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두인은 아라비아 반도에서 유래하여, 전통적으로 유목 생활을 하며 가축을 기르는 아랍계 민족을 가리킨다. 이들은 혈연 관계를 중시하는 부족 사회를 이루며,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왔다. 베두인은 용맹함, 환대, 가족에 대한 충성심을 특징으로 하며, 낙타, 양, 염소 등을 기르며 이동 생활을 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중동 지역의 정착화와 도시화로 인해 많은 베두인들이 유목 생활을 포기하고 정착 생활을 시작했다.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스라엘, 요르단, 이집트, 북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며, 각 지역의 사회, 문화, 정치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타르의 민족 - 타지크인
    타지크인은 중앙아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민족으로, 타지키스탄의 주된 민족이며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소그드인과 박트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베두인
기본 정보
세 명의 베두인 족장, 1867~1876년경
인구25,000,000명
거주 지역아라비아 반도, 레반트, 북아프리카
주요 거주 국가사우디아라비아: 2,000,000명
알제리: 2,000,000명~6,000,000명
이라크: 1,500,000명
요르단: 1,300,000명~4,000,000명
리비아: 1,300,000명
이집트: 1,200,000명
모로코: 400,000명~700,000명
수단: 1,000,000명
아랍에미리트: 800,000명
튀니지: 800,000명~2,600,000명
시리아: 700,000명~2,600,000명
예멘: 500,000명
이란: 500,000명
쿠웨이트: 300,000명
오만: 250,000명
이스라엘: 220,000명
레바논: 200,000명
모리타니: 70,000명
바레인: 70,000명
카타르: 50,000명
팔레스타인: 40,000명
서사하라: 30,000명~40,000명
언어주요 언어: 아랍어 (베두인 아랍어)
소수 언어: 메흐리어, 하르수시어
종교주로 수니파 이슬람교
관련 민족다른 아랍인 및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사용자
추가 정보
부족 명칭 (아랍어)عَشَائِر, قبائل
또 다른 명칭 (아랍어)أعراب
관련 어휘베두인 (구축함)

(시나이 반도): 380,000명 (2007년)
http://ipsnews.net/news.asp?idnews=38209
: 170,000명 (1999년)
http://www.mfa.gov.il/mfa/mfaarchive/1990_1999/1999/7/the%20bedouin%20in%20israel|언어=베다위 아랍어|종교=이슬람교|민족계통=아랍인}}

2. 역사

베두인(بَدَوِي|바다위ara)은 '바디야'(بَادِية|바디야ara, 도시가 아닌 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진다. 이는 '하다리'(حَضَرِيّ|하다리ara), 즉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라고 불리는 정주민과 대비되는 개념이지만, 서로 공생 관계를 맺고 상호 의존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두인이 도시를 방어하거나 하다리가 소유한 가축을 맡아 기르는 한편, 하다리가 베두인 소유의 토지를 관리하고 농작물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베두인은 "주로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낙타을 방목하고 매매하며, 운송 및 기타 일에 종사하는 아랍계 유목민"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사하라 사막의 대서양 연안에서부터 서부 사막, 시나이반도, 네게브 사막, 아라비아 사막에 이르는 넓은 사막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때로는 홍해의 아프리카 연안에 사는 베자족과 같이 아랍계가 아닌 민족을 포함하여 베두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1. 초기 역사

16세기, 헤자즈(Hejaz)에서 베두인들이 사파비 왕조의 타흐마스프 1세(Tahmasp I) 사절 마수움 베그(Ma'sum Beg)를 살해한 모습


역사적으로 베두인들은 기원전 6000년경부터 시리아 스텝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하며 목축, 농업, 때로는 어업에 종사했다. 기원전 850년경에는 정착지와 캠프의 복잡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아랍 부족들은 베두인에서 비롯되었다고 여겨진다.[32] 아라비아 반도 남쪽 끝 농경지대의 인구 과잉으로 인해 일부 농민들이 경작할 수 없는 땅으로 가축을 몰고 북상한 것이 베두인의 시작이라는 설도 있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베두인의 민족 정체성이 확립되었고, 이들은 종종 서로 전쟁을 벌이는 "가족, 씨족, 부족"으로 구성된 하나의 민족으로 인식되었다.[38] 이들의 주요 수입원은 카라반에 대한 세금 징수와 비(非)베두인 정착지에서 거둔 조공이었다. 또한 사막을 가로질러 낙타가 끄는 카라반으로 상품과 사람들을 운송하며 수입을 얻었다.[36] 물과 영구적인 목초지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들은 끊임없이 이동해야 했다.

베두인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에서 "아랍"이라는 말이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베두인이 예로부터 아랍이라 불렸다는 사실은 많은 비문과 사료에 나타난다. 코란에 나오는 "아랍"은 베두인을 가리키며, "베두인의 언어를 코란의 언어로서도, 도시 주민의 언어로서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베두인의 언어가 아랍어로서 가장 순수하다는 학설의 근거가 된다.[38] 실제로 아랍어 사용 지역 전체에서 최대한의 이해도를 위해 고전 아랍어의 표준화 시스템을 개발하려 했던 초기 중세 문법학자들과 학자들은 베두인들이 가장 순수하고 보수적인 언어 변종을 사용한다고 믿었다. 발음의 불규칙성을 해결하기 위해 베두인들에게 특정 시를 낭송하도록 요청하고, 그 합의에 따라 단어의 발음과 철자를 결정하기도 했다.[38]

모로코의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1326년 가자로 가는 길에 이집트 당국이 시나이반도 북쪽 해안의 카티아(Qatya)에 세관을 두고 있었다고 보고했다. 이곳에서 베두인들은 도로를 지키고 허가 없이 국경을 넘으려는 사람들을 추적하는 데 동원되었다.[37]

이슬람 이전의 아랍 사회는 베두인 사회를 그대로 반영하여 혈연관계를 최우선으로 존중했고, 수많은 소부족으로 나뉘어 분쟁이 잦았다. 이러한 부족주의를 넘어서 유일신 알라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이 이슬람이며, 예언자 무함마드는 베두인의 전통에 집착하는 완고함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이슬람이 상업 도시 메카에서 탄생했기 때문에 사막에서 이동 생활을 하는 베두인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사정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반대로, 이슬람의 금욕주의, 용감함, 연대 의식 등의 가치관은 무함마드 이전부터 베두인 사회에서 길러진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베두인'이라는 명칭에는 도시나 문명을 모르는 자라는 경멸적인 의미와 함께, 전통에 따라 자랑스럽고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민족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도 내포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베두인과 도시에 사는 사람들 간의 우열 논의가 존재해왔다. 14세기의 역사가 이븐 칼둔은 그의 저서 『무카디마』에서 사막의 아랍인(베두인)의 생활과 성격을 분석하며 "시골이나 사막의 생활 양식은 도시에 앞서며 문명의 근원이다"라는 명제를 제시하기도 했다.

2. 2. 오스만 제국 시기



1757년, 현재의 요르단 지역에 기반을 둔 바니 사크르(Bani Sakhr) 부족의 지도자 카단 알-파예즈(Qa'dan Al-Fayez)가 이끄는 베두인 부족민들이 하즈 순례단을 습격하여 약탈하고 학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순례자 보호 협력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오스만 제국에 대한 복수였다. 이 습격으로 술탄의 친척과 무사 파샤를 포함한 약 2만 명의 순례자가 목숨을 잃거나 굶주림과 갈증으로 사망했다. 이전에도 베두인의 하즈 순례단 습격은 종종 있었지만, 1757년의 사건은 그 정점을 보여주는 것이었으며, 1756년의 극심한 가뭄이 원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9][40][41][42][43]

1875년 요르단 강 서쪽에 거주하는 베두인 부족 목록(팔레스타인 탐험 기금)


1858년 탄지마트 개혁의 일환으로 새로운 오스만 토지법이 제정되어 베두인의 이주 및 정착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쇠퇴하던 오스만 제국은 이 법을 통해 제국의 세금 기반을 강화하고자 전례 없는 토지 등록 절차를 시작했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의 행정력 부족, 베두인 사회의 문맹률, 조세 저항, 그리고 당시 베두인들의 생활 방식에서 토지 소유권에 대한 서면 문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점 등으로 인해 오스만 타푸에 토지를 등록한 베두인은 소수에 불과했다.[44] 일부 학자들은 베두인의 이주 정책이 1858년 토지 개혁보다 훨씬 이전부터 시작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노라 엘리자베스 바라카트(Nora Elizabeth Barakat)는 1844년 아나톨리아 지역의 특정 법령에서 "부족"을 공식 행정 단위로 인정한 것을 그 뿌리로 본다. 이러한 초기 개혁의 목표는 지역 베두인 지도자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오스만 국가의 통제와 무관하게 밀 거래 등을 통해 부를 축적하는 베두인의 능력을 제한하려는 것이었다.[45]

19세기 말, 압둘하미드 2세 술탄은 발칸과 코카서스 출신의 무슬림 이주민(체르케스인)들을 현재의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팔레스타인 지역 내 유목민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에 정착시키고, 여러 영구적인 베두인 정착촌 건설을 시도했으나 대부분 유지되지 못했다. 전통적인 베두인 지역에 비아랍인이 정착하는 것에 대해 큰 불만이 제기되었는데, 정착민을 포함한 모든 아랍 부족이 베두인 혈통을 가지고 있다는 인식 때문에 문제는 더욱 복잡했다.[47]

오스만 당국은 또한 술탄이 부재지주(effendi) 계층에게 국유지를 대규모로 불하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들은 새로 얻은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 수많은 소작농을 동원했으며, 이는 종종 기존 베두인들의 토지를 잠식하는 결과를 낳았다.

