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마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마흐는 고대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였던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적인 도시이다. 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경제적, 문화적으로 번영했으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1859년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된 후 바쿠로 수도가 이전되면서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카펫 생산 등 문화적 유산을 간직하고 있다. 현재는 아제르바이잔의 지역 중심지이며, 터키의 으디르, 이스라엘의 티라트 카르멜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도시 - 제이쿠로바
    제이쿠로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없어 정의하거나 설명할 수 없는 대상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도시 - 바쿠
    바쿠는 카스피해 서해안에 위치한 아제르바이잔의 수도이며, 석유 산업으로 번영을 누렸고 역사적 건축물과 현대적인 건축물이 공존하며 2000년 구시가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샤마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시 유형도시
원어 이름Şamaxı
로마자 표기Şamaxı
샤마흐 2019년 몽타주
샤마흐 2019년 몽타주
일반 정보
국가아제르바이잔
행정 구역샤마흐
면적6 km²
해발 고도709 m
시간대AZT
UTC 오프셋+4
지역 번호+994 2026
인구 통계
인구 (2010년)31,704명

2. 역사

샤마흐는 고대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중세를 거쳐 19세기까지 다양한 세력의 지배를 받으며 파란만장한 역사를 겪었다.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카마키아'로 처음 언급된 샤마흐는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였다. 12세기에는 인도, 중국 및 중앙아시아 도시들과 교류하며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역할을 했다.

사파비 왕조 시대(1500~1501년)에는 시르반 주의 수도였으며, 17세기에는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번성했다. 1721년 샤마흐 약탈 이후 레즈긴족의 공격과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722–1723)을 겪었으며, 나데르 샤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805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으로 시르반 칸국이 러시아에 합병되었고, 1813년 골리스탄 조약으로 샤마흐는 러시아에 귀속되었다. 19세기에는 비단 산업이 쇠퇴하고 1859년 샤마흐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어 바쿠로 주도가 이전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샤마흐는 고대 시대에 연속적인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기원전 1세기에서 2세기에 고대 그리스-로마 이집트의 지리학자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처음 '카마키아'로 언급되었다. 샤마흐는 중세 시대에 중요한 도시였으며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 역할을 했다.[3]

12세기에 샤마흐는 인도 및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유지했으며, 도기 용기 발굴을 통해 샤마흐가 비슷한 시기에 중앙아시아 도시들과도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된 구리 동전, 중국에서 생산된 도자기 용기, 국제 무역을 위한 대상 숙소는 고대 샤마흐가 실크로드에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증명한다.[3]

가톨릭 수도사이자 선교사, 탐험가인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는 몽골 대칸의 궁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을 거쳐갔다.[4] 1476년 베네치아 외교관 조사파트 바르바로는 "이 [사마치]는 좋은 도시입니다. 4천에서 5천 채의 가옥이 있으며, 비단, 면화 및 전통에 따라 다른 것들을 생산합니다."라고 도시를 묘사했다.[5]

1500~1501년에는 사파비 왕조에 의해 점령되었다. 초대 사파비 왕조 통치자인 이스마일 1세가 이 지역을 정복한 후, 파루크 야사르의 후손들이 사파비의 종주권 아래 샤마흐와 시르반의 나머지 지역을 통치하도록 허용했다. 이는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타흐마스프 1세(재위 1524~1576)가 1538년 이 지역을 완전한 사파비 주(province)로 만들고 첫 번째 사파비 총독을 임명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 이후로 샤마흐는 시르반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 1562년 영국인 앤서니 젠킨슨은 "이 도시는 바다에서 낙타를 타고 5일 거리에 있으며, 현재 많이 쇠퇴했습니다. 주로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습니다..."라고 도시를 묘사했다.[6][7]

