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학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학사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끝까지 항전할 것을 주장하다가 인조가 홍타이지에게 항복한 후 척화신으로 심양에서 처형된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일컫는다. 그들은 주자학에 기반한 충군애국 사상과 명나라 숭모 사상을 따랐다. 청나라 태종은 삼학사의 굳은 절개를 기려 심양에 사당과 석비를 세웠으며, 남한산성에는 삼학사를 모신 현절사가 있어 매년 제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병자호란 - 정축하성
    정축하성은 1636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청나라에 맞서 남한산성에서 항전했으나 청군의 빠른 진격과 보급 부족으로 인조가 항복을 결정하며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이 된 사건이다.
  • 병자호란 - 최종병기 활
    김한민 감독의 영화 《최종병기 활》은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역적 가문의 아들 남이가 청나라 군에 잡혀간 여동생을 구하기 위해 활을 들고 추격하는 이야기이며, 류승룡의 열연과 액션 연출로 흥행에 성공했다.
  • 조선의 대외 관계 - 조로 수호 통상 조약
    조로 수호 통상 조약은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의 조선 진출 확대와 청나라의 견제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러시아의 공사 파견을 허용하고 을사늑약 이후에도 효력을 유지했으나, 조선의 취약한 국제적 위상과 대한제국의 비극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 조선의 대외 관계 - 조이 수호 통상 조약
    조이 수호 통상 조약은 1884년 조선과 이탈리아 간에 체결된 13개 조항의 불평등 조약으로, 이탈리아 공사 파견을 허용했으나 실제로는 중국 상하이 총영사가 대행했고, 1905년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되어 조약 내용과 효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 병자호란 관련자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병자호란 관련자 - 김만중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소설가인 김만중은 명문 양반 가문 출신으로, 암행어사, 공조 판서, 대사헌, 대제학 등 요직을 역임하며 숙종의 궁녀 장씨 총애를 비판하다 유배 생활을 했고, 어머니를 위해 지은 『구운몽』과 『사씨남정기』를 비롯한 저서를 통해 국어 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주자학적 세계관과 불교적 사상을 융합한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삼학사
삼학사
삼학사
삼학사의 초상화
기본 정보
국적조선
활동 분야정치가, 학자
주요 인물
구성원오달제
윤집
홍익한
생애
시대적 배경병자호란 이후
주요 활동청나라에 대한 척화 주장
최후청나라에서 처형
관련 인물
관련 인물김상헌
최명길
이시방
정온
원두표
조경
장유
황일호
기념 및 추모
사당창절사
기타삼학사 묘역

2. 삼학사(三學士)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는 척화론을 펼치다가, 인조가 삼전도에서 홍타이지에게 항복한 후 청나라에 끌려가 심양에서 처형된 세 명의 학사, 즉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일컫는다.[1]

2. 1. 삼학사의 주장과 최후

병자호란 당시, 삼학사는 청나라를 오랑캐로 여기며 끝까지 맞서 싸울 것을 주장하는 주전론을 펼쳤다. 이들의 사상은 전통적인 주자학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임금에 대한 충성과 나라 사랑, 그리고 명나라를 숭상하는 마음이 그 바탕을 이루었다. 홍익한이 쓴 『존주휘편』에는 "선조 대대로 중국번병(藩屛, 제후국)으로서 섬기며, 강대한 봉건제주군에게 한결같이 충성한다"는 구절이 있어 당시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2]

그러나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나라의 홍타이지에게 항복하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삼학사는 청나라에 맞서 싸우자고 주장했던 척화신(斥和臣)으로 지목되어 심양으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끝까지 뜻을 굽히지 않고 처형당하며 순국하였다.[1]

2. 2. 사상적 배경

삼학사의 사상은 전통적인 주자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충군애국 사상과 명나라에 대한 숭모 사상이 그 핵심이었다.[1] 이러한 사상적 배경 때문에 그들은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를 오랑캐로 여기고 끝까지 주전론을 주장했다. 홍익한의 저서 『존주휘편』에는 "열성(列聖)이 서로 이어받아 대대로 나라를 지키고 섬기며, 큰 나라를 섬기는 데 일심으로 한다(선조 대대로 중국번병으로 섬기며, 강대한 봉건제주군에게 한결같이 충성한다)"라는 구절이 있어, 당시 조선 지배층의 대명(對明) 인식을 엿볼 수 있다.[2]

3. 심양의 삼학사 유적비

훗날 청나라의 태종이 된 홍타이지는 삼학사의 굳은 절개를 칭찬하며 심양에 사당과 석비 건립을 명하고, "삼한산두(三韓山斗)"라고 휘호했다고 전해진다.[3] 1932년에 "삼한산두"의 비액이 발견되어 심양의 춘일공원에 삼학사 유적비가 복원되었다.

4. 남한산성 현절사(顯節祠)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남한산성에는 삼학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인 현절사가 있다.[1][4]

4. 1. 현절사의 건립과 의의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남한산성에는 삼학사를 모신 현절사가 있다.[1][4] 이 사당은 1671년 송시열이 『삼학사전』을 저술하여 삼학사의 업적을 기린 것을 계기로 1681년에 건립되었다.[5] 현절사에서는 매년 음력 9월 10일에 제사가 열리며[4], 삼학사의 충절을 기리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

4. 2. 제향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남한산성에는 삼학사를 모신 현절사가 있다.[1][4] 이 사당은 1671년 송시열이 『삼학사전』을 저술하여 삼학사의 업적을 기린 것을 계기로 1681년에 건립되었다.[5] 현절사에서는 매년 음력 9월 10일에 삼학사를 기리는 제사가 열린다.[4]

참조

[1] 웹사이트 観光 南漢山城 http://storyko.net/w[...] ストリコ 2016-10-06
[2] 서적 もしもの近現代史 https://www.google.c[...] 扶桑社 2013-08-31
[3] 논문 忘れられた近代の知識人「金九経」に関する調査 大谷学会
[4] 웹사이트 韓国の遺産、世界の遺産 南漢山城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2016-10-06
[5] 웹사이트 博士学位論文 政治家宋時烈の研究 (要約) http://ir.library.to[...] 東北大学 2016-10-06
[6]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