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는 1922년 우카이르 의정서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원래 유목민의 이동 지역으로 양국이 주권을 공유했다. 1938년 석유 발견 이후, 양국은 공동 관리 협정을 맺고 석유를 개발했으며, 1960년 분할 협상을 시작하여 1965년 분할 협정을 체결하고 1970년 발효되었다. 이 지역은 ISO 3166 코드가 할당되지 않았으며,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에 점령되었으나 해방되었다. 현재도 석유 채굴은 양국 합의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본 아라비아 석유가 개발한 카푸지 유전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국경 - 페르시아만
페르시아만은 아라비아 반도와 이란 사이의 내해로, 풍부한 석유 매장량과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으며, '걸프'라고도 불리지만 명칭 분쟁이 있는 지역이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토 분쟁 -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중립지대
사우디아라비아-이라크 중립 지대는 1922년 우카이르 의정서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사이에 설정된 지역으로, 군사 시설 설치 금지 및 유목민 자유 통행 보장 등의 특징을 가졌으나, 1991년 걸프 전쟁으로 이라크가 협정을 파기하며 사우디아라비아에 의해 자국 영토로 편입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 | |
---|---|
개요 | |
명칭 |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 지대 |
다른 이름 | 분할 중립 지대 (Partitioned Neutral Zone, PNZ) |
존속 기간 | 1922년 12월 2일 ~ 1970년 1월 18일 |
설립 근거 | 1922년 12월 우카이르 협약 |
지리 | |
면적 | 5,770 제곱킬로미터 |
위치 |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사이의 국경 지대 |
역사 | |
설정 이유 | 이븐 사우드와 쿠웨이트 사이의 국경 불확실성 해소 |
관리 방식 | 양국 공동 관리 |
자원 개발 | 양국 동등한 권리 |
종결 | 1970년 1월, 새로운 국경선 획정 및 각국 영토 편입으로 소멸 |
분할 합의 | 1965년 |
분할 발효 | 1966년 |
자원 | |
주요 자원 | 석유 |
관련 유전 | 쿠웨이트-사우디아라비아 분할 구역에 속한 유전 |
Humma Marrat 저류층 | 사우디 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분할 중립 지대 (PNZ) |
Durra 가스전 | 아람코 걸프 운영과 쿠웨이트의 KGOC가 Durra 가스전 개발에 합의했다. |
기타 | |
관련 전투 | 카프지 전투 (1991년) |
2. 역사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는 1922년 우카이르 의정서에 따라 네지드 술탄국(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전신)과 쿠웨이트 국경 사이에 설정되었다.[13][14] 이는 양국을 오가던 베두인 유목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국의 중재 하에 해당 지역의 주권을 양국이 공유하기로 합의한 결과였다.[15]
초기에는 불모지 사막으로 큰 관심을 받지 못했으나, 1938년 쿠웨이트 부르칸 유전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중립지대 내 석유 매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이에 따라 1948년부터 1949년 사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는 미국 정유 회사들에게 양허를 허가했으며,[15] 1953년 3월 중립지대에서 실제로 석유가 발견되자 공동 운영 방식으로 개발을 시작했다. 이후 1957년과 1958년에는 일본의 아라비아 석유 회사와도 양허 협정을 체결하여 개발을 확대했다.[16][15]
석유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1960년 10월부터 양국은 중립지대 분할 협상을 시작했다. 1965년 7월 7일 분할 협정이 체결되었고, 1967년 12월 17일 국경에 관한 세부 협정이 마련되었다. 이 협정은 1969년 12월 18일 문서 교환 및 서명을 통해 공식 발효되었으며,[17] 1970년 1월 18일 비준을 거쳐 1월 25일 공표되었다.[18]
중립지대는 1974년 ISO 3166 표준 채택 이전에 분할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ISO 코드는 할당되지 않았다.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이라크 군대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으나 다국적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19] 분할된 지 수십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이 지역의 석유 자원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 간의 공동 합의에 따라 채굴되고 있다.[20][21]
2. 1. 중립지대 설정 배경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는 1922년 12월 2일 네지드 술탄국(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 전신)과 쿠웨이트 국경 사이에 1922년 우카이르 의정서에 따라 설정되었다.[13][14] 이 지역은 원래 정주민이 거의 없고, 국적이 불분명한 베두인을 포함한 많은 유목민이 오가던 곳이었다.[11][15] 당시 국경선을 명확히 확정할 경우, 가축을 방목하며 이동하는 유목민들의 생활에 큰 지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11]이러한 배경 속에서 영국의 중재를 통해 네지드 술탄국과 쿠웨이트는 해당 지역에 대한 주권을 공동으로 행사하기로 합의했다.[15] 1922년 우카이르 의정서는 나중에 '중립지대'로 불리게 된 이 지역에 대해 "네지드 술탄국 정부와 쿠웨이트 정부는 영국 정부의 중재를 통해 네지드 술탄국과 쿠웨이트 간의 해당 지역에 관한 추가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동등한 권리를 공유한다."고 명시했다.[15]
미국의 역사가인 대니얼 예긴은 이 중립지대를 "1922년에 영국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의 국경을 긋는 과정에서 설정한 약 2,000평방마일(5200km2)의 불모지 사막"이라고 설명하며, 양국을 오가던 베두인 유목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권을 공유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15] 그러나 1938년 쿠웨이트의 부르간 유전에서 석유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 '중립지대'에 대한 구체적인 정착이나 개발에 대한 관심은 거의 없었다.[15]
2. 2. 석유 발견과 개발
