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구 갑은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은평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정당 후보들이 경합하는 지역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연속 승리하며 지역구 정치 지형이 변화했다. 초대 국회의원은 민주정의당 강성모였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동아가 당선되었다. 현재 관할 구역은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을은 1988년에 신설되어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을 관할하며, 임춘원, 장재식, 정두언, 김영호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갑 (1950년 선거구)
서대문구 갑은 1950년 신설되어 1973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8번의 선거를 통해 김도연과 김재광이 각각 4선, 3선 의원을 지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서대문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선거구 이름 | 서대문구 갑 |
선거구 유형 | 단일 의원 선거구 |
의회 | 국회 |
지역 | 서울특별시 |
선거구 | 서대문구 |
유권자 | 130,042 |
선거구 신설 | 1988년 |
선출 의원 수 | 1명 |
의석 수 | 1석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김동아 |
이전 선거구 | 서대문구·은평구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의회 | 국회 |
연도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서대문구·은평구 |
의원 | 김동아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은평구 선거구에서 분리, 신설되었다.[1] 신설 당시 충정로동, 천연동, 현저동, 북아현동, 대신동, 창천동, 연희동, 홍제동이 서대문구 갑으로, 홍은동, 북가좌동, 남가좌동은 서대문구 을로 분리되었다.[1] 이후 행정동 통합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현재의 관할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1]
서대문구 갑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다.[25]
wikitable
서대문구 갑은 역사적으로 자유주의 정당과 보수주의 정당 후보들이 번갈아 당선되는 경합지역으로 분류되었다.[1] 그러나 최근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연속 승리하며 지역구 정치 지형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2]
초대 국회의원은 민주정의당 강성모 후보(37.04% 득표)였다.[3][4][5]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고,[6] 1996년 재선에도 성공했다.[7] 2000년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가 새천년민주당 우상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8] 2004년 대한민국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우상호 후보가, 2008년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가 다시 승리했다.[3][11][12][13][14]
2012년 선거부터 우상호 후보가 내리 3번 (2016년, 2020년) 당선되었다.[3][15][16][17][18][19][20] 2024년 대한민국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후보가 국민의힘 이용호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22][23][24]
3. 관할 구역
대수 관할 구역 13~15대 서대문구 충정로동, 천연동, 현저동, 북아현1동, 북아현2동, 북아현3동, 대신동, 창천동, 연희1동, 연희2동, 연희3동, 홍제1동, 홍제2동, 홍제4동 16~18대 서대문구 충정로동, 천연동, 북아현1동, 북아현2동, 북아현3동, 대신동, 창천동, 연희1동, 연희2동, 연희3동, 홍제1동, 홍제2동, 홍제4동 19대~ 서대문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
북쪽으로는 서대문 을 선거구, 서쪽으로는 마포 을 선거구, 남쪽으로는 마포 갑 선거구, 동쪽으로는 중·성동 을 선거구와 종로 선거구와 접한다.[25]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의원 비고 1988년 민주정의당 강성모 1992년 민주당 김상현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 2000년 한나라당 이성헌 2004년 열린우리당 우상호 2008년 한나라당 이성헌 2012년 민주통합당 우상호 2016년 더불어민주당 2020년 더불어민주당 2024년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표)
선거 | 정당 | 의원 | |
---|---|---|---|
198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정의당 | 강성모 |
1992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당 | 김상현 |
1996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새정치국민회의 | |
200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한나라당 | 이성헌 |
200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열린우리당 | 우상호 |
2008년 | style="background-color: " | | 한나라당 | 이성헌 |
2012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민주통합당 | 우상호 |
