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라노바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라노바 문화는 기원전 900년에서 기원전 720년까지 이탈리아 북부에서 번성했던 문화로, 화장 풍습과 이중 원추형 골호에 유해를 안치하는 독특한 장례 문화를 특징으로 한다. 중앙유럽의 언필드 문화와 켈트족의 할슈타트 문화와 관련이 있으며, 빌라노바 1기와 2기로 구분된다. 빌라노바 2기에는 고대 그리스와의 교역, 호박길을 통한 무역 등 변화가 나타났으며, 에트루리아 문명의 빌라노바 시대에 해당한다. 청동 가공 기술과 도자기를 통해 물질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지중해 국가들과의 교역을 통해 사회적 신분과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빌라노바 문화는 에트루리아 문명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유전학 연구를 통해 그 기원을 추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3년 발굴 - 길가메시 서사시
    길가메시 서사시는 수메르에서 기원하여 바빌로니아에서 아카드어로 편찬된 서사시로, 우루크 왕 길가메시의 영웅적인 모험과 불멸을 추구하는 여정, 그리고 삶의 가치에 대한 깨달음을 다룬 이야기이다.
  • 이탈리아의 선사시대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이탈리아의 선사시대 - 에스테 문화
    에스테 문화는 이탈리아 북부 포 계곡을 기반으로 금속 가공이 발달했으며, 기원전 7세기부터 4세기까지 베네치아 문화의 중심지였고, 시툴라 미술이 특징이다.
  • 기원전 11세기 설립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기원전 11세기 설립 - 쿠시 왕국
    쿠시 왕국은 고대 누비아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이집트를 정복하여 제25왕조를 세우고 메로에로 수도를 옮겨 철기 기술, 관개 시설, 독자적인 문자 체계를 갖추었으며, 4세기경 악숨 왕국에 의해 멸망하였다.
빌라노바 문화
개요
이름빌라노바 문화
다른 이름해당 사항 없음
지역유럽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토스카나주, 라치오주, 캄파니아주)
시대철기 시대. 에트루리아 문명 초기 단계
연대기원전 900년–기원전 700년 (대략)
이전 문화원시 빌라노바 문화
이후 문화에트루리아 문명의 동방화 시대 (기원전 700–500년)

2. 역사

빌라노바라는 명칭은 이탈리아 북부 볼로냐에서 남동쪽으로 12km 떨어진 카스테나소 근처 '빌라노바'에서 발굴된 묘지 유적에서 유래되었다. 1853년부터 1855년까지 조반니 고자디니 백작이 발굴을 진행하여 193개의 무덤을 발견했는데, 그 중 6개는 특별한 사회적 신분을 나타내는 듯 나머지 무덤과 분리되어 있었다. 이 무덤들은 골호(骨壺)와 함께 줄지어져 있었으며, 일부만 약탈되고 대부분은 훼손되지 않은 상태였다.[9] 1893년에는 아드리아해가 보이는 베루키오에서 또 다른 빌라노바의 네크로폴리스가 우연히 발견되었다.

빌라노바 문화의 독특한 장례 문화는 중앙유럽언필드 문화와 이를 계승한 켈트족할슈타트 문화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시신을 화장한 유해를 이중 원추 모양의 골호에 넣어 묻었는데, 이 항아리는 임파스토라고 불리는 빌라노바 도자기의 종류였다.[9] 빌라노바 문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풍습은 마을 사람들이 살던 오두막집과 같은 형태의 항아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자문, 미앤더, 사각형의 전형적인 스그라피토 장식은 빗살 같은 도구로 긁어서 새겼다. 항아리들은 단순한 청동 피불라, 면도칼, 반지와 함께 발견되었다.

3. 시대 구분

빌라노바 문화는 크게 빌라노바 1기(기원전 960년경~기원전 801년경)와 빌라노바 2기(기원전 800년경~기원전 720년)로 나뉜다. 빌라노바 2기는 헬레니즘 문명과의 접촉, 호박길을 통한 북부와의 교역 등의 증거를 보이며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변화는 여성용 유리 및 호박 목걸이, 청동 갑옷과 말구 장구, 엘리트 무덤의 발전 등에서 나타난다.[10]

빌라노바 2기 마지막 단계에서 에트루리아인, 특히 남부 에트루리아는 오리엔탈화 시대에 접어들었다. 반면 에트루리아 파다나와 같은 북부 지역은 빌라노바 3기(기원전 750–680년)와 빌라노바 4기(기원전 680–540년)로 계속 발전했다.