1607년에 도시를 방문한 카르멜 수도사들에 따르면, 이곳의 인구는 페르시아인과 아르메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적극적으로 무역에 종사했으며, 일반적인 세금 외에도 다른 종교에 공물을 바쳤다.[8] 1637년에 샤마흐를 방문한 아담 올레아리우스는 "그곳의 주민들은 부분적으로 아르메니아인과 조지아인인데,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시르반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전역에서도 흔하고 매우 친숙한 터키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서로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라고 썼다.[9] 오스만 제국 여행가인 에브리야 첼레비는 1647년에 이 도시를 방문하여 묘사했다.[10] 1670년대에 스페인 여행가 페드로 코브로 세바스찬은 샤마흐의 주민들이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이라고 기록했다.[11] 영국의 관광객 존 벨에 따르면 1715년에는 터키어가 이 지역 사람들의 공통 언어였지만, 도시의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를 사용했고 도시에는 많은 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이 살고 있었다.[12] 현지인들은 주로 포도주 양조, 축산업, 카펫 직조에 종사했다. 1721년, 시르반과 다게스탄의 사파비 주에 살던 레즈긴족은 이 지역의 (나머지) 수니파 주민들의 지원을 받아 도시를 약탈했다. 그들은 도시를 약탈하고 기독교인과 외국인(대부분 이 도시의 많은 러시아 상인)의 재산을 빼앗는 것 외에도 수천 명의 시아 주민들을 학살했다.

유명한 아제르바이잔 시인 나시미의 형제 샤칸단의 영묘. 17세기에 건설됨.


러시아군은 1723년 시르반에 처음 진입했는데,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722–1723) 중에 북 코카서스와 트란스 코카서스에 있는 사파비 이란 영토를 침략하면서 반란을 일으킨 레즈긴족이 직전에 샤마흐의 시민들을 공격한 것을 구실로 삼았다. 그러나 그들은 곧 도시에서 철수했고, 1723~35년에 오스만 제국에게 넘겨졌으며, 나데르 샤가 등장하기 전까지 오스만 제국이 점령했다. 1742년 샤마흐는 페르시아의 나데르 샤에게 점령 및 파괴되었고, 이란으로 재병합되었다. 그는 수니파 신조를 가진 주민들을 처벌하기 위해 서쪽, 코카서스 산맥의 주 산맥 기슭에 같은 이름의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새로운 샤마흐는 반독립 칸이 통치하는 시르반 칸국의 거주지였지만 결국 버려졌고, 옛 도시는 재건되었다. 1700년대 중반에 샤마흐의 인구는 약 60,000명이었으며, 그중 대부분은 아르메니아인이었다. 이때는 지진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페르시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였다.[22]

2. 2. 근세

엥겔베르트 켐퍼가 1683년에 그린 샤마흐 삽화 (1734년 출판)


예디 굼베즈 영묘


샤마흐는 중세 시대에 중요한 도시였으며 8세기부터 15세기까지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였다.[3] 12세기에는 인도 및 중국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었으며, 도기 용기 발굴을 통해 중앙 아시아 도시들과도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고학 발굴에서 발견된 구리 동전, 중국산 도자기, 국제 무역을 위한 대상 숙소는 고대 샤마흐가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3]

가톨릭 수도사이자 선교사, 탐험가인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는 몽골 대칸의 궁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곳을 거쳐갔다.[4] 1476년 베네치아 외교관 조사파트 바르바로는 샤마흐를 "4천에서 5천 채의 가옥이 있으며, 비단, 면화 등을 생산하는 좋은 도시"라고 묘사했다.[5]

1500~1501년 사파비 왕조에 점령되었다. 이스마일 1세는 이 지역을 정복한 후 파루크 야사르의 후손들이 사파비의 종주권 아래 샤마흐와 시르반을 통치하도록 허용했다. 이는 타흐마스프 1세가 1538년 이 지역을 완전한 사파비 주(province)로 만들고 첫 사파비 총독을 임명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후 샤마흐는 시르반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 1562년 영국인 앤서니 젠킨슨은 "이 도시는 바다에서 낙타로 5일 거리에 있으며, 현재 많이 쇠퇴했고 주로 아르메니아인들이 거주한다"라고 묘사했다.[6][7]

1607년 카르멜 수도사들에 따르면, 샤마흐 인구는 페르시아인과 아르메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무역에 적극적이었으며, 일반적인 세금 외에도 다른 종교에 공물을 바쳤다.[8] 1637년 아담 올레아리우스는 주민들이 아르메니아인과 조지아인이며,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고 기록했다.[9] 1647년 에브리야 첼레비는 샤마흐에 약 7,000채의 가옥, 26개 구역, 70개의 모스크, 40개의 학교, 7개의 목욕탕, 40개의 대상 숙소가 있다고 묘사했다.[10] 1670년대 스페인 여행가 페드로 코브로 세바스찬은 샤마흐 주민들이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이라고 기록했다.[11] 1715년에는 터키어가 공용어였지만, 도시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를 사용했고 많은 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이 살고 있었다.[12] 현지인들은 주로 포도주 양조, 축산업, 카펫 직조에 종사했다.

