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위 폐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위 폐제 원흠은 서위의 제2대 황제이다. 북위 효문제의 손자이자 서위 문제의 장남으로, 535년 태자로 책봉되었으며, 551년 부친의 사망 후 황위에 올랐다. 553년 우문태 암살을 시도하다 발각되어 554년에 폐위되었고, 옹주에 유치된 후 독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위 - 서위 공제
    서위 공제 원곽은 서위 문제의 아들로, 폐제 폐위 후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실권 없이 우문씨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우문각에게 제위를 선양하고 살해되어 서위는 멸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연호는 사용되지 않았다.
  • 서위 - 서위 문제
    서위 문제(507~551)는 남북조 시대 서위의 초대 황제로서, 북위 황족 출신으로 우문태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동안 우문태의 실권 장악과 동위와의 대립으로 불안정한 통치를 하였다.
  • 북위의 사공 - 소종 (양나라)
    소종은 양 무제의 아들로, 북위로 망명하여 소찬으로 이름을 바꾸고 북제의 종묘에 제사를 지냈으며, 조낙주의 반란으로 사망 후 양나라에서 장례되었다.
  • 북위의 사공 - 장손도생
    장손도생은 북위의 인물로, 탁발사를 섬기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송나라의 침공을 막아냈으며, 사공과 시중을 역임하고 상당왕에 봉해졌으며 82세로 사망했다.
서위 폐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원흠
원(元)
씨족퇫발(Tuoba)
생애
출생 연도525년 이후원흠의 출생 연도는 그의 부모가 결혼한 해인 525년 이후여야 함.
사망 연도554년 5월 또는 6월자제통감 165권에는 원흠이 승성 3년 4월 경술일에 독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음. 하지만 그 달에는 경술일이 없었음. 그 달은 율리우스력으로 554년 5월 17일부터 6월 15일까지에 해당함.자제통감, 165권.
통치
즉위551년 3월 28일자제통감, 164권.대보 2년 3월 경술일
폐위554년 3월경자제통감 165권에는 원흠이 승성 3년 1월 신축일부터 3월 정해일 사이에 폐위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음. 그 날짜는 율리우스력으로 554년 3월 3일과 4월 18일에 해당함. 북사 5권에는 그의 후계자인 공제가 그의 재위 3년 1월에 즉위했다고 기록되어 있음(첫 해는 제외되었으며, 문제의 대통 17년으로 남아 있었음; 그 달은 율리우스력으로 554년 2월 18일부터 3월 18일까지에 해당함.
이전 통치자문황제
다음 통치자공황제
섭정우문태
가족 관계
가문
왕조서위

2. 생애

서위 폐제 원흠(元欽)은 문제 원보거의 맏아들이자 북위 효문제의 손자이다.[7] 아버지 문제의 뒤를 이어 551년 황제가 되었으나, 실권은 여전히 승상 우문태가 쥐고 있었다. 재위 기간 중 우문태와의 갈등이 깊어졌고, 553년 상서 원렬의 우문태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직접 우문태 제거를 모의하다 발각되었다. 결국 554년 우문태에 의해 폐위되고 곧이어 독살당했다. 그의 사후 동생인 원곽이 뒤를 이었다.

2. 1. 황태자 시절

원흠은 원보거의 맏아들이며, 북위 효문제의 손자이다. 그의 어머니는 을불황후(乙弗皇后)이고, 동생으로 원무(元戊)가 있었다.

535년 아버지 원보거가 우문태에 의해 황제(문제)로 옹립된 후, 같은 해 2월 25일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7] 황태자가 된 직후 승상 우문태의 맏딸인 우문씨를 태자비로 맞이하였다. 그는 태자비를 매우 아껴 후궁을 두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538년, 문제와 우문태가 동위 원정에 나섰을 때 수도 장안의 명목상 책임자를 맡았으나, 실권은 관료 주혜달(周惠達)이 가졌다. 이때 동위 포로 출신인 조청작(趙青雀)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주혜달과 이호(李虎)의 호위를 받아 장안을 탈출했다. 우문태가 돌아와 반란이 진압된 후 장안으로 복귀했다.

542년, 동위고환이 예벽(玉壁, 현 산시성 운성)을 공격하자 중요 거점인 포판(蒲坂, 현 산시성 운성)의 수비를 맡도록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작전에서 그가 실질적인 지휘권을 행사했는지는 불분명하다.

2. 2. 즉위와 폐위

535년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며, 이후 오래지 않아 승상 우문태의 맏딸 우문씨와 혼인했다.

551년 아버지 서위 문제가 사망하자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아버지 문제보다 실제 권력이 더 적었던 것으로 보이며, 아내인 우문씨를 황후로 책봉하고 어머니 이복황후를 아버지 문제와 함께 재매장했다. 552년부터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재위 기간을 단순히 "원년", "2년" 등으로 불렀는데, 이는 당시 실권자였던 우문태주나라의 옛 제도를 부활시키려 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553년 말, 상서 원렬이 우문태 암살을 시도했으나 음모가 발각되어 살해당했다. 이 사건 이후 폐제는 우문태에게 깊은 원망을 품고 공공연히 불만을 표출했으며, 동생인 임회왕 원육과 광평왕 원찬 등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우문태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 계획은 우문태의 사위인 이기, 이휘, 우익 등에게 사전에 발각되어 우문태에게 밀고되었다.

결국 554년 1월, 우문태는 폐제 원흠을 폐위시키고 옹주에 유폐했으며, 폐제의 이복동생인 제왕 서위 공제 원곽을 새로운 황제로 옹립했다. 폐제 원흠은 유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같은 해 4월, 우문태에 의해 독살되었다. 북사에 따르면 폐후 우문씨 또한 "위나라 황실에 충성했기 때문에 죽음을 맞이했다"고 전해지나, 정확한 사망 경위와 시기는 불분명하다.

3. 가계


  • 아버지: 서위 문제
  • 어머니: 이부 황후
  • 황후: 우문 황후 - 우문태의 맏딸. 551년 황후가 되었으나 554년 폐위된 것으로 추정된다.[8]
  • 자녀
  • * 장남 (548년 출생)

4. 기년

폐제원년2년3년
서력
(西曆)
552년553년554년
간지
(干支)
임신(壬申)계유(癸酉)갑술(甲戌)



폐제의 재위 기간 중에는 연호가 제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후대의 사서에서는 552년553년을 각각 "서위 폐제 원년", "서위 폐제 2년"이라고 부른다.

참조

[1] 정보
[2] 정보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정보
[6] 정보
[7] 정보
[8]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