3. 1. 에트루리아 문명의 시대 구분

빌라노바 문화는 빌라노바 1기와 빌라노바 2기로 나뉜다. 빌라노바 2기에는 고대 그리스와 접촉 및 북쪽의 호박의 길을 통한 무역의 증거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증거에는 여성용 유리와 호박 목걸이, 청동 갑옷과 마구, 초기 평등주의 문화와 대조되는 엘리트 무덤의 발전 등이 있다. 방 무덤과 매장 관습은 화장 관습과 함께 발전되었다. 빌라노바 2기 이후 남부 에트루리아는 동방화 시대에 접어들었고, 북부 에트루리아는 빌라노바 3기와 4기로 발전했다.[11]

{| class="wikitable"

|-

! colspan="2" | 에트루리아 문명의 시대 구분[11]

|-

| 빌라노바 시대
(기원전 900년–기원전 720년)

|

빌라노바 I기원전 900년–기원전 800년
빌라노바 II기원전 800년–기원전 720년
빌라노바 III (볼로냐 지역)기원전 720년–기원전 680년[12]
빌라노바 IV (볼로냐 지역)기원전 680년–기원전 540년[12]



|-

| 오리엔탈라이징 시대
(기원전 720년–기원전 580년)

|

초기 오리엔탈라이징기원전 720년–기원전 680년
중기 오리엔탈라이징기원전 680년–기원전 625년
후기 오리엔탈라이징기원전 625년–기원전 580년



|-

| 고졸기
(기원전 580년–기원전 480년)

| 기원전 580년–기원전 480년

|-

| 고전기
(기원전 480년–기원전 320년)

| 기원전 480년–기원전 320년

|-

|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320년–기원전 27년)

| 기원전 320년–기원전 27년

|}

4. 물질 문화

빌라노바 문화의 청동 및 도자기 금속 가공 기술은 빌라노바 장인들의 숙련도를 보여준다. 매장지에서 발견되는 부장품들은 높은 품질을 통해 사회 엘리트 계층의 발전을 시사한다. 무덤에는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는 도구와 물품이 안치되었는데, 남성의 무덤에는 무기와 갑옷, 여성의 무덤에는 직조 도구가 있었다. 일부 무덤에서는 이러한 물품들이 섞여 있어, 일부 여성들이 도구를 사용하고 남성들이 의복을 만들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3]

빌라노바 시대에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 발칸, 사르데냐지중해 국가들과 교역했다. 교역은 야금술 발전을 이끌었고, 그리스 문화는 빌라노바 도기에 영향을 미쳤다.[13]

기원전 9세기 빌라노바 청동 투구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4. 1. 금속 가공과 무역

빌라노바 장인들의 금속 가공품과 도자기들은 그들의 숙련된 기술을 보여준다. 매장지에서 발견된 몇몇 부장품들은 더 좋은 품질을 보여주는데, 이는 빌라노바 문화 내에서 사회 엘리트 계층이 발전했음을 시사한다. 무덤에는 사후세계에 대한 믿음을 나타내는 도구와 물건들이 있었다. 남성의 무덤에는 갑옷과 무기가 있었고, 여성의 무덤에는 방직 도구가 있었다. 몇몇 무덤들은 이 물건들이 바뀌어 있거나 섞여 있었는데, 이는 어떤 여성은 무기를 다루고 어떤 남성들은 옷을 만들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6]

빌라노바 시대 동안 에트루리아인들은 그리스, 발칸, 사르데냐 등의 다른 지중해 국가들과 무역을 했다. 무역은 금속공학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그리스 문화는 빌라노바 도자기에 영향을 미쳤다.[27]

4. 2. 가옥

건물은 직사각형 모양이었다. 사람들은 나무 기둥으로 지탱되는 초벽으로 만들어진 오두막에서 살았다. 오두막 내부의 조리대, 기구, 동물 뼈 등은 초기 이탈리아 주민들의 가족 생활에 대한 증거를 보여준다.[28] 몇몇 오두막에는 음식 저장을 위해 바닥에 대형 도자기를 놓기도 했다. 또한 빗물을 공동 급수장으로 보내는 배수로도 있었다.[13]

5. 빌라노바 유적

1853년부터 1855년까지 조반니 고자디니 백작이탈리아 북부 ‘빌라노바’(볼로냐에서 남동쪽 12km 거리에 있는 카스테나소) 인근의 묘지를 발굴하면서 빌라노바 유적이 발견되었다. 193개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그 중 6개는 특별한 사회적 신분을 의미하는 듯 나머지와 분리되어 있었다. 이 6개의 무덤은 골호(骨壺)와 함께 줄지어져 있었으며, 일부만 약탈되고 대부분은 훼손되지 않았다.[9] 1893년에는 아드리아해가 보이는 베루키오에서 또 다른 빌라노바의 네크로폴리스가 우연히 발견되었다.

