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 시황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시황제는 기원전 259년 조나라에서 태어났으며, 중국을 통일하고 진나라를 건국한 인물이다. 그는 전국 시대를 종식시키고, 군현제,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만리장성 축조, 아방궁 건설, 분서갱유와 같은 대규모 토목 공사와 사상 탄압을 시행했다. 불로장생을 추구했으나 순행 중 사망했으며, 전통적으로는 폭군으로 묘사되지만, 근대 이후에는 그의 업적을 재평가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의 황제 - 진 이세황제
    진 이세황제는 진 시황제의 아들 호해로, 조고의 권력 농단과 폭정, 전국적인 반란으로 진나라를 쇠퇴시키고 자살을 강요당해 평민처럼 묻혔다.
  • 기원전 210년 사망 - 몽염
    몽염은 진나라 장군으로 흉노 정벌과 만리장성 건설을 지휘하며 북방 방위에 공을 세웠으나, 조고의 모함으로 자살했으며, 붓 발명가라는 설도 있지만 붓의 개량가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210년 사망 - 티베리우스 셈프로니우스 롱구스
진 시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진시황의 사후 묘사, 19세기
19세기 진시황 사후 묘사. 영국 도서관에 보관된 한국 책에서 가져옴. 삼재도회의 진시황 초상화를 기반으로 함.
이름진 시황 (秦始皇)
로마자 표기Qin Shi Huang
출생 이름영정 (嬴政)
조정 (趙政)
정 (政)
영 (嬴)
조 (趙)
왕호시황제 (始皇帝)
존호없음
출생일기원전 259년 2월
출생지한단, 조나라
사망일기원전 210년 7월 12일 (49세)
사망 장소사구, 진나라
매장지진시황릉, 여산, 시안
가문영씨
왕조진나라
통치
즉위 (진나라 왕)기원전 247년 7월 6일
즉위 (황제)기원전 221년
퇴위기원전 210년
재위 (진나라 왕)기원전 247년 – 기원전 221년
재위 (황제)기원전 221년 – 기원전 210년
선임자 (진나라 왕)진 장양왕
후임자 (진나라 왕)(황제 칭호로 변경)
선임자 (황제)(없음)
후임자 (황제)진 이세황제
가족
아버지진 장양왕
어머니조희
배우자조황후
자녀부소
호해
공자 고
공자 장려
기타
능묘여산릉

2. 어린 시절과 즉위 과정

기원전 259년 진나라의 왕족이었으나 조나라에 볼모로 보내진 공자 이인(훗날 자초로 개명)과 조희 사이에서 시황제가 태어났다. 조희는 이인을 만나기 전, 여불위의 첩이었기에, 시황제가 여불위의 아들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18]

'''사기 <여불위 열전>'''에 따르면, 여불위는 한단에서 춤을 잘 추는 아름다운 여자를 얻어 함께 살다가 임신한 것을 알았다. 영자초는 여불위와 술을 마시다가 그녀를 보고 반하여 청했고, 여불위는 노했으나 결국 첩을 자초에게 바쳤다. 조희는 임신을 숨기고 만삭이 되어 아들 정(政)을 낳았다.

시황제가 태어난 직후 진나라 소양왕이 조나라를 공격했고, 조나라에서는 자초 일가를 죽이려 했으나, 여불위의 도움으로 자초는 진나라로 탈출했다. 시황제와 조희는 조희 집안의 보호로 무사할 수 있었다.

이후 소양왕이 죽고 안국군이 효문왕으로 즉위하면서 자초는 태자가 되었다. 그러나 효문왕은 즉위 3일 만에 사망했고, 자초가 장양왕으로 즉위하며 시황제는 태자가 되었다. 3년 뒤 장양왕마저 사망하자, 시황제는 13세의 나이로 진나라 왕위에 올랐다.[24]

2. 1. 출생의 비밀과 논란

기원전 259년 진시황제는 조나라 한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자초는 진나라 왕족이었으나, 조나라에 인질로 보내진 신세였다. 어머니 조희는 원래 상인 여불위의 첩이었으나, 자초에게 바쳐졌다.[18]

사기》 <여불위 열전>에 따르면, 여불위는 조희가 임신한 사실을 알고도 자초에게 보냈으며, 조희는 만삭이 되어 아들 정(政)을 낳았다. 이 때문에 진시황제가 여불위의 아들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1]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사기》의 기록에 의문을 제기한다. 더크 보데(Derk Bodde)는 이 기록이 진시황제를 비방하기 위해 추가된 것으로 보았고,[23] 존 크노블록(John Knoblock)과 제프리 리겔(Jeffrey Riegel)은 여불위를 모함하기 위한 거짓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유교 사회에서 상인을 낮게 평가했기 때문에, 상인인 여불위를 진시황제의 친부로 지목하는 것은 더욱 비난받을 만한 일이었다.[23]

진시황제의 출생에 대한 논란은 그의 정통성에 흠집을 내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2. 2. 조나라에서의 인질 생활

기원전 259년 진 시황제는 진나라에서 볼모로 보내진 안국군의 아들 공자 이인(훗날 자초로 개명)과 조희 사이에서 조나라에서 태어났다. 조희는 이인을 만나기 전, 여불위(呂不韋)의 첩이었기에, 시황제가 여불위의 아들인지에 대해서는 보는 견해에 따라 다르다.[18][21]

'''사기 <여불위 열전>'''에 따르면 여불위는 한단 땅의 여자 중에 매우 아름다우며 춤을 잘 추는 여자를 얻어 함께 살다가 임신한 것을 알았다. 영자초는 여불위와 술을 마시다가 그녀를 보고 반하여 일어나 장수를 기원하며 그녀를 청했다. 여불위는 처음에는 노했으나 이미 영자초를 위해 집안이 무너져도 진기함을 낚으려는 일을 생각해 마침내 첩을 자초에게 바쳤다. 그녀는 스스로 임신을 숨기고 대기(大期/만삭)가 될 때에 이르러 아들 정(政)을 낳았다. 대기는 10개월, 즉 만삭을 의미하며, 출산할 때가 다 되어 낳았다는 내용이다.

시황제가 조나라에서 태어난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무렵 진나라 소양왕이 조나라를 공격해왔고, 조나라에서는 자초 일가를 죽이려 하였으나, 여불위의 도움으로 자초는 진나라로 탈출하고 시황제와 조희는 조희 집안의 보호로 무사할 수 있었다.

2. 3. 진나라 왕위 계승

기원전 259년 진나라에서 볼모로 보내진 안국군의 아들 공자 이인(훗날 자초로 개명)과 여불위의 첩이었던 조희 사이에서 태어난 진 시황제는, 아버지 장양왕이 재위 3년 만에 사망하자 13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24] 어린 진 시황제를 대신하여 여불위가 섭정을 맡아 실권을 행사하였다.[18]

진 시황제가 왕위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할아버지 효문왕은 즉위 3일 만에 사망하였고, 아버지 장양왕 역시 3년이라는 짧은 재위 기간을 끝으로 세상을 떠났다.

즉위 기간비고
효문왕3일
장양왕3년진 시황제의 아버지


3. 여불위와의 관계 및 권력 장악

진나라 왕자였던 아버지 이인[120]은 휴전협정에 따라 인질로 조에 보내졌다.[98] 당시 이인은 왕자 신분이었지만, 진나라 태자[121]였던 할아버지 안국군(소양왕의 차남)에게는 20명이 넘는 자녀가 있었고, 이인의 생모인 하희는 이었기에 할아버지의 총애를 받지 못했다. 따라서 이인을 뒷받침할 인물도 없었다.

진왕이 될 가능성이 거의 없었던 이인은 소양왕이 협정을 자주 어기고 군사 공격을 감행하여 진나라는 물론 조나라에서도 입지가 나빠져 언제 죽을지 모르는 처지였고, 인질로서의 가치가 낮아 조나라에서 냉대를 받았다.[122]

한의 부유한 상인이었던 여불위는 화양태후에게 거금을 들여 활동했고, 이인에게도 교제비를 지원하며 명성을 높였다.[107] 이인은 여불위에게 감사하며 장래의 후대를 약속했다. 그러던 중 여불위의 첩(조희)[98]을 마음에 들어 한 이인은 그녀를 넘겨받았고, 소양왕 48년(기원전 259년) 겨울에 아들 '정'을 얻었다. 이 아이는 진나라가 아닌 조나라 수도 한단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조정'이라고도 불렸다.[123][124] 훗날 진 시황제가 된다.[100][122][124]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한 진왕 정은 조태후와 여불위의 섭정 아래 놓였고, 모든 국사는 여불위의 손에서 이루어졌다.