19세기 후반에 들어 많은 베두인들이 반유목 생활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 당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46] 베두인에 대한 강제 정착화 정책을 추진했기 때문이다. 오스만 당국은 베두인을 국가 통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특히 네게브 사막 지역에 법과 질서를 확립하고자 노력했다.[47]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네게브 베두인은 처음에는 오스만 제국 편에 서서 영국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영국 정보원 T. E. 로렌스의 설득으로 입장을 바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싸우게 되었다. 타라빈(Tarabin) 부족 니지마트(Nijmat) 소부족의 족장이었던 하마드 파샤 알-수피(Hamad Pasha al-Sufi, 1923년 사망)는 전쟁 초기 오스만 제국의 수에즈 운하 습격에 1,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여하기도 했다.[48] 제1차 세계 대전 중, 우르파 인근 하란 출신의 카이스 베두인 부족은 마지막 족장 살리흐 압둘라(Salih Abdullah)의 지휘 아래 동트라키아의 뤼레부르가즈에 정착했다. 이 부족은 원래 티하마 지역 출신으로 전해진다.[52]

동양학적 역사 서술에서는 네게브 베두인이 외부 세계의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은 채 고립된 사회를 유지해 온 것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들의 사회는 종종 '시간이 멈춘 세계'처럼 여겨졌다.[49] 그러나 최근 학계에서는 이러한 시각에 도전하며, 베두인 사회가 고정되거나 정체된 문화의 '화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에마누엘 마르크스는 베두인이 도시 중심지와 끊임없이 역동적인 상호 관계를 맺어왔음을 보여주었으며,[50] 베두인 연구자인 마이클 미커(Michael Meeker)는 "도시가 그들의 한가운데에 있었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을 강조했다.[51]

2. 3. 20세기 이후

1950년대 시리아의 베두인족


20세기 초까지도 베두인족의 삶에서 가주(ghazzu)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1925년, 바니 사크르 족의 족장 미스칼 알-파예즈와 함께 지낸 미국 작가 윌리엄 시브룩은 미스칼이 500마리의 경주용 낙타를 이용해 사르디에 족을 상대로 벌인 가주 경험을 기록했다. 바니 하산 족의 한 남자가 30시간 이상 말을 달려 미스칼에게 사르디에 족의 공격 의도를 미리 알렸고, 미스칼은 이 정보를 이용해 함정을 파서 사르디에 족 전사 한 명을 사로잡았다. 시브룩은 포로로 잡힌 전사가 당당했으며 함부로 다뤄지지 않았다고 기록하며, 가주가 전쟁이라기보다는 낙타와 염소를 상금으로 하는 일종의 게임과 같았다고 묘사했다.[5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동 지역 전역의 많은 베두인족은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점차 포기하고 도시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는 목초지 감소와 인구 증가 같은 환경적 요인뿐만 아니라, 각국 정부의 정책과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예를 들어 시리아에서는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이어진 극심한 가뭄으로 베두인족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큰 타격을 입었고, 많은 이들이 목축을 포기하고 다른 직업을 찾아야 했다.[54][55] 마찬가지로 이집트, 이스라엘, 요르단, 이라크, 튀니지, 페르시아 만의 산유국들, 그리고 리비아[56][57] 등 여러 국가에서 시행된 정부 정책 역시 베두인족의 정착을 촉진했다. 결과적으로, 과거의 무국적 유목민으로서의 정체성보다는 특정 국가에 소속된 정착 시민으로서의 삶을 사는 베두인족이 대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베두인족의 정착을 유도하는 정부 정책은 표면적으로는 학교, 의료, 법 집행과 같은 공공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을 내세웠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전통적으로 베두인족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통제해왔던 광대한 토지에 대한 국가의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었다.

최근 일부 베두인족 사이에서는 흰 비둘기를 기르고 번식시키는 것이 새로운 취미로 자리 잡았으며,[58] 전통적인 매사냥 문화를 되살리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59][60]

3. 사회

베두인(بَدَوِي|바다위ar, Badawi)은 "바디야(بادية|바디야ar, bādiya, 도시가 아닌 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뜻을 가진다.[24] 이는 도시 거주민을 뜻하는 하다리(حضريّ|하다리ar, ḥadarī)와 대비되는 개념이지만, 베두인과 하다리는 서로 공생하며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맺기도 한다. 예를 들어, 베두인이 도시를 방어하거나 하다리가 소유한 가축을 대신 키우는 한편, 하다리가 베두인 소유의 토지를 관리하고 농작물을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베두인은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낙타의 방목 및 매매, 운송 등의 일을 하는 아랍계 유목민"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사하라 사막의 대서양 연안에서부터 서부 사막, 시나이반도, 네게브 사막, 아라비아 사막에 이르는 광범위한 사막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때로는 아랍계가 아닌 민족, 특히 홍해의 아프리카 연안에 사는 베자족을 지칭할 때 베두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누웨이바(Nuweiba), 이집트의 베두인 소녀 (2015)


베두인 사회의 특징적인 충성심 구조는 "나는 내 형제를 거스르고, 나와 내 형제는 사촌을 거스르며, 나와 내 사촌은 낯선 자를 거스른다"[24] (때로는 "나와 내 형제는 사촌을 거스르고, 나와 내 사촌은 낯선 자를 거스른다"[25])라는 속담에 잘 나타나 있다. 이는 개인과 가장 가까운 남성 혈족 중심의 핵가족에서 시작하여 점차 확장되어, 이론적으로는 전체 유전적 또는 언어적 집단까지 이어지는 충성심의 위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는 분쟁 해결, 이익 추구, 질서 유지의 기반이 되며, 자조(自助)와 집단 책임의 원칙에 따라 운영된다 (앤더슨 14). 베두인의 기본 가족 단위는 '텐트' 또는 bayt|바이트ar라 불리며, 전통적으로 부부, 형제자매 또는 부모 등 서너 명의 성인과 여러 명의 자녀로 구성된다.[26]

베두인의 정신은 용기, 환대, 가족에 대한 충성심, 조상에 대한 자부심으로 요약될 수 있다. 베두인 부족들은 정부나 제국 같은 중앙 권력의 통제를 받지 않았으며, 부족장에 의해 이끌어졌다. 일부 부족장들은 상인들이 부족 영토를 통해 무역을 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오아시스에서 권력을 행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베두인 부족의 결속력은 부족장 개인의 권위보다는 공통의 조상을 가졌다는 유대감에 더 크게 의존했다.[27]

베두인 사회는 전통적으로 강한 명예 규범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전통적인 사법 체계 역시 이러한 명예 규범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특히 불의 시련의 일종인 `bisha'a`는 거짓말 탐지를 위한 베두인의 독특한 관습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베두인족의 명예 규범, 베두인족의 사법 제도)

4. 전통

1898년에서 1914년 사이에 촬영된 베두인 전사


베두인(بَدَوِي|바다위ara, Badawi)은 "بادية|바디야ara (bādiya, 도시가 아닌 곳)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حضريّ|하다리ara (ḥadarī)', 즉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라 불리는 정주민과 대비되는 개념이지만, 베두인과 하다리는 서로 공생하며 의존하는 관계를 맺기도 했다. 예를 들어 베두인이 도시를 방어하거나 하다리가 소유한 가축을 대신 길러주고, 반대로 하다리가 베두인 소유의 토지를 관리하거나 농작물을 판매해주는 경우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베두인은 "주로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낙타을 방목하고 매매하며, 운송 및 기타 일에 종사하는 아랍계 유목민"으로 정의된다. 이들은 사하라 사막의 대서양 연안부터 서부 사막, 시나이반도, 네게브 사막, 아라비아 사막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사막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때로는 홍해 연안의 베자족처럼 아랍계가 아닌 민족을 포함하여 베두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아라비아 반도 남쪽 농경지대의 인구 과잉으로 인해 일부 농민들이 경작이 어려운 북쪽 땅으로 가축을 몰고 이동하면서 베두인이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히브리어에서 "아랍"이라는 단어가 베두인을 의미하는 말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으며, 실제로 많은 비문과 사료에서 베두인이 예로부터 아랍이라 불렸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코란에 등장하는 "아랍" 역시 베두인을 지칭하며, 코란은 베두인의 언어를 표준 언어로 삼는다고 기록하고 있어, 베두인의 언어가 가장 순수한 아랍어라는 학설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이슬람 이전의 아랍 사회는 베두인 사회의 특징을 반영하여 혈연관계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수많은 소규모 부족으로 나뉘어 분쟁이 잦았다. 이슬람은 이러한 부족주의를 넘어 유일신 알라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를 지향했으며, 예언자 무함마드는 베두인의 전통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는 상업 도시 메카에서 탄생한 이슬람이 사막 유목민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반면, 이슬람의 금욕주의, 용맹함, 연대 의식과 같은 가치관은 무함마드 이전부터 베두인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졌던 덕목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보기도 한다.

