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달멜리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달멜리크는 분광형 G2 Ib의 황색 초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이 약 6.5배, 반지름은 약 77배 크다. 표면 온도는 태양보다 약간 낮은 5,210 켈빈이지만 광도는 태양의 3,000배에 달한다. 항성 진화 과정에서 초거성 단계에 진입했으며, 황색진화공백이라는 불안정한 단계를 거치고 있다. 사달멜리크는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의 세페이드 불안정 띠 내에 위치하며, 수소 스펙트럼선에서 변동하는 핵이 감지된다. 이 별은 채층에서 초음속 속도에 도달하는 거대한 항성풍을 가지고 있으며, G형 주계열성에 비해 엑스선 방출량이 적다. 겉보기 등급 12.2의 안시 동반성 CCDM J22058-0019B를 가지고 있으며, 나이는 5천 3백만 년으로 초신성 폭발 없이 백색 왜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 사달멜리크는 아랍어 '사드 알-말리크'에서 유래되었으며, '왕의 행운'을 의미한다. 동아시아 별자리 위수에 속하며, 위수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형 초거성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G형 초거성 - 고물자리 RS
고물자리에 위치한 고물자리 RS는 41.5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으로, 빛의 반향을 통해 지구로부터 약 6,230광년에서 6,500광년 떨어진 초거성이다. - 이중성 - 세페우스자리 델타
세페우스자리 델타는 5.36627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의 원형별로, 주기-광도 관계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중요하며 지구로부터 약 800~890광년 떨어져 있고 분광 동반성을 가진 연성계이다. - 이중성 - 알나슬
알나슬은 궁수자리에 있는 K형 거성으로, '화살촉'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물을 마시러 내려오는 타조 별자리의 일부이자 찻주전자 성군 구성원이고,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크며 반성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사달멜리크 | |
---|---|
위치 정보 | |
![]() | |
관측 정보 | |
시대 | J2000.0 |
분점 | J2000.0 (ICRS) |
별자리 | 물병자리 |
겉보기 등급 | 2.942 |
특징 | |
분광형 | G2 Ib |
U-B 색지수 | +0.699 |
B-V 색지수 | +0.971 |
R-I 색지수 | +0.49 |
유형 | 황색 초거성 |
측성학적 정보 | |
시선 속도 | 7.5 |
고유 운동 (적경) | +18.59 |
고유 운동 (적위) | -10.45 |
연주 시차 | 4.9451 |
연주 시차 오차 | 0.4296 |
절대 등급 | -3.882 |
물리적 특징 | |
질량 | 6.31 |
광도 | 3,917 |
표면 중력 | 1.4 |
금속 함량 | +0.17 |
나이 | 5300만 년 |
명칭 | |
이름 | 엘 멜리크, 루크바, 사드 엘 멜리크, 사달멜레크, 사달멜리크, 사드라물크 |
바이어 명명법 | α Aqr, Alpha Aquarii, Alpha Aqr |
플램스티드 명명법 | 34 Aquarii, 34 Aqr |
BD | −01 4246 |
FK5 | 827 |
HD | 209750 |
HIP | 109074 |
HR | 8414 |
SAO | 145862 |
WDS | 22058-0019 |
2MASS | J22054703-0019114 |
Gaia DR2 | 2680356911815074432 |
기타 명칭 | |
CCDM | CCDM J22058-0019B |
UCAC2 | UCAC2 31789179 |
BUP | BUP 232B |
2MASS | 2MASS J22055176-0017468 |
WDS | WDS J22058-0019B |
중성 정보 | |
주성 | 물병자리 알파별 |
각거리 | 110.0″ |
위치각 | 40° |
2. 특징
