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마르탱 운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마르탱 운하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한 운하로, 급증하는 인구에 식수를 공급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1802년 나폴레옹 1세의 명령으로 건설되어 1825년에 완공되었다. 위르크 운하와 라 빌레트 저수지를 연결하며, 센 강으로 이어지는 아르스날 항구까지 연결된다. 곡물, 건축 자재 등의 운송에 사용되었으며, 9개의 갑문과 지하 구간을 포함한다. 1970년대 초 고속도로 건설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나 계획이 중단되었으며, 현재는 파리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로,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10구 - 2022년 파리 총격
2022년 파리 총격 사건은 파리 10구의 쿠르드족 시설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으로 3명의 사망자와 3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인종차별적 혐오 범죄로 규정되어 쿠르드 커뮤니티의 불안감 증폭 및 프랑스 정부 대응에 대한 비판, 사회적 인종 갈등 심화 및 혐오 범죄 우려를 야기했다. - 파리 10구 - 2015년 11월 파리 테러
2015년 11월 파리 테러는 이슬람 국가(IS)가 배후를 자처한, 스타드 드 프랑스 인근 자살 폭탄 테러, 파리 시내 총격 및 인질극으로 최소 130명이 사망하고 352명 이상이 부상당한 일련의 테러 공격으로, 프랑스 전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적인 테러 대응 강화를 촉구했다. - 바스티유 광장 - 오페라 바스티유
오페라 바스티유는 프랑스 혁명 200주년을 기념하여 바스티유 광장에 건설된 모더니즘 양식의 오페라 하우스로, 2703석 규모의 객석과 9면 무대를 갖추고 있으며, 파리 국립 오페라의 주요 공연장으로 사용된다. - 바스티유 광장 - 7월 기념비
7월 기념비는 1830년 7월 혁명을 기념하기 위해 루이 필리프 1세의 결정으로 파리 바스티유 광장에 세워진 46.33m 높이의 청동 기둥 기념물로, 혁명 희생자를 기리고 자유를 옹호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조각과 장식, 그리고 빅토르 위고의 소설 《레 미제라블》을 비롯한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기념물이다. - 프랑스의 운하 - 미디 운하
미디 운하는 루이 14세 시대에 건설되어 지중해와 대서양을 잇는 240km의 운하로, 혁신적인 수로 시스템과 구조물들을 통해 토목 공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 프랑스의 운하 - 캉아라메르 운하
생마르탱 운하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생마르탱 운하 |
원래 이름 | Canal Saint-Martin |
위치 | 파리 |
연결 | 우르크 운하와 센강 |
관리 주체 | 파리 시 |
지리 정보 | |
전체 길이 | 4.6 km |
최대 선박 길이 | 40.70 m |
최대 선박 폭 | 7.70 m |
시작점 | 파리 스탈린그라드 광장 (우르크 운하의 빌레트 저수지) |
종점 | 파리 라페 제방 (센강 입구 수문) |
역사 정보 | |
승인 날짜 | 1802년 |
착공 | 알 수 없음 |
개통 | 알 수 없음 |
완공 날짜 | 1825년 |
확장 날짜 | 알 수 없음 |
폐쇄 날짜 | 알 수 없음 |
복원 날짜 | 알 수 없음 |
기술 정보 | |
수문 개수 | 9 |
원래 수문 개수 | 알 수 없음 |
최소 표고 | 알 수 없음 |
최대 표고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이전 이름 | 알 수 없음 |
원래 소유주 | 알 수 없음 |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다른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상태 | 알 수 없음 |
항행 당국 | 알 수 없음 |
지류 | 알 수 없음 |
~의 지류 | 알 수 없음 |
2. 역사
가스파르 드 샤브롤 파리 지사의 제안으로 1802년 나폴레옹 1세가 운하 건설을 명령하여 1825년 완공되었다. 초기에는 파리에 식수와 물품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1960년대 교통량 감소로 고속도로 건설 계획이 있었으나 취소되었고, 현재는 강변이 정비되어 레저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위르크 운하에서 라 빌레트 저수지를 거쳐 센 강의 아르스날 항까지 연결되며, 25m 높이차를 극복하기 위해 9개의 갑문이 설치되어 있다. 운하의 일부는 지하 수로로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1862년에는 리샤르 르누아르 대로가, 1907년에는 쥘 페리 대로가 건설되었다.