베두인이라는 명칭에는 도시 문명을 모르는 이들이라는 경멸적 시선과, 전통을 지키며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민족이라는 존경의 의미가 함께 담겨 있다. 14세기 역사가 이븐 칼둔은 그의 저서 『무카디마』에서 베두인의 생활과 성격을 분석하며 "시골이나 사막의 생활 방식은 도시에 앞서며 문명의 근원이다"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베두인 사회는 전통적으로 여러 부족으로 나뉘며, 이 부족들은 다시 여러 단계로 조직된다. "나는 나의 형제를 위해, 나와 나의 형제는 나의 사촌을 위해, 나와 나의 형제와 나의 사촌은 세상을 위해"라는 베두인의 격언은 이러한 공동체 의식을 잘 보여준다.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하나의 텐트(bayt)에 거주하는 가족으로, 보통 부부와 그 형제 또는 부모, 그리고 여러 자녀로 구성된다. 이들은 물과 목초지를 찾아 이동하는 반유목 생활을 했다.

물과 식물이 풍부한 곳에서는 여러 텐트가 모여 '부대'를 이루어 함께 이동했다. 이 그룹은 혈연이나 혼인 관계로 맺어지기도 하고, 단순히 아는 사이거나 같은 부족이라는 점 외에는 명확한 관계가 없는 경우도 있었다. 그 다음 단계는 '이븐 암'(ibn amm)이라 불리는 3대에서 5대 사이의 혈족 집단이다. 이들은 종종 '굼'(goums)이라는 협력 집단을 형성하여 경제 활동을 함께 하거나 어려움에 처했을 때 서로 돕는 위기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러한 혈족 관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구성원을 받아들이면서 계보를 조정하는 유연성을 지녔다.

가장 큰 사회 단위는 한 명의 샤이흐(Sheikh, 장로 또는 족장)가 이끄는 부족 전체이다. 부족은 공통의 조상을 가진 혈족 집단임을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새로운 집단이 합류하면 그에 맞춰 계보를 재구성하기도 한다. 부족은 베두인 사회 내부의 문제를 해결하고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조율하는 중요한 단위 역할을 한다.

4. 1. 목축

땅에 놓은 베틀을 이용하여 천막을 만들기 위한 천 조각을 짜는 모습. 팔레스타인, 1900년경


염소, , 드로메더리 낙타를 중심으로 한 가축 목축은 베두인의 전통적인 생계 수단이었다. 이 가축들은 고기, 유제품, 양모를 제공했으며, 특히 유제품은 베두인 식단의 주요 부분을 차지하였다.[28]

특히 낙타는 베두인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기능적 용도로 사용되었다. "하나님의 선물"로 여겨진 낙타는 주요 식량원이자 사막에서의 중요한 교통 수단이었다.[29] 혹독한 사막 환경에서도 뛰어난 젖 생산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때때로 고기를 얻기 위해 도축되기도 하였다.[30] 또한, 결혼식이나 종교 축제와 같은 특별한 행사에서는 낙타 경주가 열리는 문화적 전통도 있었다.[31]

베두인의 목축 방식은 거주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 건조한 지역: 강우량이 매우 불규칙하여 초지의 가용성에 따라 이동식 캠프를 옮기며 생활한다.[32]
  • 남쪽 지역: 겨울철 강우량이 비교적 예측 가능하여, 이동 경로를 따라 곡물을 재배하여 겨울 동안 가축에게 필요한 자원을 확보한다.[32]
  • 강우량이 더 예측 가능한 지역 (예: 서아프리카): 전이 목축을 실천한다. 이들은 비가 더 많이 내리는 계곡의 영구적인 집 근처에 농작물을 재배하고, 계절에 따라 가축을 고지대 목초지로 이동시킨다.[32]


이러한 유목 생활은 베두인의 식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양젖을 이용하여 페타 치즈나 라반(마시는 요구르트)을 만들고, 양고기를 이용한 자르브와 같은 전통 요리가 발달하였다.[132]

4. 2. 구전 시가

구전 시가는 베두인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예술 형식이다. 부족에 시인이 있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높이 평가받았다. 예술의 한 형태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도 시는 정보 전달과 사회 통제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다.[33] 베두인 시가, 나바티 시(Nabati poetry)로도 알려져 있는 이 시는 종종 아랍어 방언으로 낭송된다. 반면, 보다 일반적인 아랍 시 형태는 종종 현대 표준 아랍어로 쓰여진다.

4. 3. 약탈 (가즈와, Ghazw)

베두인 부족들의 다른 부족, 대상, 혹은 정착지에 대한 전통적인 약탈 행위는 아랍어로 ''가즈와''(ghazw|가즈와ara)로 알려져 있다.[34]

5. 현대 베두인

1950년대 이후 베두인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전통적인 유목 생활은 점차 줄어들고 중동의 도시 지역에 정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이는 유목 범위 축소, 인구 증가, 시리아의 가뭄과 같은 환경 변화, 이집트 등 각국 정부의 정착 정책, 리비아페르시아만의 석유 생산, 팔레스타인 문제를 포함한 정치적 불안정, 생활 수준 향상에 대한 기대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정부는 교육, 보건, 법률 등 공공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착을 유도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오늘날 많은 베두인들은 유목민보다는 각 국가의 정착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5. 1. 각국의 베두인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많은 베두인들은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점차 포기하고 중동의 도시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는 유목 가능한 범위가 줄어들고 인구가 증가한 것이 주요 배경이 되었다. 예를 들어, 시리아에서는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이어진 심각한 가뭄으로 많은 베두인들이 기존의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이집트 정부의 정책, 리비아페르시아만 지역의 석유 생산, 사해 주변 국경 설정과 팔레스타인 문제와 같은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더 나은 생활 수준에 대한 열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베두인들의 정착을 가속화했다. 각국 정부는 학교, 보건, 법률 서비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정착 정책을 시행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정착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목민이나 반유목민에게 제공하는 것보다 훨씬 용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전통적인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을 하는 베두인의 정확한 총인구를 파악하기는 어렵다. 많은 베두인들이 정착하여 일반 주민으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베두인은 여러 부족으로 나뉘며, 주요 부족과 전통적인 거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

주요 베두인 부족 및 전통적 거주지
부족명아랍어 표기주요 거주 지역
바니 아티야بني عطية|바니 아티야ara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 (타북)
아나자عنزة|아니자ara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이라크 서부, 시리아 스텝 지역
루왈라رولة|루왈라ara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 (아니자에서 분파)
알-호웨이타트حويطات|알-후와이타트ara요르단 (와디 아라바, 와디 럼)
바니 사흐르بني صخر|바니 사크르ara시리아, 요르단
알 무라آل مرة|알 무라ara사우디아라비아 주변
바니 하지르بني هاجر|바니 하지르ara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 지방
바니 칼리드بني خالد|바니 칼리드ara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자치구, 시리아, 아라비아 반도 동부
샴마르شمّر|샴마르ara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중서부 (두 번째로 큰 부족)
무타이르مطير|무타이르ara나즈드 고원, 해안 지방 (가장 큰 부족, 쿠웨이트에 영향력)
알-아즈만العجمان|알-아즈만ara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 지방
수다이르سدير|수다이르ara나즈드 남부 (사우디아라비아 수다이르 지방)
다와시르الدواسر|알-다와시르ara리야드 남부, 쿠웨이트
수바이'سبيع|수바이ara나즈드 중앙, 쿠웨이트
할브حرب|하르브ara메카 주변 (큰 부족)
주하이나جهينة|주하이나ara메카 주변 ~ 메디나 남부 (큰 부족,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파이살 1세 휘하 참전)


  • 랜캐스터(Lancaster)에 따르면, 1970년대 루왈라 부족의 인구는 25만 명에서 50만 명에 달했다.
  • 이스라엘자치구의 베두인 대부분은 이스라엘 아랍인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5. 1. 1. 사우디아라비아

1964년 리야드의 베두인 남성


오만 와히바 사막(Wahiba Sands)의 베두인 가족


아라비아 반도는 베두인의 주요 발원지 중 하나이다. 이곳의 물과 식량 부족은 베두인이 주변 사막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전승에 따르면, 아라비아 베두인 부족은 크게 두 계통의 후손으로 나뉜다. 하나는 예멘 지역에서 유래한 카흐타니(Qahtanis)로, 아라비아 남서부 산악 지대 출신이며 신화적 조상인 카흐탄(성경의 욕단과 동일시되기도 함)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하나는 아드나니 아랍인(Adnanis) 또는 까이스(Qays)로 알려져 있으며, 아라비아 중북부 출신으로 성경의 이스마엘의 후손인 아드난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61]

사우디아라비아에는 여러 베두인 부족이 거주하며, 주요 부족은 다음과 같다.

