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할머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신할머니는 한국 무속 신앙에서 아이의 출생과 성장을 관장하는 여신이다. '삼'은 임신을, '신'은 신을, '할머니'는 존경받는 여신을 의미하며, 삼신, 또는 삼신할머니로 불린다.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7세까지 보호하며, 안방을 삼신할머니의 영역으로 여겨 숭배한다. 출산과 생일, 명절에 제사를 지내고, 삼신단지에 쌀을 채워 보관하며, 임신을 기원하는 의례를 행하기도 한다. 구전 설화에서는 최초의 무당인 당금아기의 딸로 묘사되며, 여성 중심적인 한국 무속 신앙의 특징을 보여준다. 삼신할머니는 다양한 드라마와 만화 등 대중문화 콘텐츠에서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민간신앙 - 솟대
솟대는 농촌에서 풍년을 기원하고 마을을 수호하며 경계를 나타내는 장대로, 장대 끝에 새를 올려 마을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으며, 새는 천상계와 마을 주민을 연결하는 전령으로 여겨졌다. - 한국 민간신앙 - 무속신앙
무속신앙은 한국의 전통적인 샤머니즘으로 무당을 통해 신령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며 굿과 같은 의식을 행하고, 한국 민간 신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삼여신 - 고르고
고르고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세 자매 괴물로, 메두사는 뱀의 머리카락과 흉측한 외모를 지녔으며, 그녀의 시선을 마주한 자는 돌로 변하고, 영웅 페르세우스는 아테나의 도움을 받아 메두사를 처치한다. - 삼여신 - 모이라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세 명의 그리스 운명의 여신인 모이라는 삶의 몫, 운, 죽음 등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다른 문화권의 운명의 여신들과 유사하게 예술과 문학 작품에 다양하게 묘사된다. - 한국의 여신 - 조왕신
조왕신은 한국 전통 신앙에서 부엌을 지키며 가정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신으로, 농업 사회에서 풍흉을 좌우하는 존재로 여겨져 숭배되었고, 현대에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 한국의 여신 - 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은 제주도의 창조와 지형 형성에 관련된 거대한 여신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치마에 흙을 담아 제주도와 오름을 만들었다는 전설과 함께 여러 죽음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
| 삼신할머니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한국 신화의 신 |
| 성별 | 여성 |
| 역할 | 출산, 육아, 생명 |
| 관련 문화 | 한국 무속 |
| 명칭 | |
| 한국어 (표준어) | 삼신할머니 |
| 한자 | 三神 할머니 |
| 로마자 표기 | Samsin Halmeoni |
| 제주어 | 삼승할망 |
2. 명칭
삼신할머니의 '삼'은 한국어로 포태(胞胎)를 뜻한다.[10] '삼'의 음가법이 '三'이었기에 숫자 3과도 관련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삼신은 존경받는 조상신에게 붙이는 칭호로, 현명한 노파 여신으로 형상화된다. 삼신을 삼신할머니 또는 그냥 삼신이라고 부르면, 이들은 한국 무속 신앙에서 출산의 여신으로 여겨진다.[11] 삼신봉으로 알려진 한국의 한 산은 삼신할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일곱 살이 될 때까지 보호하며, 이후에는 북두칠성의 신이 아이를 보호한다고 여겨진다.[3] 모든 마을과 집에는 출산을 담당하는 삼신이 있었다. 오늘날에도 한국인들은 안방의 가장 따뜻한 부분이 삼신할머니의 영역이라고 믿으며, 삼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기도를 올리는 의식이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3]
'삼(Sam)'은 한국어로 "임신"을 의미하며,[1] '신(sin)' 또는 '신(shin)'은 신(god/goddes)을 뜻한다. '할머니(halmeoni)'는 존경받는 조상 여신에게 붙여지는 칭호로 현명한 노파 여신을 의미한다.[2]
3. 숭배와 신앙
3. 1. 삼신단지와 제사
삼신할머니는 삼신단지[11]나 안방의 따뜻한 자리에 있다고 여겨졌다. 삼신단지에는 쌀을 채우고 종이로 덮은 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매듭을 묶어 봉했다. 그러나 어떤 집안에서는 삼신을 공경하는 행위인 건궁 삼신을 마음속으로만 행하기도 했다. 집안의 명절이나 생일 잔치 때, 그리고 출산 후 3일, 7일, 37일에 삼신 할머니에게 제사와 함께 예우를 바쳤다.[11]
출산과 생일 잔치에서 삼신 할머니에게 쌀, 간장, 술을 저녁 식사 형태로 공양했다.[13] 산후 3일과 7일이 되면 산모의 속옷을 개어 안방 삼신에 놓고 그 위에 작은 제단을 차려 아이의 무병장수를 기원했다.[12]
집안 여성이 임신했거나 출산했을 때 삼신단지가 보관되어 있던 방을 밧줄로 봉하여 삼신할머니의 강인한 힘을 상징하였다. 출산 후에는 출생을 상징하는, 묶인 것을 여는 행운의 행사를 표시하고 어머니와 새 아기를 위협할 수 있는 악령을 물리치기 위해 집 밖에 밧줄을 걸었다. 삼신할머니 신앙은 제주도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11]
임신을 하기 위해서는 막 출산한 산모에게 삼신밥을 나누어 먹거나, 안방에서 삼신에게 기도를 하거나, 관에 닿은 천을 입었다.[13]
3. 2. 임신 기원
아이를 갖기 위해, 아이가 없는 여성은 최근 출산한 산모와 삼신 밥상을 나누거나, 안방에서 삼신에게 기도하거나, 관에 닿았던 천을 입기도 했다.[13][4]
4. 신화
삼신에서 '삼'은 한국어로 포태(胞胎)를 뜻하며,[10] 음가법이 三이었기에 숫자 3과도 관련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삼신은 존경받는 조상신의 칭호로 현명한 노파 여신으로 형상화된다. 삼신할머니 또는 삼신으로 불리며, 한국 샤머니즘의 신[11]으로 여겨진다. 삼신봉은 삼신할머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1. 여성 중심의 신화
구전 설화에서 삼신할머니는 최초의 무당이 된 처녀 하늘 여신의 딸로, 이름은 ''당금아기''였다.[3] 그녀는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와 동굴에서 삼신을 낳았는데, 이는 곰 숭배와 한국 무속 신앙을 의미한다.[4] 이후 남성 중심의 불교가 한국에 들어오면서 당금아기는 세 아들을 낳아 불교의 천상 신이 되었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3]삼신할머니는 이후 지구에 최초의 인간을 창조하고 낳아 모든 인간의 어머니 여신이자 조상이 되었다.[3]
삼신 신화에서, 동해 용궁의 악의적인 공주와 명진국의 상냥한 공주라는 두 주인공 모두 여성인데, 이는 고대 신화가 여성 중심의 한국 무속 신앙과 관련이 있음을 강조한다.
