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음성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기 음성도는 원자가 공유 결합을 형성할 때 전자를 끌어당기는 상대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1932년 라이너스 폴링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결합의 극성, 분자 구조, 반응성 등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폴링 척도, 멀리컨 척도, 올레드-로초 척도, 샌더슨 척도, 앨런 척도 등 여러 척도가 존재하며, 각 척도는 원자의 다양한 특성을 기반으로 전기 음성도를 계산한다. 전기 음성도는 주기율표에서 규칙적인 경향을 보이며, 원자의 산화 상태, 혼성화, 작용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기 음성도는 결합 극성, 분자 구조 및 반응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유기 화학에서는 군 전기 음성도 개념이 활용된다. 전기 음성도와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전기 양성도가 있으며, 이는 금속의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학적 성질 - 에너지 준위
에너지 준위는 양자 역학적 계에서 입자가 가질 수 있는 특정 에너지 값으로, 원자 내 전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분자에서는 전자, 진동, 회전 에너지 준위가 존재하고, 에너지 준위 간 전이는 광자의 흡수 또는 방출을 수반한다. - 화학적 성질 - 양쪽성
양쪽성은 산과 염기 모두로 작용할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며, 브뢴스테드-로우리 이론에 따라 양성자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물, 아미노산 등이 대표적이며, 용액의 pH에 따라 산 또는 염기로 작용하는 산화아연 등도 존재한다. - 화학 결합 - 원자가 전자
원자가 전자는 원자의 최외각 전자껍질에 존재하며 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주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껍질의 전자로 정의되지만 전이 원소는 (n-1)d 궤도의 전자도 포함하며, 주기율표 족에 따라 예측 가능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화학 결합, 산화 상태, 전기 전도도에 영향을 미친다. - 화학 결합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기 음성도 | |
---|---|
개요 | |
정의 | 화학 원소의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의 척도 |
설명 | 원자가 전자를 얻고 음이온이 되는 경향 화학 결합에서 공유 전자쌍을 끌어당기는 능력 |
측정 | 폴링 척도 뮬리켄 척도 알레-로초 척도 샌더슨 척도 |
주기성 | 일반적으로 주기율표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증가 예외: 비활성 기체 |
폴링 척도 | |
설명 | 가장 일반적인 척도 플루오린 (4.0)을 가장 전기 음성적인 원소로 설정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 및 전자 친화도를 기반으로 함 두 원자 사이의 결합 에너지 차이를 활용 |
값 | 수소: 2.20 리튬: 0.98 베릴륨: 1.57 붕소: 2.04 탄소: 2.55 질소: 3.04 산소: 3.44 플루오린: 3.98 나트륨: 0.93 마그네슘: 1.31 알루미늄: 1.61 규소: 1.90 인: 2.19 황: 2.58 염소: 3.16 칼륨: 0.82 칼슘: 1.00 브로민: 2.96 아이오딘: 2.66 |
뮬리켄 척도 | |
설명 |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의 평균을 사용 절대적인 값 제공 폴링 척도와 선형적으로 관련 |
수식 | 전기음성도 = (이온화 에너지 + 전자 친화도) / 2 |
알레-로초 척도 | |
설명 | 원자의 반지름과 유효 핵전하를 사용 이론적 기초 제공 |
수식 | 전기음성도 = 0.359 × (유효 핵전하 / 원자 반지름) + 0.744 |
샌더슨 척도 | |
설명 | 원자의 크기를 기반으로 함 원자 밀도를 고려 |
용도 | |
화학 결합 예측 | 결합의 이온성 또는 공유성 판단 결합의 극성 예측 |
산화수 결정 | 화합물 내 원자의 산화수 결정 |
반응 예측 | 화학 반응의 방향 예측 반응 속도에 영향 |
생화학 | 단백질 및 DNA 구조 및 기능 연구 |
참고 | |
IUPAC 정의 |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원자 능력의 척도 (IUPAC 정의) |
역사 | 윌리엄 젠슨의 전기음성도 역사 |
참고 자료 | |
논문 | 윌리엄 B. 젠슨, "아보가드로에서 폴링까지의 전기음성도: 1부: 전기음성도 개념의 기원" 라이너스 폴링, "화학 결합의 본질. IV. 단일 결합의 에너지와 원자의 상대적 전기음성도" 고든 D. 스프라울, "전기음성도 척도 평가" |
서적 | 라이너스 폴링, "화학 결합의 본질" N. N. 그린우드 & A. 언쇼, "원소 화학" |
2. 전기 음성도의 정의 및 계산법
전기 음성도는 원자가 다른 원자와 화학 결합을 형성할 때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척도이다. 절대적인 값은 아니지만, 전기 음성도 차이를 통해 결합의 극성 및 이온성을 예측할 수 있다. 전기 음성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되고 계산될 수 있다.