사우디아라비아 내 주요 베두인 부족
부족명원어 표기 (가능시)
아나자Anazzah
주하이나Juhaynah
샴마르Shammar
알무라Al Murrah
마흐라Mahra
다와시르Dawasir
하르브Harb
가미드Ghamid
무타이르Mutayr
수바이'Subay'
우타이바’Utayba
바니 칼리드Bani Khalid
카흐탄Qahtan
라샤이다Rashaida
바누 얌Banu Yam



사우디아라비아는 20세기 초부터 베두인의 정주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이는 초기 이크완 운동과 관련이 깊다. 이러한 정책과 현대화의 영향으로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영위하는 베두인의 수는 크게 줄어들었다.

사우디 아람코 CEO 알리 알 나이미(Ali Al-Naimi)에 따르면, 베두인 또는 베두(Bedu)는 50명에서 100명 규모의 가족 및 부족 단위로 아라비아 반도를 이동했다. 여러 가족이 모여 씨족을 이루고, 여러 씨족이 부족을 형성했다. 각 부족은 가축 방목을 위한 특정 영역(디라, dirahs)을 확보했으며, 이 영역 내의 우물 사용권은 해당 부족에게 있었다. 그들은 검은 염소털로 짠 천막인 '바이트 알 샤르'(bayt al-shar)에서 생활했는데, 내부는 남성 공간, 가족 공간, 요리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호푸프와 같은 오아시스에서는 양, 염소, 낙타 및 그 생산물(우유, 양모 등)을 곡물이나 다른 생필품과 교환했다. 알 나이미는 베두인을 관찰한 폴 해리슨(Paul Harrison)의 말을 인용하며 "그들의 인내심에는 한계가 없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62]

1950년대와 1960년대 이후, 유목 가능한 범위가 축소되고 인구가 증가하면서 많은 베두인들이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포기하고 중동의 도시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정부의 정착 정책은 학교, 보건, 법률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정착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목민이나 반유목민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5. 1. 2. 시리아

시리아 베두인, 1893년


시리아 사막은 아랍 베두인 부족의 원래 고향 중 하나였다.[16] 이들은 신아시리아 시대부터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데, 티글랏필레세르 3세는 이들을 아시리아 행정 시스템에 통합된 시리아인들 중 하나로 언급했다.[63] 오늘날 시리아에는 100만 명이 넘는 베두인이 살고 있으며, 주로 양과 염소를 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64] 시리아에서 가장 큰 베두인 부족은 루왈라 부족으로, 아나자 부족 연맹에 속한다. 아니자 부족의 또 다른 주요 분파로는 18세기에 아라비아 반도에서 이주해 온 하사나와 스바아의 두 집단이 있다.[65]

베두인들 사이에서 목축은 1950년대 후반까지 일반적인 생활 방식이었으나, 1958년부터 1961년까지 이어진 심각한 가뭄으로 인해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 가뭄으로 인해 많은 베두인들은 전통적인 목축업을 포기하고 다른 일반적인 직업을 갖게 되었다.[66] 또한, 1958년 시리아 법은 베두인 부족의 법적 지위를 공식적으로 폐지했으며, 집권 바스당 정권은 부족주의를 해체하려고 시도했다. 국가의 성문법(qanun)과 대조되는 관습법('urf)에 대한 선호는, 부족 영토 내에서 정부의 권위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을 피하기 위해 비공식적으로 인정되고 용인되었다.[67] 1982년, 하페즈 알-아사드 정권은 무슬림형제단의 반정부 봉기(1982년 하마 학살 참조) 당시 베두인 부족 지도자들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베두인 족장들이 아사드를 지지하기로 결정하자 정부의 태도는 변화했고, 베두인 지도부가 자신들의 지위와 관습을 유지하면서 국가 개발 사업을 관리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67]

시리아 내전의 결과로 일부 베두인들은 난민이 되어 요르단,[68] 터키, 레바논 및 다른 국가들로 피난했다.

5. 1. 3. 팔레스타인

요르단강 서안의 베두인 부족


팔레스타인 베두인들은 본래 네게브 사막 출신이다.[69] 그러나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당시 많은 이들이 자신들의 땅에서 쫓겨나거나 삶의 터전을 잃었다.[69] 일부 베두인들은 1953년에 네게브에서 추방되어 당시 요르단 영토였던 요르단강 서안으로 이주하기도 했다.[70]

오늘날 요르단강 서안 전체에는 약 4만 명의 베두인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중 2만 7천 명은 이스라엘의 군사 통제하에 있는 C 지역에 살고 있다.[70] 네게브 베두인과는 달리, 요르단강 서안의 베두인들은 이스라엘 시민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70] 특히 동예루살렘 외곽에서는 불법적인 이스라엘 정착촌 확장을 위해 베두인 공동체가 강제로 마을로 이주당하는 피해를 겪고 있다.[70]

베두인들은 가자 지구에도 거주하는데, 움 알 나스르 지역에 약 5,000명이 살고 있다.[71]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하는 베두인의 수는 점차 줄어들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정착 생활을 선택하고 있다.[72] 1950년대 이후 유목 범위의 축소, 인구 증가, 팔레스타인 문제를 포함한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각국 정부의 정착 유도 정책, 생활 수준 향상에 대한 열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정부는 학교, 보건, 법률 서비스 제공의 편의성을 위해 정착 정책을 시행하는 경향이 있다.

5. 1. 4. 이스라엘

네게브 사막의 베두인 유목민 캠프


이스라엘 방위군(IDF) 베두인 병사들


1948년 이스라엘 독립 선언 이전, 네게브 사막에는 약 6만 5천 명에서 9만 명의 베두인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유대 백과사전 (Encyclopedia Judaica)에 따르면 1948년 이후 네게브에는 1만 5천 명의 베두인이 남았다고 하며, 다른 자료에서는 1만 1천 명으로 더 적게 보기도 한다.[73] 이후 인구가 증가하여 1999년에는 네게브에 11만 명, 갈릴리에 5만 명, 이스라엘 중부 지역에 1만 명이 거주했다.[74] 이스라엘에 거주하는 모든 베두인들은 1954년 이스라엘 시민권을 부여받았다.[75]

2020년 기준으로 이스라엘에는 약 21만 명의 베두인이 거주하며, 이 중 네게브에 15만 명, 갈릴리와 예스르엘 골짜기에 5만 명, 이스라엘 중부 지역에 1만 명이 살고 있다.[76]

갈릴리 베두인들은 약 4세기 동안 이스라엘 북부 지역에서 살아왔다. 현재 이들은 북부 지역의 28개 정착지와 다른 비베두인 아랍인들과 함께 사는 혼합 마을에 거주한다.[77]

네게브에 남은 베두인들은 주로 티아하 연합[78]과 '아자즈메, 자할린과 같은 소규모 집단에 속했다. 1948년 이후 일부 네게브 베두인들은 삶의 터전을 잃었는데, 예를 들어 자할린 부족은 1950년대 이전 네게브의 텔 아라드 지역에 거주했으나, 1950년대 초 이스라엘 군정에 의해 강제로 이주당하거나 제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79] 이들은 결국 예루살렘 동쪽의 소위 E1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약 1,600명의 베두인이 이스라엘 방위군(IDF)에서 자원병으로 복무하고 있으며, 상당수가 IDF의 정예 추적 부대에서 활동한다.[80]

베두인 목동들은 1946년 유대 쿰란 동굴에서 고대 유대교 문서인 사해 사본을 최초로 발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후 10년간 종교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972개의 문서가 발견되었는데, 이 중 상당수를 베두인들이 찾아냈다.

이스라엘 정부는 네게브의 베두인 마을을 철거하려는 시도를 계속해왔다. 한편으로는 1967년부터 1989년 사이에 네게브 북동부에 7개의 합법적인 도시를 건설했는데, 텔 아스-사비(텔 세바)가 첫 번째 도시였다. 이 중 가장 큰 도시인 라하트는 2013년 12월 기준 인구 5만 8,700명 이상으로[81] 세계에서 가장 큰 베두인 정착지이다. 후라 역시 정부가 건설한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이스라엘 토지청(2007)에 따르면 네게브 베두인의 약 60%가 이러한 도시 지역에 거주한다.[82]

네게브 베두인 남성


나머지 약 40%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소위 미승인 마을에 거주한다. 이들 마을 중 일부는 이스라엘 국가 수립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이스라엘 정부는 이들이 군사 사격장, 자연 보호 구역, 매립지 등 부적합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는 이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83] 2003년 이스라엘 정부는 여러 미승인 베두인 정착지를 통합하는 새로운 지역 의회인 아부 바스마 지역 의회를 구성하는 "아부 바스마 계획"(결의안 881)을 채택했다.[84] 이 계획은 네게브에 7개의 새로운 베두인 정착지를 설립할 필요성도 언급했는데,[85] 이는 미승인 정착지의 공식적인 인정을 의미하며 지방 자치 단체 지위와 기본 서비스 및 인프라 제공을 목표로 했다. 이 의회는 2004년 1월 28일 내무부에 의해 설립되었다.[86]

이스라엘은 현재 네게브에 약 13개의 도시를 건설하거나 확장하고 있다. 이들 도시에는 학교, 의료 시설, 우체국 등 기반 시설과 전기, 수도,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갖춰질 예정이다. 실업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로운 산업 단지도 계획 중이며, 라하트 교외의 이단 하네게브와 같이 일부는 이미 건설 중이다.[87] 이곳에는 병원과 새로운 대학 캠퍼스도 들어설 예정이다.[88] 이스라엘의 베두인들은 국가로부터 무료 교육과 의료 서비스를 받는다. 또한 아동 수당을 받는데, 일각에서는 이것이 베두인의 높은 출산율(연 5%)에 기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89]