2016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
2020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
2024년 | style="background-color: " | | 더불어민주당 | 김동아 |
5. 역대 선거 결과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민주정의당 | 강성모 | 36,097 | 37.04% | 당선 | |||
통일민주당 | 김상현 | 30,598 | 31.39% | ||||
평화민주당 | 김학민 | 23,054 | 23.65% | ||||
신민주공화당 | 신순원 | 5,621 | 5.76% | ||||
우리정의당 | 오재관 | 1,341 | 1.37% | ||||
무소속 | 고은석 | 736 | 0.75% | ||||
계 | 97,447 | ||||||
무효표 | 0 | ||||||
투표율 | 70.75% | ||||||
유권자수 | 138,825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민주당 | 김상현 | 42,591 | 45.49% | 당선 | |||
민주자유당 | 강성모 | 37,843 | 40.42% | ||||
통일국민당 | 류갑종 | 13,178 | 14.07% | ||||
계 | 93,612 | ||||||
무효표 | 1,177 | ||||||
투표율 | 70.45% | ||||||
유권자수 | 134,548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새정치국민회의 | 김상현 | 29,979 | 40.10% | 당선 | |||
신한국당 | 이성헌 | 29,388 | 39.31% | ||||
민주당 | 박경산 | 8,610 | 11.51% | ||||
자유민주연합 | 이의달 | 5,407 | 7.23% | ||||
무소속 | 고은석 | 1,372 | 1.83% | ||||
계 | 74,756 | ||||||
무효표 | 1,052 | ||||||
투표율 | 59.62% | ||||||
유권자수 | 127,154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한나라당 | 이성헌 | 34,623 | 47.01% | 당선 | |||
새천년민주당 | 우상호 | 33,259 | 45.16% | ||||
민주국민당 | 이동우 | 2,128 | 2.89% | ||||
청년진보당 | 박세증 | 2,029 | 2.76% | ||||
자유민주연합 | 이의달 | 1,604 | 2.18% | ||||
계 | 73,643 | ||||||
무효표 | 630 | ||||||
투표율 | 55.62% | ||||||
유권자수 | 133,530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열린우리당 | 우상호 | 38,795 | 46.06% | 당선 | |||
한나라당 | 이성헌 | 36,896 | 43.81% | ||||
새천년민주당 | 김영호 | 3,893 | 4.62% | ||||
민주노동당 | 정현정 | 3,721 | 4.41% | ||||
자유민주연합 | 박종원 | 529 | 0.62% | ||||
무소속 | 고은석 | 384 | 0.45% | ||||
계 | 84,218 | ||||||
무효표 | 649 | ||||||
투표율 | 63.80% | ||||||
유권자수 | 133,030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한나라당 | 이성헌 | 33,463 | 51.64% | 당선 | |||
통합민주당 | 우상호 | 28,185 | 43.49% | ||||
진보신당 | 정현정 | 2,637 | 4.06% | ||||
평화통일가정당 | 노학우 | 509 | 0.78% | ||||
계 | 64,794 | ||||||
무효표 | 562 | ||||||
투표율 | 48.31% | ||||||
유권자수 | 135,281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민주통합당 | 우상호 | 40,481 | 54.36% | 당선 | |||
새누리당 | 이성헌 | 33,982 | 45.63% | ||||
계 | 74,463 | ||||||
무효표 | 656 | ||||||
투표율 | 57.48% | ||||||
유권자수 | 130,670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더불어민주당 | 우상호 | 42,972 | 54.88% | 당선 | |||
새누리당 | 이성헌 | 31,529 | 40.27% | ||||
녹색당 | 김영준 | 2,206 | 2.81% | ||||
민주당 | 이종화 | 1,586 | 2.02% | ||||
계 | 78,293 | ||||||
무효표 | 1,138 | ||||||
투표율 | 62.22% | ||||||
유권자수 | 127,642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더불어민주당 | 우상호 | 47,980 | 53.24% | 당선 | |||
미래통합당 | 이성헌 | 37,522 | 41.64% | ||||
무소속 | 신지예 | 2,916 | 3.23% | ||||
민중당 | 전진희 | 1,026 | 1.13% | ||||
국가혁명배당금당 | 고상일 | 331 | 0.36% | ||||
우리공화당 | 신민호 | 330 | 0.36% | ||||
계 | 90,105 | ||||||
무효표 | 991 | ||||||
투표율 | 69.05% | ||||||
유권자수 | 131,930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 |||||||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더불어민주당 | 김동아 | 44,890 | 50.75% | 당선 | |||
국민의힘 | 이용호 | 38,466 | 43.49% | ||||
개혁신당 | 이경선 | 5,087 | 5.75% | ||||
계 | 88,443 | ||||||
무효표 | 1,506 | ||||||
투표율 | 69.20% | ||||||
유권자수 | 130,042 |
5.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1988년)
wikitext1988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38,825명이었다. 민주정의당 강성모 후보가 37.0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일민주당 김상현 후보는 31.39%, 평화민주당 김학민 후보는 23.65%를 득표했다. 신민주공화당 신순원 후보는 5.76%, 우리정의당 오재관 후보는 1.37%, 무소속 고은석 후보는 0.75%를 득표했다. 총 97,447표 중 무효표는 없었다.
