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루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루 구는 타이완 중부 타이중시에 위치한 구로, 동서 4.8km, 남북 7.88km, 총면적 40.4604km²이다. 과거 파포라족이 거주했으며, 네덜란드와 스페인 통치 시기에는 '사록사'로 불렸다. 청나라 시대에는 한족의 이주와 함께 '녹료'라는 취락이 형성되었고, 1920년 일본 통치 시대에 '샤로쿠'로 개칭되었다. 현재는 농업과 전통 산업, 그리고 타이중 국제공항,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안선, 고속도로, 성도 등 교통의 요지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루구 - 타이중 국제공항
타이중 국제공항은 중화민국 타이중시에 위치하며, 일본 통치 시대에 공관 비행장으로 건설되어 군사 기지로 사용되다 2004년부터 민간 항공 서비스를 시작한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는 공항이다. - 타이중시의 행정 구역 - 스강구
스강구는 타이중시 동북부에 위치한 작은 구로, 다자 갑과 신서하 사이에 있으며, 과거 파제족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스강댐, 토우 커자 문화관, 둥펑 자전거 녹도 등의 관광 명소를 가지고 있다. - 타이중시의 행정 구역 - 룽징구
타이중시 서쪽에 위치한 룽징구는 원래 파포라족 원주민 거주지였으나 일본 통치 시대에 개칭되었고, 동쪽은 다두 고원에 위치하며, 타이중 화력 발전소와 둥하이 별장 야시장, 룽무징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사루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사루구 |
한자 표기 | 沙鹿區 |
로마자 표기 | Shālù Qū |
현지어 표기 | 沙鹿區 |
현지어 (병음) | Shālù Qū |
별칭 | 해당 없음 |
모토 | 해당 없음 |
행정 유형 | 구 |
위치 | 타이중시, 대만 |
시장 | 랴오차이충 (廖財崇; Liāu Châi-chông)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중국어) |
지리 | |
면적 | 40.46 km² |
인구 | |
인구 (2023년 2월) | 97408명 |
인구 순위 | 29개 중 12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433 |
전화 지역 번호 | 04 |
추가 정보 (대만어) | |
대만어 | Sa-lak-khu |
추가 정보 (하카어) | |
하카어 | Sâ-lu̍k |
추가 정보 (일본어) | |
일본어 | しゃろく、さろく |
구 정보 | |
구청 주소 | 사루구 북세리 진정로 8호 |
인 | 21리 431린 |
주요 시설 | |
![]() |
2. 지리
사루 구는 동서로 약 4.8km, 남북으로 약 7.88km이고 총면적은 40.4604km2이다. 평균 해발은 65m이며, 동쪽은 다두 산을 사이에 두고 시툰 구, 다야 구, 선강 구와 접하고, 서쪽은 타이완 해협과 우치 구와, 남쪽은 룽징 구와, 북쪽은 칭수이 구와 각각 접하고 있다. 기후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겨울에는 강풍과 건조함이 특징이지만,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강수량이 많고 온화하며, 연평균 기온은 22.8°C로 농업에 적절한 환경이다.
