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준은 국가가 국제 조약에 공식적으로 구속되는 것에 동의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이는 조약에 규정된 대로 비준서를 기탁함으로써 이루어지며,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조약 비준을 승인한다. 비준은 서명, 의회 승인, 국가원수의 재가, 비준서 기탁 등의 엄격한 절차를 거치며, 다국간 조약의 경우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국가에 대해서는 가입 절차를 인정하지만, 서명한 국가에 대해서는 비준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외교권이 군주에게 집중되었으나, 미국 헌법의 영향으로 조약 체결 시 의회의 비준 절차를 거치게 되었다. 비준은 국제법 질서 확립과 국가 간 협력 증진에 기여하며, 국내적으로는 민주적 절차를 통해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고 조약 이행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률 - 전과
    전과는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제도적으로 관리되는 개인의 범죄 관련 기록을 의미하며, 형이 실효된 전과에 의한 차별은 금지되지만, 성범죄 전과자의 경우 취업이 제한될 수 있다.
  • 법률 - 율령격식
    율령격식은 동아시아에서 율령을 보충하고 개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격과 식을 통칭하는 용어로, 당나라의 율령을 바탕으로 현실과의 괴리를 해결하고자 제정되었으며 주변 국가의 법제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비준
지도
개요
정의국제법상 문서(예: 조약, 협약)가 국내에서 효력을 갖도록 하는 국가적 절차
의미서명된 문서가 국가를 구속하는 법적 의무가 되는 것
문서의 최종 승인 및 국내법에 통합하는 절차
관련 용어서명
가입
수락
승인
비준서 기탁
절차
국내 비준 절차조약 체결 권한이 있는 국가 기관(대통령, 의회 등)이 조약에 대한 최종 동의를 표명
국회의 동의 필요 (국제 조약의 경우)
비준서 작성 및 관련 절차 이행
국제 비준 절차비준서를 조약 수탁자(일반적으로 유엔 사무총장)에게 기탁
기탁 시점이 조약의 효력 발생일과 연결됨
비준의 효력비준된 조약은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가짐
조약 위반 시 국제법적 책임 발생
의회 동의대부분의 국가에서 조약 비준 전 의회의 동의 필요
국가 주권과 관련된 중요 조약은 의회 동의 필수
국가별 사례
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에 따라 국회 동의 필요
대통령의 비준으로 최종 효력 발생
미국미국 상원의 동의 필요
대통령이 비준권을 가짐
일본국회의 승인 필요
내각총리대신이 비준권을 가짐
기타 국가각 국가 헌법 및 관련 법률에 따라 비준 절차 상이
조약법
비엔나 조약법 협약조약 체결, 해석, 종료 등에 관한 국제법 규정
비준의 절차 및 효력에 대한 국제법적 근거 제공
참고
국내에서의 "비준" 사용미국 헌법 및 주 헌법 개정, 인도 헌법 개정 등 국내법 개정 절차에도 사용됨
미국 헌법 역사 및 인도 헌법 개정 과정 참조
참고 자료국제 연합 조약 컬렉션 - 비준 용어집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국회 승인 조약의 체결 절차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코토뱅크 - 비준

2. 조약 비준의 법적 절차

국제 조약의 비준은 조약에 규정된 대로 비준서를 기탁함으로써 이루어진다.[4]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법안을 통과시켜 표준 입법 절차를 통해 정부가 조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조약 체결은 일반적으로 개별 조약에서 규정되며, 다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준", "수락", "승인", "가입"에 의한다.[15] 양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공문 교환[16]에 의하는 경우도 있다.[13] 비준은 서명, 의회 승인, 국가원수 등에 의한 재가·인증, 비준서 기탁을 거치는 엄격한 절차이다.

과거에는 외교권이 군주에게 집중되어, 조약 체결은 군주에 의한 조약 내용 확인 행위였다. 대일본제국헌법에서 조약 체결이 제국의회가 아닌 천황의 자문기관인 추밀원 심의를 거친 배경에는, 조약 체결권이 천황에게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조약 체결이 의회를 거치게 된 것은 미국 헌법에서 행정부가 파견한 전권 대표가 서명한 조약 내용을 국민 대표인 의회가 재검토하기 위해 의회 비준 절차를 도입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다국간 조약은 체결 국가 수가 일정 수를 초과한 후에 발효된다고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발효 후에도 서명만 하고 비준하지 않은 국가는 조약에 구속되지 않는다.

