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을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구 을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옛 선거구이다. 1971년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고,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윤기섭, 이기붕, 최규남, 김산, 윤제술, 홍영기, 김상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을은 1988년에 신설되어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을 관할하며, 임춘원, 장재식, 정두언, 김영호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갑은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정당 후보들이 경합했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4연속 승리했으며, 현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서대문구 을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서대문구 을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서울특별시 |
연도 | 1950년 |
폐지 | 1973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서대문구 고양군 갑 |
이후 선거구 | 서대문구 병 (1971년 분리) 서대문구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서대문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이때 고양군 갑 선거구에 속해있던 은평면 지역도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이때 새로 편입된 은평면 지역도 관할하게 되면서 고양군 갑에 있던 은평면 지역도 관할하게 되었다.2. 2. 일부 지역 분구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다.2. 3. 선거구 폐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 윤기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이기붕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자유당 최규남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당 김산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민정당 윤제술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윤제술 의원의 사임으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는 민중당 홍영기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윤제술 후보가 당선되었다.
-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기섭 | 무소속 | 11,674 | 36.65 |
신흥우 | 무소속 | 6,547 | 20.55 |
이순탁 | 무소속 | 6,119 | 19.21 |
박충진 | 무소속 | 1,975 | 6.20 |
황대벽 | 무소속 | 1,630 | 5.11 |
선우기성 | 대한국민당 | 974 | 3.05 |
이주연 | 무소속 | 676 | 2.12 |
김은배 | 무소속 | 522 | 1.63 |
성승영 | 대한국민당 | 514 | 1.61 |
최생준 | 무소속 | 425 | 1.33 |
오성환 | 민주국민당 | 418 | 1.31 |
이동우 | 무소속 | 376 | 1.18 |
최상은 | 조선민주당 | 0 | 0 |
김현구 | 무소속 | 0 | 0 |
김려식 | 무소속 | 0 | 0 |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기붕 후보가 58.6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김산 후보는 33.25%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김산 | 민주당 | 36,715 | 67.16% | 당선 |
라명균 | 무소속 | 4,416 | 8.07% | |
김두만 | 무소속 | 3,800 | 6.95% | |
한왕균 | 무소속 | 2,383 | 4.35% | |
김재유 | 무소속 | 2,115 | 3.86% | |
엄복만 | 무소속 | 2,097 | 3.83% | |
김재호 | 무소속 | 1,496 | 2.73% | |
정순학 | 사회대중당 | 927 | 1.69% | |
이준희 | 무소속 | 715 | 1.30% | |
총합 | 54,664 | 100% |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제술 | 민정당 | 27,404 | 41.02 |
최규남 | 민주공화당 | 17,544 | 26.26 |
김산 | 자유민주당 | 12,777 | 19.12 |
노지언 | 민주당 | 4,232 | 6.33 |
임춘재 | 국민의당 | 3,047 | 4.56 |
한창열 | 보수당 | 976 | 1.46 |
김병규 | 신민회 | 813 | 1.21 |
합계 | 66,793 | 100 |
4. 6.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윤제술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홍영기 후보가 당선되었다.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윤제술 | 신민당 | 54,416 | 56.15 |
박상운 | 민주공화당 | 31,950 | 32.97 |
홍영기 | 한국독립당 | 6,720 | 6.93 |
구자석 | 통한당 | 1,604 | 1.65 |
심하택 | 대중당 | 917 | 0.94 |
이강백 | 통일사회당 | 720 | 0.74 |
이종혜 | 자민당 | 571 | 0.58 |
조용환 | 자유당 | 0 | 0 |
박형하 | 민중당 | 0 | 0 |
합계 | 96,898 | 100 |
4.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현 | 신민당 | 63,575 | 62.43 |
임택근 | 민주공화당 | 37,210 | 36.54 |
윤형남 | 국민당1971 | 575 | 0.56 |
주만진 | 통일사회당 | 337 | 0.33 |
계성범 | 대중당 | 136 | 0.13 |
합계 | 101,833 | 100.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