그러나 2011년 9월 이스라엘 정부는 프라워 계획이라는 5개년 경제 개발 계획을 승인했다.[90] 이 계획에는 정부가 인정하지 않는 지역에 거주하는 약 3만~4만 명의 네게브 베두인을 정부가 승인한 도시로 강제 이주시키는 내용이 포함되어 논란이 되었다.[91][92] 2012년 유럽 의회는 프라워 계획 철회와 베두인의 권리 존중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93]

2014년 9월에는 베두인 재정착 계획 관련 정부 위원회 위원장인 야이르 샤미르가 정부가 베두인 공동체의 삶의 질 개선을 명목으로 출산율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비판을 받았다. 샤미르는 개입이 없다면 베두인 인구가 2035년까지 50만 명을 넘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94][95]

2015년 5월에는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OCHA)과 팔레스타인 난민 구호 기구(UNRWA)가 공동으로, 이스라엘이 서안 지구에 거주하는 베두인 공동체를 예루살렘 외부 토지로 이주시키려는 계획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7천 명이 넘는 베두인의 "강제 이주"가 "그들의 문화와 생계를 파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96]

5. 1. 5. 요르단

1904년 마다바의 베두인 기독교 가족. 요르단 기독교인 상당수가 베두인족이다.


요르단 와디 럼(Wadi Rum)에서 모닥불을 피우는 젊은 베두인


대부분의 베두인 부족은 14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아라비아 반도에서 오늘날의 요르단으로 이주했다.[97] 이들은 종종 왕국의 중추로 여겨지는데,[98][99] 전통적으로 왕실을 지지해왔기 때문이다.[100]

요르단 베두인 대부분은 사막 고속도로 동쪽으로 펼쳐진 광활한 황무지에 살고 있다.[101] 동부 베두인은 주로 낙타를 사육하고 목축하는 반면, 서부 베두인은 양과 염소를 키운다. 일부 베두인들은 반유목 생활을 하는데, 연중 일부는 유목 생활을 하지만 농사를 짓기 위해 정해진 시기에 땅과 집으로 돌아온다.

요르단의 주요 베두인 부족과 거주 지역은 다음과 같다.

요르단의 주요 베두인 부족 및 거주 지역
부족주요 거주 지역
바니 하산 (Bani Hasan)마프라크, 자르카, 자라쉬, 아질룬, 암만 일부
바니 사케르 (Bani Ṣakher)암만, 마다바
바누 라이쓰 (Banu Laith)페트라
바누 알-후와이타트 (Banū al-Ḥuwayṭāt)와디 럼
알-시르한 (al-Sirḥān)소규모 집단
바누 칼리드 (Banū Khālid)소규모 집단
하와짐 (Hawazim)소규모 집단
아티야 (ʿAṭiyyah)소규모 집단
샤라파트 (Sharafāt)소규모 집단
리야스나 (Liyathnah)와디 무사, 페트라
베둘(Bedul)와디 무사, 페트라 (유대인 또는 나바테아인 혈통 추정[103][104][105])



이 외에도 시리아에서 사우디아라비아로 매년 이동하는 루왈라(Rwala) 부족은 토착 부족이 아니며 요르단을 통과한다.[102]

요르단 정부는 베두인들에게 교육, 주택, 보건소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베두인들은 이러한 편의를 포기하고 전통적인 유목 생활 방식을 선호하기도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베두인들은 지배 군주인 압둘라 2세(Abdullah II of Jordan)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2007년 8월, 약 200명의 베두인들이 암만아카바 항구 사이의 주요 고속도로를 봉쇄하며 경찰과 충돌했다. 이들은 가축 사료 가격 급등에 대한 정부 지원 부족과 난민에 대한 정부 지원에 불만을 나타냈다.[98]

2011년 아랍의 봄 당시 요르단에서도 시위가 발생했으며, 베두인들도 여기에 참여했다. 그러나 하시미트 왕가(Hashemites)에 대한 높은 존중심과 요르단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간의 이해관계 상충 등으로 인해 다른 아랍 국가들과 같은 수준의 혼란은 겪지 않았다. 압둘라 2세 국왕은 정부 장관들을 수시로 교체하며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불만을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다.[106]

5. 1. 6. 마그레브

모로코 메르주가 근처 베두인족


알제리 마스카라의 지휘관이자 아미르, 바누 힐랄


1950년대 리비아의 천막과 함께 있는 베두인족 무리


7세기 이후 수 세기에 걸쳐 마그레브 지역으로 아랍인들이 지속해서 이주했다. 7세기부터 10세기까지 초기 이주는 주로 정착 생활을 하는 아랍인들이 도시, 마을, 주변 농촌 지역에 공동체를 형성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이어진 이주에서는 상당수의 유목 베두인 부족이 마그레브 지역으로 유입되었다.[107]

특히 11세기는 이전의 모든 이동을 능가하는 가장 중요한 아랍인 이주가 일어난 시기였다. 이 사건은 이프리키야(현재의 튀니지 지역)를 다스리던 지리드 왕조가 이집트파티마 칼리파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파티마 왕조는 대규모 베두인 아랍 부족, 특히 아라비아반도 중부와 북부의 헤자즈와 나즈드 출신인[107] 바누 힐랄과 바누 수라임 부족을 보내 지리드 왕조를 공격하고 마그레브에 정착하도록 했다.[108][107] 이후 남아라비아에 뿌리를 둔 마킬 부족 등 다른 아랍 부족들도 이 흐름에 합류했다.[107]

파티마 칼리프는 이들의 이주를 독려하기 위해 각 부족원에게 낙타와 돈을 제공하고 나일강을 건너도록 도왔다. 당시 이집트의 심각한 가뭄 또한 이들 부족이 경제적으로 더 나은 마그레브로 이주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파티마 칼리프는 베두인 부족에게 지리드 왕조의 에미르 알무이즈 이븐 바디스 대신 마그레브를 통치하라고 지시하며 격려했다.[110]

이븐 칼둔에 따르면, 이들 베두인 부족은 아내, 자녀, 가축을 모두 데리고 이주했다. 그들은 하이다란 전투 등에서 베르베르족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인 끝에 마그레브에 정착했다. 이들의 유입은 마그레브 지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아랍 문화가 널리 퍼지고, 기존의 농업 중심 사회에 유목 생활 방식이 확산되었다.[108] 특히 시골과 초원, 사하라 사막 인근 남부 지역까지 베두인 아랍어가 퍼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09] 또한 이들은 베르베르족의 지리드 왕조와 그 도시 대부분을 파괴했으며, 마디아의 지중해 연안 지대만 남겨두었고, 인접한 함마디드 왕조와 제나타 연맹 세력도 크게 약화시켰다. 이븐 칼둔은 이들의 침입으로 황폐해진 땅이 사막화되어 건조한 사막으로 변했다고 기록했다. 바누 힐랄 부족의 여정은 구전 서사시인 《시랏 바니 힐랄》에 담겨 전해진다.[108] 이들의 대규모 이주는 마그레브의 언어, 문화, 유전적 구성, 민족 정체성이 아랍화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108]

베르베르족 군대는 카이루완의 성벽을 지키려 했지만 패배했다.[111] 지리드 왕조는 해안으로 피신하여 1세기 동안 생존했다. 이프리키야에서 바누 힐랄과 바누 수라임의 확산은 알제리 콘스탄틴의 고원 지대에서 일어났고, 그들은 수십 년 전 카이루완을 했던 것처럼 점차 칼라 드 베니 함마드를 압박했다. 거기서부터 그들은 점차 알제오랑 평원의 상류 지역을 얻었고, 일부는 12세기 후반 마라케시의 알모하드 칼리파국 칼리프에 의해 뮬루야 계곡과 두칼라 평원으로 옮겨졌다.[111] 이븐 칼둔, 무슬림 역사가는 "메뚜기떼와 같이 그들은 지나가는 모든 것을 파괴한다."고 썼다.[111] 아랍 유목민들이 확산됨에 따라 현지 베르베르 부족의 영토는 이동하고 축소되었다. 제나타는 서쪽으로, 카빌족은 북쪽으로 밀려났다. 베르베르족은 산으로 피신했고 평원은 아랍화되었다.[112] 12세기에 바누 힐랄이, 그 뒤를 이어 바누 수라임이 도착하면서 유목민과 정착민 사이의 균형이 유목민에게 유리하게 깨졌다. 전략적인 이유로 알모하드 칼리파국은 서쪽 마그레브의 대서양 평원을 그들에게 넘겨주었다.[113]

11세기에만 마그레브로 이주한 아랍 유목민의 총 수는 약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110]