물병자리 알파별인 사달멜리크는 항성 진화 단계를 거쳐 초거성으로 진화했으며, 분광형은 G2 Ib이다. 이 별은 태양과 비슷한 표면 온도를 가지는 드문 황색 초거성으로 분류된다. 초거성의 진화 과정 중 태양과 비슷한 유효 온도를 보이는 시기는 매우 짧아 관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황색 초거성은 흔치 않은 유형의 별이다. 사달멜리크는 세페이드 불안정 띠 내에 위치하지만, 변광성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2. 1. 물리적 특성
이 별의 나이는 약 5천 3백만 년으로 항성 진화 과정에서 초거성 단계에 진입했으며, 분광형은 G2 Ib이다. 표면 온도가 태양과 비슷하여 흔치 않은 황색 초거성으로 분류된다. 초거성이 진화하면서 태양과 비슷한 유효 온도를 보이는 짧은 기간을 황색진화공백(yellow evolution void)이라고 부르는데, 이 단계에서 별은 불안정하여 오래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관측되는 사례가 드물다.사달멜리크의 질량은 태양의 약 6.5배이며, 반지름은 태양의 약 77배까지 부풀어 있다. 표면 온도는 태양보다 약간 낮은 5,210 K이나 에너지를 방출하는 표면적이 매우 넓어 밝기(광도)는 태양의 약 3,000배에 달한다. 이 온도에서 사달멜리크는 우리 눈에 노란색으로 보인다. 다른 연구에서는 유효 온도를 5,190 K로, 광도를 태양 광도의 약 3,900배로 추정하기도 한다.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상에서 세페이드 불안정 띠 내에 위치하지만, 변광성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다만, 수소 스펙트럼선에서 변동이 감지되었는데, 이는 별 주위의 외피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채층에서는 초음속 속도의 강력한 항성풍이 관측되었다.
사달멜리크까지의 거리에 대해서는 여러 측정값이 존재한다. 최초 히파르코스 위성 관측에서는 시차 4.3 ± 0.83 mas를 바탕으로 약 233 ± 45 pc (약 760 광년)으로 측정되었으나, 2007년 히파르코스 재분석 결과는 시차를 수정하여 약 161 ± 5 pc (약 520 광년)을 제시했다. 가장 최근의 가이아 DR3 데이터는 4.94 ± 0.43 mas의 시차를 측정했으며, 이는 약 202 ± 17 pc (약 660 광년)의 거리에 해당한다. 측정된 각지름은 3.066 ± 0.036 mas이며, 가이아 DR3 거리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반지름은 태양의 약 66배가 된다. 이는 초기 측정된 반지름(태양의 77배)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의 관측 결과, 사달멜리크는 일반적인 G형 주계열성에 비해 엑스선 방출량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 활동이 약함을 시사하며, G형 거성들에서 흔히 보이는 특징이다.[9]
사달멜리크는 초신성으로 폭발하기에는 질량이 부족하여,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는 시리우스 B와 같은 무거운 백색 왜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7]
이 별로부터 각거리 110.4 각초 떨어진 위치에는 겉보기 등급 12.2의 안시 동반성 CCDM J22058-0019B (UCAC2 31789179)가 있다. 이 동반성은 위치각 40도 방향에 있으며,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겉보기 이중성으로 여겨진다.[8] 한편, 사달멜리크는 사달수드(물병자리 β별), 에니프(페가수스자리 ε별)과 비슷한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2. 2. 이중성
사달멜리크는 안시 동반성(시각적 동반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CCDM J22058-0019B'' 또는 UCAC2 31789179로 식별된다.[8] 이 동반성의 겉보기 등급은 약 12.2이며, 사달멜리크로부터 각거리 110.4 각초, 위치각 40도 거리에 위치한다. 이 구성은 겉보기 이중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8]3. 명칭
이 별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α Aquarii'''(알파 아쿠아리)이며,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서는 '''WDS J22058-0019 A'''로 등재되어 있다.
