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정근은 선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기 위해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수행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생긴 악을 없애고,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방지하며, 이미 생긴 선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을 생기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붓다는 상윳타 니까야 등에서 사정근에 대해 설명했으며, 팔리어 경전에서는 cattārimāni sammappadhānāni로 정의된다. 악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을 의미하며, 선은 그 반대인 비탐욕, 비성냄, 비어리석음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정근 | |
---|---|
개요 | |
명칭 | 사정근 (四正勤) |
다른 이름 | 사정단 (四正斷) 사단 (四斷) |
팔정도의 요소 | 정정진 |
실천 방법 | 이미 생긴 악은 끊고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생기지 않게 하고 이미 생긴 선은 더욱 자라게 하고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게 하는 것 |
어원 및 의미 | |
한자 표기 | 四正勤 |
한국어 번역 | 네 가지 올바른 노력 |
산스크리트어 | samyak-pradhāna (산먀크-프라다나) |
팔리어 | sammappadhāna (삼마빠다하나) |
설명 |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로, 악을 방지하고 선을 증진시키는 네 가지 종류의 노력 |
내용 | |
네 가지 노력 | 단단 (斷斷): 이미 생긴 악을 끊으려는 노력 율의단 (律儀斷):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생기지 않게 하려는 노력 수단 (修斷): 이미 생긴 선을 더욱 자라게 하려는 노력 수호단 (隨護斷):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을 생기게 하려는 노력 |
실천 목표 | 해탈 |
참고 | |
관련 개념 | 삼십칠도품 |
2. 빨리어 경전에서의 사정근
사정근은 율장, 경장, 논장 및 빨리어 주석서에서 발견된다.[1]
팔리 경전 전체에서 네 가지 "정진"(''padhānāni'')과 네 가지 "바른 정진"(''sammappadhāna'')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진다. 명칭은 비슷하지만, 경전에서는 이러한 다른 용어를 일관되게 다르게 정의한다.[14]
네 가지 정진 (''cattārimāni padhānāni'')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감각 기관의 '''절제''' (''saṃvara padhāna'')
# 오염의 '''포기''' (''pahāna padhāna'')
# 깨달음의 요소의 '''수행''' (''bhāvanā padhāna'')
# 시체 묘지 관조와 같은, 삼매의 '''보존''' (''anurakkhaṇā padhāna'')[15]
2. 1. 정의
사정근(四正勤)은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법을 말한다. 사정단(四正斷) · 사의단(四意斷)이라고도 한다.[2]- 첫째, 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고 부지런함
- 둘째,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함
- 셋째, 이미 생긴 선을 더욱 더 자라게 하려고 부지런함
- 넷째,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도록 부지런함
이는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구절로 정의된다.[2]
> "수행승이 다음을 위해 욕망을 일으키고, 노력하며, 끈기를 발휘하고, 의도를 유지하고, 실천하는 경우가 있다.
>
> [i] 아직 생기지 않은 [''anuppādāya''] 악하고, 불선한 자질이 생겨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
> [ii] ... 이미 생겨난 악하고, 불선한 자질을 버리기 [''pahānāya''] 위해.
>
> [iii] ... 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 자질이 생겨나도록 [''uppādāya''] 하기 위해.
>
> [iv] ... 이미 생겨난 선한 자질을 유지 [''ṭhitiyāsa''], 혼란하지 않게 하고, 증진시키고, 충만하게 하고, 발전시키고, 절정에 이르게 하기 위해."
이 설명은 붓다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한 것이다.