1650년 전후, 네덜란드와 스페인이 대만을 점령했을 때, 섬 전체 주민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때 사루는 사록사(沙轆社, Soa-lak)로 불렸으며, 30호 전후의 파포라족(Papora) 주민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사슴을 중심으로 수렵을 하고, 고구마나 옥수수를 소규모로 경작했다. 파포라족은 다자이하 이남, 다두시 이북 지역에 4개의 취락을 형성했는데, 그중 하나가 사라츠(Salach)와 고마츠(Gomach)로, 훗날 각각 사록사와 우매사(칭수이 진)로 음역되었다.[1]
3. 역사
정성공의 대만 통치가 시작되면서 한족들이 이주해왔다. 이 지역은 산록이 많아 한족들은 산에서 사슴을 사냥하며 휴식과 사슴 가죽 보관을 위한 거처를 마련했고, 이것이 '녹료(鹿寮)'라는 취락으로 발전했다.[1]
청나라 통치 초기, 옹정 연간에 둔전 사업이 시작되었으나 평포족과 토지 분쟁이 잦았다. 1732년 '대갑서사의 난'이라는 대규모 충돌이 발생했고, 사록사는 반란에 가담하여 창화현성 포위전에 참여했다. 결국 청군에 의해 평정되어 사록사는 천선사(遷善社)로 개칭되었다.[1] 건륭 연간에는 동안현의 채(蔡)씨, 안서현의 왕(王)씨, 남안현의 이(李)씨 및 진강현의 소(蕭)씨 등이 이주해 사록신장(沙轆新庄)을 형성했다. 가경 연간에는 남북 교통 요충지로 발전하여 병방이 설치되고 수비병 15명이 배치되었다. 18세기 말에는 사록가, 우매가의 명칭이 지방지에 나타났다.[1]
일본 통치 시대인 1920년, '사록(沙轆)' 지명이 '샤로쿠(沙鹿)'로 바뀌면서 평포족이 사용하던 '사라츠(Salach)' 발음에서 유래한 지명은 사라졌다.[1] 1937년 샤로쿠 장(沙鹿庄)이 샤로쿠 가(沙鹿街)로 개칭되었다.[1]
1945년 중화민국에 귀속되며 향(鄕)으로 변경되었고,[1] 1950년 사루 진(沙鹿鎭)으로 개칭되었다.[1] 2010년 타이중현과 타이중시가 통합되면서 사루 구(沙鹿區)로 승격되었다.[1]
3. 1. 초기 역사
1650년 전후, 네덜란드와 스페인이 대만을 점령했을 때, 사루는 '사록사(沙轆社, Soa-lak)'로 불렸으며, 30호 전후의 파포라족(Papora) 주민이 거주했다. 이들은 사슴을 중심으로 수렵을 하고, 고구마나 옥수수를 소규모로 경작했다.[1] 파포라족은 다자이하 이남, 다두시 이북 지역에 4개의 취락을 형성했는데, 그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 곳이 "고마츠(Gomach)"였고, "사라츠(Salach)"는 "고마츠" 남쪽의 다두산 대지 서쪽에 있었다.[1][3] 훗날 "사라츠"는 사록사로, "고마츠"는 우매사(칭수이 진)로 음역되었다.[1][3]
3. 2. 한족 이주와 정착
정성공의 대만 통치(동녕 왕국, 1662년~1683년)가 시작되면서 한족들이 대만으로 이주해왔다. 이들은 산록에서 수렵을 하였으며, 수렵 중 휴식을 취하고 사슴 가죽을 보관하기 위한 간단한 거처를 마련했다. 이것이 점차 발달하여 취락을 형성했고, '녹료(鹿寮)'라고 불리게 되었다.[1] 이 '녹료'는 가산이 만 위안이 넘는 집이 9호, 천 위안이 넘는 집이 18호가 있을 정도로 부유한 지역이었기 때문에 "구만십팔천"이라고도 불렸다.
3. 3. 청나라 통치 시대
청나라 통치가 시작되고 옹정 연간이 되자 총병 남연진이 중부에서 둔병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 둔전 정책은 평포족과 토지를 둘러싸고 자주 분규가 발생했고, 1732년에는 '대갑서사의 난'이라고 불리는 대규모 충돌이 발생하여, 사록사는 반란에 참여하여 창화현성 포위전에 참여하는 등, 4개월에 걸친 혼란이 계속되었다.[1] 결국 청나라 총병 왕군에 의해 평정되었고, 사록사는 천선사(遷善社)로 개칭되었다.[1] 건륭 연간에 동안현의 채(蔡)씨, 안서현의 왕(王)씨, 남안현의 이(李)씨 및 진강현의 소(蕭)씨 등의 일족이 이주해 사록신장(沙轆新庄)이 점차 형성되었다.[1] 가경 연간이 되면서 사록은 남북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했고, 병방이 설치되어 수비병 15명이 배치되었다.[1] 18세기 말에는 사록가, 우매가의 명칭이 지방지에 출현하고 있다.[1]
3. 4. 일본 통치 시대
1920년, '사록(沙轆)'이라는 지명이 '샤로쿠(沙鹿)'로 개칭되었다. 이로 인해 평포족이 사용하던 '사라츠(Salach)' 발음에서 유래하는 지명은 소멸하였다.[1] 1937년, 샤로쿠 장(沙鹿庄)이 샤로쿠 가(沙鹿街)로 개칭되었다.[1]
3. 5. 현대
1945년 중화민국에 귀속되면서 향(鄕)으로 변경되었다.[1] 1950년 사루 진(沙鹿鎭)으로 개칭되었다.[1] 2010년 타이중현과 타이중시가 통합되면서 사루 구(沙鹿區)로 승격되었다.[1]
4. 행정 구역
사루 구는 21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리 |
---|
산루리, 투저리, 베이시리, 시시리, 쥐런리, 메이런리, 푸쯔리, 리펀리, 루펑리, 푸싱리, 싱안리, 주린리, 류루리, 궁밍리, 뤄취안리, 사루리, 난시리, 루랴오리, 진장리, 칭취안리, 싱런리 |
5. 경제
사루 구는 다두 산 서쪽 평원에 위치하며, 지형적 특성으로 농업과 공업이 발달했다. 평지에서는 벼, 구릉지에서는 고구마, 리치, 땅콩, 죽순 등을 재배하며, 특히 고구마는 타이중 시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전통적으로 제당, 방직, 착유, 정미, 제과업과 두부, 간장 제조 등이 발달했으며, 서비스업도 발달하였다.
