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물 다양성 핫스팟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물다양성 핫스팟은 생물학적 다양성이 풍부하고 멸종 위기에 처한 지역을 의미하며, 지구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6개의 핫스팟이 전 세계에 분포하며, 주로 열대 지역에 위치한다. 보전 노력을 위해 핵심 생태계 파트너십 기금, 세계자연기금,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등 다양한 국제 기구들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종 다양성, 생태계 서비스, 비용, 계통 분류학적 다양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다양성 - 맹그로브
    맹그로브는 열대 및 아열대 해안가 기수역 염성 습지에 형성되는 삼림 생태계를 이루는 나무와 관목 또는 서식지 전체를 뜻하며,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 제공, 탄소 저장, 극한 환경 적응, 태생 종자를 통한 번식 등의 특징을 갖지만, 숲 파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다양성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BCH)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 관리를 위한 국제 정보 교환 플랫폼으로, LMO 관련 정보 제공, 개발도상국 지원, 국제 의무 이행, 다국어 지원,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생물 다양성 핫스팟
지도 정보
개요
정의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한 지역
핵심 특징높은 고유종 비율
심각한 서식지 손실
조건고유종 식물 1,500종 이상 보유
원래 서식지의 70% 이상 소실
역사 및 개념
최초 제안노먼 마이어스 (환경론자 저널)
최초 개념 제시 년도1988년
중요성 강조서식지 손실과 멸종 위기 증가에 대한 경각심 고취
긴급한 보존 노력 필요성 강조
추가 연구국제보존협회 (CI)
기준 및 분류
식물 고유종 기준고유종 식물 1,500종 이상
서식지 손실 기준원래 서식지의 70% 이상 소실
중요성 평가멸종 위험에 처한 생물종 보존 우선순위 결정
분포
주요 지역열대 우림
지중해 지역
섬 지역
예시마다가스카르
필리핀
남아프리카
브라질 대서양림
카리브해
위협 요인
주요 원인서식지 파괴
과도한 개발
삼림 벌채
농업 확대
기후 변화
결과생물 다양성 감소
멸종 위기종 증가
보존 노력
필요성생물 다양성 손실 억제
멸종 방지
전략보호 구역 설정
서식지 복원
지속 가능한 개발
지역 사회 참여
멸종 위기종 보존
추가 정보
지구상 핫스팟 수36개
중요성지구 생물 다양성 보존에 핵심적 역할
지구 전체 면적의 2.5%에 불과하지만, 지구상 식물의 50%와 척추동물의 43%를 포함
참고 자료
참고 자료인도 생물다양성 핫스팟
핫스팟이 중요한 이유
생물다양성 핫스팟 정의
생물 다양성 핫스팟

2. 생물다양성 핫스팟의 정의 및 중요성

생물다양성 핫스팟은 생물학적으로 매우 풍부하고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지역이지만, 동시에 심각한 멸종 위기에 직면한 지역을 가리킨다. 이러한 지역은 지구 생태계의 건강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생물다양성 핫스팟 보전 노력

생물다양성 핫스팟 전체 면적 중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 여러 국제기구들이 핫스팟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인도의 보상 조림 관리 및 계획 당국(CAMPA)은 산림 파괴를 통제하고자 한다.

3. 1. 국제적인 보전 노력

핵심 생태계 파트너십 기금(CEPF)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식물과 동물 다양성을 가진 지역(생물다양성 핫스팟 등)을 보호하기 위해 비정부기구에 자금과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프로그램이다.[30] 세계자연기금(WWF)은 "세계 200대 생태지역" 시스템을 통해 보존 우선순위 생태지역을 선정하는데, 모든 생물다양성 핫스팟에는 하나 이상의 세계 200대 생태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2종 이상의 고유종 조류가 서식하는 218개의 "고유종 조류 지역"(EBA)을 확인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11,000개 이상의 중요 조류 지역을 지정했다.[10] 식물생명국제는 중요 식물 지역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제로 멸종 연합(AZE)은 멸종 위기에 처한 고유종 보호를 위해 협력하는 과학 기구 및 보존 단체들의 연합체로, 버드라이프의 중요 조류 지역을 포함한 595개 지역을 확인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는 핫스팟의 세계 지도[11]와 각 핫스팟의 멸종위기 동물군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 메타데이터[12]를 작성했으며,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I)에서 이용할 수 있다.[13]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I)은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하는 국제 NGO로, 과학, 파트너십, 현장 실천을 통해 생물다양성 핫스팟 보전에 기여하고 있다.[31]