비준 절차 중 일부를 생략한 수락, 승인, 가입을 통한 조약 체결을 인정하는 조약도 있지만, 체약국의 국내법이 간소화된 절차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국내법 절차에 따라 처리된다. 조약 대신 행정 기관인 정부 간 약정으로서, 의회 승인 등 복잡한 체결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 행정 협정(정부 간 협정)[18]을 체결하기도 한다.

2. 1. 서명

조약에 대한 협상이 완료되면, 각국 대표는 조약문에 서명한다. 서명은 조약 내용에 대한 합의를 나타내지만, 법적 구속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2. 비준서 기탁

국제 조약의 비준은 항상 조약에 규정된 대로 비준서를 기탁함으로써 이루어진다.[4]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법안을 통과시켜 표준 입법 절차를 통해 정부가 조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3. 조약 비준의 유형

국가 또는 지역을 넘나드는 조약이나 협정에 공식적으로 구속되는 것에 대한 동의를 표명하는 방법(총칭하여 “체결”이라고 함)은 일반적으로 개별 조약에서 규정되어 있다.[15] 다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준”이나 “수락”(acceptance), “승인”(approval) 또는 “가입”(accession)에 의한다.[15] 양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비준, 수락, 승인, 가입 외에도 공문의 교환[16]에 의하는 경우도 있다.[13]

비준은 서명, 의회에서의 승인, 국가원수 등에 의한 재가·인증, 그리고 비준서의 기탁을 거치는 엄격한 절차이다. 제노사이드 조약, 유럽인권조약, 사회권규약, 자유권규약, 비엔나 조약법 조약,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등과 같이 중요한 다국간 조약은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국가(조약 협상에 참가하지 않은 국가)에 대해서는 가입 절차를 인정하고, 그 외에는 비준을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17]

과거에는 외교권이 군주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이 시대의 체결은 군주에 의한 조약 내용 확인 행위였다. 대일본제국헌법에서 조약 체결이 제국의회가 아니라 천황의 자문기관인 추밀원 심의를 거친 배경에는, 조약 체결권이 천황에게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체결이 의회를 거치게 된 것은 미국 헌법에서 행정부가 파견한 전권 대표가 서명한 조약 내용을 국민 대표인 의회가 국가·국민을 위해 재검토하기 위해 의회에 의한 비준 절차를 도입한 데 기인한다.

다국간 조약은 체결한 국가의 수가 일정 수를 초과한 후에 발효한다고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발효 후에도 서명만 하고 체결하지 않은 국가는 조약에 구속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준 절차 중 몇 가지 절차를 생략한 수락, 승인, 가입에 의한 체결을 인정하는 조약도 있다. 또한, 조약 대신 행정 기관인 정부 간의 약정으로서, 의회 승인 등 번잡한 체결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 행정 협정(정부 간 협정)[18]을 체결하는 경우도 있다.

3. 1. 비준 (Ratification)

국제 조약의 비준은 조약에 규정된 대로 비준서를 기탁함으로써 이루어진다.[4]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법안을 통과시켜 정부가 조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한 국가가 조약에 공식적으로 구속되는 것에 대한 동의를 표명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개별 조약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다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준"이나 "수락", "승인", "가입"에 의한다.[15] 양국간 조약의 경우에는 공문의 교환[16]에 의하는 경우도 있다.[13] 특히, 비준은 서명, 의회에서의 승인, 국가원수 등에 의한 재가·인증, 그리고 비준서의 기탁을 거치는 엄격한 절차이기 때문에, 제노사이드 조약, 유럽인권조약, 사회권규약, 자유권규약, 비엔나 조약법 조약,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과 같은 중요한 다국간 조약에는 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국가에 대해서는 가입에 의한 절차를 인정하는 외에는 비준에 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 많다.[17] 이러한 조약은 조약에 서명한 국가에 대해서는 비준서라고 하는 국가의 동의나 확인을 나타내는 문서를 작성하고, 이 문서를 기탁 또는 교환함으로써, 비로소 해당 국가에 대해 조약의 효력이 발생하게 된다.

