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막 교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막 교모는 기독교 금욕주의를 실천한 여성들을 지칭하며, 영적 스승이자 지도자로서 사막 교부들과 동등하게 존경받았다. 이들은 금욕, 순결, 절제, 기도, 노동 등을 통해 영적 성장을 추구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신클레티카, 테오도라, 사라, 큰 멜라니아, 작은 멜라니아 등이 대표적이다. 사막 교모들은 겸손, 순종, 절제, 극기를 강조하며, 공동체 생활을 통해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영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들의 가르침과 삶은 초기 기독교 역사와 영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종교적 유산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수도회 -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토 선교수도회는 독일에서 시작되어 외방 선교를 위해 설립된 수도원 연합체이며, 전 세계에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고, 한국에는 왜관 수도원이 운영되고 있다.
  • 기독교 수도회 - 떼제 공동체
    떼제 공동체는 로제 수사가 1940년 프랑스 떼제에 설립한 국제적인 기독교 공동체로, 화해와 평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국적과 교파의 사람들이 모여 기도하고 교류하며, 관상 기도, 노동을 통한 자립, 가난한 이들과의 연대를 핵심 가치로 삼고 에큐메니컬 정신을 바탕으로 기독교 화해를 실천한다.
  • 동방 가톨릭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 동방 가톨릭교회 - 와디 엘 나트룬
    와디 엘 나트룬은 나일 삼각주 서쪽의 사막 계곡으로, 알칼리 호수와 고대 이집트 시대 나트론 채취지, 그리고 4세기부터 기독교 수도원 운동의 중심지로서 현재까지 콥트 수도원 운동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 곳의 수도원이 남아있는 유적지이다.
사막 교모
개요
암마 사라의 이콘
사막 교모
다른 이름사막의 어머니
활동 시기3세기 - 5세기
활동 지역이집트
팔레스타인
시리아
종교기독교
교파초기 기독교
역할수도자
은수자
신학자
배경
설명사막 교모는 3세기에서 5세기에 이집트, 팔레스타인, 시리아 사막에서 수도원 공동체에서 살거나 드물게는 은둔자로 살았던 기독교 여성 금욕주의자였다.
특징
활동그들은 사막 교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중요성그들의 말과 행동은 여러 책에 기록되었다.
참고 문헌
서적'사막의 어머니들: 초기 여성 수도사들의 발자취', 페넬로페 델타 지마(Penelope Delta Zima) 저
'사막의 지혜: 사막의 어머니들의 말', 펠라기아 파파니콜라우(Pelagia Papnikolaou) & 사막의 어머니들 저
'사막의 어머니', 지나 모라(Gina Mura) 저
온라인 자료사막 어머니들의 몇 가지 이야기

2. 기독교 금욕주의

기독교 금욕주의는 육체적 "세속적" 욕망에 대한 자기 훈련과 절제를 포함했다. 금욕주의자들은 금욕을 실천하고 순결을 존중했는데, 성적인 행위와 욕정은 "세속적 욕망"이었기 때문이다.[3] 금욕주의자들은 또한 절제와 정결함에 집중하기 위해 단식과 물, 잠을 절제했다. 금욕주의의 가치는 돈, 재산, 위생, 갈증, 배고픔, 휴식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세속적" 가치의 품목을 포기하도록 장려했다.[3] 여성 금욕주의자들은 정결한 몸과 마음의 의도 때문에 사회적으로 "처녀"로 알려지고 불렸다. 여성은 가정, 수도원, 은둔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기에 다양한 유형의 여성 금욕주의가 존재했다.