1721년, 시르반과 다게스탄의 사파비 주에 살던 레즈긴족은 수니파 주민들의 지원을 받아 도시를 약탈하고, 수천 명의 시아 주민들을 학살했으며, 기독교인과 외국인(대부분 러시아 상인)의 재산을 빼앗았다.

러시아군은 1723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722–1723) 중 샤마흐 시민들을 공격한 레즈긴족을 구실로 시르반에 처음 진입했다. 그러나 곧 도시에서 철수했고, 1723~35년에 오스만 제국에 넘겨졌으며, 나데르 샤 등장 전까지 오스만 제국이 점령했다. 1742년 샤마흐는 페르시아의 나데르 샤에게 점령 및 파괴되었고, 이란으로 재병합되었다. 그는 수니파 주민들을 처벌하기 위해 26km 서쪽 코카서스 산맥 기슭에 같은 이름의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다. 새로운 샤마흐는 시르반 칸국의 거주지였지만 결국 버려졌고, 옛 도시는 재건되었다. 1700년대 중반 샤마흐 인구는 약 60,000명이었으며, 대부분 아르메니아인이었다. 이때는 지진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페르시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였다.[22] 시르반 칸국은 1805년 러시아에 합병되었고, 카자르 이란은 1813년 골리스탄 조약에 따라 도시 주권을 러시아에 영구적으로 양도해야 했다.

1833년 영국 페니 백과사전은 시르반 인구 대부분은 타타르족(투르크족)이며, 아랍인과 페르시아인 혼혈이 일부 있다고 기록했다. 무슬림 외에도 많은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집시가 있었다. 1831년 공식 자료에 따르면 무함마드교도 남성은 62,934명, 아르메니아인 6,375명, 유대인 332명이었다. 시르반에서 가장 흔한 언어는 투르키어였다.[13] 브리태니커는 1873년 샤마흐에 25,087명의 주민이 있었으며, 그중 18,680명은 타타르인과 샤체반족, 5,177명은 아르메니아인, 1,230명은 러시아인이었다고 기록했다. 비단 생산은 주요 생산품이었지만, 1864년 이후 상당히 쇠퇴했다.[14]

샤마흐는 1859년 지진 이전까지 러시아 제국 셰마하 현의 수도였으며, 이후 주도는 바쿠로 이전되었다. 브로크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 (1903)에 따르면 샤마흐 인구는 20,008명(남성 10,450명, 여성 9,558명)이었으며, 그중 3%는 러시아인, 18%는 아르메니아인, 79%는 "아제르바이잔 타타르인"(이후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알려짐)이었다. 종교적으로 인구의 79%는 무슬림(22%는 수니파, 나머지는 시아파)이었고, 21%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와 동방 정교회였다.[15]

2. 3. 19세기 이후

19세기 이후 샤마흐는 여러 중요한 역사적 사건들을 겪었다. 1805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중 시르반 칸국이 러시아에 합병되었고, 카자르 이란은 1813년 골리스탄 조약에 따라 샤마흐에 대한 주권을 러시아에 영구적으로 양도해야 했다.[22]

1833년 영국의 페니 백과사전은 샤마흐를 포함한 시르반 지역의 인구 구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인종 구성종교 구성언어
타타르족(투르크족), 아랍인, 페르시아인 혼혈무슬림 (대다수),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집시터키어 (투르키, 아제르바이잔어)



1831년 공식 자료에 따르면 1717년 다게스탄 고지대 사람들의 약탈로 인해 샤마흐시에는 2,233가구만이 거주했다.[13] 1873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따르면 샤마흐의 인구는 25,087명이었으며, 주요 산업은 비단 생산이었으나 1864년 이후 쇠퇴했다.[14]