- '''폴링 척도''': 라이너스 폴링이 제안한 방법으로, 두 원자 간 결합 에너지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다.
- '''멀리컨 척도''': 로버트 멀리컨이 제안한 방법으로,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의 평균값을 사용한다.
- '''올레드-로코 척도''': 올레드와 로코가 제안한 방법으로, 원자 표면의 유효 핵전하와 공유 결합 반지름을 고려한다.
- '''샌더슨 척도''': 샌더슨이 제안한 방법으로, 원자 부피의 역수를 기반으로 한다.
- '''앨런 척도''': 앨런이 제안한 방법으로, 원자가 전자의 평균 에너지를 사용한다.
2. 1. 폴링 척도 (Pauling Scale)
라이너스 폴링은 1932년에 두 원자(A-B) 사이의 공유 결합이 A-A와 B-B 결합의 평균보다 강한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전기 음성도의 개념을 처음 제안했다.[3] 원자가 결합 이론에 따르면, 이종핵 분자의 이러한 추가적인 안정화는 이온 결합의 기여에 의해 발생한다.원자 A와 B 사이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
여기서 ''E''d는 A-B, A-A, B-B 결합의 결합 해리 에너지를 나타내며, 단위는 전자볼트(eV)이다. (eV)−1⁄2 인자는 무차원 결과를 보장하기 위해 포함된다. 이 식을 통해 수소와 브롬의 전기 음성도 차이는 0.73임을 구할 수 있다. (해리 에너지: H-Br, 3.79eV; H-H, 4.52eV; Br-Br )
폴링 척도는 원자 간 전기 음성도 차이만 정의하므로, 절대적 척도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준 원자가 필요하다. 수소는 다양한 원소와 공유 결합을 형성하므로 기준으로 선택되었으며, 초기에는 2.1,[3] 현재는 2.20의[8] 전기 음성도 값을 가진다. 또한, 두 원소 중 어느 것이 더 전기 음성도가 높은지 결정해야 한다. (제곱근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부호 중 하나를 선택) 위의 예시에서 브롬화수소는 물에 녹아 H+ 및 Br− 이온을 형성하므로, 브롬이 수소보다 전기 음성도가 더 높다고 가정할 수 있다.
폴링 척도는 결합 에너지에 대한 반경험적 공식을 기반으로 한다.
:
때로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
위 공식은 근사적이지만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폴링은 결합을 공유 결합과 두 개의 이온 결합 상태의 양자 역학적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첫 번째 방정식을 만들었다. 결합의 공유 에너지는 양자 역학 계산에 의한 근사치이며, 동일한 분자의 공유 결합의 두 에너지의 기하 평균이며 이온 요인, 즉 결합의 극성 특성에서 오는 추가 에너지가 존재한다.