다음은 주요 국제기구들의 활동 내용이다:

기구명활동 내용
핵심 생태계 파트너십 기금(CEPF)지구환경기금(GEF), 맥아더 재단, 프랑스 개발청(AFD), 일본 재무성, Conservation International영어, 세계은행의 공동 기금으로, 생물다양성 핫스팟 보전을 위해 활동하는 NGO 및 기타 민간 단체에 기부와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30]
컨서베이션 인터내셔널(CI)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목표로 31개국에서 1,000명의 직원이 1,000개 이상의 파트너와 협력하고 있다. 과학, 파트너십, 현장 실천을 통해 생물다양성 핫스팟 보전에 기여한다.[31]
세계자연기금(WWF)글로벌 200 생태지역 지표를 통해 보전 우선순위를 정한다. 생물의 다양성, 고유성, 분류학적 독자성, 특이한 생태적·진화적 현상 및 세계적 희소성에 따라 육상, 담수, 해양 생물로 나누어 보전 우선순위를 정한다.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조류가 2종 이상 있는 지역을 고유종 조류 서식지(EBAs)로 정하고, 전 세계적으로 11,000곳 이상의 주요 조류 서식지(IBA)를 지정하고 있다.[32]
플랜트라이프 인터내셔널중요 식생 지역(IPA)을 정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제로 멸종 연합(AZE)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보호하는 활동을 하는 수백 개의 과학 단체 및 환경 보호 단체로 구성된 기구로,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의 주요 조류 서식지(IBA)를 포함한 595곳을 중요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핫스팟의 [https://web.archive.org/web/20120327075212/http://www.biodiversityhotspots.org/xp/hotspots/Documents/cihotspotmap.pdf 세계 지도]와 각 핫스팟의 멸종 위기 동물 개요가 들어 있는 [https://web.archive.org/web/20120320054336/http://www.biodiversityhotspots.org/xp/hotspots/Documents/hotspots_revisited_2004.zip 생물다양성 핫스팟용 ArcView 셰이프 파일 및 메타데이터]를 제공했다.[33]


4. 전 세계 생물다양성 핫스팟 목록

대부분의 생물다양성은 열대 지방에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핫스팟 또한 열대 지방에 위치한다.[15] 전 세계적으로 36개의 생물다양성 핫스팟이 지정되어 있으며, 이 중 15개는 오래되고, 기후적으로 완충되고, 불모의 풍경(OCBILs)으로 분류된다.[16] 이 지역들은 역사적으로 다른 기후대와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지만, 최근 인간의 상호 작용과 침입으로 인해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OCBILs는 주로 불모의 땅이 이전에 인구를 억제했기 때문에 원주민 집단의 이주와 군사 행동으로 인해 위협을 받아왔다.[17]

생물다양성 핫스팟 내 OCBILs의 보존은 높은 수준의 생물다양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안정적인 계통과 미래에 높은 수준의 종 분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현재 이론 때문에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지역은 비교적 안정적이기 때문에 피난처로 분류될 수 있다.[18]



