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보상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보상절은 1446년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세조)이 만든 불교 서적이다. 신미와 김수온 등의 도움을 받아 한글로 번역되었으며, 1447년에서 1449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초간본 6권과 복간본 2권이 남아 있으며, 원래는 총 24권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보상절》은 한글 문체가 자연스럽고, 당시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가치를 지닌다. 초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다. 복간본은 2권 2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47년 책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 1447년 책 -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 125장으로 구성된 서사시로,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알리고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며,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헌으로서 조선 왕조의 기원, 통치 지침,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담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전기 문학 - 전기 (문학)
전기는 다른 사람이 어떤 인물의 일생을 쓴 글로, 고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현대에는 내면 심리와 사회적 맥락을 다루는 경향을 보이며 객관성 등의 비판적 쟁점과 함께 여러 문학상이 존재한다. - 전기 문학 - 월인석보
월인석보는 총 25권으로 추정되지만 전질은 남아있지 않으며, 초간본과 중간본으로 나뉘어 일부 권이 여러 곳에 소장되어 있고 일부 목판은 갑사에 보물로 보관되어 있다. - 불서 언해서 - 묘법연화경언해
- 불서 언해서 - 반야바라밀다심경언해
석보상절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석보상절 |
저자 | 수양대군 |
출판일 | 1447년 |
언어 | 중세 한국어 |
장르 | 불경 |
국가 | 조선 |
문화재 정보 | |
명칭 | 석보상절(釋譜詳節)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523 |
지정일 | 1970년 12월 30일 |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 외 |
시대 | 조선 시대 |
문화재청 번호 | 12,05230000,31 |
표기 정보 | |
한글 | 석보상절 |
한자 | 釋譜詳節 |
히라가나 | しゃくふしょうせつ |
가타카나 | ソクポサンジョル |
로마자 표기 | Seokbosangjeol |
2. 해제
1446년에 소헌왕후(조선 세종대왕의 정실)가 서거하자,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훗날의 세조)이 그녀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든 책이다.[5]
석보상절은 총 24권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까지 발견된 것은 총 6권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4권 4책(권6, 9, 13, 19)이 있고,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2권 2책(권23, 24)이 있다. 2권 2책(권20, 21)은 이건희가 소유하고 있다가 2021년 국가에 기증하였다.[8]
수양대군은 신미, 김수온 등의 도움을 받아 남제(南齊) 승우(僧祐)가 편찬한 『석가보(釋迦譜)』와 당(唐) 도선(道詵)이 편찬한 『석가씨보(釋迦氏譜)』를 한글로 번역하였다.[5] 다른 언해 자료와 달리 원문인 한문이 없고, 한글 문장이 한문을 직역한 문체가 아니라서, 《석보상절》은 다른 언해 자료보다 자연스러운 문체에 가까운 것으로 추측된다.
《석가보》와 《석가씨보》 외에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권9), 《지장보살본원경》(권11), 《대방편불보은경》(권11), 묘법연화경(권13~21) 등을 참고하였다.[6]
정확한 간행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월인석보에 실린 '석보상절 서문'이 세종 29년(1447)에 쓰여졌고, 9권 표지의 기록으로 보아 1447년에서 1449년 사이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발견된 책 중 마지막 권이 24권으로, 30권에 가까운 방대한 분량이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현재 8권만 남아있다. 문헌 내용 자체로도 귀중한 가치를 지니며, 특히 한글 번역본은 당시 국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7]
3. 서지
각 권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권6, 9, 13, 19)은 교정본으로, 한자음 표기를 중심으로 주필(朱筆)로 교정한 흔적이 남아 있다. 황해도의 어느 사찰에서 탑장품으로 발견된 것을 1935년에 에다 도시오(江田敏雄)가 입수하여 세상에 소개한 것이다. 동국대학교 소장본은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 있었던 것이 충청북도 청주시 용화사(龍花寺)를 거쳐 1966년에 경기도 안성군 칠장사(七長寺)로 전해져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이다. 초간본 6책은 1970년 12월 30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523호로 지정되었다(국립중앙도서관본: 보물 제523-1호, 동국대학교본: 보물 제523-2호).
3. 1. 초간본
초간본에 대한 내용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복간본으로, 다음과 같은 목판본 2권 2책이 있다.
권수 | 소장자 및 소장처 | 간행 시기 및 장소 | 비고 |
---|---|---|---|
권3 | 천병식 교수 | 1561년, 전라북도 무량사 | 새김이 조잡하고 약간의 오각이 있음. 유계(有界). |
권11 | 심재완 교수 (소장),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 (보관) | 16세기 경 (추정) | 새김이 조잡하고 약간의 오각이 있음. 1970년 12월 30일 보물 제523-3호로 지정됨. |
3. 2. 복간본
1561년 전라북도 무량사에서 간행된 복각본인 권3과 간행 시기가 불명이나 16세기경으로 추정되는 권11이 전해진다.[1][2] 두 권 모두 새긴 글씨가 조잡하고, 약간 잘못 새긴 부분이 보인다. 권11은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0년 12월 30일 보물 제523-3호로 지정되었다.4. 가치와 의의
석보상절은 총 24권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초간본 6권과 복간본 2권만 남아있다. 월인석보에 실린 '석보상절 서문'이 1447년(세종 29년)에 쓰여졌고, 9권 표지의 기록으로 볼 때 1447년에서 1449년(세종 31년) 사이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 발견된 책 중 마지막 권이 24권으로, 30권에 가까운 방대한 분량이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 현재 8권만 남아있다.[7]
이 책은 문헌 내용 자체로도 귀중한 가치를 지니며, 특히 한글로 번역되어 당시 사용하던 국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7] 다른 언해 자료와 달리 원문인 한문이 기재되지 않았고, 한글 문장이 한문을 직역한 문체가 아닌 점 등을 고려하면, 석보상절의 문체는 다른 언해 자료보다 더 자연스러운 문체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조
[1]
웹사이트
Life History and Sermon of Buddha Abstracted from Buddhist Scriptures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5-23
[2]
논문
A Study for 20th Volume of 『Seokbosangjeol(釋譜詳節)』 ―Focusing on Bibliography and Language
http://ksbs.re.kr/en[...]
2013-05-23
[3]
웹사이트
The Soul of Korea: National Library of Korea
http://bukoxfwebapp2[...]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3-05-23
[4]
웹사이트
Seokbosangjeol title
http://www.hangeulmu[...]
Digital Hangeul Museum
2013-05-23
[5]
백과사전
석보상절(釋譜詳節)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6]
백과사전
석보상절 (釋譜詳節)
다음백과
[7]
간행물
역주 석보상절
http://db.sejongkore[...]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8]
뉴스
https://news.v.da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