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번의 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번의 난은 명나라 무장이었던 오삼계, 상가희, 경중명이 청나라에 협력한 공으로 번왕에 봉해진 후, 청나라의 중앙집권 강화 정책에 반발하여 일으킨 반란이다. 1673년 상가희의 은퇴를 계기로 번 폐지가 결정되자, 오삼계 등이 이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오삼계는 황제 즉위 후 세력을 확장했으나, 지휘권 분열과 민중의 지지 부족으로 청나라에 의해 각개 격파되었다. 1681년 오세번의 자살로 반란은 종결되었으며, 강희제는 이를 통해 황권과 군 통수권을 강화했다. 이 반란은 조선의 북벌론에 영향을 미치고, 청나라의 대외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삼번의 난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분쟁 이름 | 삼번의 난 |
날짜 | 1673년 8월 ~ 1681년 11월 |
장소 | 장강 이남의 중국 남부 지역 (윈난성, 푸젠성, 광둥성) |
결과 | 청나라의 승리, 삼번 및 차하르 몽골 해체 |
영토 변경 | 윈난성, 푸젠성, 광둥성을 청나라가 회복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청나라 |
교전국 2 | 오삼계, 상지신, 경정충 |
교전국 3 | 칭기스칸의 후예, 차하르 몽골, 정씨왕국 (대만), 기타 반란군, 천지회 |
지휘관 | |
지휘관 1 | 강희제 기예수 욜로 상가희 |
지휘관 2 | 오삼계 오세번 경정충 (1674–76) 상지신 (1676–79) |
지휘관 3 | 부르니 아부나이 루부중 정경 |
전력 | |
전력 1 | 400,000명 |
전력 2 | 오삼계: 200,000명 상지신: 100,000명 경정충: 200,000명 |
전력 3 | 차하르 몽골: 10,000명 정경: 10,000명 왕보신: 수천 명 손연령/공사정: 10,000명 |
기타 | |
관련 정보 | 강희제 시대의 정복 전쟁 |
2. 배경
오삼계, 상지신의 부친 상가희, 경정충의 조부 경중명은 원래 명나라의 무장이었으며, 명나라가 이자성에 의해 멸망할 때 청군에 협력한 공으로 각자 번(藩)을 받고 왕에 봉해졌다. 이들은 지방의 일부 토지를 부여받고 징병, 징세, 관리 임용권 등을 얻어, 독립 국가와 거의 대등한 지위를 누렸다. 당시 황제 강희제는 번에 대해 꺼림칙하게 생각했고, 중앙집권 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번을 폐지하려고 하였다.[38][40][41][42]
1673년(강희 12년), 상가희(尙可喜)가 아들 상지신(尙之信)과의 불화로 은퇴를 신청하자, 강희제(康熙帝)는 번 자체를 폐지하겠다고 답했다. 다른 번왕들도 번 폐지를 신청했고, 강희제는 이를 강행했다. 예상대로 오삼계(吳三桂)는 천하도초토병마대원수(天下都剿討兵馬大元帥)를 자칭하며 반란을 일으켰다.[48] 오보이(鰲拜, oboi)를 축출한 강희제는 삼번(三藩)을 염려하기 시작했다.[49] 삼번은 남명에 대비한 특수 행정구역으로, 운남, 귀주의 평서왕 오삼계, 광동성의 평남왕 상가희, 복건성의 정남왕 경중명(耿仲明)이 관할했다.[50] 이들은 한족 출신으로 청나라 통일을 도왔으나, 막강한 군사력과 무역으로 독자 세력화되었다.[51] 강희제는 중앙집권 강화를 위해 삼번과 대결하게 되었다.[53] 오삼계는 황실 인척이자 국가 재정의 절반 이상을 지원받아 통제가 어려웠다.[51]
1673년(강희 12년), 상가희가 아들 상지신과의 불화를 이유로 은퇴를 신청하고 상지신에게 계승을 요구했다. 강희제는 번 자체를 폐지하겠다고 답했다. 이에 놀란 오삼계와 경정충은 정부의 의도를 알기 위해 자신들의 번도 폐지할 것을 신청했다. 조정에서는 번 폐지를 강행하면 오삼계 등이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반대했지만, 강희제는 소수 의견을 채택하여 폐지를 강행했다.[41][43]
청나라 초기에 중앙 정부의 권위는 강하지 않았고, 지배자들은 중국 남부의 여러 성을 직접 통제할 수 없었다. 그래서 “한족으로 하여금 한족을 다스리게 한다(以漢制漢)”는 정책을 시작하여, 명나라에서 청나라에 항복한 일부 장군들이 남부 여러 성의 통치를 돕도록 하였다.[2]
이는 청나라의 중국 정복 과정에서 이들 장군들이 중요한 공헌을 했기 때문이었다. 예를 들어, 경중명과 상가희의 해군은 1636년 조선의 항복을 받아내어, 청나라 군대가 뒤를 걱정하지 않고 명나라 영토로 진격할 수 있게 했다. 오삼계의 협력은 명나라 수도 베이징의 함락과 점령을 가능하게 했다.[2] 그 대가로 청나라 정부는 그들의 공을 인정하고 군사적, 정치적 영향력을 인정해야 했다.