진나라 내정은 혼란스러웠다. 시황 8년(기원전 239년) 진왕 정의 동생 장안군 성교가 둔류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시황 9년(기원전 238년) 음력 4월에는 장신후 노애가 진왕 정의 관례를 틈타 사병과 융적 부족을 동원하고, 진왕의 옥새와 조태후의 인장까지 도용하여 진나라 관군과 함께 기년궁을 공격했다. 그러나 상국 창평군과 창문군이 반격해 함양에서 전투를 벌여 진왕 정의 군대가 승리했고, 노애와 반란군은 도망치다 붙잡혀 처형당했다. 노애가 조태후와 불륜하여 낳은 두 아들도 처형되었으며, 노애의 측근 4,000명은 촉 지역 방릉으로 추방되었다.

어머니 조태후와 여불위가 노애의 반란에 연루된 혐의가 발견되자 진 시황제는 숙청을 시작했다. 조태후는 땅에 1년간 유배되었고, 여불위는 시황 10년(기원전 237년)에 면직되었다. 시황 12년(기원전 235년) 여불위는 사망했는데, 진 시황제는 여불위를 조용히 묻고 장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을 추방하거나 면직시키는 처벌을 내렸다. 일설에는 진 시황제가 편지로 여불위를 모욕하고 촉으로 추방할 것을 지시하자 분노와 두려움에 자살했다는 기록도 있다.

3. 1. 여불위의 섭정과 권력

진왕 정(훗날의 진 시황제)은 13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는데, 이는 왕태후 조씨와 여불위의 영향력 때문이었다. 따라서 진나라의 모든 국정은 사실상 여불위의 손에서 이루어졌다.[24]

여불위는 진나라의 섭정 재상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18] 그러나 진나라 내부 상황은 혼란스러웠다. 진시황 8년에는 진왕 정의 동생인 장안군 성교가 반란을 일으켰고,[27] 9년에는 장신후 노애가 반란을 일으켜 진나라 군대와 전투를 벌였으나 진압되었다. 노애는 처형되었고, 그의 측근 4,000명은 변방으로 추방되었다.

일설에는 조태후와 여불위가 불륜 관계였으며, 여불위가 진왕 정의 성장에 두려움을 느껴 노애를 조태후에게 소개시켜주었다고 한다. 노애는 환관으로 위장하여 조태후와 불륜 관계를 맺고 아이까지 낳았으며, 그 아이를 왕위에 올리기 위해 반란을 계획했다는 기록도 있다.

어머니 조태후와 여불위노애의 반란에 연루된 혐의가 발견되자, 진 시황제는 숙청을 시작했다. 조태후는 옹땅에 유배되었고, 여불위는 시황 10년에 면직되었다. 시황 12년에 여불위는 사망했는데, 일설에는 진 시황제가 보낸 편지에 모욕을 받고 촉으로 추방될 것을 두려워하여 자살했다고 한다.[25]

한편, 사마천의 『사기』 「여불위열전」에는 진 시황제가 여불위의 친아들이라는 기록이 있다.[98][125][126] 반고의 『한서』에도 진 시황제를 "여불위의 아들"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27]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후대에 부정되기도 한다. 현대 의학적 관점에서 임신 기간과 진 시황제의 생일 사이에 모순이 발생한다는 것이다.[128]여씨춘추』를 번역한 존 노블록과 제프리 리겔은 이 기록이 "허구이며 여불위와 진 시황제 양쪽을 비방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129]

3. 2. 노애의 난과 여불위의 몰락

진 시황제의 어머니 조태후와 여불위는 불륜 관계였으며, 여불위는 진 시황제가 성장하면서 두려움을 느껴 노애를 조태후에게 소개시켜 주었다. 노애는 환관으로 위장하여 조태후와 불륜을 저지르고 아이까지 낳았으며, 그 아이를 진왕으로 만들기 위해 반란을 계획했다는 기록도 있다.[311]

시황제 9년 음력 4월, 장신후 노애는 진왕 정의 관례를 틈타 자신의 사병과 융적 부족들, 그리고 진왕의 옥새와 조태후의 인장을 도용하여 진나라 관군까지 동원해 기년궁을 공격했다. 그러나 상국 창평군과 창문군이 반격해 함양에서 전투를 벌여 진왕 영정의 군대가 승리하고 노애와 반란군은 도망치다 붙잡혀 처형당했다.[311] 노애가 조태후와 불륜해서 낳은 두 아들도 처형당했고, 노애의 측근 4,000명은 변방 오지인 촉 지역의 방릉으로 추방되었다.[311]

어머니 조태후와 여불위가 노애의 반란에 연루된 혐의가 발견되자 진시황은 숙청을 단행했다. 우선 어머니 조태후는 옹땅에 1년간 유배시켰고, 여불위는 시황 10년에 면직되었다. 시황 12년 여불위는 사망했는데, 여불위를 조용히 묻고는 장례식에 참여한 사람들을 추방하거나 면직시키는 처벌을 내렸다. 일설에는 진시황이 편지로 여불위를 모욕하고 촉으로 추방할 것을 지시하자 분노와 두려움에 자살했다는 기록도 있다.[311]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노애의 난을 진시황의 권력 강화의 주요 계기로 해석하고 있으며, 진보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3. 3. 친정 시작과 법가 사상 강화

13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른 진왕 정(훗날의 진 시황제)은 즉위 초반에는 어머니 조태후와 재상 여불위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 그러나 진나라 내부에서는 권력 다툼이 끊이지 않았고, 진왕 정의 동생인 장안군 조성교와 장신후 노애 등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311] 특히 노애는 조태후와의 불륜 관계를 통해 권력을 키우고, 심지어 진왕의 옥새와 조태후의 인장을 도용하여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311]

이러한 사건들을 겪으면서 진왕 정은 자신의 권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노애의 반란에 연루된 혐의를 받은 조태후를 유배 보내고, 여불위를 면직시키는 등 과감한 숙청을 단행했다.[311] 여불위는 결국 죽음을 맞이했고, 그의 장례식에 참여한 사람들도 처벌을 받았다.[311]

여불위를 제거하고 친정을 시작한 진왕 정은 승상 이사를 등용하여 법가 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311] 기원전 213년에는 학자 순우월이 봉건제를 주장하자, 이사의 건의를 받아들여 진나라의 역사, 의술, 농경 등에 관한 책을 제외한 모든 책을 불태우는 분서를 단행했다.[311] 이듬해인 기원전 212년에는 불로장생약을 구해오라는 명령을 어기고 도망친 방사들을 잡아들이고, 이들과 연루된 학자들 460여 명을 생매장하는 갱유를 일으켰다.[311]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을 분서갱유라고 부른다.[311]

진시황은 상앙의 법가 사상을 이어받아, 백성들을 서로 감시하고 연대 책임을 지게 하는 십오연좌제를 시행하여 국가 통제력을 강화했다.[309] 반면, 개인의 자기 통제를 강조하는 공자논어와 같은 유가 사상은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313]

4. 전국 통일 과정

전국 통일 과정은 시황제 즉위 이전인 장양왕 때부터 시작되었다. 장양왕은 기원전 250년 주나라 정벌(진주전쟁)에서 승리하여 병합을 시작했다.[303]

장양왕과 여불위는 주변 나라들과의 전투를 통해 진나라를 강성하게 만들었으나,[126] 장양왕 3년(기원전 247년) 5월, 재위 3년 만에 죽고 13세의 이 왕위를 계승했다.[134] 어린 정을 보좌하기 위해 여불위가 승상이 되어 전국칠웅과의 전쟁 등 정치를 집행했다.[109]

진왕 정 6년(기원전 241년), 초, 조, 위, 한, 연 다섯 나라 합종군이 진나라를 공격했으나, 함곡관에서 격퇴되었다(함곡관 전투)[135]. 당시 전군의 총사령관은 여불위였다.