5.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2년)
wikitext제14대 국회의원 선거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에서 치러졌다. 총 유권자 수는 134,548명이었다.
민주당 김상현 후보가 42,591표(45.49%)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강성모 후보는 37,843표(40.42%)를 얻어 낙선했다. 통일국민당 류갑종 후보는 13,178표(14.07%)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4,789표로, 투표율은 70.45%였다. 무효표는 1,177표였다.
5.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에서 치러졌다. 총 127,154명의 유권자가 등록되었으며, 그 중 75,808명이 투표하여 59.62%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무효표는 1,052표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현 | 새정치국민회의 | 29,979 | 40.10% |
이성헌 | 신한국당 | 29,388 | 39.31% |
박경산 | 민주당 | 8,610 | 11.51% |
이의달 | 자유민주연합 | 5,407 | 7.23% |
고은석 | 무소속 | 1,372 | 1.83% |
합계 | 74,756 |
선거 결과, 새정치국민회의의 김상현 후보가 29,979표(40.10%)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한국당 이성헌 후보는 29,388표(39.31%)를 얻어 낙선했다.
5. 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가 47.0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우상호 후보는 45.16%로 2위를 기록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한나라당 | 이성헌 | 34,623 | 47.01% | |
새천년민주당 | 우상호 | 33,259 | 45.16% | |
민주국민당2000 | 이동우 | 2,128 | 2.88% | |
청년진보당 | 박세증 | 2,029 | 2.75% | |
자유민주연합 | 이의달 | 1,604 | 2.17% | |
합계 | 73,643 |
5.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우상호 후보가 46.0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는 43.81%로 2위를 기록했다. 새천년민주당 김영호 후보는 4.62%, 민주노동당 정현정 후보는 4.41%를 득표했다. 그 외 자유민주연합 박종원 후보는 0.62%, 무소속 고은석 후보는 0.45%를 득표하였다.5.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성헌 후보가 51.6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합민주당 우상호 후보는 43.49%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진보신당 정현정 후보는 4.06%, 평화통일가정당 노학우 후보는 0.78%를 득표하였다.5.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우상호 후보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54.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상대 후보는 새누리당 이성헌 후보였으며, 45.63%를 득표하였다.5.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wikitable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후보가 54.8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성헌 후보는 40.27%를 득표했다. 녹색당 김영준 후보는 2.81%, 민주당 이종화 후보는 2.02%를 득표했다.
5.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는 총 131,930명의 유권자가 참여했다. 투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후보가 47,980표(53.24%)를 얻어 당선되었다. 미래통합당 이성헌 후보는 37,522표(41.64%)를 얻었다. 무소속 신지예 후보는 2,916표(3.23%), 민중당 전진희 후보는 1,026표(1.13%), 국가혁명배당금당 고상일 후보는 331표(0.36%), 우리공화당 신민호 후보는 330표(0.36%)를 각각 획득하였다.5.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동아 후보가 50.7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이용호 후보는 43.49%를 득표하였고, 개혁신당 이경선 후보는 5.75%를 득표하였다. 총 유권자 수는 130,042명이었으며, 88,443표가 유효표로 집계되었고 1,506표가 무효표로 처리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인터뷰] '찐 서대문사람' 황두영 "젊고 경험 부족? 검증된 '육각형 인재' 자부"
https://www.dailian.[...]