이 공식은 근사치이지만, 결합 극성의 개념과 양자 역학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더 복잡한 화합물에서는 전기 음성도가 원자의 분자 환경에 의존하기 때문에 추가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에너지 추정치는 다중 결합이 아닌 단일 결합에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폴링의 전기음성도 값을 나타낸 표이다.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주기 | colspan=19 | | |||||||||||||||||
1 | H 2.20 | colspan=16 | | He | |||||||||||||||
2 | Li 0.98 | Be 1.57 | colspan=10 | | B 2.04 | C 2.55 | N 3.04 | O 3.44 | F 3.98 | Ne | |||||||||
3 | Na 0.93 | Mg 1.31 | colspan=10 | | Al 1.61 | Si 1.90 | P 2.19 | S 2.58 | Cl 3.16 | Ar | |||||||||
4 | K 0.82 | Ca 1.00 | Sc 1.36 | Ti 1.54 | V 1.63 | Cr 1.66 | Mn 1.55 | Fe 1.83 | Co 1.88 | Ni 1.91 | Cu 1.90 | Zn 1.65 | Ga 1.81 | Ge 2.01 | As 2.18 | Se 2.55 | Br 2.96 | Kr 3.00 |
5 | Rb 0.82 | Sr 0.95 | Y 1.22 | Zr 1.33 | Nb 1.6 | Mo 2.16 | Tc 1.9 | Ru 2.2 | Rh 2.28 | Pd 2.20 | Ag 1.93 | Cd 1.69 | In 1.78 | Sn 1.96 | Sb 2.05 | Te 2.1 | I 2.66 | Xe 2.6 |
6 | Cs 0.79 | Ba 0.89 | * | Hf 1.3 | Ta 1.5 | W 2.36 | Re 1.9 | Os 2.2 | Ir 2.20 | Pt 2.28 | Au 2.54 | Hg 2.00 | Tl 1.62 | Pb 2.33 | Bi 2.02 | Po 2.0 | At 2.2 | Rn 2.2 |
7 | Fr 0.7 | Ra 0.9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란타넘족 원소 | * | La 1.1 | Ce 1.12 | Pr 1.13 | Nd 1.14 | Pm 1.13 | Sm 1.17 | Eu 1.2 | Gd 1.2 | Tb 1.1 | Dy 1.22 | Ho 1.23 | Er 1.24 | Tm 1.25 | Yb 1.1 | Lu 1.27 | ||
악티늄족 원소 | Ac 1.1 | Th 1.3 | Pa 1.5 | U 1.38 | Np 1.36 | Pu 1.28 | Am 1.13 | Cm 1.28 | Bk 1.3 | Cf 1.3 | Es 1.3 | Fm 1.3 | Md 1.3 | No 1.3 | Lr |
2. 2. 멀리컨 척도 (Mulliken Scale)
로버트 멀리컨은 1934년에 원자의 이온화 에너지(Ei)와 전자 친화도(Eea)의 산술 평균으로 전기 음성도를 정의하는 척도를 제안했다.[9][10] 이 척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정의는 비활성 기체와 같이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가 모두 존재하는 원소에 대해서도 전기 음성도를 정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멀리컨 척도는 절대 전기 음성도라고도 불리며,[11] 단위는 킬로줄/몰 또는 전자볼트이다.
폴링 척도와 유사한 값을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12][13]
- 전자볼트 단위의 이온화 에너지와 전자 친화도를 사용하는 경우:
:
- 킬로줄/몰 단위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
:
멀리컨 전기음성도는 전자 친화도가 알려진 원소에 대해서만 계산할 수 있는데, 측정된 값은 72개의 원소에 대해 이용 가능하며, 나머지 원소에 대해서는 근사값이 추정되거나 계산되었다.
멀리컨 전기음성도는 때때로 화학 퍼텐셜의 음의 값으로 해석될 수 있다.[14] 이온화 전위와 전자 친화도의 에너지적 정의를 멀리컨 전기음성도에 대입하면, 멀리컨 화학퍼텐셜이 전자 수에 대한 전자 에너지의 유한 차분 근사임을 보일 수 있다.