여불위는 중부(仲父)라 불리며 권위를 얻어 식객을 기르고, 진왕 정 8년(기원전 239년) 『여씨춘추』를 편찬했다.[136]

그러나 여불위는 태후가 된 조희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여불위는 대역으로 조아이중국어(嫪毐)를 찾아 환관으로 위장시켜 후궁에 들였다.[138] 조아이는 총애를 받아 열후가 되었고, 태후는 임신하여 으로 거처를 옮겨 아들 둘을 낳았다.[137][138]

진왕 정 9년(기원전 238년), 정이 22세 때 이 일이 발각되었다. 『사기』「여불위열전」에는 조아이가 환관이 아니라는 고발이 있었다고[139] 하며, 「시황본기」에는 조아이가 반란을 일으켰다고 한다.[132] 조아이는 일족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137][138]

여불위는 사건 관련성이 조사되어 승상에서 파면되고 하남(河南)에서 칩거했다.[133][137] 진왕 정 12년(기원전 235년), 정은 여불위에게 서찰을 보냈고, 여불위는 독약을 마시고 자살했다.[109][138]

4. 1. 통일 전쟁의 시작

기원전 230년부터 시황제는 모든 군사를 동원하여 중국 통일을 위한 전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303]

기원전 231년 9월, 진나라는 전국 7웅 중 가장 약했던 소한을 공격하여 남양을 점령하고, 기원전 230년에는 한나라 왕 한안을 포로로 잡아 멸망시켰다.[303]

기원전 229년, 진나라는 조나라를 공격하였다. 조나라는 이목, 사마상 등이 항전하였으나, 진나라는 조나라의 간신 곽개를 조종하여 이목을 처형하고 사마상을 파면시킨 뒤 조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같은 해 조나라의 수도 한단을 포위하였다. 기원전 228년, 한단을 점령하고 조나라 왕 유목왕 조천을 사로잡았다. 조나라 공자 조가는 대(代)로 피신하여 대나라를 세우고 연나라와 연합하여 상곡(上谷)에서 저항하였으나,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대나라를 공격하여 점령하고 조천을 사로잡아 조나라를 멸망시켰다.[303]

기원전 227년, 연나라에서 사신 형가를 진나라 함양으로 보내 신하되기를 자처하며 진나라에서 연나라로 망명했던 번오기의 목과 독항 지역의 지도를 바쳤다. 진왕 영정은 함양궁에서 형가를 맞이하였는데, 형가는 연나라 태자 희단의 사주를 받은 자객으로, 지도 속에 숨겨둔 칼로 영정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진왕 영정은 연나라의 암살 시도에 분노하여 즉시 연나라를 공격하였다. 연나라는 대나라(조나라 부흥 세력)와 연합하여 반격하였으나, 진나라 군대는 연나라 연합군을 격파하고 기원전 226년 10월 수도 계를 함락시키고 연태자 단의 목을 얻었다. 연나라 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가 저항하였으나, 기원전 222년 진나라가 요동을 함락하고 연나라 왕 희를 사로잡으면서 연나라도 멸망하였다.[303]

기원전 225년에는 위나라, 기원전 223년에는 초나라, 기원전 222년에는 연나라, 기원전 221년에는 제나라를 멸망시켜 시황제는 마침내 중국을 통일하였다.[303]

진시황의 통일 전쟁에서 목숨을 잃거나 다친 사람의 수는 정확하게 고증할 수 없으나, 서진(西晋) 때의 학자 황보밀은 《제왕세기》에서 “인구의 3분의 2가 죽거나 다쳤다”고 추정하였다.[303] 진나라 대장 백기는 한(韓)과 위(魏)의 연합군과 싸워 24만의 수급을 얻었다고 하는데, 진나라에서는 군공의 높고 낮음을 따지는 표현이 '잘린 목'을 뜻하는 수급(首級)이었다.[303]

4. 2. 각 나라별 정복 과정

기원전 230년부터 진 시황제는 모든 군사를 동원하여 중국 통일을 위한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303]

기원전 230년, 진나라는 전국 7웅 중 세력이 약했던 한을 공격해 남양을 점령하고 한왕 안을 포로로 잡아 멸망시켰다.

기원전 229년에는 조나라를 공격하였다. 조나라는 이목, 사마상 등이 항전하였으나, 진나라는 조나라의 간신 곽개를 조종해 이목을 처형하고 사마상을 파면시킨 뒤 조나라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한단을 포위하였다. 기원전 228년 한단을 점령하고 조천을 사로잡았다. 조나라 공자 조가는 대로 피신해 왕이 된 뒤 연나라와 연합하여 상곡에서 저항하였으나, 기원전 225년 진나라가 대나라를 공격해 점령하고 조천을 사로잡아 조나라를 멸망시켰다.

기원전 227년 연나라에서 사신 형가를 진나라 함양으로 보내 신하되기를 자처하며 번오기의 목과 독항 지역의 지도를 바쳤다. 진왕 영정은 함양궁에서 형가를 맞이하였는데, 형가는 희단의 사주를 받은 자객으로 지도 속에 숨겨둔 칼로 영정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진왕 영정은 분노하여 즉시 연나라를 공격하였다. 연나라는 대나라(조나라 부흥 세력)와 연합해 반격하였으나, 진나라 군대는 연나라 연합군을 격파하고 기원전 226년 10월 수도 계를 함락하고 암살을 사주한 연태자 단의 목을 얻었다. 연왕 희는 요동으로 도망가 저항하였으나, 기원전 222년 진나라가 요동을 함락하고 연왕 희를 사로잡으면서 연나라도 멸망하였다.

기원전 225년에는 위나라를, 기원전 223년에는 초나라를, 기원전 222년에는 연나라를, 기원전 221년에는 제나라를 멸망시켜 마침내 중국을 통일하였다.[303]

4. 3. 통일 전쟁의 의의와 평가

진시황제의 중국 통일은 중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통일 제국이 세워졌다는 큰 의미를 가지며, 중앙에서 권력을 집중시켜 나라를 다스리는 체제의 기초를 만들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진시황의 통일을 군사적인 힘으로 다른 나라들을 정복한 것으로 보며, 이 과정에서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와 다양성이 파괴되었다고 비판한다.[303] 진시황의 통일 전쟁으로 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쳤는데, 서진 시대의 학자 황보밀은 그의 책 《제왕세기》에서 "인구의 3분의 2가 죽거나 다쳤다"고 추정했다.[303]

진시황은 정복한 나라들의 청동 무기를 모두 거두어 거대한 조각상 12개, 즉 '십이 금인'을 만들어 궁궐을 장식했다.[35][36] 각 조각상은 높이 약 11.5미터, 무게 약 70톤이었다.[37] 사마천은 이를 법률, 도량형, 수레 바퀴 너비, 문자의 통일과 함께 진시황의 위대한 업적 중 하나로 평가했다.[35][38]

진시황은 유가를 포함한 여러 학파를 탄압하고 법가를 국가 이념으로 삼았다.[41][42][34] 기원전 213년, 이사의 건의로 점성술, 농업, 의학, 점복, 진나라 역사책을 제외한 대부분의 책을 불태우게 했다.[43] 이는 분서갱유로 알려져 있으며, 후대의 기록에 따르면 금서를 소지한 학자 약 460명을 생매장했다고 한다.[18][43]

5. 황제 즉위와 통치 정책

시황제는 왕이라는 칭호가 자신에게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이사와 왕관 등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칭호를 정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도교의 신비한 칭호인 태황, 천황, 지황 중에서 고민했으나, 결국 삼황오제에서 '황'과 '제'를 따와 황제(皇帝)라는 칭호를 만들고, 자신은 최초의 황제라는 의미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했다.[108] 그는 자신의 뒤를 잇는 황제들이 2세, 3세 등으로 이어져 진 제국이 만세까지 지속되기를 바랐다.[109][110] 진시황이 천하를 통일한 후, 황제의 1인칭 대명사인 '짐(朕)'은 황제만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304][305] 민가를 뜻하던 '궁(宮)'은 황제의 거처인 궁궐의 의미로 한정되었다.[306]

시황제는 스스로를 역사상 어느 누구도 하지 못한 일을 해낸 천재라고 생각하여, 고관에게 정무를 맡기지 않고 직접 법을 정하고 결재했다. 상소는 함양궁에 산더미처럼 쌓였고, 저울로 달아 하루에 30kg씩 결재했다.

시황제는 남쪽으로 군사를 파견하여 4개 군을 신설하였으며, 북방의 흉노족이 중국을 위협하자, 대장군 몽염을 보내 그들을 정벌하고 내몽고의 땅 일부를 편입시켰다.

한편, 연나라 태자 단은 진나라에 대한 복수심으로 자객 경객을 보내 시황제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thumb 석실.]]

이 사건은 연나라 멸망의 계기가 되었다.

5. 1. 황제 칭호 사용

기원전 221년, 진 시황제(본명: 조 정)는 전국 시대를 통일하고, 왕보다 더 높은 칭호인 '황제(皇帝)'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08] 그는 스스로를 '시황제(始皇帝)'라 칭하며, 진나라가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랐다.[109][110]

'황제'라는 칭호는 삼황오제에서 '황(皇)'과 '제(帝)'를 따서 만든 것이다.[111] '시(始)'는 '처음'을 뜻하며,[109] 진시황은 자신의 뒤를 잇는 황제들이 '2세 황제', '3세 황제'와 같이 이어지기를 기대했다.[110]

진시황은 '황(皇)' 자에 황제 신농(神農) 황제의 권위를 빌리고, 빛나는 하늘을 의미하는 뜻을 담고자 했다.[112][113] 또한, 원래 하늘 신을 의미했던 '제(帝)' 자를 통해, 어떤 군주보다 뛰어난 존재임을 나타내려 했다.[108]

5. 2. 군현제 실시

嬴政|영정중국어은 승상 이사의 의견에 따라 군현제로 나라를 다스렸다. 전국을 36개 군으로 나누고, 군마다 수(행정 장관), 위(군사령관), 감(감찰관)을 두었다.[307] 또한, 진나라에 저항하는 지방 세력을 없애기 위해 천하의 부호 12만 호를 함양으로 강제 이주시켰으며, 이들을 철저하게 감시했다. 그 결과 함양은 천하 제일의 산업도시로 발전했다.