운하가 지상으로 나오는 파리 10구에는 발미(강변) 거리와 주마페(강변) 거리가 운하 양쪽에 조성되어 있다. 주마페 쪽에는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1938년 영화 『북 호텔 ''Hôtel du Nord''』의 배경이 된 「북 호텔」이 있으며, 알프레드 시슬리의 그림 소재로도 사용되었다.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가스파르 드 샤브롤 파리 지사는 급증하는 인구를 지원하고 이질, 콜레라와 같은 질병을 예방하며, 분수(기념비적인 바스티유 코끼리)에 물을 공급하고 거리를 청소하기 위해 파리에서 북동쪽으로 100km 떨어진 우르크 강에서 운하를 건설할 것을 제안했다. 1802년 나폴레옹 1세는 운하 건설을 명령했고, 1825년까지 포도주에 대한 새로운 세금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건설이 이루어졌다.[1]운하는 또한 파리에 곡물, 건축 자재 및 기타 상품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운하 보트로 운송되었다. 파리 운하에는 보트를 하역하기 위해 아르세날 항구와 라 빌레트 운하 두 개의 항구가 건설되었다.[1]
2. 2. 운하의 역할
운하는 파리에 곡물, 건축 자재 및 기타 상품을 운하 보트로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파리 운하에는 보트를 하역하기 위해 아르세날 항구와 라 빌레트 운하 두 개의 항구가 건설되었다.[1]1960년대에 이르러 교통량이 줄어들어 운하는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메워지고 포장될 위기에 놓였다.[1]
위르크 운하(fr:Canal de l'Ourcq)에서 이어지는 라 빌레트 저수지와 센 강으로 이어지는 아르스날 항을 연결한다. 1825년에 개통되었으며, 25m의 고저차로 인해 9개의 갑문이 있다. 폭이 좁아 처음에는 파리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운하의 일부는 지하 수로로 되어 있다.[1] 이 지하화로 인해 파리 11구 내에서 교차하는 북쪽 레퓌블리크 대로에서 남쪽 바스티유 광장 남단에 걸쳐 리샤르 르누아르 대로가 1862년에, 11구 북쪽에서 리샤르 르누아르에 연결되는 쥘 페리 대로가 1907년에 생겼다.[1]
운하가 지상으로 드러나는 곳은 파리 10구가 되며, 발미(강변) 거리와 주마페(강변) 거리가 운하 양쪽에 나란히 뻗어 있다. 주마페 쪽에는 유명한 북 호텔(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1938년 영화 『북 호텔 ''Hôtel du Nord''』에 등장)이 있다. 또한, 시슬리 회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1]
생마르탱 운하는 1970년대 초, 4차선 도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사라질 뻔했지만, 곧 이 계획은 중단되었다. 현재는 강변이 정비되어 있다.[1]
2. 3. 현대의 변화
1960년대에 이르러 운하의 교통량이 줄어들면서,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운하를 메우고 포장할 위기에 처했다.[1] 그러나 이 계획은 곧 중단되었다. 현재는 강변이 정비되어 있다. 이 사건은 영화 L'An 01|L'An 01프랑스어에서 언급되고 있다.[1]3. 경로
우르크 운하에서 이어지는 라 빌레트 저수지와 센 강으로 이어지는 아르스날 항을 연결한다. 1825년에 개통되었으며, 25m의 고저차로 인해 9개의 갑문이 있다. 폭이 좁아 처음에는 파리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운하의 일부는 지하 수로로 되어 있다.
운하가 지상으로 드러나는 곳은 파리 10구가 되며, 발미(강변) 거리와 주마페(강변) 거리가 운하 양쪽에 나란히 뻗어 있다. 주마페 쪽에는 유명한 북 호텔(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1938년 영화 『북 호텔』에 등장)이 있다. 또한, 시슬리의 회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생마르탱 운하는 1970년대 초, 4차선 도시 고속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사라질 뻔했지만, 곧 이 계획은 중단되었다. 현재는 강변이 정비되어 있다. 이 에피소드는 영화 『L'An 01|레종 01프랑스어』에서 언급되고 있다.
3. 1. 지하 구간
우르크 운하의 광대한 터미널 유역(바생 드 라 빌레트)에서 운하로 들어가는 입구는 스타린그라드 광장 근처의 이중 갑문에 있다. 센 강을 향해 계속 이어지는 운하는 오른쪽 강둑에는 발미 둑, 왼쪽에는 젭마프 둑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 개의 이중 계단식 갑문을 더 통과한 후 뒤 탕플, 리샤르-르누아르, 바스티유의 세 연속된 "부트"(터널) 아래로 사라져 아르스날 항구로 나오는데, 이곳은 파리를 방문하거나 거주하는 보트의 주요 항구이다.4. 관광
오늘날 생마르탱 운하는 파리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다. 운하 주변에는 레스토랑과 바가 많아 학생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4. 1. 주변 명소
오늘날 생마르탱 운하는 파리 시민과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명소이다. 일부 관광객들은 여객선을 타고 운하 크루즈를 즐긴다. 다른 사람들은 바지선과 다른 배들이 일련의 갑문을 통과하고 매력적인 주철 보도교 아래를 지나는 모습을 구경한다. 운하의 개방된 부분에는 많은 인기 있는 레스토랑과 바가 있으며, 이곳은 학생들에게도 인기가 높다.4. 2. 대중교통
파리 메트로를 이용하여 생마르탱 운하로 접근할 수 있는 역은 다음과 같다: 스타린그라드역, 레퓌블리크역, 공쿠르역, 자크 봉세르장역, 조르역.[1]메트로 2, 5, 7bis호선을 이용해 조레스역에서 하차하면 된다.[1]
5. 문화적 영향
생마르탱 운하는 알프레드 시슬리의 그림과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영화 북 호텔의 배경으로 등장하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970년대에는 운하를 없애고 고속도로를 건설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중단되었고, 현재는 강변이 정비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5. 1. 예술
알프레드 시슬리(1839-1899)와 같은 화가들은 생마르탱 운하에서 영감을 받았다. 오늘날 운하를 따라서는 많은 그래피티 작품들을 볼 수 있으며, 오베르빌리에 거리 104번지에 위치한 옛 시립 장의사 건물('104')의 강변에는 대규모 멀티미디어 예술 공간이 있다.