5. 한국 사회와 삼신할머니
삼신할머니는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7세가 될 때까지 아이를 보호하며, 이후에는 북두칠성의 신이 아이를 보호한다고 여겨진다.[3]
모든 마을과 집에는 출산을 담당하는 삼신이 있었다. 오늘날에도 한국인들은 안방의 가장 따뜻한 부분이 삼신할머니의 영역이라고 믿으며, 삼신에게 제사를 지내고 기도를 올리는 의식이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3]
삼신할머니는 출산 시와 생일 잔치 때 밥, 간장, 술을 차려놓고 숭배를 받았다.[4] 출산 후 3일과 7일째 되는 날에는 산모의 속옷을 접어 안방의 삼신 구역에 놓고 작은 제단을 차려 아이의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기도를 올렸다.[3]
삼신할머니 또는 삼신은 집 안채[2] 또는 안방의 따뜻한 부분에 보관된 옹기인 ''삼신 단지''를 방문한다고 전해진다. 이 단지에는 쌀을 채우고 종이로 덮은 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매듭을 묶어 봉했다. 하지만 일부 가정에서는 삼신을 공경하는 행위인 ''건궁 삼신''을 마음속으로만 행하기도 했다. 삼신할머니는 집안의 모든 명절이나 생일 축하 행사 때, 그리고 출산 후 3일, 7일, 37일째에 제사를 통해 공경받았다.
집안의 여성이 임신했거나 출산을 했을 경우, ''삼신 단지''가 보관된 방은 밧줄로 봉했는데, 이는 삼신할머니의 강력한 힘을 상징하고 가두기 위함이었다. 출산 후에는 집 밖에 밧줄을 걸어 "묶인 것을 푼" 행운의 사건, 즉 탄생을 기념하고 어머니와 갓 태어난 아기를 위협할 수 있는 악령을 물리치는 것을 상징했다. 삼신할머니에 대한 믿음은 제주도에서 가장 강하다.[2]
아이를 갖기 위해, 아이가 없는 여성은 최근 출산한 산모와 삼신 밥상을 나누거나, 안방 구역에서 삼신에게 기도하거나, 관에 닿았던 천을 착용하기도 했다.[4]
6. 대중문화 속 삼신할머니
- 2010년 SBS 드라마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에서 김지영이 카메오로 출연했다.
- 2012년 KBS2 월화 드라마 《울랄라 부부》에서 김수미가 카메오로 출연했다.[5]
- 2016–2017년 tvN 금토 드라마 《도깨비》에서 이엘이 연기했다.[6]
- 2020년 JTBC 수목 드라마 《쌍갑포차》에서 오영실이 연기했다.[7]
- 2021년 SBS 월화 드라마 《홍천기》에서 문숙이 연기했다.[8]
- 2022년 MBC 드라마 《금수저》에서 송옥숙이 연기했다.[9]
- ASSAM, Orang, Hwajeong, Hyeong Sangjun의 카카오페이지 만화 《저승식당》 2화에서 3명의 여성으로 묘사된다.
참조
[1]
저널
삼신 (三神)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2
[2]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2-09-24
[3]
서적
Shamanism and Northern Ecolog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6
[4]
서적
Encyclopedia of Goddesses and Heroines
https://books.google[...]
New World Library
2014
[5]
뉴스
김수미 '울랄라부부' 카메오 출연, 신현준과 의리
http://sports.chosun[...]
[6]
웹사이트
'Goblin' actor Lee El reveals what it's like to play an old lady in the drama
http://www.allkpop.c[...]
6Theory Media LLC
2016-12-21
[7]
웹사이트
'쌍갑포차' 황정음의 한풀이, 왜 하필 10만 명? 전생 어땠길래
http://news.jtbc.joi[...]
2020-05-19
[8]
웹사이트
홍천기' 문숙 삼신 첫등장 강렬, 김유정♥안효섭 운명 엮었다 [결정적장면]
https://entertain.na[...]
2021-08-31
[9]
웹사이트
'금수저' 육성재 이종원 정채연 연우, 개성 넘치는 대본리딩 현장
https://entertain.na[...]
Newsen
2022-08-11
[10]
저널
삼신 (三神)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11]
웹인용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
Terms.naver.com
2012-09-24
[12]
서적
Shamanism and Northern Ecology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6
[13]
서적
Encyclopedia of Goddesses and Heroines
https://books.google[...]
New World Library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