2. 1. 금욕주의의 가치

기독교 금욕주의는 육체적 "세속적" 욕망에 대한 자기 훈련과 절제를 포함했다. 금욕주의자들은 금욕을 실천하고 순결을 존중했는데, 성적인 행위와 욕정은 "세속적 욕망"이었기 때문이다.[3] 금욕주의자들은 또한 절제와 정결함에 집중하기 위해 단식과 물, 잠을 절제했다. 금욕주의의 가치는 돈, 재산, 위생, 갈증, 배고픔, 휴식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세속적" 가치의 품목을 포기하도록 장려했다.[3] 여성 금욕주의자들은 정결한 몸과 마음의 의도 때문에 사회적으로 "처녀"로 알려지고 불렸다. 여성은 가정, 수도원, 은둔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기에 다양한 유형의 여성 금욕주의가 존재했다.

2. 2. 여성 금욕주의자들의 유형

여성 금욕주의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금욕적인 삶을 실천했다. 초기 기독교 시대 이집트의 여성 금욕주의자들은 가정, 수도원, 은둔 생활 등 여러 형태의 삶을 선택할 수 있었다.

어떤 여성들은 결혼 후 남편과 함께 금욕 생활을 하거나, 과부가 된 후 집에서 금욕 생활을 이어갔다. 이들은 자신의 집을 금욕 생활의 중심지로 삼아 다른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끌기도 했다.

또 다른 여성들은 여성들로만 구성된 공동체나 혼성 공동체에서 생활하며 금욕 생활을 실천했다. 이러한 공동체는 종종 사막 지역에 위치했으며, 여성들은 기도, 금식, 노동 등의 규율을 따르며 생활했다.

일부 여성들은 사막이나 외딴 지역에서 혼자 은둔 생활을 하며 극단적인 금욕 생활을 추구했다. 이들은 세상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고독 속에서 기도와 명상에 전념했다.

3. 저명한 사막 교모들

''암마스''(영적인 어머니)로 알려진 사막 교모들은 영적인 스승들과 지도사들로서 얻은 존경으로 인해 사막 교부들(압바스)과 견줄만 하다.[9] 가장 잘 알려진 사막 교모들 가운데 한 사람은 알렉산드리아의 암마스 신클레티카인데, 그녀는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에서의 그녀에게서 기인된 27 개의 금언들을 남겼다. 두 명의 다른 암마스들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와 사막의 암마스 사라 또한 그 책에서의 금언들을 남겼다. 사막 교모들은 큰 멜라니아와 여성 부제 올림피아스, 성녀 파올라와 그녀의 손녀 에우스토키움 그리고 작자미상의 여러 명의 여성들을 포함하는 라우시아의 역사에 서술되었다.[8]

알렉산드리아의 싱클레티카(Syncletica of Alexandria), 바실 2세의 메놀로기온(Menologion of Basil II)에서


문헌 기록들에 의하면,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360년 경에 부유한 부모에게서 태어났고 사막 교부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저서들의 이른 공부들을 포함하여 잘 교육받았다고 한다. 그녀의 부모가 죽은 후에, 그녀는 그녀가 가진 모든 것을 팔아 그 돈을 빈자에게 주었다. 그녀의 맹인 자매와 함께 그녀의 도시 밖으로 이주한 그녀는 알렉산드리아 밖의 묘지에서 은수자로서 살았다. 점차적으로, 영적인 어머니로서 역할하는 그녀를 중심으로 여성 금욕주의자들의 공동체가 성장했다. 신클레티카는 금욕주의자이며 은수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절제를 그리고 본질적으로 금욕주의가 끝은 아니라고 가르쳤다.[10]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는 알렉산드리아 근교의 여성 수도 공동체의 암마스였다. 그때 이전에, 그녀는 남자로 변장하고 사막으로 도망쳤고 수사들의 공동체에 입소했다. 많은 사막 교부들이 그녀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테오필루스가 그녀에게 상담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11][12]