1859년 지진으로 샤마흐는 큰 피해를 입었고, 이후 러시아 제국 셰마하 현의 주도는 바쿠로 이전되었다. 브로크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1903년)에 따르면 샤마흐의 인구는 20,008명이었으며, 종교 구성은 무슬림(79%),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및 동방 정교회(21%)였다.[15]

3. 지리

샤마흐는 시르반 중앙부에 위치하며, 해발 749m 높이의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남쪽으로는 종갈라베이 강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피르사차이 강이 흐른다. 북쪽에는 비나슬리 산과 구쉬한 산, 북서쪽에는 피르디라키 산과 처녀 탑-조지아 산, 서쪽에는 메이사리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적인 방어 요새 역할을 한다. 코카서스 산맥 경사면에 위치하여 많은 샘물이 솟아나 도시 주민들과 주변 마을 사람들에게 식수를 공급한다.[3]

3. 1. 위치 및 지형

샤마흐는 코카서스 산맥 남동쪽 기슭, 시르반 중앙부에 위치한다. 해발 749m 높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도시 남쪽에는 종갈라베이 강이, 동쪽에는 피르사차이 강이 흐른다.

샤마흐는 여러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북쪽에는 비나슬리 산과 구쉬한 산, 북서쪽에는 피르디라키 산과 처녀 탑-조지아 산, 서쪽에는 메이사리 산이 있다. 이 산들은 도시를 방어하는 자연적인 요새 역할을 한다.[3] 코카서스 산맥 경사면에 위치하여 많은 샘물이 솟아나 도시 주민들과 주변 마을 사람들에게 식수를 공급한다.[3]

3. 2. 기후

샤마흐는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다른 지역에 비해 습한 편이다. 연중 대부분 강수량이 적절하지만, 여름 두 달은 비교적 건조하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3.74.18.216.421.225.829.828.824.216.710.76.416.3
평균 기온 (°C)-0.10.63.910.815.619.923.722.818.311.16.02.611.3
평균 최저 기온 (°C)-3.0-2.50.86.711.215.418.417.613.78.13.9-0.87.5
강수량 (mm)424573697454211936734940595
평균 강수일수8101289633598788
평균 일조시간103.192.5112.8179.7211.8258.7279.4252.8211.8152.3110.7113.72079.3

[35]

3. 3. 지진

샤마흐는 코카서스 산맥에서 가장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해 있다.

  • 1191년 지진과 1859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1859년 지진은 매우 파괴적이어서 시르반의 수도가 바쿠로 이전되었다.[17]
  • 1667년 지진은 사망자가 8만 명으로 최악의 지진으로 여겨지며, 페르시아 상인들의 보고에 따르면 도시의 3분의 1이 붕괴되었다.[18]
  • 1902년 지진은 10세기의 주마 모스크를 파괴했다.[19]
  • 1872년 지진으로 인해 석유 생산이 산업 규모로 시작된 바쿠로의 이주가 촉발되었다.


샤마흐는 삼중 접합점 근처에 위치해 있다.

4. 인문 환경

샤마흐는 고대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로서 중요한 도시였다. 12세기에는 인도, 중국 및 중앙아시아 도시들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었으며,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 조사파트 바르바로와 같은 탐험가와 외교관들이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4][5]

16세기 초 사파비 왕조에 점령된 이후 시르반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 17세기에는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튀르키예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12] 에브리야 첼레비와 같은 오스만 제국 여행가들은 이 도시에 대해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0] 18세기 초, 레즈긴족의 침략과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722–1723)을 겪었으며, 이후 나데르 샤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8세기 중반 샤마흐의 인구는 약 60,000명이었으며, 그중 대부분은 아르메니아인이었다. 이때는 지진으로 파괴되기 전까지 페르시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도시 중 하나였다.[22]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1859년 샤마흐 지진으로 주도가 바쿠로 이전되기 전까지 셰마하 현의 수도였다.