고유 명칭은 '''사달멜리크'''(Sadalmelik)인데, 이는 아랍어 سعد الملك|사드 알-말리크ar(sa‘d al-malik)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왕의 행운'이라는 뜻을 가진다.[10][11] 과거에는 '루크바'(Rucbah)라고도 불렸으나, 이 이름은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와 공유되었다.[11][3] 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의 별 이름 워킹 그룹(WGSN)은 이 별의 공식 명칭으로 '사달멜리크'를 승인했다.[4][1]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위수(危宿|웨이슈중국어)에 속하며, 구체적인 명칭은 '''위수일'''(危宿一|웨이슈이중국어)이다. 이는 '위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의미이다.[12][13][5][6]
3. 1. 어원
고유 명칭 '''사달멜리크'''(Sadalmelik)는 아랍어 표현 سعد الملك|사드 알-말리크ar(sa‘d al-malik)에서 유래했으며, '왕의 행운'[10] 또는 '신의 팔/지탱'[3]을 의미한다. 울루그 베그는 이 이름을 물병자리 오미크론과 사달멜리크 두 별을 부르는 명칭으로 기록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루크바'''(Rucbah)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는데, 이는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와 공유하는 이름이었다.[11][3] 사달멜리크는 천구 적도에서 1도 이내에 위치한 별들 중 고대부터 고유한 이름을 가진 두 별 중 하나이지만, 이 아랍어 이름의 정확한 기원은 역사적으로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2016년, 국제 천문 연맹(IAU)은 별의 고유 이름을 목록화하고 표준화하기 위해 별 이름 워킹 그룹(WGSN)[4]을 조직했다. WGSN은 2016년 8월 21일에 물병자리 알파별(WDS J22058-0019 A)에 대해 '''사달멜리크'''(Sadalmelik)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승인했으며, 현재 IAU 승인 별 이름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 한편,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에는 '루크바'(Rukbah)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1]
중국 천문학에서 危宿|Wēi Xiù중국어(위수)는 '지붕'을 뜻하는 별자리로, 사달멜리크, 페가수스자리 세타, 페가수스자리 엡실론으로 구성된다.[12][5] 따라서 사달멜리크 자체의 중국식 명칭은 危宿一|Wēi Xiù yī중국어(위수일)이며, 이는 '위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3][6]
3. 2. 중국 별자리
중국 천문학에서 사달멜리크는 위수( 危宿|Wēi Xiù중국어 )라는 별자리에 속한다. '지붕'을 의미하는 위수는 사달멜리크, 페가수스자리 세타, 페가수스자리 엡실론으로 이루어져 있다.[12][5] 이 때문에 사달멜리크 자체를 부르는 중국식 명칭은 '''위수일'''( 危宿一|Wēi Xiù yī중국어 )이며, 이는 '위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13][6]4. 문화
이 별의 고유명칭 ‘사달멜리크’는 아랍어 표현 '''سعد الملك'''(‘사드 알-말리크’)에서 왔는데 ‘왕의 행운’이라는 뜻이다. 울루그 베그는 이 이름을 물병자리 오미크론과 사달멜리크 두 별을 부르는 명칭으로 기록했다. ‘루크바’라고 불리기도 했는데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도 루크바 명칭을 함께 쓴다.[11] 사달멜리크는 천구 적도로부터 1도 이내에 있는 항성들 중 고대로부터 불리던 애칭이 있는 두 별 중 하나이다. 아랍어 이름의 유래는 역사에서 찾아볼 수 없다.
사달멜리크는 동아시아 별자리 위수( 危宿|위숙중국어)에 속해 있다. 위수를 구성하는 별들은 사달멜리크, 페가수스자리 세타, 페가수스자리 엡실론이다.[12] 사달멜리크 자체의 명칭은 '''위수일'''( 危宿一|위숙일중국어)이며 ‘위수의 첫 번째 별’이라는 뜻이다.[13]
참조
[1]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2-25
[2]
간행물
UCAC2 31789179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2-25
[3]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books.google[...]
New York: G. E. Stechert
1899
[4]
간행물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5]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6]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7]
웹사이트
Sadalsuud
http://stars.astro.i[...]
2024-08-04
[8]
논문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09
[9]
논문
Chandra Observations of Coronal Emission from the Early G Supergiants α and β Aquarii
2005-07
[10]
뉴스
سعد الملك - المعرفة
https://www.marefa.o[...]
2024-01-02
[11]
서적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books.google.[...]
New York: G. E. Stechert
1899
[12]
서적
中國星座神話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13]
웹사이트
香港太空館 - 研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http://www.lcsd.gov.[...]
2010-1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