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할린 터널은 사할린 섬과 러시아 본토를 연결하기 위해 구상된 철도 터널 프로젝트이다. 19세기부터 제안되었으나, 1950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결정으로 건설이 시작되었다. 군사적 목적을 위해 추진되었지만, 스탈린 사망 이후 중단되었다. 이후 소련 붕괴 후에도 재추진 논의가 있었으나, 경제성 및 기술적 문제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2018년에는 다리 건설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2020년에는 무산되었다. 현재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철도 터널 -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사할린-홋카이도 터널은 러시아가 일본과의 연결을 위해 제안한 해저 터널 구상이지만, 경제성 부족, 정치적 문제, 기술적 과제 및 양국 관계 악화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이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교통 - 바이칼-아무르 철도
바이칼-아무르 철도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의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의 소비에츠카야 가반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324km의 철도 노선으로, 극동 방어를 목적으로 소련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자원 개발과 연계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노선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 하바롭스크 변경주의 교통 - 바니노-홀름스크 철도연락선
바니노-홀름스크 철도연락선은 러시아 사할린과 본토를 연결하는 페리 노선으로, 철도 차량, 트럭, 승객을 수송하며 사할린 해운 회사 소속 선박으로 운영되고, 사할린과 러시아 극동 지역의 운송 및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계획 중인 철도 시설 - 울란바토르 지하철
울란바토르 지하철은 몽골 울란바토르에 건설 추진 중인 지하철 시스템으로,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1년 건설이 결정되었으며, 2023년 재추진되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17.7km 구간에 14개 역을 건설하여 2030년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 계획 중인 철도 시설 - 사할린-홋카이도 터널
사할린-홋카이도 터널은 러시아가 일본과의 연결을 위해 제안한 해저 터널 구상이지만, 경제성 부족, 정치적 문제, 기술적 과제 및 양국 관계 악화로 인해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이다.
사할린 터널 | |
---|---|
지도 정보 | |
터널 정보 | |
이름 | 사할린 터널 |
공식 명칭 | (건설 번호 507) |
노선 | 바이칼-아무르 간선 및 사할린 철도 |
위치 | 러시아 (사할린 주, 하바롭스크 지방) |
시스템 | OAO RZhD |
상태 | 프로젝트 연기 |
통과 지점 | 네벨스코이 해협 |
시작 지점 | 라자레프 곶 |
종료 지점 | 포기비 곶 |
개통 | 미개통 |
폐쇄 | 1953년 5월 26일 |
운영사 | 미정 |
교통 | 철도 |
특징 | 화물 |
선로 | 단선 |
궤간 | (러시아 궤간) |
전철화 여부 | 미정 |
최고 속도 | 미정 |
높이 | 미정 |
경사 | 미정 |
노선 길이 | 미정 |
선로 길이 | 미정 |
![]() | |
![]() | |
건설 정보 | |
착공 | 1950년 9월 6일 |
2. 역사
1950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철도 연락선, 제방 도로 또는 터널을 통해 사할린과 철도 연결을 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1950년 5월 5일, 소련 정부는 터널 건설 결정을 발표하고, 그동안의 임시 연결 수단으로 철도 연락선을 운행할 것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주로 사할린에 주둔하는 붉은 군대 부대를 위해 연해주와 사할린 사이의 연락을 개선하려는 군사적인 목적이었다.[4]
콤소몰스크나아무레 근처의 Селихино|셀리히노ru에서 터널의 본토 측 입구가 될 라자레프 곶까지 연결하는 철도 건설은 내무부가 담당했고, 터널 자체는 운수성이 담당했다. 1952년에는 프로젝트 전체의 관리가 내무부로 이관되었다.[4]
사할린에서 계획된 경로는, 터널의 출구가 될 포기비 곶에서 당시 사할린 철도망의 북단으로 스미르니흐의 북쪽 약 10km에 있는 포베디노(일본 통치 시대의 고톤역)까지 327km가 예정되어 있었다. 포기비 곶과 라자레프 곶 사이의 터널 길이는 약 10km로 계획되었다. 러시아에서는 현재 바이칼-아무르 철도의 일부인 콤소몰스크나아무레와 소베츠카야가반을 잇는 노선까지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었다.[4]
프로젝트는 1953년 말까지 완공되어 1955년 말까지 정상 운행이 시작될 예정이었다. 이 노선에서의 화물 수송은 연간 4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계획되었다.[4]
이 프로젝트는 3개의 건설 계획으로 분할되었다. 러시아의 철도와 사할린의 철도는 각각 건설 507, 건설 505로, 터널 자체는 건설 506으로 지정되었다. 철도와 터널은 매우 부실하여, 실제로는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고, 완성 후 본격적인 개량이 필요했다.