4. 1. 인구 구성

17세기 초, 카르멜 수도회 선교사들은 샤마흐의 인구가 페르시아인과 아르메니아인으로 구성되었다고 기록했다.[8] 아르메니아인들은 무역에 활발히 참여했으며, 일반적인 세금 외에도 다른 종교에 공물을 바쳤다.[8] 아담 올레아리우스는 1637년 샤마흐를 방문하여 주민들이 아르메니아인과 조지아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들만의 언어를 사용한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시르반과 페르시아 전역에서 널리 쓰이는 튀르키예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9]

1670년대 스페인 여행가 페드로 쿠브로 세바스티안은 샤마흐 주민이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이라고 기록했다.[11] 1715년 영국 여행가 존 벨은 튀르키예어가 이 지역의 공용어였지만, 도시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를 사용했고, 도시에는 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이 많았다고 언급했다.[12]

19세기 초, 샤마흐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 1833년 영국 페니 백과사전은 시르반 인구 대부분이 타타르족(투르크족)이며, 아랍인과 페르시아인이 일부 섞여 있다고 기록했다. 무슬림 외에도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집시가 거주했으며, 시르반에서 가장 흔한 언어는 튀르키예어였다.[13] 1873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샤마흐 인구가 25,087명이며, 그중 18,680명은 타타르인과 샤체반족, 5,177명은 아르메니아인, 1,230명은 러시아인이라고 기록했다.[14]

20세기 초, 브로크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에 따르면 샤마흐 인구는 20,008명(남성 10,450명, 여성 9,558명)이었다. 이 중 3%는 러시아인, 18%는 아르메니아인, 79%는 "아제르바이잔 타타르인"(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인)이었다. 종교적으로는 인구의 79%가 무슬림(22%는 수니파, 나머지는 시아파)이었고, 21%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와 동방 정교회 신자였다.[15]

1917년 ''카프카스키 칼렌다르''에 따르면, 1916년 샤마흐 인구는 27,732명이었으며, 민족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23]

민족비율 (%)
시아파12,52245.12
수니파8,60531.01
아르메니아인4,53416.34
러시아인1,7376.26
북 코카서스인2140.77
유대인1360.49
기타 유럽인40.01
합계27,752100.00


4. 2. 종교

샤마흐는 고대 시대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로서 중요한 도시였다. 12세기에는 인도, 중국, 중앙 아시아 도시들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었으며,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3]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 조사파트 바르바로와 같은 탐험가와 외교관들이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4][5]

16세기 초 사파비 왕조에 점령된 이후 시르반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 17세기에는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터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12] 에브리야 첼레비와 같은 오스만 제국 여행가들은 이 도시에 대해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10] 18세기 초, 레즈긴족의 침략과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722–1723)을 겪었으며, 이후 나데르 샤에 의해 파괴되었다가 재건되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1859년 샤마흐 지진으로 주도가 바쿠로 이전되기 전까지 셰마하 현의 수도였다.

브로크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에 따르면, 20세기 초 샤마흐 인구의 종교 구성은 79%가 무슬림(그중 22%는 수니파, 나머지는 시아파)이었고, 나머지 21%는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와 동방 정교회였다.[15]

샤마흐의 금요 모스크는 도시에서 가장 큰 종교 건물로, 743–744년에 지어져 아제르바이잔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이다.[24][25] 여러 차례 파괴와 재건을 거듭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09년에 재건되었다.[24][25]

5. 문화

샤마흐는 고대부터 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시르반샤 왕국의 수도로서 중요한 도시였다. 12세기에는 인도, 중국 및 중앙 아시아 도시들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었으며,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4], 조사파트 바르바로[5] 등 많은 탐험가와 외교관들이 샤마흐를 방문했다.

16세기부터 사파비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시르반 주의 수도 역할을 했다.[6][7] 17세기에는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활발한 무역 활동을 펼쳤다.[8][9] 에브리야 첼레비[10], 페드로 코브로 세바스찬[11] 등의 기록에 따르면 샤마흐는 번성한 도시였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초, 샤마흐 약탈 사건]]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22] 이후 나데르 샤에 의해 재건되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1859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기 전까지 셰마하 현의 수도였다.