5. 3. 도량형, 화폐, 문자 통일

이사의 건의에 따라 군현제로 통치하며, 전국을 36개 군으로 나누고 각 군에 수(행정 장관), 위(사령 장관), 감(감찰관)을 두었다. 도량형, 화폐, 문자를 통일하여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려 하였고, 도로를 정비하여 각 지역의 교통 체계를 강화했다.[308] 황제의 명에 따라 6개국 화폐는 모두 폐지되었고 백성들은 구리로 만든 진나라 반량전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구리가 부족해 반량전 공급과 유통량이 줄어들자 화폐 가치가 지나치게 상승했다.[308]

5. 4. 법가 사상에 기반한 통치

始皇帝중국어이사의 의견에 따라 군현제로 나라를 다스렸고, 전국을 36개 군으로 나누고, 군마다 수(행정 장관), 위(사령 장관), 감(감찰관)을 두었다. 또한, 진나라에 저항하는 지방의 세력을 근절하기 위해서 천하의 부호 12만 호를 함양으로 강제 이주시켰다.[307]

始皇帝중국어는 법은 자신이 모두 정하고, 결재도 혼자서 했다. 그래서 상소는 함양궁에 산더미처럼 쌓였고, 상소는 저울로 달았으며, 결재량은 하루에 1석(30 kg)으로 정해졌다. 도량형과 화폐, 문자 등을 통일하여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려 하였고, 도로 역시 정비하여 각지의 교통체계를 강화하였다. 황제의 명에 따라 6개국 화폐는 모두 폐지됐고 백성들은 구리로 만든 진나라 반량전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구리가 부족해 반량전 공급과 유통량이 줄어들자 화폐가치가 지나치게 상승했다.[308]

진시황과 리쓰(李斯)는 도량형을 표준화함으로써 중국을 경제적으로 통일하였다. 수레 바퀴 축의 길이를 표준화하여 도로 운송을 용이하게 하였다.[33] 또한, 황제는 무역과 통신을 위한 광범위한 도로와 운하 네트워크를 개발하였다.[33] 여러 주의 화폐는 반량(半兩) 화폐로 표준화되었다.[34] 한자의 형태도 통일되었다. 리쓰(李斯) 휘하에서 진나라의 전서(篆書)가 공식 표준이 되었고, 진나라 문자 자체도 변형된 형태를 제거하여 단순화되었다. 이로써 지역별로 다양한 문자가 사라지고, 구어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체를 위한 보편적인 문자가 형성되었다.[34]

始皇帝중국어는 전국 시대에 성립된 오행사상(木, 火, 土, 金, 水)과 왕조 교체를 연결짓는 설을 받아들였다. 이에 따르면, 주나라 왕조는 “빨간색”의 “火”로 상징되는 덕으로 번영했다고 여겨진다. 이어 秦 왕조는 상극에 의해 “火”를 멸하는 “검은색”의 “水”로 여겨졌다. 이 사상을 바탕으로 의례용 의복과 황제의 깃발(旄旌節旗)에는 검은색이 사용되었다.[160]

6. 대규모 토목 공사와 사상 탄압

시황제는 주(周) 왕조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통치자관을 근본부터 뒤엎었다.[163] 중앙집권적 정치 지배를 채택하여 정복된 나라들은 독립국의 지위를 상실했고,[164] 대신 36개의 군(郡)이 설치되었으며, 이후 그 수는 48개로 늘었다. 군은 현(縣)으로 나뉘고, 다시 향(郷)과 리(里)로 단계적으로 작은 행정 단위가 정해졌다.[165] 이것은 군현제를 중국 전토에 시행한 것이다.[162]

통일 후, 신하들 사이에서는 기존의 봉건제를 이용하여 왕자들을 여러 나라에 봉하여 통치시키자는 의견이 주류였지만, 이사는 이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했던 것과 같은 정치적 혼란을 초래한다[164][166]고 강력하게 주장하여 채택되었다.[162] 이로써 과거 느슨한 동맹 또는 연합을 기반으로 한 여러 나라의 관계는 쇄신되었다.[167] ‘초(楚)’ 나라 사람을 ‘초인(楚人)’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지역 명칭 구별은 사라졌다.[165][168] 인물 등용도 가문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능력을 기준으로 고려하게 되었다.[165]

시황제는 북방의 흉노족 침입을 염려하여 만리장성을 쌓고, 함양 근교에 아방궁을 짓는 등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였다. 또한 자신의 능묘인 진시황릉을 건설하도록 했다. 이러한 대규모 공사에는 수많은 백성이 강제로 동원되었고, 가혹한 노동 환경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또한, 시황제는 법가 사상을 통치 이념으로 삼고 유학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의술, 점술, 농업에 관한 책을 제외한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분서), 자신을 비판하던 유학자 460여 명을 생매장하는(갱유) 분서갱유를 시행하였다.

6. 1. 만리장성 축조

시황제는 북방의 흉노족 침입을 염려하여 대장군 몽염에게 만리장성을 쌓도록 명했다. 서쪽 임조부터 동쪽 요동까지 이어진 이 거대한 성벽 축조에는 150만여 명의 백성이 강제 동원되었으며, 가혹한 노동 환경으로 인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314] 이는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한 폭정으로, 훗날 큰 비판을 받게 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6. 2. 아방궁 건설

시황제는 함양 근교에 아방궁을 짓도록 하였고, 70만 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여산에 자신의 능묘를 건설하도록 했다. 이러한 대규모 토목공사로 국가 재정이 엉망이 되었고, 진나라 전국 남성의 절반 이상이 강제로 동원되었다.[314]

아방궁도 (청나라 원요 작)

6. 3. 진시황릉 조성

시황제는 함양 근교에 아방궁을 건설하고, 70만 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여산에 자신의 능묘인 진시황릉을 건설하도록 했다. 이러한 대토목공사로 국가 재정은 엉망이 되었고, 진나라 전국 남성의 절반 이상이 동원되었다.[314]



진시황릉 병마용갱의 조각상들. 진시황릉을 지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사마천은 진시황릉 건설에 70만 명이 동원되었다고 기록했다. 존 맨은 이 수치가 당시 세계 어떤 도시의 인구보다도 많다고 지적하며, 기초 공사만으로도 1만 6천 명의 인부가 2년 동안 작업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68]

진시황릉 병마용갱의 테라코타 조각상들은 1974년 3월 29일 우물을 파던 농부들에 의해 발견되었다.[70] 병사들은 점토 틀을 사용하여 만들어졌고, 이후 예술가의 손으로 개별화되었다. 일부 병사들에게는 한자색도 사용되었다.[71] 약 6,000개의 조각상이 있으며, 사후 세계에서 황제를 악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다.[72] 병마용에는 전차와 4만 개의 청동 무기도 있다.

진시황은 생전에 자신의 무덤 건설을 시작했는데, 기원전 215년 몽전에게 30만 명의 인부를 동원하여 건설을 시작하도록 명령했다.[18] 다른 자료에서는 72만 명의 무급 노동자들에게 무덤 건설을 명령했다고 한다.[24] 황제를 안치한 주묘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으며,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는 증거가 있다.

사마천의 묘사에 따르면, 묘에는 궁궐과 탑의 복제품, "희귀한 기구와 놀라운 물건들", 수은으로 만든 100개의 강, "천체"의 표현, 침입자를 쏘도록 설계된 석궁이 있었다.[73] 무덤은 시안에서 30km 떨어진 리산 기슭에 건설되었다. 현대 고고학자들은 무덤 위치를 확인하고 탐침을 깊이 삽입했는데, 자연 발생률의 약 100배에 달하는 비정상적인 양의 수은을 발견하여 전설의 일부가 신빙성이 있음을 시사한다.[62] 비밀 유지를 위해 대부분의 무덤 건설 인부들은 살해되었다.[62][74]

6. 4. 분서갱유

焚書坑儒중국어는 기원전 213년 진(秦)나라에서 진시황의 명으로 의술, 점술, 농업에 관한 책을 제외한 모든 서적을 불태운 사건(분서)과 기원전 212년 진시황을 비판하던 유학자 460여 명을 생매장한 사건(갱유)을 말한다.[75]

진시황은 법가 사상을 통치 이념으로 삼았는데, 유학자들은 이를 비판했다. 이에 진시황은 사상 통제를 위해 분서갱유를 단행했다. 이 사건은 사상과 언론의 자유를 억압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진시황의 폭정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진시황의 통치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7. 불로장생 추구와 죽음

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추구하여 서복일본으로 보내 불로초를 찾게 했으나 실패하고, 각지의 방사들을 불러모았지만 오히려 수은 중독으로 건강을 해쳤다.