빌라노바 문화의 독특한 장례 문화는 중앙유럽언필드 문화 및 이를 계승한 켈트족할슈타트 문화와 관련이 있다. 시신을 화장한 유해는 이중 원추 모양의 골호에 넣어 묻었는데, 이 항아리는 임파스토Impasto라고 불리는 빌라노바 도자기였다.[9] 빌라노바 문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는 풍습은 마을 사람들이 살던 오두막집 형태의 항아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자문, 메안더Meander, 사각형의 전형적인 스그라피토 장식은 빗살 같은 도구로 긁어서 만들었다. 항아리에는 단순한 청동 피불라, 면도칼, 반지가 함께 발견되었다.

6. 유전학 연구

2019년 11월 ''사이언스''에 게재된 유전 연구는 기원전 900년에서 800년 사이에 이탈리아 베이오 그로타 그라미차에 묻힌 빌라노바 문화 여성의 유해를 조사했다.[1] 이 여성은 신석기 시대부터 유럽 전역에서 발견된 K1a4 모계 하플로그룹을 지니고 있었으며,[1] 상염색체 DNA는 72.9% 구리 시대 조상(EEF + WHG)과 27.1% 스텝 관련 조상의 혼합이었다.[1] 이 표본과 치비타베키아 근처의 에트루리아 네크로폴리스 라 마토나라에서 발견된 또 다른 고대 표본(기원전 700년 - 600년) 간에는 근친 상관 관계의 증거가 있었는데, 이는 후자가 전자의 3촌 관계의 자손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1]

참조

[1] 서적 Gli etruschi tra VIII e VII secolo a.C. nel territorio di Castelfranco Emilia (MO) All'Insegna del Giglio
[2] 서적 La cultura villanoviana. All'inizio della storia etrusca Carocci editore
[3] 서적 Gi Etruschi Bompiani
[4] 서적 Gi Etruschi Bompiani
[5] 서적 Gi Etruschi Bompiani
[6] 백과사전 Villanovan culture http://www.britannic[...]
[7] 웹사이트 VILLANOVIANA, Cultura in "Enciclopedia dell' Arte Antica" https://www.treccani[...] 2021-12-25
[8] 웹사이트 La Cultura Villanoviana http://www.tuttostor[...] 2021-12-25
[9] 서적 Art and Archaeology of Ancient Rome Midnight Marquee Press, Incorporated
[10] 서적 Le grandi avventure dell'archeologia, VOL 5: Europa e Italia protostorica Curcio Editore
[11] 서적 Introduzione all'Etruscologia Hoepli
[12] 웹사이트 L'Italia preromana. I siti etruschi: Bologna http://www.treccani.[...] Treccani 2019-10-12
[13] 뉴스 Villanovan Culture https://www.worldhis[...] 2018-04-09
[14] 서적 History of Rome: Down to the Age of Constant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1975
[15] 서적 Gli etruschi tra VIII e VII secolo a.C. nel territorio di Castelfranco Emilia (MO) All'Insegna del Giglio
[16] 서적 La cultura villanoviana. All'inizio della storia etrusca Carocci editore
[17] 서적 Gi Etruschi Bompiani
[18] 서적 Gi Etruschi Bompiani
[19] 서적 Gi Etruschi Bompiani
[20] 백과사전 Villanovan culture http://www.britannic[...]
[21] URL http://www.britannic[...]
[22] 웹인용 VILLANOVIANA, Cultura in "Enciclopedia dell' Arte Antica" https://www.treccani[...] 2021-12-25
[23] 서적 Introduzione all'etruscologia https://www.worldcat[...] U. Hoepli 2012
[24] 웹사이트 L'Italia preromana. I siti etruschi: Bologna https://www.treccani[...] 2019-10-12
[25] 웹사이트 L'Italia preromana. I siti etruschi: Bologna https://www.treccani[...] 2019-10-12
[26] 웹사이트 Villanovan Culture https://www.worldhis[...] 2018-04-09
[27] 웹사이트 Villanovan Culture https://www.worldhis[...] 2018-04-09
[28] 서적 A History of Rome : Down to the Reign of Constantine https://www.worldcat[...] 197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