굴라크 수감자들이 대부분 건설을 수행했다. 주요 수용소는 사할린의 티모프스코예와 본토의 데-카스트리에 설치되었다. 1953년 초에는 27,000명 이상의 수감자가 이 프로젝트에서 일했다. 특히 사할린에서는 필요한 인프라와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강제 노동자들의 상황은 열악했다. 엄격한 스케줄로 인해 강제 수용소의 상황은 극히 나빴고, 소련 정부가 공식적으로 설치한 수용소의 기준조차 크게 밑돌았다.
터널 건설에는 군 기술자, 메트로스트로이(지하철 건설 기업)의 터널 전문가, 그리고 적임자로 여겨져 사면을 받은 굴라크 수용자들이 참여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프로젝트 공사는 중단되었다. 터널은 해협의 거의 절반까지 와 있었다고 했지만, 이후 조사에 따르면 터널 보링 머신을 위한 2개의 수직갱만 굴착되었을 뿐이었다. 계획 중단의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스탈린의 사망으로 많은 수감자가 사면을 받아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자료도 있다. 터널 건설 노동자들은 중단까지 8개월을 대기했지만, 터널에 접속하는 철도가 없이는 터널 자체도 의미가 없었다.[5]
2. 1. 초기 제안과 계획 (19세기~1950년)
네벨스코이 해협 아래 터널을 건설하려는 구상은 19세기부터 존재해 왔으나, 경제적인 이유로 진지하게 추진되지는 않았다. 1930년대 말 소련이 프로젝트의 타당성 연구를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1950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철도 연락선, 둑길, 또는 터널을 통해 사할린과 본토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발표했다. 1950년 5월 5일, 소련 정부는 임시 방편으로 철도 연락선 연결과 함께 터널 건설을 결정했다.[4] 이 프로젝트는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할린에 주둔한 붉은 군대 부대가 본토와 더 잘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5]
2. 2. 건설 시도와 중단 (1950년~1953년)
1950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철도 연락선, 제방 도로 또는 터널을 통해 사할린과 철도 연결을 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1950년 5월 5일, 소련 정부는 터널 건설 결정을 발표하고, 그동안의 임시 연결 수단으로 철도 연락선을 운행할 것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주로 사할린에 주둔하는 붉은 군대 부대를 위해 연해주와 사할린 사이의 연락을 개선하려는 군사적인 목적이었다.[4]콤소몰스크나아무레 근처의 Селихино|셀리히노ru에서 터널의 본토 측 입구가 될 라자레프 곶까지 연결하는 철도 건설은 내무부가 담당했고, 터널 자체는 운수성이 담당했다. 1952년에는 프로젝트 전체의 관리가 내무부로 이관되었다.[4]
사할린에서 계획된 경로는, 터널의 출구가 될 포기비 곶에서 당시 사할린 철도망의 북단으로 스미르니흐의 북쪽 약 10km에 있는 포베디노(일본 통치 시대의 고톤역)까지 327km가 예정되어 있었다. 포기비 곶과 라자레프 곶 사이의 터널 길이는 약 10km로 계획되었다. 러시아에서는 현재 바이칼-아무르 철도의 일부인 콤소몰스크나아무레와 소베츠카야가반을 잇는 노선까지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었다.[4]
프로젝트는 1953년 말까지 완공되어 1955년 말까지 정상 운행이 시작될 예정이었다. 이 노선에서의 화물 수송은 연간 4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계획되었다.[4]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이 프로젝트의 공사는 중단되었다. 터널은 해협의 거의 절반까지 와 있었다고 했지만, 이후 조사에 따르면 터널 보링 머신을 위한 2개의 수직갱이 굴착되었을 뿐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계획 중단의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스탈린의 사망으로 인해 많은 수감자가 사면을 받아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자료도 있다. 터널 건설 공사의 노동자는 중단까지 8개월을 대기했지만, 터널에 접속하는 철도가 없이는 터널 자체도 의미가 없는 것이었다.[5]
2. 3. 소련 붕괴 이후의 논의와 현재 상황 (1991년~현재)
소련의 해체 이후에도 정치인들 사이에서 사할린 터널 프로젝트를 부활시키자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비용이 이익보다 클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6] 그러나 2008년 11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이 이 프로젝트에 대한 지지를 발표하면서 진지하게 검토되기 시작했다.[7] 2030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다.2009년 1월 16일, 러시아 정부는 다리나 터널 중 하나로 연결하는 방안을 제안했다.[8] 새로운 계획에 따르면 사할린 연결은 노글리키에서 이루어질 것이며, 섬의 철도 네트워크와 연결될 예정이었다. 2019년에는 섬 남쪽 절반의 협궤 철도 시스템(이전 일본 행정부의 유산)을 더 넓은 러시아 표준 궤로 전환하는 작업이 완료되었다.[9]
또한 사할린 남쪽 끝과 일본 홋카이도 섬을 연결하여 다리나 터널을 통해 일본에서 아시아 본토 및 유럽으로 가는 컨테이너 운송을 위한 직접적인 육상 교통 연결을 제공하자는 제안도 있었다.[10][11]