:
원자 A의 이온화 에너지를 ''I''A, 전자 친화도를 ''E''A로 하여,
:
로 구해지는 가 원자 A에 관한 멀리컨의 전기음성도이다.[34]
라이너스 폴링의 전기음성도와 로버트 멀리컨의 전기음성도는 원자별 값의 크기 관계 경향이 서로 유사하며, 다음과 같은 환산식도 존재한다.[34]
:
하지만 멀리컨의 전기음성도는 그 정의식 우변에 있는 ''I''A, ''E''A의 값이 주위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같은 원자라도 멀리컨의 전기음성도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예: 아세틸렌의 탄소 원자의 멀리컨 전기음성도는 메테인의 그것보다 큰 값이 된다).
2. 3. 올레드-로초 척도 (Allred-Rochow Scale)
A. 루이스 올레드와 유진 G. 로초는 전기 음성도가 원자 "표면"의 전자가 경험하는 전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15] 단위 면적당 전하가 높을수록 그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경향이 커진다. 유효 핵전하, ''Z''eff는 슬레이터 규칙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으며, 분자 내 원자의 표면적은 공유 결합 반지름, ''r''cov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r''cov가 피코미터로 표현될 때,[16]:
어떤 원자의 원자가 전자의 유효 핵전하를 ''Z''eff, 원자의 공유 결합 반지름을 ''r''이라고 하면, 올레드-로코우(Allred-Rochow)의 전기 음성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35]
:
이 척도는 A. L. 올레드(Allred)와 E. G. 로코우(Rochow)가 제안한 것으로, 전기 음성도가 원자 표면의 전기장의 세기에 의해 결정된다는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34] 원자 표면의 전위는 ''Z''eff/''r''에 비례하고, 전기장의 세기는 ''Z''eff/''r''2에 비례한다. 이를 이용하여, 폴링의 전기 음성도와 비슷한 값이 되도록 계수를 선택한 것이 이 척도이다.[35]
2. 4. 샌더슨 척도 (Sanderson Scale)
샌더슨은 멀리컨 전기 음성도와 원자 크기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고, 원자 부피의 역수를 기반으로 하는 계산 방법을 제안했다.[17] 샌더슨의 모델은 결합 길이에 대한 지식을 통해 다양한 화합물의 결합 에너지를 추정할 수 있게 한다.[18] --샌더슨의 모델은 유기 화합물의 분자 기하학, s-전자 에너지, NMR 스핀-스핀 결합 상수 및 기타 매개변수를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9][20] 이 연구는 '''전기음성도 평준화''' 개념의 기초가 되는데, 이는 전자가 분자 주위에 분포하여 멀리컨 전기음성도를 최소화하거나 평준화한다는 것을 시사한다.[21] 이러한 거동은 거시적 열역학에서의 화학 퍼텐셜 평준화와 유사하다.[22]
2. 5. 앨런 척도 (Allen Scale)
리랜드 C. 앨런은 전기 음성도가 자유 원자의 원자가전자의 평균 에너지와 관련이 있다고 제안했다.[23][24][25] 앨런이 제안한 척도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여기서 εs,p는 자유 원자에서 s전자와 p전자의 일전자 에너지이고, ns,p는 원자가 껍질에 있는 s전자와 p전자의 수이다.
일전자 에너지는 분광학적 자료로부터 직접 결정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으로 계산된 전기 음성도는 때때로 '''분광학적 전기 음성도'''라고 한다. 거의 모든 원소에 필요한 데이터가 있으며, 이 방법을 사용하면 다른 방법으로는 처리할 수 없는 원소(예: 프랑슘)의 전기 음성도를 추정할 수 있다. 프랑슘의 앨런 전기 음성도는 0.67kJ/mol이다.[26] 그러나 d-블록 및 f-블록 원소의 경우 원자가 전자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아 앨런 방법으로 계산된 전기 음성도에 모호성이 생긴다.
이 척도에서 네온은 모든 원소 중 전기 음성도가 가장 높고, 그 뒤를 플루오린, 헬륨, 산소가 잇는다.