영화 및 텔레비전
- 1934년 장 비고의 영화 ''라탈랑트''의 배경 중 일부가 운하였다.
- 1938년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영화 ''북 호텔''에 운하가 등장한다.[2]
- 피에르 리샤르와 아니 뒤페레는 영화 ''알프레드의 불행''(1972)의 시작 부분에서 운하에서 자살을 생각하며 서로 만난다.
- 프랑스 경찰 드라마 ''PJ (série télévisée)|PJ프랑스어''는 운하 옆에 위치한 비샤 거리 52번지 건물의 외부 샷을 경찰서 외관으로 사용했다. 차들이 종종 건물에서 빠져나오는 장면이 나왔고, 운하와 인접한 동네는 장면의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 운하는 장피에르 즈네의 유명한 2001년 영화 ''아멜리에''에 등장하며, 주인공이 가장 좋아하는 활동 중 하나인 운하의 갑문에서 물수제비 뜨기를 즐기는 장면이 나온다.[3]
- 2018년 영화 ''미션: 폴아웃''에서 이단 헌트와 그의 팀이 탈출 경로로 운하를 사용했다.
- 운하는 2023년 영화 ''존 윅 4''에서 존 윅이 생 튈스타슈 교회에 더 가까이 가기 위한 경로로 사용했다.
- 2024년 영화 파리: 언더 워터에 운하가 사용되었다.
음악
- 에디트 피아프는 1936년 뱅상 스코토와 데케가 작사하고, 메딩거가 작곡한 "레 모므 드 라 클로슈"라는 노래에서 운하에 대해 노래한다.
- 커티너스의 "The Dilettante"라는 곡은 운하를 언급하며, 그 주변의 쾌적한 분위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문학
- 조르주 심농의 소설 ''메그레와 머리 없는 시체 (메그레와 시체)''는 운하와 그 주변을 배경으로 한다.
5. 2. 영화 및 텔레비전
- 1934년 장 비고의 영화 ''라탈랑트''의 배경 중 일부가 운하였다.
- 1938년 마르셀 카르네 감독의 영화 ''북 호텔''에 운하가 등장한다.[2]
- 피에르 리샤르와 아니 뒤페레는 영화 ''알프레드의 불행''(1972)의 시작 부분에서 운하에서 자살을 생각하며 서로 만난다.
- 프랑스 경찰 드라마 ''PJ (série télévisée)|PJ (TV series)프랑스어''는 운하 옆에 위치한 52번 비샤 거리 건물의 외부 샷을 경찰서의 외관으로 사용했다. 차들이 종종 건물에서 빠져나오는 장면이 나왔고, 운하와 인접한 동네는 장면의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 운하는 장피에르 즈네의 유명한 2001년 영화, 영어로 ''아멜리에''로 알려진 영화에 등장하며, 주인공이 가장 좋아하는 활동 중 하나인 운하의 갑문에서 물수제비 뜨기를 즐기는 장면이 나온다.[3]
- 2018년 영화 ''미션: 폴아웃''에서 이단 헌트와 그의 팀이 탈출 경로로 운하를 사용했다.
- 운하는 2023년 영화 ''존 윅 4''에서 존 윅이 생 튈스타슈 교회에 더 가까이 가기 위한 경로로 사용했다.
- 2024년 영화 파리: 언더 워터에 운하가 사용되었다.
5. 3. 문학
조르주 심농의 소설 ''메그레와 머리 없는 시체''는 생마르탱 운하와 그 주변을 배경으로 한다.5. 4. 음악
에디트 피아프는 1936년 뱅상 스코토와 데케가 작사하고, 메딩거가 작곡한 "레 모므 드 라 클로슈"라는 노래에서 운하에 대해 노래했다.[2] 커티너스의 "The Dilettante"라는 곡은 운하를 언급하며, 그 주변의 쾌적한 분위기에 대해 이야기한다.6. 갤러리
참조
[1]
서적
Inland Waterways of France
Imray
[2]
문서
However, the film was shot in the studios of Boulogne-Billancourt where the scenery of the canal was rebuilt by Alexandre Trauner.
[3]
뉴스
The Guardian review, 15 August 2001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1-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