마킬 부족도 11세기 아라비아 부족 이민의 물결 동안 마그레브에 들어왔다. 그들은 나중에 바누 힐랄과 동맹을 맺고 그들의 보호하에 들어왔다.[114] 그들은 마그레브의 사막 기후 조건에 적응하여 아라비아 반도와 같은 삶의 방식을 발견했다.[115] 13세기에 그들은 알제리 남부를 점령하고 투아트와 구라라의 오아시스를 지배했다. 일부 저자들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마킬 집단은 이미 마그레브의 여러 인구로 분열되어 다른 관련 집단과 함께 베니 하산을 탄생시켰다.[116] 베니 하산은 남서쪽으로 확장하여 베르베르 연합을 침략하고 패배시킨 후 13세기에 산하자의 땅을 점령했다.[116] 산하자는 오랫동안 유목 베두인 하사니 침략자들에게 조공을 바쳐야 했다.[116] 이것은 1644년부터 1674년까지 현대 서사하라모리타니에서 일어난 샤르 부바 전쟁 동안 발생했는데, 수십 년간의 충돌 끝에 원주민 베르베르 인구를 완전히 아랍화하고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파괴하여 현대 사하라위족을 탄생시켰다.[117][118][119] 해리 노리스(Harry Norris)는 "무어 사하라(Moorish Sahara)는 아랍 세계의 서쪽 끝이다. 확실히 서쪽이지만, 아일랜드보다 더 서쪽에 있는 일부 지역도 있지만, 삶의 방식, 문화, 문학, 그리고 많은 사회 관습에서 아랍 동부의 중심지, 특히 헤자즈와 나즈드, 그리고 예멘의 일부 지역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120]

이 베두인 부족들은 여러 현대 하위 부족으로 나타났다. 알제리에서 가장 잘 알려진 베두인 부족에는 주로 알제리 사막에 사는 아울라드 시디 셰이크(Awlad Sidi Shaykh), 울레드 나일, 샤암바(Chaamba), 두이-메니아(Doui-Menia), 함얀(Hamyan)이 포함된다.[121]

마그레브 베두인 방언, 종종 힐랄 방언이라고 불리는 방언은 모로코 대서양 연안, 알제리 고원과 사하라 지역, 튀니지 사헬 지역, 트리폴리타니아 지역에서 사용된다. 베두인 방언에는 네 가지 주요 변종이 있다.[122][123]

마그레브 베두인 방언 (힐랄 방언) 분류[122][123]
방언 분류주요 사용 지역
수라임 방언(Sulaym dialects)리비아, 튀니지 남부
동부 힐랄 방언(Eastern Hilal dialects)튀니지 중부, 알제리 동부
중부 힐랄 방언(Central Hilal dialects)알제리 남부 및 중부 (특히 사하라 국경 지역)
서부 힐랄 방언(Western Hilal dialects)모로코 서부 대서양 평원
마킬 방언(Maqil dialects)알제리 서부, 모로코



모로코에서는 베두인 아랍 방언이 평야와 카사블랑카와 같은 최근에 설립된 도시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도시 아랍 방언은 베두인 방언과 '말하다'(gal 'to say' (qala))를 공유하며, 오랑알제와 같은 현대 도시 방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107]

5. 1. 7. 이집트

이집트에서 빵을 굽는 베두인족


이집트의 베두인족은 주로 시나이 반도, 마트루 주, 홍해 주, 샤르키아 주 동부, 수에즈, 이스마일리아, 그리고 수도 카이로 교외 지역에 거주한다.[124] 샤름엘셰이크와 같은 홍해 연안 휴양 도시 개발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전통적인 베두인 문화는 변화를 겪고 있다. 도시화와 교육 기회 확대로 인해 부족 외부와의 결혼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이는 과거에는 부정적으로 여겨졌던 관습이다.[124]

시나이 반도의 베두인들은 낮은 임금 때문에 지역 건설 호황의 혜택을 크게 누리지 못했으며, 건설 현장에는 주로 수단과 다른 이집트 지역 노동자들이 투입되었다. 관광 산업이 성장하면서 현지 베두인들은 택시 운전사, 관광 가이드, 야영장 및 커피숍 운영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집트-이스라엘 국경 지대에 거주하는 타라빈 부족 등 일부 베두인들은 마약, 무기 밀수, 인신매매, 아프리카 노동자 밀입국 등 국경을 넘나드는 불법 활동에 연루되기도 했다.[124]

중동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집트에서도 베두인들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 없이 사용권만 가지는 경우가 많다.[125] 특히 1980년대 중반 이후, 정부가 해안가의 매력적인 토지를 호텔 개발업자들에게 매각하면서 기존에 이 지역에 거주하던 베두인들은 상당수 토지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다. 이집트 정부는 해당 토지를 베두인 부족의 소유가 아닌 국가 재산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1999년 여름에는 이집트군이 누웨이바 북쪽에 위치한 베두인 운영 관광 야영장들을 불도저로 철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관광 개발 기구(TDA)가 주도하는 호텔 개발의 마지막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당시 TDA 국장은 베두인들이 1982년 이전에는 해안가에 살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그들의 토지 권리를 인정하지 않았다. 전통적으로 반유목 생활을 해온 베두인 문화는 이러한 정부의 주장에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126]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시나이 베두인들은 이전보다 더 많은 자유를 누리게 되었지만, 일부가 가자 지구로의 마약 밀수에 연루되면서 이집트군과의 갈등도 발생했다. 이집트군은 밀수 통로로 사용된 120개 이상의 터널을 파괴하며 베두인들에게 군 및 정부와의 협력을 압박했다. 결국 협상을 통해 군사 작전은 중단되었고, 베두인과 이집트 당국 간의 새로운 합의가 이루어졌다.[127]

1950년대와 1960년대 이후 유목 범위 축소와 인구 증가로 인해 많은 베두인들은 전통적인 유목 생활을 포기하고 중동의 도시 지역에 정착하게 되었다. 이집트 정부의 정책, 리비아와 페르시아만 지역의 석유 생산, 국경 설정 및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더 나은 생활 수준에 대한 열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부분의 베두인들은 이제 유목민이라기보다는 각 국가에 정착한 시민으로 살아가고 있다. 정부의 정착 정책은 주로 학교, 보건, 법률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데, 이는 정착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반유목민에게 제공하는 것보다 용이하기 때문이다.

6. 베두인 부족 목록

1908년 베두인 부족 분포 지도


베두인 목동, 시리아 사막


말을 탄 베두인들, 1950년대


1970년대 사우디아라비아의 베두인 캠프


베두인 부족은 여러 개가 존재하지만, 상당수의 베두인이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 방식을 포기하고 정착 생활을 하게 되면서 전체 인구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아래는 주요 베두인 부족과 그들의 역사적 거주지에 대한 목록이다.