- "올바른 노력은 무엇인가?" (SN 45.8,[3] 팔정도)
- "에너지의 능력은 무엇인가?" (SN 48.10,[4] 오근)
- "네 가지 올바른 정진은 무엇인가?" (SN 49.1''ff''.)[5]
이 공식은 존자 사리풋타가 "이 법은 세존 [붓다]에 의해 잘 설해졌는가?"라는 질문에 답할 때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내용의 일부이기도 하다. (DN 33).[6]
또한, 앙굿타라 니까야의 "손가락 튕김의 단락"(AN 1.16.6, Accharāsaṇghātavaggosa)에서 붓다는 수행승이 손가락을 튕기는 순간(또는 "단 한 순간")[7] 동안 네 가지 올바른 정진 중 하나를 실천한다면 "그는 선정에 머물고, 스승에 대한 의무를 다하며, 빚 없이 나라의 탁발 음식을 먹는다"고 기록하고 있다.[8]
SN 48.9에서 붓다는 오근(五根)의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그리고, 비구들이여, 에너지의 능력은 무엇인가? 여기, 비구들이여, 고귀한 제자는 불선한 상태를 버리고 선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 에너지를 일으켜 거한다. 그는 강하고, 노력에 굳건하며, 선한 상태를 배양하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다. 이것이 에너지의 능력이다."[9]
"불선" 또는 "유해한"(akusala) 자질과 "선" 또는 "유익한"(kusala) 자질은 아비담마 삐따까와 경전 이후의 빨리어 주석서에서 다루어진다.[10]
파알리 경전에서는 사정근을 cattārimāni sammappadhānāni로 정의하며,[20]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아직 생기지 않은 akusala(악) - ''anuppādāya''(불생)에 힘쓰는 것
# 이미 생긴 akusala - ''pahānāya''(단)에 힘쓰는 것
# 아직 생기지 않은 kusala(선) - ''uppādāya''(생기)에 힘쓰는 것
# 이미 생긴 kusala - ''ṭhitiyā''(유지)에 힘쓰는 것
일반적으로 akusala(악)는 삼독을 이루는 탐욕(lobha), 성냄(dosa), 어리석음(moha)을 가리킨다.[22] kusala(선)는 그 반대로, 탐욕 없음(alobha), 성냄 없음(adosa), 어리석음 없음(amoha)을 가리킨다.[23][24]
2. 2. 악(akusala)과 선(kusala)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법을 사정근(四正勤)이라 한다.사정근은 다음과 같은 전통적인 구절로 정의된다.[2]
- 아직 생기지 않은 악하고 불선한 자질이 생겨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노력한다.
- 이미 생겨난 악하고 불선한 자질을 버리기 위해 노력한다.
- 아직 생겨나지 않은 선한 자질이 생겨나도록 하기 위해 노력한다.
- 이미 생겨난 선한 자질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는 붓다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제시한 것이다.
- "올바른 노력은 무엇인가?" (SN 45.8,[3] 팔정도)
- "에너지의 능력은 무엇인가?" (SN 48.10,[4] 오근)
- "네 가지 올바른 정진은 무엇인가?" (SN 49.1''ff''.)[5]
이 공식은 존자 사리풋타가 "이 법은 세존 [붓다]에 의해 잘 설해졌는가?"라는 질문에 답할 때 광범위하게 설명하는 내용의 일부이다. (DN 33).[6]
앙굿타라 니까야의 "손가락 튕김의 단락"(AN 1.16.6)에서 붓다는 수행승이 손가락을 튕기는 순간 동안 네 가지 올바른 정진 중 하나를 실천한다면 "그는 선정에 머물고, 스승에 대한 의무를 다하며, 빚 없이 나라의 탁발 음식을 먹는다"고 기록하고 있다.[8]
붓다는 SN 48.9에서 "불선한 상태를 버리고 선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 에너지를 일으켜 거한다. 그는 강하고, 노력에 굳건하며, 선한 상태를 배양하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한다.[9]
"불선" 또는 "유해한"(akusala영어) 자질과 "선" 또는 "유익한"(kusala영어) 자질은 아비담마 삐따까와 경전 이후의 빨리어 주석서에서 다루어진다.[10]
일반적으로, 불선한 상태는 세 가지 번뇌 (kilesa)인 탐욕(lobha), 성냄(dosa) 및 어리석음(moha)이다.[11] 선한 상태는 번뇌의 반대인 비탐욕(alobha), 비증오(adosa) 및 비무지(amoha)이다.[12][13]
파알리 경전에서는 사정근(cattārimāni sammappadhānāni)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20]
# 아직 생기지 않은 akusala(악) - ''anuppādāya''(불생)에 힘쓰는 것
# 이미 생긴 akusala - ''pahānāya''(단)에 힘쓰는 것
# 아직 생기지 않은 kusala(선) - ''uppādāya''(생기)에 힘쓰는 것
# 이미 생긴 kusala - ''ṭhitiyā''(유지)에 힘쓰는 것
악(''akusala'')과 선 (''kusala'')에 대해서는 논장 및 앗타카타에서 언급하고 있다.[21]
3. 사정진(四精進)
선법(善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惡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네 가지 법을 말한다.