사막의 고담집에서의 사라는 그녀가 60년 동안 강가에서 생활한 은수자였음을 나타낸다. 그녀에게 도전하는 일부의 노인들에게 했던 그녀의 예리한 답변은 뚜렷하게 강한 성격을 보여준다. 한 이야기에 의하면, 두 명의 은자들이 그 사막에 방문했고 "저 노파에게 굴욕감을 주자."고 결심했다고한다. 그들은 그녀에게 "당신 스스로에게 교만한 생각이 들지 않을까 조심하시오. 은자들이 한낱 여자일뿐인 나를 알게 된 것좀 봐요!"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녀는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자연의 순리대로라면 나는 여자이지만, 나의 생각은 그렇지 않소."[13]

작은 멜라니아의 성화상


멜라니아 더 영거(Melania the Younger), 바실 2세의 메놀로기온(Menologion of Basil II)에서


로마 관리의 딸인 큰 멜라니아는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되었고 알렉산드리아로 그리고 그 다음에 니트리아 사막으로 이주했다. 그녀는 여러 명의 사막 교부들과 만나서, 그들의 여행길을 따랐고, 그녀 자신의 돈으로 그들을 보살폈다. 여러 명의 교부들이 관리들에 의해 팔레스타인에서 추방당한 후에, 한때, 그녀는 그들을 도와주었다는 이유로 감옥에 투옥되었다. 그녀는 마침내 예루살렘에 약 50 명의 수녀들을 지닌 수도회를 설립했다.[14]

그녀의 손녀인 작은 멜라니아는 13세에 결혼했고 두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들 모두 어린 나이에 죽었다. 그녀가 20세가 되었을 때, 그녀와 그녀의 남편 피니아누스는 둘다 속세를 포기하고, 수도회들과 수도원들을 설립했다.[14]

3. 1. 알렉산드리아의 신클레티카

암마스(영적인 어머니)로 알려진 사막 교모들은 영적인 스승들과 지도사들로서 얻은 존경으로 인해 사막 교부들(압바스)과 견줄만 하다.[9] 가장 잘 알려진 사막 교모들 가운데 한 사람은 알렉산드리아의 암마스 신클레티카인데, 그녀는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에서의 그녀에게서 기인된 27 개의 금언들을 남겼다.[9]

문헌 기록들에 의하면,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360년 경에 부유한 부모에게서 태어났고 사막 교부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의 저서들의 이른 공부들을 포함하여 잘 교육받았다고 한다. 그녀의 부모가 죽은 후에, 그녀는 그녀가 가진 모든 것을 팔아 그 돈을 빈자에게 주었다. 그녀의 맹인 자매와 함께 그녀의 도시 밖으로 이주한 그녀는 알렉산드리아 밖의 묘지에서 은수자로서 살았다. 점차적으로, 영적인 어머니로서 역할하는 그녀를 중심으로 여성 금욕주의자들의 공동체가 성장했다. 신클레티카는 금욕주의자이며 은수자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절제를 그리고 본질적으로 금욕주의가 끝은 아니라고 가르쳤다.[10]

사막의 어머니들은 성인력(Calendar of saints)의 작은 축일과 단식일(Lesser Feasts and Fasts)에 있는 성인력 (성공회)(Calendar of saints (Episcopal Church))의 미국 성공회(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월 5일(January 5)에 존경받는다.[4][5]

3. 2.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는 알렉산드리아 근교의 여성 수도 공동체의 암마(영적인 어머니)였다.[11][12] 그 이전에, 그녀는 남자로 변장하고 사막으로 도망쳐 수사들의 공동체에 입소했다.[11] 많은 사막 교부들이 그녀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전하는 바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테오필루스가 그녀에게 상담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11][12] 테오도라는 사막 교부들에게 조언을 구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루스 1세 주교도 그녀에게 조언을 구하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3. 3. 사막의 사라