3. 전기 음성도 주기율표
주기율표에서 전기 음성도는 일반적으로 주기를 따라 오른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고, 족을 따라 아래로 내려갈수록 감소한다. 플루오린은 가장 전기 음성도가 큰 원소이며, 세슘은 전기 음성도가 가장 작은 원소 중 하나이다. (프랑슘은 실험 데이터 부족)[26]
→ 원자 반지름 감소 → 이온화 에너지 증가 → 전기음성도 증가 | ||||||||||||||||||
---|---|---|---|---|---|---|---|---|---|---|---|---|---|---|---|---|---|---|
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주기 | colspan="18" | | |||||||||||||||||
1 | H 2.20 | colspan="16" | | He | |||||||||||||||
2 | Li 0.98 | Be 1.57 | colspan="10" | | B 2.04 | C 2.55 | N 3.04 | O 3.44 | F 3.98 | Ne | |||||||||
3 | Na 0.93 | Mg 1.31 | colspan="10" | | Al 1.61 | Si 1.90 | P 2.19 | S 2.58 | Cl 3.16 | Ar | |||||||||
4 | K 0.82 | Ca 1.00 | Sc 1.36 | Ti 1.54 | V 1.63 | Cr 1.66 | Mn 1.55 | Fe 1.83 | Co 1.88 | Ni 1.91 | Cu 1.90 | Zn 1.65 | Ga 1.81 | Ge 2.01 | As 2.18 | Se 2.55 | Br 2.96 | Kr 3.00 |
5 | Rb 0.82 | Sr 0.95 | Y 1.22 | Zr 1.33 | Nb 1.6 | Mo 2.16 | Tc 1.9 | Ru 2.2 | Rh 2.28 | Pd 2.20 | Ag 1.93 | Cd 1.69 | In 1.78 | Sn 1.96 | Sb 2.05 | Te 2.1 | I 2.66 | Xe 2.6 |
6 | Cs 0.79 | Ba 0.89 | * | Hf 1.3 | Ta 1.5 | W 2.36 | Re 1.9 | Os 2.2 | Ir 2.20 | Pt 2.28 | Au 2.54 | Hg 2.00 | Tl 1.62 | Pb 2.33 | Bi 2.02 | Po 2.0 | At 2.2 | Rn |
7 | Fr 0.7 | Ra 0.9 | Rf | Db | Sg | Bh | Hs | Mt | Ds | Rg | Cn | Nh | Fl | Mc | Lv | Ts | Og | |
란타넘족 | * | La 1.1 | Ce 1.12 | Pr 1.13 | Nd 1.14 | Pm 1.13 | Sm 1.17 | Eu 1.2 | Gd 1.2 | Tb 1.1 | Dy 1.22 | Ho 1.23 | Er 1.24 | Tm 1.25 | Yb 1.1 | Lu 1.27 | ||
악티늄족 | Ac 1.1 | Th 1.3 | Pa 1.5 | U 1.38 | Np 1.36 | Pu 1.28 | Am 1.13 | Cm 1.28 | Bk 1.3 | Cf 1.3 | Es 1.3 | Fm 1.3 | Md 1.3 | No 1.3 | Lr |
이 일반적인 규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d-블록 수축으로 인해 갈륨과 게르마늄은 알루미늄과 규소보다 각각 전기 음성도가 높다. 4주기 원소 중 전이 금속 바로 뒤에 있는 원소들은 작은 원자 반지름으로 인해 전기 음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올레드-로초 전기음성도 및 샌더슨 전기음성도 참조). 납의 전기 음성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은 산화 상태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인공적인 결과일 수 있다.
4. 전기 음성도와 화학적 성질
전기 음성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되지만, 그 결과는 서로 잘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는 전기 음성도가 여러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임을 보여준다.