2000년 마이어스가 정한 지역(녹색), 후에 핫스팟으로 지정된 지역(파란색)
번호지역
1열대 안데스
2메소아메리카
3카리브 제도
4아틀란틱 연안 삼림
5툼베스-초코-마그달레나
6세라도
7칠레 겨울 강우-발디비아 삼림
8캘리포니아 플로리스틱 프로빈스
9마다가스카르 및 인도양 제도
10동아프리카 연안 삼림
11서아프리카 기니아 삼림
12케이프 플로리스틱 지역
13다육식물 카루
14지중해 분지
15카우카수스
16순달랜드
17인도네시아의 왈라세아
18필리핀
19인도-버마
20중국 남서부 산맥
21서부 가트 및 스리랑카
22서남부 오스트레일리아
23뉴칼레도니아
24뉴질랜드
25폴리네시아-미크로네시아
26마드레안 소나무-참나무 삼림
27마푸탈란드-폰돌란드-앨버니
28동아프리카 고산 지대
29아프리카 뿔
30이란-아나톨리아
31중앙아시아 산맥
32동부 히말라야
33일본
34동 멜라네시아 제도
35동부 오스트레일리아 온대림
36북아메리카 해안 평야


4. 1. 북아메리카 및 중앙아메리카


  • 캘리포니아 플로리스틱 프로빈스 (8)
  • 마드레안 소나무-참나무 삼림 (26)
  • 메소아메리카 (2)
  • 북아메리카 해안 평야 (36)[19][20]

4. 2. 카리브해

카리브 제도는 생물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이다.[14]

4. 3. 남아메리카


  • 아틀란틱 연안 삼림 (4)
  • 세라도 (6)
  • 칠레 겨울 강우-발디비아 삼림 (7)
  • 툼베스-초코-마그달레나 (5)
  • 열대 안데스 (1)[14]

4. 4. 유럽

지중해 분지[14]

4. 5. 아프리카


  • 케이프 플로리스틱 지역 (12)
  • 동아프리카 연안 삼림 (10)
  • 동아프리카 고산 지대 (28)
  • 서아프리카 기니아 삼림 (11)
  • 아프리카 뿔 (29)
  • 마다가스카르 및 인도양 제도 (9)
  • 마푸탈란드-폰돌란드-앨버니 (27)
  • 다육식물 카루 (13)

4. 6.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 산맥은 생물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이다.[14]

4. 7. 남아시아

동부 히말라야 (32), 인도-버마(방글라데시, 인도 및 미얀마 포함) (19), 서부 가트 및 스리랑카 (21)

4. 8. 동남아시아 및 아시아 태평양


  • 동 멜라네시아 제도 (34)[14]
  • 뉴칼레도니아 (23)[14]
  • 뉴질랜드 (24)[14]
  • 필리핀 (18)[14]
  • 폴리네시아-미크로네시아 (25)[14]
  • 동부 오스트레일리아 온대림 (35)[14]
  • 서남부 오스트레일리아 (22)[14]
  • 순달랜드, 인도네시아 및 인도의 니코바르 제도 (16)[14]
  • 인도네시아의 왈라세아 (17)[14]

4. 9. 동아시아

일본과 중국 남서부 산맥은 생물 다양성 핫스팟에 해당한다.[14]

4. 10. 서아시아

카우카수스 (15)

이란-아나톨리아 (30)

5. 생물다양성 핫스팟에 대한 비판

생물다양성 핫스팟 접근법은 보전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유용하지만, 몇 가지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카레이바와 마비에(Kareiva & Marvier, 2003)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 비용[22]과 계통 분류학적 다양성[23]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21]

또한, 종 다양성에 대한 다른 체계, 관속식물 이외의 분류군, 소규모 핫스팟, 상황 변화, 생태계 서비스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다.[34]

최근 논문에서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 비용 개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35] 핫스팟 선정 목적은 보호 우선순위를 정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지만, 현재는 선진국개발도상국을 동일하게 분류하고 있다.