시황제는 낭아산에서 신기루를 보고 봉래산이라 믿고, 서복에게 불로불사약을 구해오게 했다. 서복은 소년소녀 3,000명과 함께 떠났으나 돌아오지 않았고, 일본에 정착했다는 설이 있다. 시황제는 수상쩍은 방사들을 불러들여 불로불사를 꾀했지만, 수은을 복용하여 생명이 단축되는 비참한 결과를 맞았다.

중국 통일 후에도 북방 유목민의 위협은 계속되었다. 흉노동호, 월지와의 견제에서 벗어나 세력을 강화하고 있었다. 진시황은 몽염에게 북방 방어를 맡기고, 만리장성의 전신이 되는 거대한 방어벽 건설에 착수했다. 이는 , 중산국 등 여러 나라의 국경 벽을 연결한 것이었다.[185]

기원전 210년, 시황제는 마지막 순행 중 사구에서 5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여산릉에 안장되었으며, 병마용과 함께 1974년에 발견되었다. 시황제의 죽음 이후, 조고의 권력 농단으로 진나라는 혼란에 빠졌다.

7. 1. 불로장생에 대한 집착

시황제는 낭아산에 행차했을 때, 그 풍경에 매료되어 3개월간 머물렀다. 그곳에서 시황제는 섬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신기루 현상을 목격했다. 제나라 출신 방사 서복은 이를 봉래산이라 주장하며, 불로불사약을 구해오겠다고 제안했다. 시황제는 서복에게 막대한 보물과 소년소녀 3,000명을 주어 배를 보냈으나, 서복은 돌아오지 않았다. 서복 일행이 일본에 정착했다는 설이 있다. 불로불사약을 갈망했던 시황제는 각지의 방사들을 불러모았고, 그들의 허황된 주장에 속아 재물을 낭비했다. 효험이 없는 자는 사형에 처한다는 법령까지 만들었지만, 오히려 수은을 불로불사약으로 오인하여 복용, 수명을 단축하는 비참한 결과를 맞이했다.

7. 2. 순행 중 사망

기원전 210년, 시황제는 마지막 순행을 떠났다. 이 순행에는 승상 이사와 중거부령(中車府令)인 환관 조고, 그리고 자신의 26번째 아들이자 막내아들인 진 이세황제가 동행했다.[199]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황제는 돌아오는 도중 평원진(平原津)에서 유성이 떨어졌는데, 그 운석에 누군가가 '시황제사이지분(始皇帝死而地分)', 즉 "시황제가 죽고 천하가 갈라진다"라고 써놓았다고 한다. 이에 충격을 받은 시황제는 병으로 쓰러졌다. 다른 설에 따르면, 화가 난 시황제가 그 지역 주민을 몰살했다고도 전해진다.

시황제는 사구(沙丘) 지방에 이르렀을 때 병이 매우 위독해졌다. 그는 조고에게 유언장을 쓰게 했는데, 그 내용은 옥새를 적장자인 황태자 부소에게 전달하고, 부소에게 함양에서 자신의 장례를 주관하라는 것이었다.

기원전 210년 음력 7월 22일, 시황제는 50세의 나이로 붕어(崩御)했다.[199] 그의 시신은 자신이 만든 지하궁전인 여산에 묻혔다. 이 능묘는 1974년 우물 공사를 하던 중 부장품인 병마용과 함께 발견되어 현재까지 발굴 중이다.

그러나 이사, 조고, 호해는 시황제의 죽음을 숨겼다. 그들은 시황제의 시신이 있는 수레 옆에 절인 생선을 함께 운반하여 시신 썩는 냄새를 감추었다. 조고는 시황제의 유서를 조작하여 황태자 부소와 몽염에게 자결을 명했다. 부소는 자결했지만, 몽염은 이 명령에 의심을 품고 자결하지 않아 조고에 의해 감옥에 갇혔다. 얼마 후, 시황제의 26남 호해가 황제에 올랐으니, 그가 바로 진 이세황제이다. 이세황제는 원래 몽염을 살려주려 했으나, 조고의 말을 듣고 몽염과 그의 동생 몽의를 반역 혐의로 몰아 삼족을 멸하였다.

8. 진시황에 대한 평가

진 시황제는 전국 시대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중국 역사상 최초로 통일 제국을 수립했지만, 그의 통치 방식은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한다.

진시황은 동쪽 순행 중 태산에서 봉선 의식을 거행했다. 봉선은 천지를 제사 지내는 의식으로, 천명을 받은 천자 중에서도 공과 덕을 갖춘 자만이 행할 자격이 있다고 여겨졌다.[201] 시황제는 자신을 오덕종시사상에 비추어 “물”의 덕을 가진 자격자라고 생각했고,[203] 이 의식을 수행했다.[204]

하지만 봉선 의식 절차는 500년 이상의 공백으로 인해 남아 있지 않았고,[201] 시황제는 유학자들에게 물었지만, 답변은 제각각이었다.[204][205] 결국 시황제는 독자적인 형식으로 봉선을 감행했다.[201][204] 이 의식의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으며,[205] 배척당한 유학자들은 비방을 하기도 했다.[204]

8. 1. 긍정적 평가

진 시황제는 중국 역사상 최초로 통일 제국을 수립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전국 시대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하여 중국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진 시황제는 통일 제국을 효율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다양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 문자 통일: 지역마다 달랐던 문자를 통일하여 소전이라는 표준 서체를 제정했다. 이는 정보 전달과 기록의 효율성을 높여 제국의 통합에 기여했다.
  • 도량형 통일: 무게, 길이, 부피를 재는 단위를 통일하여 상업 활동과 세금 징수를 원활하게 했다.
  • 화폐 통일: 다양한 형태와 가치를 지녔던 화폐를 반량전이라는 둥근 엽전으로 통일하여 경제 안정을 도모했다.


기원전 219년 불로장생의 영약을 찾아 출항한 서복의 배.


또한 진시황은 만리장성을 축조하여 북방 민족의 침입을 막고 국방을 강화했다. 이는 백성들에게는 고된 노동이었지만, 제국의 안전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진시황은 산동반도를 순시하면서 선인 사상에 심취하기도 했다.[206] 방사로 불린 서복 등은 진시황에게 불로장생의 비술을 알려주겠다고 접근했다.[207][208] 서복은 진시황에게 동쪽 바다에 봉래산 등 신선이 사는 산이 있다고 하며, 1000세라고 전해지는 안기생|安期生중국어을 데리고 오기 위한 자금 지원을 요청했다.[207][216] 진시황은 이를 허락했으나, 서복은 빈손으로 돌아가면 처벌받을 것을 두려워하여 도망쳤다.[208][211]

8. 2. 부정적 평가

진시황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주로 그의 가혹한 통치 방식과 개인적인 욕망 추구에서 비롯된다.

  • 가혹한 법치와 폭정: 진시황은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엄격한 법 적용과 가혹한 형벌을 시행하여 백성들을 고통스럽게 했다.[193] 백성들은 사소한 잘못에도 가혹한 처벌을 받았으며, 이는 사회 전반에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다.
  • 분서갱유: 진시황은 자신의 통치에 비판적인 사상을 탄압하기 위해 분서갱유를 일으켰다.[193] 이는 수많은 서적을 불태우고 지식인들을 생매장하는 사건으로, 지식과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고 문화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 대규모 토목 공사: 진시황은 만리장성, 아방궁, 진시황릉 등 대규모 토목 공사를 강행하여 백성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웠다. 이러한 공사에는 막대한 재정과 인력이 투입되었으며, 수많은 백성이 강제 노역에 동원되어 희생되었다.
  • 불로장생 추구: 진시황은 불로장생을 맹신하여 국력을 낭비했다. 불로초를 찾기 위해 막대한 재물을 낭비하고, 사기꾼들에게 속아 넘어가는 등 비합리적인 행동을 보였다. 자신의 무덤인 진시황릉 건설에도 엄청난 재화와 인력을 투입하여 백성들의 고통을 가중시켰다.
  • 후계자 문제: 진시황은 생전에 후계자를 명확히 지명하지 않아, 사후 권력 다툼과 혼란을 야기했다. 장남 부소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음에도 진시황에게 박대받고 변방으로 쫓겨났으며, 결국 죽음을 맞이했다. 이러한 후계 구도의 불안정은 진나라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

8. 3.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진시황은 중국 역사상 최초로 통일 제국을 건설하고 여러 개혁 정책을 추진했지만, 그의 통치 방식은 현대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진시황은 미신에 깊이 빠져 불로초를 찾는 등 국력을 낭비했고, 자신의 무덤을 만드는 데 엄청난 재물과 인력을 낭비했다.[212][200] 이러한 행태는 백성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을 것이다.