몇몇 연구에서는 특정 결합의 적외선 신축 진동수와 관련 원자의 전기 음성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27] 그러나 이는 폴링 전기 음성도 계산에 이미 결합 강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놀라운 결과는 아니다. 더 설득력 있는 증거는 전기 음성도와 NMR 분광법의 화학적 이동[28] 또는 뫼스바우어 분광법의 이성질체 이동[29] 사이의 상관관계이다. (그림 참조) 이 두 측정값은 모두 원자핵의 s-전자 밀도에 의존하므로, 전기 음성도의 다양한 측정 방법이 실제로 "분자 내 원자가 전자를 자신에게 끌어당기는 능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1][5]
4. 1. 결합 극성
일반적으로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그들 사이에 형성될 결합의 극성이 커지며, 전기 음성도가 더 높은 원자가 쌍극자의 음극에 위치한다. 폴링은 결합의 "이온적 성격"을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와 관련짓는 방정식을 제안했지만,[5] 이것은 다소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4. 2. 분자 구조 및 반응성
전기 음성도는 분자의 구조와 반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산화물과 할로젠화물의 구조, 옥소산의 산성도 등은 전기 음성도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산화 크롬(CrO3)과 칠산화 이망가니즈(Mn2O7)는 산성 산화물로 낮은 녹는점을 가지는 반면, 산화 크롬(III)(Cr2O3)는 양쪽성 산화물이고, 산화 망가니즈(III)(Mn2O3)는 염기성 산화물이다.[30]중심 원자의 전기 음성도가 증가하면 옥소산의 산성도가 증가한다. 이는 아래의 표와 같이 염소의 옥소산의 해리 상수 (p''K''a)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HClO)에서 과염소산(HClO4)으로 갈수록 염소의 산화 상태가 증가하면서 산소 원자에서 염소로 더 많은 전자 밀도가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산소 원자의 부분 음전하는 감소하고, 수소의 양전하 부분은 증가하여 산성도가 증가한다.[30]
4. 3. 혼성화
원자의 전기 음성도는 결합에 사용되는 오비탈의 혼성화에 따라 달라진다. s-오비탈의 전자는 p-오비탈의 전자보다 더 강하게 핵에 묶여 있으므로, spx 혼성 오비탈에서 s 성격이 클수록 전기 음성도가 증가한다. 탄소의 경우, χ(sp3) < χ(sp2) < χ(sp) 순서로 전기 음성도가 증가한다.[31]혼성화 | χ (폴링) |
---|---|
C(sp3) | 2.3 |
C(sp2) | 2.6 |
C(sp) | 3.1 |
일반적인 C | 2.5 |
4. 4. 군 전기 음성도 (Group Electronegativity)
유기화학에서 전기 음성도는 개별 원자보다는 서로 다른 작용기와 더 관련이 있다. '''군 전기 음성도'''와 '''치환기 전기 음성도'''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된다. 그러나 유도 효과와 공명 효과를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각각 σ-전기 음성도와 π-전기 음성도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된 많은 선형 자유 에너지 관계가 있으며, 그중 함멧 방정식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카바치니크 파라미터는 유기인 화학에서 사용되는 군 전기 음성도이다.5. 전기 양성도 (Electropositivity)
'''전기 양성도'''는 원소가 전자를 내놓고 양 이온을 형성하는 능력의 척도이며, 전기 음성도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다.
주로 금속의 속성이며, 일반적으로 원소의 금속성이 클수록 전기 양성도가 커진다. 따라서 알칼리 금속이 모든 원소 중에서 가장 전기 양성도가 크다. 이는 알칼리 금속이 원자가 껍질에 단일 전자를 가지고 있고, 이 전자가 원자핵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쉽게 손실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러한 금속은 이온화 에너지가 낮다.[32]
전기 음성도는 주기율표의 주기를 따라 증가하고 족을 따라 감소하는 반면, 전기 양성도는 주기를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감소''하고 족을 따라 ''증가''한다. 즉, 주기율표의 오른쪽 위에 있는 원소들 (산소, 황, 염소 등)은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크고, 왼쪽 아래에 있는 원소들 (루비듐, 세슘, 프랑슘)은 전기 양성도가 가장 크다.