2024-01-19
[2]
웹사이트
[여론조사 꽃 총선/서울 서대문갑] 맹주 우상호 빠진 무주공산, 野 김동아 13%p 차로 우세
http://www.goodmorni[...]
2024-04-01
[3]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4]
웹사이트
탈북자 지원 힘쓴 '실향민 기업가' 강성모 前의원 별세
https://www.segye.co[...]
2023-02-05
[5]
웹사이트
[부고]강성모 前국회의원
https://www.donga.co[...]
2023-02-06
[6]
웹사이트
[총선핫플] 국힘 박진 험지 서울 서대문을서 5선 도전, 민주 김영호 지역 기반 단단
https://www.business[...]
2024-02-25
[7]
웹사이트
여야, 공천후유증 본격화
https://n.news.naver[...]
[8]
웹사이트
386 새 리더 우상호, 지도부 입성
https://www.ajunews.[...]
2012-06-09
[9]
웹사이트
리턴매치는 없다, ‘재개발·월세’ 잡아라
https://news.mt.co.k[...]
2023-12-01
[10]
웹사이트
승부처 8곳 탈환하면 국민의힘 과반, 요충지 7곳 지켜내면 민주당 원내 1당
https://shindonga.do[...]
2023-11-04
[11]
웹사이트
[미리보는 총선] 서대문 갑, ‘3 대 2’ 우상호·이성헌 6차전 승자는 누구?
https://ilyo.co.kr/?[...]
2019-06-21
[12]
웹사이트
[격전! 4·13]운명의 필적, 이성헌vs.우상호 5번째 리턴매치
https://news.mt.co.k[...]
2016-01-04
[13]
웹사이트
[4.9총선 지역 당선자 245명 명단]
https://www.viewsnne[...]
2008-04-10
[14]
웹사이트
2016 총선, 새누리당 200석이 허황되지 않은 이유
https://www.hani.co.[...]
2015-12-27
[15]
웹사이트
[정치, 그날엔…] 20년 전 16대 총선, 우상호-이성헌 6연전의 서막
https://www.asiae.co[...]
2020-03-14
[16]
웹사이트
20년째 ‘대결’ 우상호·이성헌···21대 총선 곳곳서 ‘숨막히는 리턴매치’
https://www.newsway.[...]
2020-03-31
[17]
웹사이트
[정치, 그날엔…] 20년 전 16대 총선, 우상호-이성헌 6연전의 서막
https://www.asiae.co[...]
2020-03-14
[18]
웹사이트
[격전지를 가다]여섯 번째 재대결 서대문갑…'인물론' 우상호vs'심판론' 이성헌
https://www.news1.kr[...]
2020-03-20
[19]
웹사이트
서울 서대문갑, 민주 김동아 41.4% vs 국힘 이용호 28.4% [여론조사꽃] - 조세일보
http://www.joseilbo.[...]
2024-04-02
[20]
웹사이트
6번째 최다 대결부터 화끈한 대역전극까지…화제의 ‘리턴매치’
https://news.heraldc[...]
2020-04-16
[21]
웹사이트
민주당, 우상호 불출마한 ‘서울 서대문구갑’ 후보 5명 선정
https://www.etoday.c[...]
2024-03-05
[22]
웹사이트
박용진, ‘하위 10%’ 벽 못넘어 결국 낙천…‘대장동 변호사’ 김동아 공천
https://www.segye.co[...]
2024-03-12
[23]
웹사이트
'비명' 박용진 결국 공천 탈락…'대장동 변호' 김동아는 생환
https://www.hankyung[...]
2024-03-11
[24]
웹사이트
[후보 득표현황]-서울(최종)
https://www.yna.co.k[...]
2024-04-11
[25]
웹사이트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국회의원지역선거구구역표(지역구 : 254)
https://www.nec.go.k[...]
[26]
웹사이트
김상현씨 민국당 입당 선언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