또한, 진시황은 후계자를 명확히 지명하지 않아 자신이 죽은 후 권력 다툼과 혼란을 야기했다.[207] 장남 영부소는 백성들의 지지를 받았지만, 진시황은 자신의 의견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그를 변방으로 쫓아냈다. 이러한 결정은 결국 진나라의 멸망을 앞당기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처럼 진시황의 통치는 백성들의 고통을 외면하고 자신의 권력 유지에만 몰두한 독재적인 모습이었다. 이는 민주주의, 인권, 다양성을 존중하는 현대적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다.

9. 진시황 관련 작품

진시황 암살 미수 문서를 참고하라.[213]

9. 1. 영화

9. 2. 만화

만화 《킹덤》에서 진 시황제가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Rulers of China, 221 BC-AD 1949 https://archive.org/[...] Routledge
[2] 서적 Bad Days in History: A Gleefully Grim Chronicle of Misfortune, Mayhem, and Misery for Every Day of the Year https://books.google[...] 寂天文化
[3] 서적 Bad Days in History: A Gleefully Grim Chronicle of Misfortune, Mayhem, and Misery for Every Day of the Year https://books.google[...] National Geographic
[4] 웹사이트 §6: Basic Annals of the First Emperor of Qin http://www.guoxue.co[...] 2013-12-25
[5] 웹사이트 §5: Basic Annals of Qin http://www.guoxue.co[...] 2013-12-25
[6] 서적 Chinese History: A Manual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3-12-26
[7] 서적 The Great Wall McGraw-Hill
[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and Religion of Taoism: Pathways to Immortality Sussex Academic Press
[9] 웹사이트 §5: Basic Annals of Qin http://zh.wikisource[...] 2013-12-27
[10] 서적 The Establishment of the Han Empire and Imperial China Greenwood
[11] 서적 Heaven and Earth in Early Han Thought: Chapters Three, Four, and Five of the Huainanzi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3-12-26
[12] 논문 The stele inscriptions of Ch'in Shih-huang: text and ritual in early Chinese imperial representation American Oriental Society
[13] 서적 The Early Chinese Empires: Qin and Han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2013-12-27
[14] 웹사이트 Understanding Di and Tian: Deity and Heaven from Shang to Tang Dynasties http://www.sino-plat[...] Sino-Platonic Papers 2013-12-27
[15] 웹사이트 Understanding Di and Tian
[16] 웹사이트 §6: Basic Annals of the First Emperor of Qin http://zh.wikisource[...] 2013-12-27
[17] 웹사이트 The First Emperor's Taboo Character and the Three Day Reign of King Xiaowen: Two Moot Points Raised by the Qin Chronicle Unearthed in Shuihudi in 1975 https://www.jstor.or[...] 1987
[18] 서적 China's First Emperor and His Terracotta Warriors Macmillan Publishing
[19] 서적 Annals of Qin Shi Huang
[20] 서적 Rise and Fall of the Qin Dynasty Asiapac
[21] 서적 China: A Macro History M. E. Sharpe
[22]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Lü Shi Chun Qiu : a Complete Translation and Study Stanford University Press
[23]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Ancient China Social Studies School Service
[25] 서적 Qin Shi Huangdi: First Emperor of China https://books.google[...] Heinemann-Raintree Library 2020-10-21
[26] 문서 司馬遷《史記·卷043·趙世家》:(赵悼襄王)六年,封长安君以饶。
[27] 문서 Shiji Chapter – Qin Shi Huang
[28] 서적 A Thousand Pieces of Gold: Growing Up Through China's Proverbs HarperCollins
[29] 웹사이트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Vol. 6: Annals of Qin Shi Huang http://ctext.org/shi[...]
[30] 서적 The Songs and Ballads of Li He Chang Lulu.com 2008
[31] 서적 The Wu Liang Shrine: The Ideology of Early Chinese Pictorial Art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9
[32] 서적 Beijing a Concise History Routledge
[33] 서적 China's Geography: Globalization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34] 서적 Nation, State, and Imperialism in Early China ca. 1600 BC–8 A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5] 논문 The First Emperor and sculpture in China https://doi.org/10.1[...] 2013-10
[36] 서적 Chinese Culture and the Chinese Milita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학술지 The First Emperor and sculpture in China https://doi.org/10.1[...] 2013-10-01
[38] 서적 Chinese Sculp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39] 서적 Archaeology of East Asia: The Rise of Civilization in China, Korea and Japan https://books.google[...] Oxbow
[40] 서적 Figurines: Figuration and the Sense of Scal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China's Intellectuals: Advise and Dissent Harva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History of Modern China Atlantic Publishers & Distributors
[43] 서적 Confucianism and Women: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UNY Press
[4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간행물 Burying the Scholars Alive: On the Origin of a Confucian Martyrs' Legend http://www.ulrichnei[...]
[46] 서적 China: Ancient Culture, Modern Lan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47] 서적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Early Imperial China: Publicizing the Qin Dynas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8] 서적 China Rough Guides Publishing
[49] 서적 China: A Macro History M. E. Sharpe
[50] 서적 The Great Wall of China https://archive.org/[...] Infobase
[51] 서적 Great Wall of China: Beijing & Northern China Bradt Travel Guides
[52] 웹사이트 Defense and Cost of The Great Wall http://www.paulnoll.[...] 2011-07-26
[53] 서적 Empires in World History: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54] 서적 South-West China: lively Yunnan and its exotic neighbours Lonely Planet
[55] 서적 China Condensed: 5000 Years of History & Culture Marshall Cavendish
[56] 서적 Qi Publishing Group
[57] 서적 The Encyclopedia of Taoism Routledge
[58] 뉴스 Qin Shi Huang: The ruthless emperor who burned books https://www.bbc.com/[...] 2022-11-24
[59] 서적 The Legitimation of New Orders: Case Studies in World History Chinese University Press
[60] 웹사이트 中國考古簡訊:秦始皇去世地沙丘平臺遺跡尚存. http://big5.xinhuane[...] 2009-01-28
[61] 학술지 China's Flat Earth: History and 8 August 2008 https://www.cambridg[...] 2020-06-24
[62] 서적 The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Greenwood
[63] 서적 More Than 36 Stratagems: A Syste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Basic Behaviours Trafford Publishing
[64] 웹사이트 史記/卷006 –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https://zh.wikisourc[...] 2022-07-31
[65] 문서 《史记·高祖本纪》司马贞《索隐》写道:"《善文》称隐士云赵高为二世杀十七兄而立今王,则二世是第十八子也。"
[66] 서적 秦始皇帝评传 陕西人民教育出版社
[67] 학술지 Discoveries May Rewrite History of China's Terra-Cotta Warriors https://web.archive.[...] 2016-10-12
[68] 서적 The Terracotta Army Bantam
[69] 학술지 The First Emperor and sculpture in China https://doi.org/10.1[...] 2013-10-01
[70] 서적 China: A Macro History M. E. Sharpe
[71] 논문 Paint Layers and Pigments on the Terracotta Army: A Comparison with Other Cultures of Antiquity ICOMOS
[72] 웹사이트 The dark history behind the record-breaking Terracotta Army https://www.guinness[...] 2022-11-24
[73] 서적 The Terracotta Army Bantam
[74] 서적 China Rough Guides publishing
[75] 논문 East Asian Civilizations. New Attempts at Understanding Traditions vol. 2 http://ulrichneining[...]
[76] 논문 How the First Emperor Unified the Minds Of Contemporary Historians: The Inadequate Source Criticism in Modern Historical Works About The Chinese Bronze Age https://www.jstor.or[...]
[7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I: 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78] 서적 The Great Wall: 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AD 2000 Grove Press
[79]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Volume 1, From Earliest Times to 1600 Columbia University Press
[80] 뉴스 Qin Shi Huang: The ruthless emperor who burned books https://www.bbc.com/[...] BBC 2022-11-24