1655년, 오삼계는 “평서왕(平西王; 서쪽을 평정하는 왕)”이라는 칭호를 받고 운남성과 귀주성의 총독직을 받았다. 상가희와 경중명은 각각 “평남왕(平南王)”과 “경남왕(靖南王)”(둘 다 “남쪽을 평정하는 왕”이라는 뜻)이라는 칭호를 받고 광동성과 복건성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들은 다른 어떤 지역 총독보다 큰 권력을 행사했고, 자신의 군대를 보유하고 세율을 변경할 권한도 가졌다.[2]
1673년 11월, 봉국 폐지 결정을 받은 오삼계는 “흥명토적(興明討虜)”을 기치로 내걸고 스스로 “천하도초토병마대원수(天下都招討兵馬大元帥)”라 칭하며 청나라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43]
3. 전개
상가희의 은퇴 요청에 청 조정은 작위 세습을 불허했다. 오삼계와 경정충(耿精忠)도 은퇴를 요청했으나, 강희제는 철번을 명했다. 1673년 7월, 오삼계는 반청복명(反淸復明)을 이유로 거병했으나, 영력제를 죽인 장본인이었기에 명분은 공감을 얻지 못했다.[56] 삼번의 난은 중원 이남, 섬서 몽골 등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어 9년간 계속되었다.[53]
강희제는 오삼계의 아들 오응웅을 건네주겠다고 회유했으나, 삼번 연합군은 진군했다. 오응웅과 아들 오세림은 참수되었다. 상가희는 오삼계에 반대했으나, 아들 상지신이 상가희를 연금하고 오삼계와 합류했다.[54]
1674년(강희 13년), 오삼계는 후난성을 점령하고, 서쪽은 쓰촨성, 섬서성으로, 동쪽은 광시성, 복건성으로 진군하며 상가희, 경정충에게 호응을 권유했다. 경정충은 반란을 일으켰지만, 상가희는 반대하여 상지신에게 살해당했다. 타이완의 정경(정성공의 아들)도 호응하여 장강 이남이 오삼계 세력에 넘어갔다.
그러나 오삼계 등의 반란은 권익을 위한 것이었기에 민중의 지지가 부족했다. 오삼계 등은 한족 왕조를 멸망시킨 장본인들이었기에 대의명분이 약했다. 또한, 세 명의 지위가 동등하여 지휘권 통일이 어려웠다. 청은 반란군을 각개격파했다.
3개월 내에 삼번 연합군은 중국 남부를 점령하고, 섬서성과 허난성까지 진군했다. 섬서와 하남의 녹영 장군들은 삼번에게 협조적이었다.[55][56] 강희제는 몽골 칸들의 지원을 거절하고 스스로 국난을 헤쳐나가려 했다. 그러나 오삼계는 청군을 만만히 보고 진군 속도를 늦췄다.
당시 섬서성, 감숙성의 제독 왕보신(王輔臣)은 오삼계를 잘 막았으나, 독자 세력을 구축하려 했다. 양기륭(楊起隆)은 주자형(朱慈炯, 주삼태자)을 자칭하고 베이징을 기습하려 했으나, 청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삼번의 난은 물자가 많은 조정에 유리해졌고, 도해(圖海)·주배공(周培功) 등 장수들과 팔기군의 활약으로 삼번 군대를 격파했다. 강희제는 한족 장수들을 등용하여 삼번의 약점을 공략했다. 1676년(강희 15년) 상지신은 자살하고 경정충은 항복했으나, 1681년(강희 20년) 사형당했다.