과거에는 외교권이 군주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이 시대의 비준은 군주에 의한 조약 내용의 확인 행위였다. 대일본제국헌법에서 조약의 체결이 제국의회가 아니라 천황의 자문기관인 추밀원에 의한 심의를 거친 배경에는, 조약 체결권이 천황에게 있다고 생각되었던 것이 있다. 비준이 의회를 거치게 된 것은 미국 헌법에서 행정부가 파견한 전권 대표가 서명한 조약 내용을 국민의 대표인 의회가 국가·국민을 위해 재검토하기 위해 의회에 의한 비준 절차를 도입한 데 기인한다.

다국간 조약의 경우, 비준한 국가의 수가 일정 수를 초과한 후에 발효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이 많다. 발효 후에도, 서명만 하고 비준하지 않은 국가는 조약에 구속되지 않는다.

비준 절차 중 몇 가지 절차를 생략한 수락, 승인, 가입에 의한 체결을 인정하는 조약도 있지만, 당연히 체약국의 국내법이 간략화된 절차에 의한 조약의 체결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러한 조약이라도 체약국이 국내법에서 정한 절차에 따라 처리된다. 또한, 조약에 대신하여, 행정 기관인 정부 간의 약정으로서, 의회에 의한 승인 등 번잡한 체결 절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 행정 협정(정부 간 협정)[18]을 체결하는 경우도 있다.

3. 2. 수락 (Acceptance) 및 승인 (Approval)

조약이나 협정에 공식적으로 구속되겠다는 동의를 표시하는 방법은 개별 조약에 규정되어 있으며, 다국간 조약의 경우 대부분 "수락"(acceptance), "승인"(approval) 방식을 따른다.[15] 수락과 승인은 비준과 유사하지만, 국내 절차가 간소화된 형태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대한민국 헌법국회 동의가 필요한 조약에 대해서는 수락이나 승인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다.

3. 3. 가입 (Accession)

가입은 이미 발효된 조약에 대해 나중에 참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이다.[15] 가입은 비준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다. 제노사이드 조약, 사회권규약, 자유권규약, 비엔나 조약법 조약,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등이 가입 절차를 허용하는 대표적인 조약이다.[17]

4. 주요 국가별 조약 비준 절차

국제 조약의 비준은 항상 조약에 규정된 대로 비준서를 기탁함으로써 이루어진다.[4]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입법부가 법안을 통과시켜 표준 입법 절차를 통해 정부가 조약을 비준할 수 있도록 승인한다.

국가조약 비준 절차
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61조에 명시된 행정부 권한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의회 승인 없이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의 조약은 의회에 제출되어 15~20일 동안 조약 상임 합동 위원회의 심사를 받으며, 조약 이행에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입법이 필요한 경우 비준 전 양원 모두에서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인도대통령은 총리가 이끄는 각료회의의 조력과 자문을 받아 행정권을 행사하여 조약을 체결하며, 인도 법원은 그 유효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단, 대통령이 체결한 조약이 인도 헌법 또는 국내법과 충돌하는 경우, 인도는 국제법 이행에 관해 이원론적 이론을 따르므로 법원에서 강제할 수 없다. 의회가 행정부 체결 협정을 성문화하여 인도 법원에서 강제하려면 헌법 제253조에 따르면 된다.


4. 1. 일본

일본에서는 원칙적으로 국회(일본국회)의 양원 모두가 조약 비준을 승인해야 한다. 참의원중의원이 승인한 조약을 부결하고, 양원의 합동위원회가 조약 원안에 대한 수정에 합의하지 못하거나, 참의원이 30일 이상 조약에 대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경우, 중의원의 표결이 국회의 비준 승인으로 간주된다. 승인된 조약은 그 후 천황의 칙령에 따라 법률로 공포된다.[1]

