 5f 부껍질에 의한 핵 전하로부터의 빈약한 차폐에 부분적으로 기인한다.[5]
2. 2. 결합 엔탈피
13족에서 15족의 경우, 비활성 전자쌍 효과는 "알루미늄(Al)에서 탈륨(Tl)까지 원자 크기가 커짐에 따라 결합 에너지가 감소하여 s 전자를 결합에 포함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두 개의 추가 결합을 형성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로 보상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1] 즉, 금의 경우에는 상대론적 효과를 포함하여 여러 요인이 작용하고 있으며, "모든 데이터에 대한 정량적인 합리화는 달성되지 않았다"고 언급되었다.[1]1958년 드라그는 무거운 p-블록 원소의 M−X 결합 엔탈피가 낮고, 원소를 높은 산화 상태보다 낮은 산화 상태로 산화하는 데 더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사실에서 비활성 전자쌍 효과의 원인을 찾았다.[6] 이 에너지는 이온 결합 또는 공유 결합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특정 원소와의 결합이 약하면 높은 산화 상태에 접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후 상대론적 효과를 고려한 추가 연구에서도 이러한 설명이 타당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7]
결합 에너지가 작아지는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있지만, 한 가지 예로 4주기 및 6주기 원소에서는 전기 음성도가 크기 때문에(핵전하의 가림 효과가 약하기 때문) 음성 원자와의 결합이 약해지는 현상이 지적되기도 한다.
3. 비활성 전자쌍의 입체화학적 활성
비활성 전자쌍의 s 전자들의 화학적 불활성이 항상 입체적 불활성과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입체적 불활성은 s 전자 고립 전자쌍의 존재가 분자 또는 결정의 기하학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입체적 활성의 간단한 예는 SnCl2인데, 이는 VSEPR 이론에 따라 굽어 있다. 고립 전자쌍이 비활성으로 보이는 몇 가지 예로는 아이오딘화 비스무트(III), BiI3, 및 음이온이 있다. 이 두 경우 모두 중심 Bi 원자는 VSEPR 이론에 반하여 왜곡이 거의 또는 전혀 없이 팔면체로 배위되어 있다.[8]
고립 전자쌍의 입체적 활성은 오랫동안 궤도가 일부 p 특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즉, 궤도가 구형 대칭이 아니다.[1] 더 최근의 이론적 연구에 따르면 이것이 항상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황연광 구조의 PbO는 PbS의 더 대칭적이고 단순한 암염 구조와 대조를 이루며, 이는 PbII–음이온 상호작용이 PbO에서 전자 밀도의 비대칭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왔다. PbS에서는 유사한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9] 또 다른 예는 Tl의 반결합 궤도와 상호작용하는 Tl의 s 전자로 인해 비대칭성이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몇몇 탈륨(I) 염이다.[10]
'''입체 화학적으로 비활성'''(Stereochemically inactive lone pair)이란, 예를 들어 s 전자에 기인하는 비공유 전자쌍이 VSEPR 규칙에 기여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VSEPR 규칙에서는 비공유 전자쌍을 포함한 전자쌍이 서로 반발함으로써 화합물의 입체 구조가 형성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BiI3에서는 s 궤도의 비공유 전자쌍과의 반발이 무시된 입체 구조를 취한다. 이처럼 입체 구조의 결정에 기여하지 않는 비공유 전자쌍을 입체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라고 부른다.
한편, 불활성 전자쌍 효과와 입체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전자쌍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불활성 전자쌍을 가진 염화 주석(II)에서 s 궤도가 입체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라면 분자는 직선형(결합각 180도)이 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염화 주석(II)의 기체 분자 구조는 굽은 구조(결합각 95도)를 가지며, s 전자가 결합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s 전자쌍이 입체 화학적으로 활성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불활성 전자쌍 효과라는 이름과 달리 s 전자가 화학적으로 불활성화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비결합성이지만 입체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쌍을 Stereochemically active lone pair, SCALP라고 부른다.
참조
[1]
서적
The Electronic Theory of Valency
https://archive.org/[...]
Clarendon
[2]
문서
REDIRECT
[3]
웹사이트
Electronegativity
http://chemwiki.ucda[...]
[4]
서적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5]
논문
A visually attractive "Interconnected network of ideas" for organi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descriptive inorganic chemistry
2014
[6]
논문
Thermodynamic Evaluation of the Inert Pair Effect
[7]
논문
Low valencies and periodic trends in heavy element chemistry. A theoretical study of relativistic effects and electron correlation effects in Group 13 and Period 6 hydrides and halides
[8]
논문
Stereochemically active or inactive lone pair electrons in some six-coordinate, group 15 halides
[9]
논문
The origin of the stereochemically active Pb(II) lone pair: DFT calculations on PbO and PbS
[10]
논문
Lone Pair Effect in Thallium(I) Macrocyclic Compounds
[11]
문서
転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