베두인 부족 목록
부족 이름주요 거주지 및 특징
우타이바(Otaibah)나즈드(Najd)와 헤자즈(Hejaz)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등 아라비아 반도)
하르브 (حربara)아라비아 반도, 메카 주변에 거주하는 대규모 부족.
Beni Sakher) (بني صخرara)요르단,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요르단에서는 알-파예즈(Al-Fayez), 알-자벤, 알 헤게이쉬, 알-즈부르, 알-크레이셰 등의 가문이 부족을 대표하며, 하시미트 이후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다. 알-므테이라트, 알-하메드, 알-바다린, 알-오스만 등 소규모 가문도 존재한다.
바누 힐랄(Banu Hilal)사우디아라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나즈드(Najd)에서 기원했으나, 11세기 타그리바트 바니 힐랄(Taghribat Bani Hilal) 사건으로 북아프리카로 이주했다.[128]
바누 술라임(Banu Sulaym)리비아, 튀니지, 알제리, 모로코, 시리아.[128][129]
아니자(Anizzah) (عنزةara)일부 씨족은 베두인.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이라크 서부, 걸프 국가, 시리아 대초원, 베카. 루왈라(Ruwalla) (رولةara)는 아니자에서 갈라져 나온 큰 부족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요르단, 시리아, 이라크에 걸쳐 거주하며 1970년대 추산 인구는 25만~50만 명이다.
아자지마(Azazima)네게브 사막 (이스라엘), 이집트.
Beni Hamida)요르단 사해 동쪽.
바누 야무(Banu Yam)사우디아라비아 나즈란 주(Najran Province)와 이라크가 중심지이며, 베두인과 도시민으로 나뉜다.
알 부 샤미스 (Al Bu Shamis)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Nuaim)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발루쉬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바니 키타브(Bani Qitab)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바니 카브(Bani Kaab)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카와티르(Khawatir)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가팔라 (Ghafalah)오만 술탄국 부라이미,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알아인.[130]
둘라임(Dulaim)이라크 서부 알 안바르의 매우 크고 강력한 부족.
알-아마드 (al-Amad)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팔레스타인, 아랍에미리트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는 작지만 저명한 부족. 사마리아인(Samaritans) 혈통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31]
알-아바디 (al-Abadi)주로 요르단에 거주하며, 군대와 국가 기관에서 영향력 있는 직책을 맡고 있다.
알-두와시르(al-Duwasir) (الدواسرara)사우디아라비아 중부 (와디 알-다와시르(Wadi Al-Dawasir)), 동부 주, 바레인, 쿠웨이트, 카타르. 리야드 남부에도 거주한다.
가미드(Ghamid)사우디아라비아 알-바하 주 출신의 대규모 부족. 대부분 정착 생활을 하지만, 바디야트 가미드로 알려진 소규모 베두인 집단도 있다.
알-하디드 (al-Hadid)이라크, 시리아, 요르단에서 발견되는 대규모 베두인 부족. 현재는 하디사, 홈스, 하마, 암만과 같은 도시에 대부분 정착해 있다.
호웨이타트(Howeitat) (الحويطاتara)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이집트 동부에서 가장 큰 부족 중 하나. 고대 북아라비아 부족인 Judham)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요르단의 와디 아라바(Wadi Araba)와 와디 럼(Wadi Rum)에도 거주한다.
카탄(Qahtan)아라비아 반도에서 가장 큰 부족 중 하나. 이 부족의 베두인들은 나즈드(Najd) 남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까지 뻗어 있는 광대한 지역을 이동하며 살았다.
알-다피르 (Al-Dhafeer)사우디아라비아 북동부, 이라크 남부, 쿠웨이트.
무타이르(Mutayr) (مطيرara)베두인 중 가장 큰 부족으로 알려져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중부 및 동부, 나즈드(Najd) 고원에 주로 거주하며, 해안 지방에도 작은 가족 집단들이 분포한다. 쿠웨이트의 통치 가문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쿠웨이트에서 금전, 권력, 존경의 측면에서 가장 강력한 부족으로 여겨진다.
바니 칼리드(Bani Khalid) (بني خالدara)일부 씨족은 베두인이다.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쿠웨이트, 카타르, 요르단, 이집트, 시리아에 거주한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구에도 거주하는데, 이 지역의 베두인 대부분은 이스라엘 아랍인으로 인식된다.
알 무라(Al Murrah) (آل مرةara)아라비아 반도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부족 중 하나로, 사우디아라비아 남동부, 카타르, 아랍에미리트를 아우르는 지역에 거주한다. 역사적으로 빈 쿼터 사막을 이동하며 살았다.
Ajman) (العجمانara)사우디아라비아 동부, 해안 지방에 거주한다.
알-마와시 (al-Mawasi)가자 지구 중부 해안 지역에 거주하는 집단.
Ma'qil)예멘 출신의 베두인 부족으로, 모로코, 서사하라, 모리타니, 알제리 서부에 위치한다.
무지에나이집트 시나이 반도 남부의 다합(Dahab)과 그 주변 지역에 거주한다.
샤흐란(Shahran) (알-아리드하)사우디아라비아의 비샤, 카미스 무샤이트, 아브하 사이 지역에 거주하는 매우 큰 부족. 알-아리드하는 넓은 지역을 차지한다는 의미에서 샤흐란 부족을 가리키는 유명한 이름이다.
샴마르(Shammar) (شمّرara)매우 크고 영향력 있는 부족으로, 두 번째로 큰 베두인 부족으로 알려져 있다.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북부, 시리아, 요르단에 거주한다. 고대 나즈드(Najd)의 타이(Tayy) 부족의 후손이다.
수바이(Subay')( سبيعara)일부 씨족은 베두인이며, 나즈드(Najd) 지역 최남단과 쿠웨이트에 거주한다.
Tarabin)이집트 (시나이)와 이스라엘 (네게브(Negev))에서 가장 큰 부족 중 하나이다.
투바-잔가리예(Tuba-Zangariyye)이스라엘 동갈릴리(Galilee)의 요르단 강 절벽 근처에 거주한다.
알 와히바 (Al Wahiba)오만의 샤르키야 사막(Sharqiya Sands)(와히바 사막)에 거주하는 대규모 부족.
알 라샤이다원래 헤자즈(Hejaz)의 부족이었으나, 상당수가 에리트레아수단 동부로 이주했다. 다른 부족의 베두인들도 함께 이주했지만, 이 이름이 그들을 통칭하게 되었다.
바니 아티야 (Bani Atiyah, بني عطيةara)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 타북 행정구에 거주한다.
바니 하지르 (Bani Hajir, بني هاجرara)사우디아라비아와 동부 해안 지방에 거주한다.
수다이르 (Sudayr, سديرara)나즈드(Najd) 남부, 사우디아라비아 수다이르 지방 주변에 거주한다.
주하이나 (Juhayna, جهينةara)메카 주변에서 메디나 남부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대규모 부족.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많은 전사들이 파이살 1세 휘하의 외국 용병으로 참전했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edoui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2-23
[2] 웹사이트 Algeria ! Flag, Capital, Population, Map, & Languag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07
[3] 뉴스 Iraqi Census To Focus On Bedouin https://www.rferl.or[...] 2010-05-14
[4] 웹사이트 Bedouin Census in Iraq (2011) https://web.archive.[...]
[5] 서적 Atlas of Modern Iraq Ahmed Sousa 1953
[6] 웹사이트 Meet the Bedouins: Jordan's desert-dwelling nomads https://www.sbs.com.[...] 2022-10-07
[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edouin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10-30
[8] 웹사이트 The Sahel Bedouin of Tunisia https://www.prayway.[...] 2022-10-07
[9] 웹사이트 Tunisia ! History, Map, Flag, Population,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10-07
[10] 학술지 Syria's Bedouin enter the fray: how tribes could keep Syria together https://www.rsc.ox.a[...] 2013
[11] 웹사이트 Bedouins in Oman https://www.canvascl[...] 2022-10-09
[12] 학술지 BLOWING OFF THE DUST: TOWARDS SALVAGING THE FORGOTTEN MEHRI TONGUE IN SAUDI ARABIA https://www.research[...] 2022-10-13
[13] 웹사이트 Bedouins of the Empty Quarter https://mattreichel.[...]
[14] 서적 The Bedouins and the Desert: Aspects of Nomadic Life in the Arab East SUNY Press
[15] 서적 Die Beduinen in Südarabien Verlag Ferdinand Berger & Söhne
[16] 학술지 Al-Jallad. A Manual of the Historical Grammar of Arabic. https://www.academia[...] 2020
[17] 서적 Culturally Responsiv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ssessment, Practice, and Supervision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6
[18] 백과사전 Bedouin Brill
[19] 서적 Liby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15-10-19
[20] 웹사이트 Christian Arab Bedouin woman wearing embroidered coat https://www.loc.gov/[...] 2019-07-22
[21] 웹사이트 Al Twal Family Story http://www.mariamhot[...]
[22] 웹사이트 Bedouin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3] 웹사이트 English: Jordanian Bedouin Christians 1904 2 https://commons.wiki[...] 1904-01-01
[24] 서적 The Nomadic alternative: Modes and models of interaction in the African-Asian deserts and steppes Moulton 2016-11-23
[25] 서적 Women, Water and Memory: Recasting Lives in Palestine https://books.google[...] Brill 2016-11-23
[26] 서적 Architecture of First Societies: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iley 2014-05-27
[27] 서적 A History of the Arab Peoples Faber and Faber 2013
[28] 웹사이트 Rapid lifestyle, diet and health changes among urban Bedouin Arabs of southern Israel http://www.fao.org/d[...] 2015-07-31
[29] 웹사이트 The Camel From Tradition to Modern Times http://unesdoc.unesc[...] UNESCO 2015-07-31
[30] 문서 The Camel From Tradition to Modern Times
[31] 문서 The Camel From Tradition to Modern Times
[32] 서적 Culture Summary: Bedouin https://ehrafworldcu[...] Human Relations Area Files 2009
[33] 서적 Encyclopedia of Arabic Liter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4] 서적 Near Eastern Tribal Societie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Economy, Society and Politics Between Tent and Tow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5] 서적 World History: Our Human Story Sheridan Kentucky 2021-05
[36] 웹사이트 Hidden History, Secret Present: The Origins and Status of African Palestinians http://members.tripo[...]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37] 서적 Travels in Asia and Africa. 1325–1354 Low Price Publications
[38] 서적 Modern Arabic: Structures, Functions and Varieties https://archive.org/[...]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4-01-01
[39] 서적 Palestine in the 18th century: Patterns of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Magnes Press 1973-01-01
[40] 서적 A Bedouin Century: Education and Development Among the Negev Tribes in the 20th Century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1-01-01
[41] 서적 Damascus: A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42] 서적 Al-Damurdashi's Chronicle of Egypt, 1688–1755 https://books.google[...] BRILL
[43] 서적 Revolt in Palestine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Era of Shaykh Zahir Al-ʻUmar https://books.google[...] Kingston Press
[44] 서적 Land, Labor and the Origins of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1882–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Bedouin Bureaucrats: Mobility and Property in the Ottoman Empir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04-01
[46]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Early Islamic Settlement in Palestin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03-01-01