일본국 헌법하에서는 조약 체결은 내각이 행하며(헌법 제73조 제3호), 비준에는 "사전에, 때에 따라서는 사후에"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조약 비준에 대해 중의원(衆議院)과 참의원(参議院)이 다른 의결을 하고 양원협의회(両院協議会)에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중의원(衆議院)에서 비준이 가결된 후 참의원(参議院)이 30일 이내에 의결하지 않으면 중의원(衆議院)의 의결이 국회 의결이 된다(중의원의 우월). 즉, 실질적으로는 중의원(衆議院)이 가결하면 비준은 인정된다(자연 성립). 국회에서 조약을 승인한 후에는 국사행위로서 천황(天皇)이 비준서를 인증하고 국내에 공포한다.[1] 참고로, 대일본제국 헌법(메이지 헌법)하에서는 비준 권한은 추밀원(일본)에 있었다.[1]

4. 2. 미국

미국 헌법 제2조에 따라, 대통령은 조약 체결 권한을 가지지만, 상원의 2/3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20] 상원의 동의를 얻은 후에 대통령이 비준할 수 있다.[7] 비준되면 최고 권한 조항에 따라 모든 주에 대해 구속력을 갖는다.

하원은 조약에 대해 투표하지 않지만, 상원의 자문과 비준 동의에 대한 상원의 2/3 다수결 요건 때문에 국제 조약에 대한 충분한 정치적 지지를 얻기가 상당히 어렵다. 또한 조약의 이행에 자금 지출이 필요한 경우 하원은 필요한 자금 배정에 대한 투표를 거부함으로써 이행을 차단하거나 적어도 방해할 수 있다.[7]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조약과 함께 비준 또는 가입 결의안을 상원 외교 관계 위원회에 제출한다. 조약과 결의안이 위원회에서 찬성을 얻으면 조약은 전체 상원의 본회의에 송부되어 투표를 거친다. 조약이나 법안은 비준될 때까지 적용되지 않는다.[7]

상원이 비준에 대한 자문과 동의를 하지 않은 조약의 예로는 베르사유 조약이 있는데, 이는 국제 연맹 조약으로 인해 지지를 얻지 못했다.[8]

미국은 행정 합의를 통해 국제 협정을 체결할 수도 있다. 이는 조약 조항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원 2/3의 승인이 필요하지 않다. 의회-행정 합의는 양원의 과반수로 정규 법률로 통과된다. 합의가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 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경우 대통령이 의회 승인 없이 단독으로 할 수 있지만, 행정 명령의 효력을 갖게 되며 향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폐지할 수 있다.[7]

4. 3. 영국

조약 비준은 국왕의 특권으로, 국왕이 정부의 자문에 따라 행사한다.[5] 폰슨비 규칙이라는 관례에 따라, 조약은 비준 전 21일 동안 의회에 제출되지만, 의회는 비준권이나 거부권이 없다.[6] 폰슨비 규칙은 2010년 헌법 개혁 및 거버넌스 법 제2부에 의해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

국내법 개정이 필요한 조약은 영국 정부의 왕실 특권 발동에 따라 의회에서 비준된다. 국내법 개정이 필요 없는 조약은 폰손비 규칙에 따라 의회 양원에서 최소 21일간 제시된 후 비준된다.

4. 4.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조약 체결 권한이 오스트레일리아 헌법 제61조에 명시된 행정부 권한이므로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의회의 승인을 구하지 않고도 구속력 있는 조약을 체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조약은 의회에 제출되어 15일에서 20일 동안 조약 상임 합동 위원회의 심사를 받으며, 조약 이행에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입법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준 전에 양원 모두에서 법안을 통과시켜야 한다. 헌법 규정에 따라 조약은 행정부의 전담 사항이며, 행정부는 의회의 개입 없이 조약을 비준할 권리와 의무를 갖는다. 다만, 헌법 규정(제51조)에 따라 시행법 제정에는 연방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4. 5. 인도

인도 대통령은 총리가 이끄는 각료회의의 조력과 자문을 받아 행정권을 행사하여 조약을 체결하며, 인도의 어떤 법원도 그 유효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1] 그러나 대통령이 체결한 협정이나 조약이 인도 헌법 또는 국내법과 충돌하는 경우, 인도는 국제법 이행에 관해 이원론적 이론을 따르므로 법원에서 강제할 수 없다.[1]

인도 의회가 행정부가 체결한 협정을 성문화하여 인도 법원에서 강제할 수 있도록 하려면 헌법 제253조에 따라 그렇게 할 수 있다.[1]

5. 헌법 개정의 비준

연방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연방 헌법 개정이 발효되려면 연방 정부와 일정 비율 이상 구성 정부의 동의가 필요하다.