참조
[1]
GoldBook
Electronegativity
[2]
논문
Electronegativity from Avogadro to Pauling: Part 1: Origins of the Electronegativity Concept
[3]
논문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IV. The Energy of Single Bonds and the Relative Electronegativity of Atoms
[4]
논문
Evaluation of Electronegativity Scales
https://doi.org/10.1[...]
2020-05-26
[5]
서적
Nature of the Chemical Bond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PubChem ElectroNegativity
https://web.archive.[...]
2023-09-16
[7]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Pergamon
[8]
논문
Electronegativity values from thermochemical data
[9]
논문
A New Electroaffinity Scale; Together with Data on Valence States and on Valence Ionization Potentials and Electron Affinities
[10]
논문
Electronic Structures of Molecules XI. Electroaffinity, Molecular Orbitals and Dipole Moments
[11]
논문
Absolute electronegativity and absolute hardness of Lewis acids and bases
[12]
digitalized
Inorganic Chemistry: Principles of Structure and Reactivity
https://www.pdfdrive[...]
2020-12-15
[13]
문서
This second relation has been recalculated using the best values of the first ionization energies and electron affinities available in 2006.
[14]
논문
Electronegativities of Pauling and Mulliken in Density Functional Theory
2019-10-31
[15]
논문
A scale of electronegativity based on electrostatic force
[16]
eBook
Inorganic Chemistry
https://www.pearson.[...]
Pearson Prentice-Hall
[17]
논문
Electronegativity and bond energy
[18]
서적
Polar Covalence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19]
논문
Calculation schemes for atomic electronegativities in molecular graphs within the framework of Sanderson principle
[20]
논문
Application of the electronegativity indices of organic molecules to tasks of chemical informatics
[21]
서적
Reviews in computational chemistry
Wiley
[22]
서적
Density-functional theory of atoms and molecul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
논문
Electronegativity is the average one-electron energy of the valence-shell electrons in ground-state free atoms
[24]
논문
Configuration Energies of the Main Group Elements
[25]
논문
Configuration energies of the d-block elements
[26]
문서
The widely quoted Pauling electronegativity of 0.7 for francium is an extrapolated value of uncertain provenance. The Allen electronegativity of caesium is 0.66.
[27]
서적
The Infra-Red Spectra of Complex Molecules
https://archive.org/[...]
Wiley
[28]
논문
Effect of Electronegativity and Magnetic Anisotropy of Substituents on C13 and H1 Chemical Shifts in CH3X and CH3CH2X Compounds
[29]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Moessbauer spectra of mixed-hexahalo complexes of tin(IV)
[30]
논문
Estimation of Electronegativity Values of Elements in Different Valence States
https://pubs.acs.org[...]
2006-10-01
[31]
서적
Molecular orbitals and organic chemical reactions
Wiley
2009
[32]
웹사이트
Electropositivity
https://archive.toda[...]
2009-10-31
[33]
문서
Shriver & Atkins (2001), p.45。
[34]
문서
Shriver & Atkins (2001), p.47。
[35]
문서
Shriver & Atkins (2001), p.48。
[36]
웹인용
IUPAC - electronegativity (E01990)
https://goldbook.iup[...]
The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23-02-08
[37]
저널
Electronegativity from Avogadro to Pauling: Part 1: Origins of the Electronegativity Concept
[38]
저널
The Nature of the Chemical Bond. IV. The Energy of Single Bonds and the Relative Electronegativity of Atoms
[39]
저널
Evaluation of Electronegativity Scales
https://doi.org/10.1[...]
2020-05-26
[40]
서적
Nature of the Chemical Bond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PubChem ElectroNegativity
https://web.archive.[...]
2023-09-16
[42]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Pergam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