[47] 학술지 Bedouin Settlement in Late Ottoman and British Mandatory Palestine: Influence on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Landscape, 1870–1948 British Society for Middle East Studies
[48] 학술지 Notes on the Bedouin Tribes of Beersheba District Palestine Exploration Fund 1937-10-01
[49] 학술지 Israel and the Bedouin of the Negev
[50] 서적 Shifts and Drifts in Nomad-Sedentary Relations Dr. Ludwig Reichert Verlag
[51] 서적 Shifts and Drifts in Nomad-Sedentary Relations Dr. Ludwig Reichert Verlag
[52] 웹사이트 Lüleburgaz'da Bir Aşiret Reisi; Salih Abdullah – Trakya Gezi https://www.trakyage[...] 2016-07-01
[53] 서적 Adventures in Arabia George C. Harrap & Co. Ltd
[54] 서적 Syria, Lebanon, and Jordan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11-01-01
[55] 웹사이트 Changes in Migration and Feeding Patterns Among Semi-nomadic pastoralists in Northern Syria http://www.odi.org.u[...]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1993-06-01
[56] 서적 The Bedouin of Cyrenaica: Studies in Personal and Corporate Pow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0-19
[57] 서적 Bedouin, Settlers, and Holiday-makers: Egypt's Changing Northwest Coast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5-10-19
[58] 웹사이트 Bedouin hospitality & the beauty of the White Desert http://nataliepeart.[...] 2015-10-19
[59] 웹사이트 Falconry http://www.sheikhmoh[...] 2015-10-19
[60] 뉴스 Falconry in the desert http://www.chicagotr[...] 2015-10-19
[61] 웹사이트 Bedouins. Origins and history http://www.angelfire[...]
[62] 서적 Out of the Desert Portfolio Penguin 2016-01-01
[63] 학술지 ARABS IN SYRIA: DEMOGRAPHY AND EPIGRAPHY https://www.persee.f[...] 2003-01-01
[64] 웹사이트 The Unreached Peoples Prayer Profiles http://kcm.co.kr/bet[...] 2017-07-20
[65] 웹사이트 Bedouin Syria: 'Anaza groups between empire and nation state, 1800–1960' http://www.orient-in[...]
[66]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of the World: The Bedouin http://intercontinen[...] 2015-10-19
[67] 학술지 The Bedouin in Contemporary Syria: The Persistence of Tribal Authority and Control http://www.ou.edu/mi[...] Middle East Institute
[68] 웹사이트 Syrian Bedouin find shelter in Jordan http://www.aljazeera[...] 2012-03-10
[69] 웹사이트 Bedouins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 UNDP report https://www.un.org/u[...] 2022-11-01
[70] 웹사이트 Palestine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 Indigenous Peoples https://minorityrigh[...] 2022-11-01
[71] 웹사이트 Hamas' use of excessive force to displace Bedouins angers Gazans - Al-Monitor: Independent, trusted coverage of the Middle East https://www.al-monit[...] 2022-11-01
[72] 웹사이트 The Bedouins of Gaza https://wearenotnumb[...] 2022-11-01
[73] 서적 All That Remains. The Palestinian Villages Occupied and Depopulated by Israel in 1948 Institute for Palestine Studies
[74] 웹사이트 The Bedouin in Israel: Demography http://www.mfa.gov.i[...] 2007-10-26
[75] 웹사이트 Report of the Commission to Propose a Policy for Arranging Bedouin Settlement in the Negev (a.k.a. the Goldberg Report) http://www.moch.gov.[...] 2013-02-04
[76] 웹사이트 The Bedouin in Israel https://www.jewishvi[...] 2022-11-01
[77] 논문 Home Is Where The Hatred Is? Sense of belonging and exclusion of Galilee Bedouins with regard to the Jewish state, Israeli-Jewish and Israeli-Arab citizens. https://studentthese[...]
[78] 서적 Arabs in the Jewish State University of Texas Press
[79] 서적 Bedouin Society in the Negev Rashafim
[80] 뉴스 Muslim Arab Bedouins serve as Jewish state's gatekeepers http://english.alara[...]
[8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Density per Sq. Km. In Localities Numbering 5,000 Residents and More on 31 XII 2013(1) http://www.cbs.gov.i[...]
[82] 웹사이트 Bedouin of the Negev http://www.mmi.gov.i[...]
[83] 웹사이트 Bedouin In Israel https://minorityrigh[...]
[84] 뉴스 Beduin in Limbo http://fr.jpost.com/[...]
[85] 웹사이트 Government resolutions passed in recent years regarding the Arab population of Israel http://www.abrahamfu[...]
[86] 웹사이트 The Bedouin Population in Transition: Site Visit to Abu Basma Regional Council http://brookdale-en1[...]
[87] 웹사이트 A Lіѕt of Trаvеl Tips to Make Yоur Vacation Plаnnіng Easier http://bns-en.com/en[...] 2013-10-14
[88] 뉴스 Harvard University makes aliyah http://www.ynetnews.[...]
[89] 웹사이트 The Bedouin in Israel https://www.jewishvi[...] 2023-06-07
[90] 웹사이트 Cabinet Approves Plan to Provide for the Status of Communities in,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Bedouin Sector in the Negev http://www.pmo.gov.i[...]
[91] 웹사이트 Bedouin transfer plan shows Israel's racism http://www.aljazeera[...]
[92] 뉴스 Bedouin's plight: "We want to maintain our traditions. But it's a dream here" https://www.theguard[...]
[93] 뉴스 European Parliament condemns Israel's policy toward Bedouin population http://www.haaretz.c[...]
[94] 뉴스 Minister: Israel Looking at Ways to Lower Bedouin Birthrate http://www.haaretz.c[...] 2015-10-19
[95] 뉴스 To up Bedouin living standards, minister tackles birth rate http://www.timesofis[...] 2015-10-19
[96] 뉴스 U.N. agencies urge israel to halt palestinian bedouin relocation plans
[97] 웹사이트 Bedouin Culture in Jordan http://www.jordanbea[...] 2015-10-19
[98] 간행물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Jordan : Overview. Peoples https://archive.toda[...] UNHCR
[99] 웹사이트 Brenda's Jordan http://www.brendasjo[...] 2015-11-01
[100] 뉴스 Jordan profile - Leaders https://www.bbc.co.u[...]
[101] 웹사이트 The People of Jordan http://www.kinghusse[...]
[102] 웹사이트 Jordan https://www.britanni[...]
[103] 저널 The Bedul Bedouin of Petra, Jordan: Traditions, tourism, and an uncertain future https://www.research[...]
[104] 서적 A history of Trans-Jordan and its tribes https://archive.org/[...]
[105] 서적 שאר ישוב: מאמרים ופרקים בדברי ימי הישוב העברי בא"י ובחקר המולדת none
[106] 뉴스 Jordan Faces a Rising Tide of Unrest, but Few Expect a Revolt https://www.nytimes.[...] 2011-02-04
[107] 서적 The Arabic Languag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07-20
[108] 서적 Killing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9-05-01
[109] 서적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Arab Nation (RLE: the Arab N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110] 서적 The Spread of Islam Throughout the World https://books.google[...] UNESCO 2011-01-01
[111] 웹사이트 Les invasions hilaliennes en Ifrîqiya https://www.clio.fr/[...] 2015-11-21
[112] 서적 An Architecture of Light. Islamic Art in Algeria. https://books.google[...] Museum With No Frontiers, MWNF (Museum Ohne Grenzen) 2022-08-30
[113] 서적 UNESCO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 IV, Abridged Edition: Africa from the Twelfth to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05-10
[114] 서적 تاريخ ابن خلدون: ديوان المبتدأ و الخبر في تاريخ العرب و البربر و من عاصرهم من ذوي الشأن الأكبر دار الفكر
[115] 서적 Nomads of Mauritania https://books.google[...] Vernon Press 2019-03-31
[116] 웹사이트 Diccionario histórico-etnográfico de los pueblos de África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2023-05-01
[11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and culture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2023-05-01
[118]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2023-05-01
[119] 웹사이트 Orígenes de la identidad del pueblo saharaui http://erevistas.sab[...] 2014-12
[120] 서적 Global Restructuring and Peripheral States: The Carrot and the Stick in Mauritan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6
[121] 서적 The Nomadic Alternative: Modes and Models of Interaction in the African-Asian Deserts and Stepp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06-15
[122] 웹사이트 Dialects of Arabic: Maghreb Dialects http://acc.teachmide[...] 2015-10-04
[123] 논문 Détermination d'indices acoustiques robustes pour l'identification automatique des parlers arabes Université Lumière Lyon 2
[124] 뉴스 Metropolitan Bedouins: Tarabin tribe living in Cairo between urbanization and Bedouin traditions http://www.masress.c[...] 2010-08-20
[125] 웹사이트 The Bedouin in Israel http://www.mfa.gov.i[...]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99-07-01
[126] 웹사이트 Sinai Beduines http://www.allsinai.[...] 2015-10-19
[127] 뉴스 Egypt Halts Sinai Anti-terror Campaign, Will Open Talks With Bedouin http://www.haaretz.c[...] 2015-10-19
[128] 서적 The Arabic Language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5-10-19
[129] 웹사이트 Le site de la tribu des Chaâmba Algériens http://www.chaamba.n[...]
[130] 웹사이트 Statement of 'Ali Aba al-Rus [Bedouins Tribes Of Buraimi] https://www.agda.ae/[...] 1954-12-06
[131] 웹사이트 FamilyTreeDNA - Genetic Testing for Ancestry, Family History & Genealogy https://www.familytr[...]
[132] 간행물 家畜衛生にまつわる国事情 -食と栄養と国際協力と- 国際農林業労働協会 2024-09-30
[133] 뉴스 Bedouin Take On the Govt http://ipsnews.net/n[...] IPS 2015-10-19
[134] 웹인용 The Bedouin in Israel http://www.mfa.gov.i[...] 이스라엘 외무부 199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