1678년(강희 17년), 오삼계는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주(周)로 했으나, 그해 8월 병사했다.[57] 1681년(강희 20년), 오삼계의 손자 오세번(吳世藩)이 쿤밍(昆明)에서 자살하며 9년간의 삼번의 난은 끝났다.[58] 강희제는 번 제도를 폐지하고 친왕들의 군 지휘권을 뺏어 황권과 군 통수권을 강화했다.[59]
3. 1. 주요 인물
이름 | 설명 |
---|---|
오삼계(吳三桂) | 1673년 반란을 일으킨 주역으로,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국호를 주(周)라 하였으나 1678년 병사했다. |
상가희(尚可喜) | 오삼계의 호응 요청을 거절하였으나, 아들 상지신(尚之信)이 반란을 일으켰다. 1676년 상지신은 청군에 항복했다. |
경정충(耿精忠) | 오삼계의 유혹에 넘어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1676년 청나라에 항복하고 반란군 토벌에 참여했다. 하지만 1681년 반역 공모 죄로 사형당했다. |
정경(鄭經) | 타이완(臺灣)에서 오삼계에 호응하여 반란에 가담했다. |
왕보신(王輔臣) | 섬서성, 감숙성을 관장하던 제독으로, 오삼계의 삼번 연합군을 막았으나, 독자 세력을 구축하려다 실패했다. |
양기륭(楊起隆) | 명나라 숭정제의 셋째 아들 주자형(朱慈炯), 즉 주삼태자(朱三太子)를 자칭하며 베이징(北京)을 기습하려다 청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
도해(圖海), 주배공(周培功) | 청나라의 장수들로, 팔기군과 함께 삼번의 군대를 격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
오세번(吳世藩) | 오삼계의 손자로, 오주의 두 번째 황제였으나 1681년 쿤밍(昆明)에서 자살했다. |
4. 결과 및 영향
1678년(강희 17년) 삼번의 맹주 오삼계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주(周), 연호를 소무(昭武)라고 하였으나 노환으로 그 해 8월에 죽었다.[57] 이로 말미암아 오삼계군의 군세는 크게 약해졌고, 1681년(강희 20년)에 오삼계의 손자이자 오주의 두 번째 황제인 오세번이 곤명에서 자살하면서 9년에 걸친 삼번의 난은 끝이 났다.[58] 이 반란 이후 강희제는 번 제도 자체를 폐지하고 친왕들과 군왕들에게 최소한의 사병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녹영이나 팔기군에 배속시켜 친왕들의 군 지휘권을 거의 뺏어 버렸다. 이 반란은 강희제의 황권과 군 통수권을 더욱 강화하였다.[59]
1676년(강희 15년) 섬서가 진압되어 상지신이 항복하고, 경정충도 청에 항복하여 반란군 토벌에 참가했다. 1678년(강희 17년) 열세에 놓인 오삼계는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주로 삼고 독립을 선언했지만, 반년 후 병사했다. 대장을 잃은 반란군은 급격히 이탈했고, 운남으로 도피하여 오삼계의 손자 오세번이 황제를 이었지만, 1681년 청군의 공격을 받아 오세번은 자살하고 전란은 종결되었다. 이후 경정충과 상지신은 사형에 처해졌다.