5. 1. 농업
사루 구는 다두 산 기슭 서쪽 평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형적 제약으로 고지 면적이 넓지 않고 수리 면의 제약도 있어 비교적 건조에 강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현재 평지에서는 벼 재배를 주로 하며, 구릉지에서는 고구마, 리치, 땅콩, 죽순 등이 주산품이다. 그중에서도 고구마 생산량은 타이중 시의 1/2을 차지하며 다두산의 건조한 토지에서 자란 맛이 강한 고구마는 대만 국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5. 2. 산업
사루의 전통 산업으로는 제당, 방직, 착유, 정미, 제과, 두부, 간장 제조 등이 있으며, 이에 부수되는 서비스업도 발달해 있다. 2001년 통계에 따르면, 지역 내 공업 사업체는 875개, 서비스업 사업체는 1,810개로, 총 2,685개의 사업체가 운영되고 있다.6. 교육
사루구에는 홍광대학교와 정의대학교가 있다.
6. 1. 대학교
- 홍광대학교
- 정의대학교
6. 2. 고등 직업 학교
타이중 시립 사루구 고급공업직업학교6. 3. 국민 중학교
타이중 시립 사루 국민중학교6. 4. 국민 소학교
학교 |
---|
타이중 시립 사루구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웬광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주린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루펑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베이세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공밍 국민소학교 |
타이중 시립 공관 국민소학교 |
7. 교통
사루 구는 타이중 국제공항과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안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종류 | 노선명 | 기타 |
---|---|---|
고속도로 | 포모사 고속도로 | 사루구IC, 룽징IC |
성도 | 타이완 1번 성도, 타이완 10번 성도, 타이완 10갑번 성도, 타이완 12번 성도 |
7. 1. 공항
타이중 국제공항7. 2. 철도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안선의 사루 역이 있다.종류 | 노선명 | 기타 |
---|---|---|
철도 | 해안선 | 사루 역 |
7. 3. 도로
타이중 국제공항이 있다.종류 | 노선명 | 기타 |
---|---|---|
철도 | 해안선 | 사루구역 |
고속도로 | 포모사 고속도로 | 사루구IC, 룽징IC |
성도 | 타이완 10번 성도 | 타이중시 ~ 다야 구 ~ 사루구 구 ~ 칭수이 구 |
성도 | 타이완 10갑번 성도 | |
성도 | 타이완 12번 성도 | 타이중시 ~ 사루구 구 ~ 우치 구 ~ 타이중항 |
8. 관광 명소
- 강추 스포츠 공원
- 루펑 야시장
- 징이 야시장
- 공밍 야시장
- 공명보안궁
- 사루구보안궁
- 타이중 도시 공원
- 사루구 심파도서관(사루구영화예술관)
9. 유명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廖財崇
http://www.shalu.tai[...]
[2]
웹사이트
地理氣候
http://www.shalu.tai[...]
[3]
웹사이트
臺中市政府民政局 ::: 人口統計管理平台 :::
http://demograph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