사막 교모는 "암마"(영적인 어머니)로 알려져 있으며, 영적인 스승이자 지도자로서 사막 교부(압바스)에 비견될 만큼 존경받았다.[9] 사막 교모 중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은 알렉산드리아의 암마스 신클레티카로,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에 그녀의 금언 27개가 전해진다.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와 사막의 암마스 사라 또한 이 책에 금언을 남겼다. 사막 교모들은 큰 멜라니아, 여성 부제 올림피아스, 성녀 파올라와 그녀의 손녀 에우스토키움 등 ''라우시아의 역사''에 기록되었다.[8]

사막의 사라는 60년 동안 강가에서 은수자로 생활했다.[13] 그녀의 강인한 성격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두 명의 은자들이 사막에 그녀를 찾아와 "저 노파에게 굴욕감을 주자"라고 결심하고 "당신 스스로에게 교만한 생각이 들지 않을까 조심하시오. 은자들이 한낱 여자일뿐인 나를 알게 된 것좀 봐요!"라고 말했다. 사라는 "자연의 순리대로라면 나는 여자이지만, 나의 생각은 그렇지 않소."라고 대답했다.[13]

3. 4. 큰 멜라니아와 작은 멜라니아



사막 교모들은 영적인 스승들과 지도사들로서 얻은 존경으로 인해 사막 교부들과 견줄만 하며, ''암마스''(영적인 어머니)로 알려졌다.[9] 이들 중에는 알렉산드리아의 암마스 신클레티카,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 사막의 암마스 사라 등이 있으며, 이들은 ''사막 교부들의 고담집''에 금언을 남겼다.[8]

로마 관리의 딸인 큰 멜라니아는 젊은 나이에 과부가 된 후 알렉산드리아를 거쳐 니트리아 사막으로 이주했다.[14] 그녀는 여러 사막 교부들을 만나 자신의 돈으로 그들을 보살폈으며, 팔레스타인에서 추방당한 교부들을 도왔다는 이유로 감옥에 투옥되기도 했다. 그녀는 예루살렘에 약 50명의 수녀들을 지닌 수도회를 설립했다.[14] 멜라니아 더 엘더는 수도원과 수녀원을 설립하여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에 기독교 금욕주의 내에서 여성의 권력과 리더십의 한 예이다. 멜라니아 더 엘더는 또한 교육을 받았고 읽고 쓰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른 금욕주의 지도자 및 여성들과 구별되었다.

그녀의 손녀인 작은 멜라니아는 13세에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나, 모두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그녀는 20세에 남편 피니아누스와 함께 속세를 포기하고 수도회와 수도원을 설립했다.[14]

사막의 어머니들은 성인력(Calendar of saints)의 작은 축일과 단식일(Lesser Feasts and Fasts)에 있는 성인력 (성공회)(Calendar of saints (Episcopal Church))의 미국 성공회(Episcopal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월 5일(January 5)에 존경받는다.[4][5]

4. 사막 교모들의 영성

암마스 사라(Amma Sarah)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칭찬하도록 기도하기보다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이 순수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15] 암마스 신클레티카(Amma Syncletica)는 처음에는 신에게 나아가는 자들에게 많은 싸움과 고통이 따르지만, 그 후에는 형언할 수 없는 기쁨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눈물과 노고를 통해 우리 안에 신성한 불을 지펴야 한다고 하였다.[16]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산에서 살면서 마치 도시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들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군중 속에 살면서도 마음속으로는 은둔할 수 있으며, 은둔하는 사람들도 자신의 생각이라는 군중 속에 살 수 있다고 하였다.[17] 암마스 테오도라(Amma Theodora)는 금욕, 철야, 어떤 종류의 고통도 아닌 오직 진정한 겸손만이 구원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악마를 쫓아낼 수 있었던 한 은자가 악마들에게 무엇이 그들을 물러가게 하는지 묻자, 악마들은 겸손 외에는 그들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대답했다.[18]