19세기 샤마흐는 샤마흐 무용수들로 유명했다.[28] 또한, 샤마흐의 음악 역사는 무감의 근원지로 여겨질 만큼 오래되었다.[31]

샤마흐 어린이 창작 센터

5. 1. 카펫 직조

역사적으로 샤마흐는 카펫 직조로 유명했으며, 다른 시르반 카펫과 마찬가지로 부타 모티프를 사용한 장식이 주를 이룬다.[16] 시르반 카펫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이스탄불의 터키 및 이슬람 박물관에 소장된 시르반(13세기), 베를린 미술관 동부 지역에 소장된 시르반(15세기), 미국 펜실베이니아 박물관에 소장된 샤마흐(17세기) 카펫 등이 있다.[16]

앤티크 시르반 카펫, 자잠리 마을, 샤마흐-마라자 구역, 아제르바이잔. 19세기 후반. 아제르바이잔 카펫 및 응용 예술 국립 박물관

5. 2. 무용

19세기 샤마흐는 샤마흐 무용수들로 유명했는데, 이들은 타와이프와 마찬가지로 엔터테인먼트 그룹의 주요 무용수였다.[28]

6. 경제

샤마흐는 중세 시대에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12세기에는 인도, 중국 및 중앙아시아 도시들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맺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발견된 구리 동전, 중국산 도자기, 대상 숙소 유적 등은 이를 뒷받침한다.[3]

윌리엄 오브 루브루크[4], 조사파트 바르바로[5] 등 많은 탐험가와 외교관들이 샤마흐의 번영을 기록했다. 1500~1501년 사파비 왕조에 점령된 후, 이스마일 1세는 파루크 야사르의 후손들에게 샤마흐와 시르반 지역 통치를 허용했다. 1538년부터 샤마흐는 시르반 주의 수도가 되었다.

17세기 앤서니 젠킨슨[6][7], 아담 올레아리우스[9], 에브리야 첼레비[10] 등의 기록에 따르면, 샤마흐에는 페르시아인, 아르메니아인, 조지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활발한 상업 활동을 벌였다. 특히 아르메니아인들은 무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8] 18세기 초 존 벨은 터키어가 공용어였지만 도시 엘리트들은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고 기록했다.[12]

1721년 레즈긴족이 샤마흐를 약탈하고 수천 명의 시아 주민들을 학살했다.[13] 이후 러시아 제국이 개입하여 1723년 샤마흐를 점령했다가 오스만 제국에 넘겨주었고, 나데르 샤 시대에 다시 페르시아에 병합되었다. 1805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결과 골리스탄 조약을 통해 샤마흐는 러시아에 영구 합병되었다.

19세기 브로크하우스와 에프론 백과사전[15] 등 자료에 따르면 샤마흐는 비단 산업이 발달했으며, 아르메니아인들이 주도했다.[14] 그러나 1859년 지진으로 바쿠로 주도가 이전되면서 중요성이 감소했다.

21세기 들어 샤마흐는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지역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관한 국가 프로그램"에 따라 생활 수준이 향상되기 시작했다.[3] 샤마흐 카펫 공장, TV 생산 공장 등이 건설되었고, 아즈사만드 미니 자동차 생산 공장 건설에 1000만달러가 투자되었다.[26][27]

7. 교육

샤마흐 인문대학이 있다.

8. 자매 도시

샤마흐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결연을 맺고 있다.

도시국가
으디르Iğdır|으디르tr
티라트 카르멜טִירַת כַּרְמֶל|티라트 카르멜he

[32][33]

9. 주요 인물

이 도시의 저명한 거주자로는 철학자 세이드 야흐야 바쿠비, 시인 세이드 아짐 쉬르바니, 하가니, 미르자 알라크바르 사비르, 무감 가수 알림 가시모프, 야베르 켈렌테르리, 파르가나 가시모바, 배우 아가사디그 가라예베일리, 아바스 미르자 샤리프자데, 건축가 가심 베이 하지바바예보프, 아르메니아 극작가이자 소설가 알렉산드르 시르반자데 등이 있다.[15]

아바스 사하트, 아제르바이잔 문학의 저명한 시인 중 한 명.
--
--
--
--
미르자 알라크바르 사비르, 아제르바이잔 문학의 풍자적 경향의 창시자 중 한 명.