[81] 서적 Mao Zedong sixiang wan sui!
[82] 웹사이트 The Wall and the Books http://www.southernc[...] 2009-02-02
[83] 웹사이트 Film review https://movies.nytim[...] 2009-02-02
[84] 웹사이트 Emperor and the Assassin https://www.imdb.com[...] 2009-02-02
[85] 뉴스 The battle for the Palm d'Or http://news.bbc.co.u[...] BBC News 2016-11-08
[86] 웹사이트 "Hero" – Zhang Yimou (2002) http://www.filmsufi.[...] 2013-09-05
[87] 웹사이트 历史剧:正史侠说 http://ent.sina.com.[...] 2009-02-02
[88] 웹사이트 A Step to the Past TVB http://tvcity.tvb.co[...] 2009-02-02
[89] 웹사이트 List the 30 episode series https://archive.toda[...] 2009-02-02
[90] 웹사이트 Fate/Grand Order 4th Anniversary Event "Fate/Grand Order Fes 2019 ~Chaldea Park~" [Event Report Vol. 1] https://otakumode.co[...] 2019-10-08
[91] 웹사이트 Civilization 6 DLC Rulers of China gets release date on Steam and Epic https://www.pcgamesn[...] 2024-06-04
[92] 웹사이트 DocumentaryStorm https://web.archive.[...]
[93] 웹사이트 China's First emperor http://www.historych[...] 2009-02-02
[94] 웹사이트 Record of Ragnarok Manga Volume 16 Releasing First On Mangamo https://www.imdb.com[...] 2023-03-10
[95]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史書』秦本紀 70 http://ctext.org/shi[...]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96] 문서 史記索隠が引く竹書紀年によると、前漢の武帝の治世以前の年始は冬10月と記述されている。
[97] 문서 史記「秦始皇本紀」
[98] 서적 China:A Macro History M.E. Sharpe publishing
[99] 웹사이트 Emperor Qin Shi Huang -- First Emperor of China http://www.travelchi[...] TravelChinaGuide.com 2011-12-20
[100] 서적 China's First Emperor and His Terracotta Warriors Macmillan publishing
[101] 서적 World History:Volume I:To 1800 Thomson Higher Education publishing
[102] 문서 史記秦始皇本紀に「名を政と為し、趙氏を姓とす。」 の記載有り。 http://gongsunlong.w[...]
[103] 문서 北京大学蔵西漢竹書『趙正書』における「秦」叙述 https://researchmap.[...]
[104] 문서 秦始皇帝
[105] 문서 拼音
[106] 문서 柿沼2015
[107] 서적 Rise and Fall of the Qin Dynasty Asiapac Books Pte Ltd
[108] 문서 吉川 (2002)、pp.107-113、第四章 天下統一‐皇帝の誕生‐1
[109] 서적 China's First Emperor and His Terracotta Warriors Macmillan publishing
[110] 서적 The Establishment of the Han Empire and Imperial China Greenwood Publishing Group
[111] 서적 The Great Wall McGraw-Hill
[112]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and Religion of Taoism:Pathways to Immortality Sussex Academic Press
[113] 웹사이트 The Early Chinese Empires:Qin and Han https://books.google[...] ハーバード大学出版局Belknap Press
[114]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Chapter 5 http://zh.wikisource[...]
[115] 문서 「秦始皇本紀」1
[116] 웹사이트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Chapter 6 http://zh.wikisource[...]
[117] 웹사이트 帝王相貌引起的歴史爭議 http://vip.book.sina[...] Sina 2009-01-18
[118] 서적 Chinese Emperors
[119] 웹사이트 秦亭故址 http://www.bytravel.[...]
[120] 문서 後に紀元前257年に邯鄲を脱出して秦に帰り、華陽夫人と初めて謁見した際に子楚と改名《戦国策・秦策》:異人至,不韋使楚服而見。王后悦其状,高其知,曰:「吾楚人也。」而自子之,乃変其名曰楚。
[121] 문서 昭襄王42年([[紀元前265年]])に2年前亡くなった兄の[[悼太子]]に代わって太子に指名された 史記 巻5 秦本紀 (秦昭襄王)四十年,悼太子死魏…四十二年,安国君為太子。
[122] 문서 吉川 (2002)、pp.21-30、第一章 奇貨居くべし‐始皇帝は呂不韋の子か‐1
[123] 문서 当時は男女で姓と氏を使い分けていたので、「趙氏嬴姓の政」はいずれにせよ「趙政」と呼ばれていたともされる。
[124]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Qin Dynasty Columbia University Press
[125] 문서 「呂不韋列傳」5
[126] 문서 吉川 (2002)、pp.30-37、第一章 奇貨居くべし‐始皇帝は呂不韋の子か‐2
[127]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漢書』五行志下49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128]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Lü Shi Chun Qiu:a Complete Translation and Study Stanford University Press
[129]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Stanford University Press
[130] 서적 中国古代の思想家たち 岩波書店
[131] 문서 「呂不韋列傳」6
[132] 문서 陳 (1998)、pp.154-194、乱世の果て
[133] 문서 吉川 (2002)、pp.287-291、秦の始皇帝年譜
[134] 서적 Ancient China Social Studies School Service. Social Studies
[135] 문서 『史記』秦始皇本紀
[136] 문서 吉川 (2002)、pp.38-45、第一章 奇貨居くべし‐始皇帝は呂不韋の子か‐3
[137] 문서 吉川 (2002)、pp.45-53、第一章 奇貨居くべし‐始皇帝は呂不韋の子か‐4
[138] 서적 A Thousand Pieces of Gold:Growing Up Through China's Proverbs HarperCollins
[139] 문서 「呂不韋列傳」12
[140] 문서 「呂不韋列傳」14
[141] 書籍 駆客令‐秦国の発展‐1
[142] 書籍 駆客令‐秦国の発展‐2
[143] 書籍 駆客令‐秦国の発展‐3
[144] 書籍 駆客令‐秦国の発展‐4
[145] 書籍 統一への道‐六国併合‐1
[146]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韓非子』《初見秦》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1-20
[147]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韓非子』《孤憤》1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1-20
[148]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韓非子』《五蠹》10-13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1-20
[149] 웹사이트 HKChinese culture http://hk.chiculture[...] 2009-01-18
[150] 서적 Beijing a Concise History Routledge
[151] 書籍 統一への道‐六国併合‐2
[152] 서적 The First Emperor:Selections from the Historical Records Oxford University Press
[153] 書籍 天下統一
[154]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史書』刺客列傳 26 http://ctext.org/shi[...]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155] 書籍 統一への道‐六国併合‐3
[156] 서적 Sima Qian:The First Emperor Oxford University Press
[157] 문서 史記 王翦列伝 また昌平君の項を参照の事
[158]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史書』白起王翦列傳10-12 http://ctext.org/shi[...]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159] 書籍 統一への道‐六国併合‐4
[160] 서적 China's First Emperor and His Terracotta Warriors Macmillan publishing
[161] 서적 China:Ancient Culture, Modern Lan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62] 書籍 天下統一‐皇帝の誕生‐2
[163] 서적 The First Emperor of China Sutton Publishing
[164] 서적 Imperialism in Early China. CA. 1600BC - 8A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65] 서적 The Rise of the Chinese Empire:Nation, State, and Imperialism in Early China, CA. 1600BC - 8A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66] 書籍 天下統一‐皇帝の誕生‐4
[167] 서적 China's Geography:Globalization and the Dynamics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 Rowman & Littlefield publishing
[168] 문서 The source also mention ch'ien-shou was the new name of the Qin people. The may be the Wade-Giles romanization of (秦受) "subjects of the Qin empire".
[169] 서적 トコトンやさしい計量の本 日刊工業新聞社
[170] 書籍 天下統一‐皇帝の誕生‐3
[171] 書籍 皇帝の文字 文字改革
[172] 書籍 政治の文字 隷書
[173] 書籍 皇帝の文字 度量衡
[174] 웹사이트 青銅詔版の権量銘 http://abc0120.net/w[...] 考古用語辞典 2011-11-20
[175] 書籍 咸陽‐阿房宮と驪山陵‐3
[176] 서적 史記 (Unspecified)
[177] 서적 史記一(本紀) 新釈漢文大系
[178] 서적 The Form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Yale University Press
[179] 참고자료 咸陽‐阿房宮と驪山陵‐4
[180] 서적 史記
[181] 서적 The Terracotta Army Bantam Press
[182] 서적 China: A Macro History M.E. Sharpe publishing
[183] 서적 The First Emperor: China's Terracotta Army British Museum Press
[184] 강연 始皇帝陵と東方世界~大河・山川・海 学習院大学 国際研究教育機構 2013-11-16
[185] 참고자료 万里の長城
[186]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Chinese Army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87] 서적 史記
[188] 서적 The First Emperor of China
[189] 서적 China: A Macro History M.E. Sharpe publishing
[190] 웹사이트 秦代三大水利工程之一:靈渠 http://news.sina.com[...] 2009-02-02
[191] 서적 South-West China: lively Yunnan and its exotic neighbours Lonely Planet
[192] 참고자료 秦始皇本紀
[193] 참고자료 天下巡遊‐刻石と『雲夢秦簡』‐1
[194]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尚書』《虞書》《舜典》3-4 http://ctext.org/sha[...]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1-20
[195] 참고자료 秦始皇本紀
[196] 참고자료 秦の始皇帝
[197] 참고자료 秦始皇本紀
[198] 참고자료 秦始皇本紀
[199] 참고자료 秦始皇本紀
[200] 참고자료 天下巡遊‐刻石と『雲夢秦簡』‐2
[201] 참고자료 秦山風物
[202] 참고자료 封禪書
[203] 참고자료 封禪書
[204] 참고자료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1
[205] 참고자료 封禪書
[206] 참고자료 封禪書
[207] 참고자료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2