1938년 쿠웨이트의 부르칸 유전에서 석유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중립지대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었다.[15] 중립 지대 내에서 석유가 발견될 가능성이 제기되자,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 정부는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의 정유 회사인 아민오일과 퍼시픽 웨스턴 석유 회사에 양허를 허가했다.[15]1953년 3월, 마침내 중립지대에서 석유가 발견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는 공동 운영 협정을 통해 석유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이후 1957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1958년에는 쿠웨이트 정부가 일본의 정유 회사인 아라비아 석유와 양허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2000년에 만료되었다.[16] 아라비아 석유는 1960년 1월에 처음으로 중립지대 근해 지역에서 석유(카푸지 유전)를 발견했으며,[15] 이듬해인 1961년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주로 일본으로 석유를 보냈다. 아라비아 석유의 이권은 2000년에 사우디아라비아, 2003년에 쿠웨이트와의 협정이 각각 만료되었지만, 이후에도 원유 판매는 계속하고 있다.[12]
2. 3. 중립지대 분할 협상
석유 기지 건설로 중립지대에 인구가 증가하면서 국경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인한 불편함이 생겨났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에서 벌금을 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11]이에 따라 1960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 정부 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를 분할하기로 결정하고 협상을 시작했다.[17] 1965년 7월 7일, 양국 정부는 중립지대를 분할하는 협정을 체결하였다.[17] 1967년 12월 17일에는 중립지대 분할을 구체화하는 내용이 담긴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국경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17] 그러나 이 국경 협정은 1969년 12월 18일에 쿠웨이트에서 문서 교환과 서명이 이루어진 뒤에야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17] 협정은 1970년 1월 18일에 비준되었고,[18] 같은 해 1월 25일에는 쿠웨이트 정부 관보를 통해 발표되었다.[18]
2. 4. 분할 이후
1969년 12월 18일, 쿠웨이트에서 문서 교환과 서명이 이루어지면서 중립지대를 분할하는 협정이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17] 이 협정은 1970년 1월 18일에 비준되었고, 1970년 1월 25일 쿠웨이트 정부 관보를 통해 공표되었다.[18]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중립지대는 1974년 ISO 3166 표준이 채택되기 이전에 분할되었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 대한 ISO 3166 코드는 할당되지 않았다.
1991년 발발한 걸프 전쟁 중, 쿠웨이트를 침공한 이라크 군대가 이 지역을 일시적으로 점령하였다. 그러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를 주축으로 한 다국적 연합군이 이라크 군을 격퇴하고 해당 지역을 포함한 쿠웨이트 전역을 해방시켰다.[19]
분할된 지 50년이 지난 현재(2024년 기준)에도 이 지역에서의 석유 채굴은 여전히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양국 정부 간의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20][21]
3. 카푸지 유전
이 중립 지역의 앞바다에는 일본의 아라비아 석유가 자체 개발한 카푸지 유전이 있다. 아라비아 석유는 1957년 사우디아라비아, 1958년 쿠웨이트와 각각 이권 협정을 체결하였다. 이후 1960년에 카푸지 유전을 발견하였고, 이듬해인 1961년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주로 일본으로 석유를 보냈다. 2000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이권 협정이 종료되었고, 2003년에는 쿠웨이트와의 협정도 종료되었으나, 그 후에도 원유 판매는 계속하고 있다.[12]
참조
[1]
논문
The Legal Status of the Saudi-Kuwaiti Neutral Zone
https://www.jstor.or[...]
British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Law/[[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07-01
[2]
논문
The partition of the Neutral Zone
https://www.cambridg[...]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ASIL)]]/[[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6-10-01
[3]
서적
"[[The Prize: The Epic Quest for Oil, Money, and Power]]"
"[[Free Press (publisher)|Free Press]] ([[Simon & Schuster]])"
2008-12-01
[4]
서적
Out of the Desert: My Journey From Nomadic Bedouin to the Heart of Global Oil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6
[5]
웹사이트
KSA Kuwait 1969
http://www.meij.or.j[...]
2005-12-02
[6]
간행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103 – September 15, 1970: Kuwait–Saudi Arabia Boundary
https://fall.fsulaw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70-09-15
[7]
간행물
The Battle of Khafji: An Overview and Preliminary Analysis
https://apps.dtic.mi[...]
"[[Air University (United States Air Force)|Air University (United States)]]"
1996-09-01
[8]
뉴스
Kuwait, Saudi to resume oil output from neutral zone this month
https://www.cpifinan[...]
CPI Financial
2020-02-16
[9]
콘퍼런스
Quantifying Uncertainty in Carbonate Reservoirs – Humma Marrat Reservoir, Partitioned Neutral Zone (PNZ), Saudi Arabia and Kuwait
https://www.onepetro[...]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
2009-03-15
[10]
뉴스
Aramco Gulf Operations, Kuwait's KGOC agree to develop Durra gas field, Saudi news agency reports
https://www.reuters.[...]
2022-12-11
[11]
웹사이트
川口雄治「砂漠のゴルフ」
http://waseda-oukaka[...]
早稲田応用化学会
2021-01-06
[12]
웹사이트
사업개요 진행중인 사업
http://www.aoc.co.jp[...]
아라비아 석유
2012-11-21
[13]
논문
https://www.jstor.or[...]
2021-07-09
[14]
논문
https://www.cambridg[...]
[15]
서적
2021-07-09
[16]
서적
https://books.google[...]
2021-07-09
[17]
웹인용
http://www.meij.or.j[...]
2005-12-02
[18]
보고서
https://fall.fsulawr[...]
2021-07-09
[19]
보고서
https://apps.dtic.mi[...]
[20]
뉴스
https://www.cpifinan[...]
2021-07-09
[21]
콘퍼런스
https://www.onepetro[...]
202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