4. 1. 겸손과 순종

암마스 사라(Amma Sarah)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칭찬하도록 기도하기보다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이 순수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15] 암마스 신클레티카(Amma Syncletica)는 처음에는 신에게 나아가는 자들에게 많은 싸움과 고통이 따르지만, 그 후에는 형언할 수 없는 기쁨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눈물과 노고를 통해 우리 안에 신성한 불을 지펴야 한다고 하였다.[16]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산에서 살면서 마치 도시에 있는 것처럼 행동하는 사람들은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군중 속에 살면서도 마음속으로는 은둔할 수 있으며, 은둔하는 사람들도 자신의 생각이라는 군중 속에 살 수 있다고 하였다.[17] 암마스 테오도라(Amma Theodora)는 금욕, 철야, 어떤 종류의 고통도 아닌 오직 진정한 겸손만이 구원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악마를 쫓아낼 수 있었던 한 은자가 악마들에게 무엇이 그들을 물러가게 하는지 묻자, 악마들은 겸손 외에는 그들을 이길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대답했다.[18]

4. 2. 절제와 극기

사막 교모들은 절제와 극기를 통해 구원에 이르고자 했다. 암마스 사라(Amma Sarah)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칭찬하도록 기도하기보다는,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이 순수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15] 암마스 신클레티카(Amma Syncletica)는 처음에는 많은 고통이 따르지만, 눈물과 노고를 통해 신성한 불을 지펴야 한다고 말했다.[16]

또한,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산에서 살면서도 도시에서처럼 행동하는 사람들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이며, 군중 속에서도 마음속으로 은자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17] 암마스 테오도라(Amma Theodora)는 금욕이나 철야기도가 아닌 오직 진실한 겸손만이 구원에 이르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겸손이 악마를 이기는 힘이라고 말했다.[18]

4. 3. 공동체와 연대

사막 교모들은 공동체 생활을 통해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고 영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암마스 사라(Amma Sarah)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을 칭찬하기를 기도하기보다는,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이 순수하게 해달라고 기도했다.[15] 이는 개인의 영적 성장뿐만 아니라 공동체 구성원 모두를 위한 마음가짐을 강조한 것이다.

암마스 신클레티카(Amma Syncletica)는 신에게 나아가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지만, 결국에는 형언할 수 없는 기쁨이 온다고 말하며,[16] 눈물과 노고를 통해 신성한 불을 지펴야 한다고 강조했다.[16] 이는 공동체가 함께 고난을 극복하고 영적인 성장을 이루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암마스 신클레티카는 "산에서 생활하며 마치 도시에 있는 듯 행동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시간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군중 속에서 살고 있어도 그 사람의 마음으로 은자가 되는 것이 가능합니다."라고 말하며,[17]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내면의 수양을 통해 공동체와 연대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암마스 테오도라는 금욕, 철야, 고행이 아닌 오직 진실한 겸손만이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18] 악마를 쫓아내는 은자의 이야기를 통해 겸손이 악마를 이기는 힘임을 강조하며,[18] 공동체 안에서 서로를 낮추고 섬기는 자세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5. 사막 교모들의 현대적 의의

5. 1. 한국 사회와 여성

5. 2. 종교적 유산

사막 교모는 초기 기독교 역사와 영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금욕적인 삶과 기도를 통해 영적 성장을 추구했으며, 그들의 가르침과 삶의 방식은 후대 신앙인들에게 귀감이 되었다.

6. 같이 보기

사막 교부, 금욕주의, 기독교 금욕주의, 수도원, 은수자, 알렉산드리아의 신클레티카,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 사막의 사라, 큰 멜라니아, 작은 멜라니아

참조

[1] 서적
[2] 서적 Women in Anchoritic and Semi-Anchoritic Monasticism in Egypt: Rethinking the Landscape Church History 2014-03
[3] 서적 Female Asceticism and Monasticism in Late Antique Egypt According to Papyrological Sources Journal of Coptic Studies
[4] 웹사이트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extranet.gen[...]
[5] 웹사이트 Sarah, Theodora & Syncletica: Thde Desert Mothers http://satucket.com/[...] 2021-04-13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