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대문구 을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구 을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옛 선거구이다. 1971년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고,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윤기섭, 이기붕, 최규남, 김산, 윤제술, 홍영기, 김상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을은 1988년에 신설되어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을 관할하며, 임춘원, 장재식, 정두언, 김영호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갑은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정당 후보들이 경합했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4연속 승리했으며, 현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서대문구 을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서대문구 을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50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서대문구
고양군 갑
이후 선거구서대문구 병 (1971년 분리)
서대문구
의원수1인

2. 역사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서대문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이때 고양군 갑 선거구에 속해있던 은평면 지역도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 편입되었다.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이때 새로 편입된 은평면 지역도 관할하게 되면서 고양군 갑에 있던 은평면 지역도 관할하게 되었다.

2. 2. 일부 지역 분구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부 지역이 서대문구 병으로 분구되었다.

2. 3. 선거구 폐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합쳐지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 이기붕은 이승만 정권의 2인자였으며, 3.15 부정선거에 연루되어 4.19 혁명으로 몰락했다.
  • 김상현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다음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서 실시된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이다.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윤기섭무소속11,67436.65
신흥우무소속6,54720.55
이순탁무소속6,11919.21
박충진무소속1,9756.20
황대벽무소속1,6305.11
선우기성대한국민당9743.05
이주연무소속6762.12
김은배무소속5221.63
성승영대한국민당5141.61
최생준무소속4251.33
오성환민주국민당4181.31
이동우무소속3761.18
최상은조선민주당00
김현구무소속00
김려식무소속00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이기붕 후보가 58.6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김산 후보는 33.25%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
이기붕자유당12,92358.63
김산민주국민당7,32933.25
나명균무소속1,2785.79
오경환무소속5082.30
합계22,038100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규남자유당22,95156.59
김산민주당16,61740.97
정순학민혁당9872.43
나명균무소속00
합계40,555100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김산민주당36,71567.16%당선
라명균무소속4,4168.07%
김두만무소속3,8006.95%
한왕균무소속2,3834.35%
김재유무소속2,1153.86%
엄복만무소속2,0973.83%
김재호무소속1,4962.73%
정순학사회대중당9271.69%
이준희무소속7151.30%
총합54,664100%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윤제술민정당27,40441.02
최규남민주공화당17,54426.26
김산자유민주당12,77719.12
노지언민주당4,2326.33
임춘재국민의당3,0474.56
한창열보수당9761.46
김병규신민회8131.21
합계66,793100


4. 6.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윤제술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홍영기 후보가 당선되었다.

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윤제술신민당54,41656.15
박상운민주공화당31,95032.97
홍영기한국독립당6,7206.93
구자석통한당1,6041.65
심하택대중당9170.94
이강백통일사회당7200.74
이종혜자민당5710.58
조용환자유당00
박형하민중당00
합계96,898100


4.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상현신민당63,57562.43
임택근민주공화당37,21036.54
윤형남국민당19715750.56
주만진통일사회당3370.33
계성범대중당1360.13
합계101,833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