5. 1. 인도

인도의 모든 헌법 개정이 주(州)의 비준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인도 헌법 제368조 단서에 언급된 조항 중 어떤 조항이든 변경하려는 헌법 개정만이 주(州) 의회의 절반 이상의 비준을 받아야 한다.[9] 이러한 조항은 연방 구조 또는 연방 정부와 주(州) 모두의 공동 관심사에 관한 특정 사항과 관련이 있다.

  • 대통령 선거 (제54조 및 제55조)
  • 연방 정부와 주(州)의 행정권의 범위 (제73조 및 제162조)
  • 연방 영토의 고등법원 (제241조)
  • 연방 사법부 및 주(州)의 고등법원 (제5부 제4장 및 제6부 제5장)
  • 연방 정부와 주(州) 간의 입법권 분배 (제11부 제1장 및 제7부)
  • 국회 내 주(州)의 대표
  • 제368조에 규정된 헌법 개정 조항


비준은 주(州) 의회에서 통과된 결의안을 통해 이루어진다. 주(州) 의회가 개정 법안을 비준하는 데 특정한 시간 제한은 없다. 그러나 제안된 개정을 비준하는 결의안은 개정 법안이 대통령에게 재가를 위해 제출되기 전에 통과되어야 한다.[9]

그러나 조약 조항이 주(州)에만 적용되는 권한(주 목록)을 침해하는 경우, 의회의 비준 전에 인도 헌법 제252조에 따라 해당되는 모든 주(州)의 사전 비준을 얻어야 한다.

5. 2. 미국

제5조는 잠재적인 개정안 채택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개정안 채택 제안은 의회 양원의 3분의 2 찬성 또는 주 의회의 3분의 2 (현재 50개 주 중 최소 34개 주)가 채택한 결의에 따른 전국 협약(national convention)을 통해 제기될 수 있다. 제안된 개정안이 채택되려면, 3분의 4의 주 (현재 50개 주 중 최소 38개 주)가 각 주 의회의 승인 투표 또는 주 비준 협약을 통해 개정안을 비준해야 한다. 의회는 개정안을 비준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 방법을 지정할 수 있으며, 채택 기준을 충족해야 하는 마감일을 설정할 수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lossary - Ratification https://treaties.un.[...]
[2] 간행물 RONR
[3] 간행물 RONR
[4]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relating to Treaty acti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5] 웹사이트 What is the royal prerogative? https://www.ucl.ac.u[...] 2021-11-08
[6] 블로그 Treaty Scrutiny – A Brave New Frontier for Parliament https://ukconstituti[...] 2020-03-18
[7] 서적 Convention on Cluster Munitions
[8] 웹사이트 Treaty Reference Guide https://web.archive.[...] 2001-01-17
[9] 웹사이트 Constitution Amendment: Nature and Scope of the Amending Process https://web.archive.[...] 2013-12-01
[10] 법률 U.S. Const. art. VII
[1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 批准 https://kotobank.jp/[...]
[12] PDF 条約法に関するウィーン条約 https://www.mofa.go.[...]
[13] PDF 国会承認条約の締結手続 https://www.mofa.go.[...] 外務省
[14] PDF 条約法に関するウィーン条約 https://www.mofa.go.[...]
[15] 법률 条約法に関するウィーン条約
[16] 법률 条約法に関するウィーン条約
[17] 웹사이트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as amended by Protocols No. 11 and No. 14 https://www.coe.int/[...] Council of Europe
[18]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19] 웹사이트 条約の国会承認に関する制度・運用と国会における議論 ―条約締結に対する民主的統制の在り方とは― https://www.sangiin.[...]
[2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Article 2 Section 2 https://www.senate.g[...] 미국 상원
[21] 웹사이트 Treaties https://www.senate.g[...] 미국 상원
[22] 논문 アイゼンハワー政権とブリッカー修正 http://www.american-[...] 2005
[23] 웹사이트 U.S. Treaties & Agreements - The Process https://law.duke.edu[...] 듀크 대학교 로스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