[208] 서적 China Condensed: 5000 Years of History & Culture Marshall Cavendish
[209] 참고자료 封禪書
[210] 서적 The Encyclopedia of Taoism Routledge
[211] 서적 吉川 (2002)、pp.218-227、第七章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5
[212] 문서 「秦始皇本紀」26
[213] 서적 吉川 (2002)、pp.232-237、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1
[214] 서적 The Songs and Ballads of Li He Chang
[215] 서적 The Wu Liang Shrine:The Ideology of Early Chinese Pictorial Art Stanford University Press
[216] 서적 China Rough Guides Publishing
[217]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儒家 説苑 復恩 14 http://ctext.org/shu[...]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18] 문서 「秦始皇本紀」33
[219] 문서 「秦始皇本紀」24
[220] 서적 吉川 (2002)、pp.206-211、第七章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3
[221] 문서 「秦始皇本紀」36
[222]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23] 웹사이트 「不老不死の薬探せ!」始皇帝の命令、木簡から発見 https://www.afpbb.co[...] AFP 2020-09-22
[224] 문서 「秦始皇本紀」38
[225]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26]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27]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28] 서적 Confucianism and Women: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SUNY Press
[229]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オックスフォード大学出版局
[230]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法家 韓非子 五蠹 1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31] 서적 吉川 (2002)、pp.211-218、第七章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4
[232] 논문 秦の思想統制について : 雲夢秦簡ノート 九州大学中国哲学研究会 2020-05-29
[233]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法家 韓非子 姦劫弑臣 http://ctext.org/han[...] 網站の設計與内容 2011-12-20
[234] 서적 The First Emperor of China
[235]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道家 荘子 内篇 大宗師 1 http://ctext.org/han[...] 網站の設計與内容 2011-12-20
[236]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道家 荘子 内篇 齊物論 11 http://ctext.org/zhu[...] 網站の設計與内容 2011-12-20
[237]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38]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39] 문서 史記 秦始皇本紀
[240] 서적 China's First Emperor and His Terracotta Warriors
[241] 문서 「秦始皇本紀」41
[24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3] 서적 吉川 (2002)、pp.227-231、第七章 方士と儒生‐封禅と焚書坑儒‐6
[244] 문서 淳于越、二世皇帝胡亥の発言
[245] 서적 The First Emperor of China
[246] 서적 The Legitimation of New Orders:Case Studies in World History Chinese University Press
[247] 문서 「秦始皇本紀」42
[248] 문서 「秦始皇本紀」43
[249] 문서 吉川 (2002)、pp.238-243、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2
[250] 문서 「秦始皇本紀」45
[251] 서적 More Than 36 Stratagems:A Syste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Basic Behaviours Trafford Publishing
[252] 문서 吉川 (2002)、pp.243-246、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3
[253] 문서 司馬遷『史記』秦始皇本紀では旧暦7月22日(ユリウス暦9月10日)、『洪範五行伝』では旧暦6月21日(ユリウス暦7月11日)
[254] 웹사이트 中国百科 秦の始皇帝陵 http://japanese.cri.[...] CRI online 2011-12-20
[255]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開元占経』 https://ctext.org/wi[...] 網站的設計與内容 2020-12-20
[256] 서적 The History of Chin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57] 서적 讀名人小傳學英文:famous people 寂天文化
[258] 웹사이트 中國考古簡訊:秦始皇去世地沙丘平臺遺跡尚存 http://big5.xinhuane[...] Xinhuanet.com 2009-01-28
[259] 문서 吉川 (2002)、pp.246-253、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4
[260] 문서 吉川 (2002)、pp.253-258、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5
[261] 문서 吉川 (2002)、pp.258-264、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6
[262] 문서 吉川 (2002)、pp.264-270、第八章 祖竜死す‐秦帝国の崩壊‐7
[263]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儒家 論衝 實知 2 http://ctext.org/lu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64] 서적 人間・始皇帝 岩波書店 2015-09-18
[265] 학술지 北京大学蔵西漢竹書『趙正書』における「秦」叙述 https://hdl.handle.n[...] 大阪大学中国学会
[266] 문서 「秦始皇本紀」4
[267] 문서 「秦始皇本紀」41
[268] 문서 吉川 (2002)、pp.278-282、終章 秦時の轆轢鑽‐後世の始皇帝評価‐3
[269]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漢書 五行志 下之上 54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70]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史記 高祖本紀19 http://ctext.org/shi[...]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71]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漢書 高帝紀下 6 http://ctext.org/han[...]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72] 웹사이트 諸子百家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論語 子張 20 http://ctext.org/ana[...] 網站的設計與内容 2011-12-20
[273] 문서 吉川 (2002)、pp.271-275、終章 秦時の轆轢鑽‐後世の始皇帝評価‐1
[274]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Volume I:the Ch'in and Han Empires, 221 B.C. - A.D. 2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5] 서적 The Great Wall: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AD 2000 Grove Press
[276] 시 국풍
[277] 문서 参考文献「秦の始皇帝」終章のタイトルやp.277表記では「轆」でなく「車へんに度」の文字が使われている。仮に「轆」を用いる根拠は [http://edba.ncl.edu.tw/ChijonTsai/SIX/six-17.htm 雲門文偃] に基づく。
[278] 문서 吉川 (2002)、pp.275-277、終章 秦時の轆轢鑽‐後世の始皇帝評価‐1
[279] 웹사이트 世界的奇迹 民族的骄傲 (五) http://www.bmy.com.c[...] 秦始皇帝陵博物院 2019-07-25
[280] 문서 藤枝 (1999)、pp.68-69、四 皇帝の文字 始皇帝の天下統一
[281] 웹사이트 The Wall and the Books http://www.southernc[...] 2009-02-02
[282] 웹사이트 The Lord of the East http://openlibrary.o[...] 2009-02-02
[283]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284]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285] 웹사이트 秦・始皇帝 http://movie.goo.ne.[...] goo映画 2011-11-20
[286] 서적 カリスマ先生の世界史 https://books.google[...] PHP研究所
[287] 웹사이트 Film review http://movies.nytime[...] 2009-02-02
[288] 웹사이트 Emperor and the Assassin https://www.imdb.com[...] 2009-02-02
[289] 웹사이트 始皇帝暗殺 http://movie.goo.ne.[...] goo映画 2011-11-20
[290] 웹사이트 List the 30 episode series http://big5.cctv.com[...] 2009-02-02
[291] 웹사이트 亂世英雄呂不韋 https://ent.sina.com[...] 新浪網 2021-01-01
[292] 웹사이트 http://data.ent.sina[...]
[293] 웹사이트 http://www.epcott.co[...]
[294] 웹사이트 http://www.eigeki.co[...]
[295] 웹사이트 張魯一(チャン・ルーイー)主演歴史ドラマ『大秦賦/Qin Dynasty』 https://enjoychina.b[...] 2021-01-01
[296] 웹사이트 http://youngjump.jp/[...]
[297] 웹사이트 テレビアニメ http://www9.nhk.or.j[...] NHKアニメワールド キングダム 2012-06-16
[298] 웹사이트 Secrets of China's First emperor http://www.blockbust[...] 2009-02-02
[299] 웹사이트 China's First emperor http://www.historych[...] 2009-02-02
[300] 웹사이트 http://www.metoperaf[...]
[301] 웹사이트 Civilization IV http://www.gamefaqs.[...] 2009-02-03
[302] 문서 한서의 진나라 기록
[303] 뉴스 “차라리 태평시절의 개로 살고 싶다” 학살 겪은 민초의 悲願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6-05-08
[304] 뉴스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94] ‘짐(朕)’이 부른 외로움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0-06-19
[305] 뉴스 ‘我(아)’의 고대 의미는 ‘殺(살)’이었다 http://www.soundofho[...] SOH희망지성 2014-07-07
[306] 뉴스 [중국제왕열전] 秦始皇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2010-06-10
[307] 간행물 동양문화의 이해(중국 진나라의 통일) http://www.nl.go.kr/[...] 강원도교육청
[308] 뉴스 [BOOK] 역사 속 경제 이야기 {{Unicode||}} 화폐 통일 진시황부터 경제학자 제갈량까지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8-10-08
[309] 뉴스 강력한 법만이 세상을 바꾼다고 주장한 '상앙'은 누구인가? https://www.edujin.c[...] 에듀진 2019-04-08
[310] 뉴스 상앙의 변법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4-06-25
[311] 문서 분서갱유에 대한 다른 해석
[312] 뉴스 나무기둥 하나로 천하통일의 기틀 만들다 http://www.joongboo.[...] 중부일보 2013-12-04
[313] 뉴스 자기 마음을 들여다보기, 누가 강제하는가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 2019-05-11
[314] 뉴스 누구를 위한 장벽일까? ... 만리장성(萬里長城) http://www.jnuri.net[...] 제이누리 2016-02-11
[315] 서적 사기 진시황본기
[316] 문서 진의 마지막 군주 자영에 대한 부소의 아들이라는 설의 신빙성 부족
[317] 문서 진 이세황제의 즉위와 숙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