2018년 7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 본토에서 사할린까지 타타르 해협의 가장 북쪽 부분에 다리를 건설하자는 제안을 분석하도록 지시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 프로젝트가 사할린 주민들에게 매우 중요하며 사람들이 이 지역에 머물도록 장려하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하바롭스크 지방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문제, 특히 경제적 측면을 분석하도록 정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12]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일본 정부도 대러 제재를 가하고, 러시아 측도 대항 조치를 취하는 등 외교 관계가 악화되고 있어, 프로젝트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3. 기술적 특징
사할린 터널은 네벨스코이 해협의 가장 좁은 부분을 터널이나 교량으로 통과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터널로 건설할 경우, 길이는 약 10km로 계획되었다.[4]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인근 셀리히노에서 라자레프 곶까지, 그리고 포기비 곶에서 당시 사할린 철도 종착역이었던 Победино|포베디노ru (일본 통치하 "코톤")까지 철도 연결이 계획되었다.[4] 포베디노는 스미르니흐 북쪽 약 10km 지점에 있었다. 본토에서는 콤소몰스크나아무레와 소베츠카야가반을 연결하는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이는 현재 바이칼-아무르 간선 철도의 일부 구간이다.
사할린 섬의 철도 궤간은 2019년에 러시아 표준 궤간으로 통일되었다.[9]
3. 1. 터널/교량 계획
네벨스코이 해협의 가장 좁은 부분을 통과하는 터널 또는 교량 건설이 제안되었다. 터널의 경우, 길이는 약 10km로 계획되었다.[4]3. 2. 철도 연결
콤소몰스크나아무레 인근 셀리히노에서 라자레프 곶까지, 그리고 포기비 곶에서 당시 사할린 철도 종착역이었던 Победино|포베디노ru (일본 통치하 "코톤")까지 철도 연결이 계획되었다.[4] 포베디노는 스미르니흐 북쪽 약 10km 지점에 있었다. 본토에서는 콤소몰스크나아무레와 소베츠카야가반을 연결하는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현재 바이칼-아무르 간선 철도의 일부 구간이다.사할린 섬의 철도 궤간은 2019년에 러시아 표준 궤간으로 통일되었다.[9]
4. 한반도와의 관계 및 지정학적 영향
사할린 터널 건설은 한반도 종단 철도(TKR)와 시베리아 횡단 철도(TSR) 연결을 통해 한국의 유라시아 대륙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남북 경제협력 및 동북아 평화 번영을 위한 핵심 과제로 추진해 온 유라시아 철도 연결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반면, 러시아의 극동 지역 개발 가속화는 동북아 지역의 지정학적 균형에 변화를 가져와 한국의 외교 안보 전략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할 수 있다는 부정적 측면도 존재한다.
4. 1. 긍정적 측면
사할린 터널(또는 교량) 건설은 한반도 종단 철도(TKR)와 시베리아 횡단 철도(TSR) 연결을 통해 한국의 유라시아 대륙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이 남북 경제협력 및 동북아 평화 번영을 위한 핵심 과제로 추진해 온 유라시아 철도 연결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사할린-본토 연결은 사할린 지역의 자원 개발을 촉진하고, 한국 기업의 에너지 및 자원 확보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존재한다.[14] 한국은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 부정적 측면
러시아의 극동 지역 개발 가속화는 동북아 지역의 지정학적 균형에 변화를 가져와 한국의 외교 안보 전략에 새로운 도전을 제기할 수 있다. 특히 사할린-본토 연결은 일본과의 경쟁 심화 및 협력 관계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소야 해협 터널 건설 제안과 관련하여 한일 간 경쟁과 협력의 복합적인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20][21]환경 문제와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2018년 러시아 철도는 건설비 추정치를 5400억러시아 루블(약 7,590억 엔)로 제시했으며, 정비가 필요한 구간은 최소 536km에 달한다고 밝혔다. 운송할 화물이 없고 건설비가 높아 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2020년에는 러시아 대통령 특별 대표 세르게이 이바노프가 포기를 표명했다.[15]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막대한 투자 비용 대비 경제적 효과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일본 정부는 대러 제재를 가하고, 러시아 측도 대항 조치를 취하는 등 외교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5. 결론 및 향후 전망
소련 붕괴 이후에도 사할린 터널 계획은 여러 차례 다시 제기되었지만, 비용 대비 효과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17] 그러나 2008년 11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의 지원 성명 등 진지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났으며, 2030년까지 완공하는 계획이 제안되기도 했다.[18]
새로운 계획에서는 사할린 철도망과 연결되는 노글리키까지 연결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일본 통치 시대의 협궤에서 러시아 표준 광궤로 개궤 작업이 진행 중이다.[19]