5. 1. 비판 내용

생물다양성 핫스팟 접근법은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일부 비판도 받고 있다. 카레이바와 마비에(Kareiva & Marvier, 2003)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했다.[21][34]

  • 종 다양성에 대한 포괄적인 고려 부족: 핫스팟이 모든 생물 종의 다양성을 고려하는지, 아니면 멸종 위기종에만 집중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 관속식물 외 분류군에 대한 고려 부족: 척추동물이나 균류 등 다른 생물군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 소규모 핫스팟 보호 미흡: 규모가 작은 핫스팟은 보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 상황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핫스팟은 과거 생물종 손실 지역을 대상으로 하지만, 현재도 생물종 손실이 진행 중인 지역을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마존 분지처럼 과거에는 보존 상태가 좋았지만 현재는 생물종 손실이 심각한 지역도 있다.
  • 생태계 서비스계통학적 다양성 고려 부족: 핫스팟 선정 시 생태계 서비스나 계통학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최근 연구에서도 생물다양성 핫스팟(및 다른 보호 지역 설정)이 비용 개념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35] 핫스팟 선정의 목적은 단순히 생물 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찾는 것이 아니라, 보호 우선순위를 정하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핫스팟은 캘리포니아 식물상 지역과 같은 선진국 지역과 마다가스카르와 같은 개발도상국 지역을 동일하게 취급한다. 국가 규모나 중요도에 따라 보호 비용은 크게 달라질 수 있지만, 생물다양성 핫스팟은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보호 중요도를 조정하지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in India http://www.bsienvis.[...]
[2] 웹사이트 Why Hotspots Matter http://www.conservat[...]
[3] 논문 Threatened biotas: "Hot spots" in tropical forests
[4] 논문 The Environmentalist
[5] 서적 Hotspots: Earth's Biologically Richest and Most Endangered Terrestrial Ecoregio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6]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https://www.nature.c[...]
[7]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defined https://www.cepf.net[...] Conservation International 2020-08-10
[8]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https://www.e-educat[...]
[9] 논문 Habitat Loss and Extinction in the Hotspots of Biodiversity 2002-08-00
[10] 웹사이트 重要野鳥生息地 http://www.birdlife.[...]
[11] 웹사이트 Conservation International http://www.biodivers[...] The Biodiversity Hotspots 2010-10-07
[12] 웹사이트 Conservation International http://www.biodivers[...] The Biodiversity Hotspots 2010-10-07
[13] 웹사이트 Resources http://www.biodivers[...] Biodiversityhotspots.org 2010-10-07
[14]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https://www.e-educat[...] John A. Dutton e-Education Institute, College of Earth and Mineral Science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22-08-03
[15] 논문 The evolution of a tropical biodiversity hotspot 2020-12-11
[16] 웹사이트 OCBIL theory examined: reassessing evolu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in the world's ancient, climatically buffered and infertile landscapes https://academic.oup[...] 2023-03-23
[17]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and Ocbil theory 2016-06-01
[18] 논문 OCBIL theory: toward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on old, climatically buffered, infertile landscapes 2009-09-01
[19] 웹사이트 North American Coastal Plain https://www.cepf.net[...] Critical Ecosystem Partnership Fund 2019-02-07
[20] 논문 How global biodiversity hotspots may go unrecognized: lessons from the North American Coastal Plain http://repository.li[...]
[21] 논문 Conserving Biodiversity Coldspots: Recent calls to direct conservation funding to the world's biodiversity hotspots may be bad investment advice https://www.jstor.or[...] 2022-05-10
[22] 논문 Turning up the heat on hotspots 2005-08-00
[23] 논문 Spatial incongruence among hotspots and complementary areas of tree diversity in southern Africa
[24] 문서 仮邦題
[25] 논문 The Environmentalist
[26] 논문 The Environmentalist
[27] 서적 Hotspots: Earth’s Biologically Richest and Most Endangered Terrestrial Ecoregions
[28] 서적 Hotspots: Earth's Biologically Richest and Most Endangered Terrestrial Ecoregions Conservation International
[29] 논문 Nature
[30] 웹사이트 The Critical Ecosystem Partnership Fund http://www.cepf.net/[...]
[31] 웹사이트 About Conservation International http://www.conservat[...] 2016-03-24
[32] 웹사이트 重要野鳥生息地 http://www.birdlife.[...]
[33] 웹사이트 BIODIVERSITY HOTSPOTS Resources http://www.biodivers[...] Conservation International
[34] 논문 Conserving Biodiversity Coldspots
[35] 논문 Turning up the heat on hotspots
[36] 저널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https://www.natur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