1683년 정경(Zheng Jing)의 아들이 항복하자, 국내의 반청 세력이 일소되어 강희제에 의한 군주독재가 완성되었으며, '삼세의 봄'이라는 청나라의 절정기가 도래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정경의 군대는 1680년 하문(Xiamen) 근처에서 패배하여 대만으로 후퇴했다.[24] 반란에 대한 최종 승리는 청나라의 동닝 왕국(Kingdom of Tungning) 정복이었다. 시랑(Shi Lang)은 청나라 해군 제독으로 임명되어 대만을 침공하여 펑후 해전(Battle of Penghu)에서 류국훤(Liu Guoxuan)이 지휘하는 동닝 해군을 패퇴시켰다.[25] 정경의 아들인 정계상(Zheng Keshuang)은 1683년 10월에 항복했고, 대만은 청나라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정계상은 강희제(Kangxi Emperor)로부터 "해성공(海澄公)"이라는 칭호를 받았고, 그와 그의 병사들은 팔기군(Eight Banners)에 편입되었다.[26][27]
상지신은 1680년에 자살을 강요당했다.[28] 그의 36명의 형제 중 4명은 그가 자살할 때 처형되었고, 나머지 가족은 살아남았다. 경정중은 처형되었고, 그의 형인 경주중(耿聚忠)은 강희제와 함께 청나라 궁정에 있었기에 반란에도 처벌받지 않았다. 경주중은 1687년 자연사했다. 1661~1662년에 정성공과 함께 대만으로 간 명나라 왕족들 중에는 닝징왕 주숙귀와 주의해의 아들인 주홍환도 있었다. 청나라는 대만에 있던 17명의 명나라 왕족들을 중국 본토로 돌려보냈고, 그들은 남은 생애를 망명 생활 속에서 보냈다. 그들의 목숨은 처형으로부터 면제되었다.[29]
태평천국의 난 당시, 태평천국군은 악주에서 오삼계군의 무기를 발굴하여 배에 싣고 무창 공격에 사용했다고 한다.[47]
한편, 청나라는 조선의 내정에 간섭하지는 않았으나 역대 중국 왕조와 같이 사대관계에 의해 번국에 준하여 대하였고[49], 삼번의 난이 일어나자 조선의 북벌론을 문제삼으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숙종은 청나라를 안심시키기 위해 남인 정권을 물리치고 대표적인 북벌론자 윤휴를 처형하는 고육책을 써야 했다.[60]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2-19
[2]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2009-03-13
[3]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Norton & Company
[4]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5]
서적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4-15
[6]
서적
Emperor of China
[7]
서적
[8]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Morton & Company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1]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2006
[12]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2006
[13]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4]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Routledge
2006
[15]
서적
The China Review, Or, Notes and Queries on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China Mail" Office
[16]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2006
[17]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2006
[18]
서적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From 1453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5-12
[19]
서적
Notable Women of China: Shang Dynast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6-09-17
[20]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2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2]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2006
[23]
서적
The Diary of a Manchu Soldi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My Service in the Army", by Dzengse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1-24
[24]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1-05
[25]
서적
China's Conquest of Taiw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Victory at Full Mo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ingapore
2017-08-05
[26]
서적
Johns Hopkins University Studies in Historical and Political Science: Extra volumes
https://books.google[...]
[27]
서적
The Government of China, 1644-1911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67-05
[28]
서적
Asia Inside Out: Changing Tim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1-05
[29]
서적
Forbidden Nation: A History of Taiwan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12-15
[30]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Norton
[31]
서적
Battle: A Visual Journey Through 5,000 Years of Combat
https://books.google[...]
DK Pub.
[32]
서적
The Heritage of Han: The Gelaohui and the 1911 Revolution in Sichu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owa.
[33]
서적
The Unsullied Dynasty & the Kʻang-hsi Emperor
https://books.google[...]
Mark One Printing
[34]
서적
Russia and China: their diplomatic relations to 1728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A Documentary Chronicle of Sino-Western Relations, 1644–1820: Translated texts
https://books.google[...]
Published for the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by th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36]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37]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38]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39]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0]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1]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2]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3]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4]
서적
清帝国の繁栄
中公文庫
[45]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6]
서적
(서적 제목을 알 수 없음)
[47]
논문
太平天国の武昌占領とその影響
https://doi.org/10.3[...]
2022-03-11
[48]
서적
배신자의 중국사
작가정신
[49]
논문
康熙帝對韓國政策透析
http://ishare.iask.s[...]
2016-06-03
[50]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51]
서적
중국역사이야기 4
일송북
[52]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53]
서적
동양의 역사와 문화
국학자료원
[54]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55]
기타
[56]
서적
이야기 중국사 3
[57]
서적
배신자의 중국사
작가정신
[58]
서적
중국역사이야기 4
일송북
[59]
서적
강희원전-수신제가
시아출판사
[60]
서적
화경 숙빈 최씨
케이엔제이
[61]
서적
화경 숙빈 최씨
케이엔제이
[62]
기타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