참조

[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2-05-06
[2] 웹사이트 Soumac http://www.metropoli[...] 2014-06-10
[3] 웹사이트 Şamaxı şəhərinin tarixi http://shamakhi-ency[...]
[4] 간행물
[5] 서적 Viaggi fatti da Vinetia, alla Tana, in Persia, in India, et in Costantinopoli: con la descrittione particolare di città, luoghi, siti, costumi et della Porta del gran Turco... https://books.google[...] nelle case de figlivoli di Aldo 1543
[6] 문서 Извѣстiя Англичанъ о Россiи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ѣ XVI вѣка. Переводъ съ Англiйскаго, съ предисловiемъ С. М. Середонина, p. 63
[7] 서적 Voyages and Discoverie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Limited
[8] 서적 Azərbaycan etnoqrafiya toplusu null Azərbaycan SSR EA Nəşriyyatı
[9] 서적 Adam Olearius. Relation du voyage de Adam Olearius en Moscovie, Tartarie et Perse..., vol. 1, traduit de l'allemand par A. de Wicquefort, Paris, 1666, pp. 405–406
[10] 서적 Narrative of Travels, Europe, Asia and Africa 1850
[11] 문서 Willem Floor and Hasan Javadi, The Role of Azerbaijani Turkish in Safavid Iran.
[12] 문서 Willem Floor and Hasan Javadi, The Role of Azerbaijani Turkish in Safavid Iran, стр. 572.
[13] 문서 The Penny Cyclopæ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vol. XI, London, 1833, pp. 174–175.
[14] 문서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1, Philadelphia, 1894, p. 831, article "Shirvan".
[15] 웹사이트 Шемаха / Энциклопедия Брокгауза и Эфрона http://gatchina3000.[...] 2022-02-04
[16] 웹사이트 The Develpoment [sic] of Carpet Weaving in Azerbaijan https://en.azvision.[...] 2020-07-18
[17] 웹사이트 Shamakhy Outlook http://discoverazerb[...] 2014-11-11
[18] 웹사이트 Significant Earthquake Information https://www.ngdc.noa[...] 2024-03-14
[19] 웹사이트 Shamakhi's seismic history http://seismology.az[...] 2014-11-11
[20] 웹사이트 Samax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03-22
[21] 서적 Voyages and Discoveries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Limited
[22] 문서 Shamaki, reckoned the capital of this province, stands on a river which falls into the Caspian sea, and is about sixty-six miles from Derbent towards the south, and ninety-two from Gangea to the south-east. This city was one of the best and most populous of Persia, before it was destroyed by an earthquake. It is, however, supposed to contain near 60,000 inhabitants, chiefly Armenians and strangers, whom the pleasantness of the country and traffic have invited thither George Sale
[23] 서적 Кавказский календарь на 1917 год https://www.prlib.ru[...] Tipografiya kantselyarii Ye.I.V. na Kavkaze, kazenny dom
[24] 뉴스 Azərbaycan Prezidenti Şamaxı şəhərindəki Cümə məscidinin bərpası ilə əlaqədar tədbirlər haqqında sərəncam verib http://az.trend.az/n[...] Trend.az 2014-11-13
[25] 뉴스 Şamaxıdakı Cümə məscidi yenidən qurulur http://anspress.com/[...]
[26] 웹사이트 "Evsen" Group of Companies || Official web site http://www.evsengrou[...]
[27] 웹사이트 Iranian official visits Azerbaijan's Shamakhi city http://en.trend.az/a[...] 2014-11-13
[28] 문서 Ими восхищался Дюма Azeri.ru
[29] 웹사이트 Shamakhi Travel Guide - Tours, Attractions and Things To Do https://www.advantou[...] 2022-02-04
[30] 웹사이트 Tourism in Azerbaijan – Explore Azerbaijan and Cities https://tourism.az/ 2022-02-04
[31] 웹사이트 Azerbaijani mugham's history http://ocaz.eu/en/cu[...] 2014-11-13
[32] 웹사이트 Protocol signed about twin cities – Shamakhi and Igdir http://www.today.az/[...] 2014-11-13
[33] 웹사이트 Azərbaycanın Şamaxı və İsrailin Tirat Karmel şəhərləri qardaşlaşıblar – FOTO https://news.milli.a[...] 2017-09-06
[34] 뉴스 Məhəmməd Hadi http://azerbaijans.c[...] azerbaijans.com
[35] 웹인용 Samaxi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