- 첫째, 이미 생긴 악을 없애려고 부지런함
- 둘째,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은 미리 방지하려고 부지런함
- 셋째, 이미 생긴 선을 더욱더 자라게 하려고 부지런함
- 넷째, 아직 생기지 않은 선은 생기도록 부지런함
팔리 경전 전체에서 네 가지 "정진"(padhāna|빠다-나sa)과 네 가지 "바른 정진"(sammappadhāna|삼마빠다-나sa) 사이의 구별이 이루어진다. 명칭은 비슷하지만, 경전 담론에서는 동일하거나 인접한 담론에서도 이러한 다른 용어를 일관되게 다르게 정의한다.[14]
네 가지 정진 (''cattārimāni padhānāni'')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감각 기관의 '''절제''' (''saṃvara padhāna|상와라 빠다-나sa'')
# 오염의 '''포기''' (''pahāna padhāna|빠하나 빠다-나sa'')
# 깨달음의 요소의 '''수행''' (''bhāvanā padhāna|바-와나- 빠다-나sa'')
# 시체 묘지 관조와 같은, 삼매의 '''보존''' (''anurakkhaṇā padhāna|아누락카나- 빠다-나sa'')[15]
참조
[1]
서적
Rhys Davids & Stede (1921-25), p. 411, entry on "padhāna"
[2]
문서
Thanissaro (1996)
[3]
문서
Bodhi (2000), pp. 1670-71; and, Thanissaro (1996).
[4]
문서
Bodhi (2000), pp. 1671-72.
[5]
문서
Bodhi (2000), pp. 1709-12.
[6]
문서
Walshe (1995), pp. 480, 487, set of four #2.
[7]
웹사이트
Rhys Davids & Stede (1921-25), entry for "Accharā" (p. 9)
https://dsal.uchicag[...]
2007-08-25
[8]
웹사이트
AN 1:394-397 (Upalavanna, n.d.)
http://metta.lk/tipi[...]
[9]
문서
Bodhi (2000), p. 1671
[10]
문서
Bodhi (2000), p. 1939, ''n''. 245
[11]
문서
Buddhaghosa & {{IAST|Ñāṇamoli}} (1999), pp. 707-709, XXII.47-63
[12]
문서
Bodhi (2000), ''op. cit.''
[13]
문서
Ñanamoli & Bodhi, 1991
[14]
문서
[15]
웹사이트
Translations primarily based on Rhys Davids & Stede (1921-25)
https://dsal.uchicag[...]
2007-05-29
[16]
서적
仏教学辞典
[17]
서적
岩波仏教辞典
[18]
서적
ブッダ最後の旅
岩波書店
1995-07
[19]
문서
玄奘 訳『[[大般若波羅蜜多経]]』
[20]
문서
Thanissaro (1996)
[21]
문서
Bodhi (2000), p. 1939, ''n''. 245
[22]
문서
Buddhaghosa & {{IAST|Ñāṇamoli}} (1999), pp. 707-709, XXII.47-63
[23]
문서
Bodhi (2000), ''op. cit.''
[24]
문서
Ñanamoli & Bodhi,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