사할린 최남단과 홋카이도 사이를 약 40km의 터널이나 다리로 연결하는 소야 해협 터널 건설 제안도 나왔다. 이는 일본과 아시아 대륙, 유럽을 직접 연결하는 컨테이너 수송을 실현하려는 시도이다.[20][21] 일본 철도를 끌어들여 비용 대비 효과 문제를 보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2009년 1월, 러시아 운수 부대신은 소야 해협 터널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사할린과 대륙 사이의 연결은 터널(12.4km)보다 다리(6.6km)로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러시아 정부는 일본 기업에 제안을 요청했고, 이는 양국 간 철도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13]
2013년 6월, 러시아 극동 개발성은 사할린-대륙 간 다리와 철도 건설을 2016년에 착공할 방침을 밝혔다.[14] 이샤예프 극동 개발상은 교통 연결 부재로 인한 사할린주의 경제 발전 어려움을 지적하며, 다리 건설로 대륙에서 사할린 부동항으로 접근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2018년 러시아 철도는 건설비 추정치를 5.4조러시아 루블(약 7.59조엔)로 제시하며, 정비 구간이 최소 536km에 달하고 운송 화물 부족과 높은 건설비로 타산이 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2020년에는 세르게이 이바노프 러시아 대통령 특별 대표가 포기를 표명했다.[15]
이후에도 계획이 완전히 폐기된 것은 아니며, 소야 해협 터널 계획과 함께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21년 10월에는 러시아 정부 관계자와 고즈키 토요히사 일본 대사가 소야 해협 터널 계획에 대한 협상을 진행했다.[22]
하지만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일본 정부가 대러 제재를 가하고 러시아도 대항 조치를 취하면서 외교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Сахалинский тоннель (Стройка 506)
http://www.rzd-expo.[...]
[2]
웹사이트
Тайна тоннеля на Сахалин: миф или реальность?
https://vladnews.ru/[...]
[3]
간행물
Наука и жизнь №03,1996
[4]
웹사이트
Сахалинский тоннель
http://www.kfss.ru/c[...]
[5]
웹사이트
Строительство № 506
http://www.sakhalin.[...]
2010-12-22
[6]
웹사이트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 Sakhalin rail link too expensive
https://web.archive.[...]
[7]
웹사이트
Russian President wants to connect Sakhalin with the Mainland
http://primamedia.ru[...]
Prima Media
2008-11-19
[8]
웹사이트
Sakhalin link proposed
http://www.railwayga[...]
2009-01-16
[9]
웹사이트
Российская колея по всему Сахалину: движение открыто
http://press.rzd.ru/[...]
[10]
웹사이트
Plan for Tunnel to Sakhalin Unveiled
http://www.sptimes.r[...]
2000-11-28
[11]
뉴스
Sakhalin-Hokkaido Tunnel Project Discussed in Sakhalin
http://www.redorbit.[...]
2005-09-29
[12]
웹사이트
Russia moves forward with plan for bridge to Sakhalin Island
https://www.bridgewe[...]
2018-07-25
[13]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railwayga[...]
2012-05-25
[14]
웹사이트
asahi.com
http://digital.asahi[...]
2012-05-25
[15]
웹사이트
ロシア本土への橋やトンネル「費用高い」「貨物もない」…ソ連時代からの構想実現を断念
https://www.yomiuri.[...]
讀賣新聞
2020-12-07
[16]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sakhalin.[...]
2012-05-25
[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 Sakhalin rail link too expensive
http://www.highbeam.[...]
2012-05-25
[18]
웹사이트
Russian President wants to connect Sakhalin with the Mainland (Russian)
http://primamedia.ru[...]
Prima Media
2012-05-25
[19]
웹사이트
Railway a Gauge of Sakhalin's Future
http://www.rzd-partn[...]
2012-05-25
[20]
웹사이트
Plan for Tunnel to Sakhalin Unveiled
http://www.sptimes.r[...]
2012-05-25
[21]
뉴스
Sakhalin-Hokkaido Tunnel Project Discussed in Sakhalin
http://www.redorbit.[...]
2012-05-25
[22]
웹사이트
Мечта и долгосрочный проект: посол Японии оценил возведение моста от Сахалина к Хоккайдо - SakhalinMedia
https://sakhalinmedi[...]
2022-05-04
[23]
웹인용
Sakhalin link proposed
http://www.railwayga[...]
2009-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