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군 (산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군(上郡)은 중국 산시성(山西省)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위(魏)나라가 진(秦)나라에 15현을 헌납하면서 설치되었다.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 전국에 36개의 군을 설치하면서 상군도 설치되었고, 이후 한(漢)나라, 신(新)나라, 후한(後漢)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치소가 변경되었다. 후한 말기에는 강족과 선비족의 침입으로 폐지되었다가, 서진(西晉) 시대에 부활하여 수(隋)나라, 당(唐)나라 시기까지 존속했다. 상군은 흉노와의 관계, 이민족 통치 정책, 그리고 속현의 변화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과 행정 구역의 변천을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 한나라의 군 - 낙랑군
    낙랑군은 기원전 108년 한무제가 위만조선 멸망 후 설치한 한나라의 군현으로, 주변 소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고구려에 의해 멸망했다.
  • 한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상군 (산시성)
개요
유형
위치현재의 중국 산시 성 북부 지역
존속 기간기원전 306년 ~ 서진 시대
역사
설치기원전 306년, 진나라에 의해 설치
폐지서진 시대
주요 사건흉노와의 국경 분쟁 지역
행정
치소고노 (중국어: 高奴)
속현상세 정보는 본문 참조
지리
위치산시 성 북부, 오르도스 분지 남쪽
주요 지역황토 고원 지대
인물
주요 인물몽염
기타
관련 유적만리장성

2. 전국·진

기원전 446년에서 기원전 396년 사이, 전국 시대 위나라 문후 때 상군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328년, 위나라는 혜문군에게 상군 15현을 바쳤고, 이후 상군은 진나라에 속하게 되었다.[6]

기원전 221년, 진(秦)이 중국을 통일하면서 전국에 36개 군을 설치할 때 상군도 설치되었으며, 치소는 부시현(현재의 위린시 남부)으로 정해졌다.

기원전 206년, 항우가 관중을 삼분할하여, 항복한 진나라 장수 동예를 상군 지역의 '''적왕'''으로 봉했다. 이로써 상군은 일시적으로 소멸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적왕이 유방에게 항복하면서 상군은 다시 설치되었고, 병주에 속하게 되었다.

신(新)이 성립되면서 상군은 '''증산군'''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후한 시기에 다시 '''상군'''으로 고쳐졌다. 이 시기에는 강족의 침입이 잦아 111년 (영초 5년)에는 군 치소가 하양현으로, 184년 (중평 원년)에는 낙양현으로 이전되는 등, 행정 중심지가 여러 차례 바뀌었다. 213년 (건안 18년), 상군은 기주에 편입되었지만, 한조의 실질적인 지배력은 이미 상실된 상태였다. 결국 215년 (건안 20년)에 상군은 폐지되었다.

2. 1. 진나라의 군현제

기원전 328년, 위나라혜문군에게 상군 15현을 바치면서 진나라 최초로 군현제가 시행되었다.[6] 이전까지 진나라는 전국을 현으로 나누고 내사의 관할 아래 두었으나, 이때 획득한 땅에 상군을 설치하였다.[6] 치소는 부시현(지금의 위린시 남동)이었다.[7]

다음은 현재까지 밝혀진 상군의 속현들이다.[7]

현명한자대략적 위치근거
부시膚施위린시 쑤이더현 남동? 징볜현 용안고성(龍安古城)?전세 진나라 병기 과에 새겨진 왕육년상군수질지조, 거공례(王六年上郡守疾之造, 莒工禮)[8]
양주陽周옌안시 쯔창 현 북서 양주고성전세 진나라 병기 모에 새겨진 양주새사마(陽周塞司馬)
은양圜陽위린시 쑤이더 현전세 진나라 병기 상군과에 새겨진 은양(圜陽)
고노高奴옌안시시안 교외 아방궁 유지에서 출토된 진고노권(秦高奴權)에 고노석(高奴石) 등
칠원漆垣퉁촨시 북서내몽골 준가르 기 우얼투거우진묘(勿尔图沟秦墓)에서 출토된 진소양왕십이년상군수수과(秦昭襄王十二年上郡守壽戈)에 새긴 문구 중 칠원공사승(漆垣工師丞) 등
광연廣衍오르도스 시 준가르 기 우얼투거우 고성진소양왕십이년상군수수과와 같이 나온 구리 모와 도기 호(壺) 위에 새겨진 광연(廣衍)
낙도洛都옌안시 간취안현 북서진나라 봉니 낙도승인(洛都丞印) 등
정양定陽옌안시 이촨현 북서진나라 봉니 정양시승(定陽市丞) 등
조음雕陰옌안시 푸현황룽 현에서 수집된 진혜문왕 후원11년 도관상착인(陶罐上戳印)에 조음(雕陰) 등
원도原都?전세저록품 진나라 관인 원도좌위(原都左尉)
평도平都위린시 헝산구 삼좌고성(三座古城)?전세 진나라 병기 평도(平都) 노기
도경徒涇?출토된 진나라 병기 과에 새겨진 도경(徒涇) 등
평주平周위린시 미즈현 일대1984년 산시 성 툰류 현에서 출토된 진나라 평주과에 새겨진 평주(平周)
중양中陽?1983년 내몽골 칭수이허 현 고성 유적에서 출토된 진나라 병기 중양과에 새겨진 중양(中陽)
서도西都?1985년 내몽골 에진호로 기 훙칭허 향에서 출토된 십오년상군수수과(十五年上郡守壽戈) 명문에 서도(西都)
무고武庫?1957년 허베이 성 이 현 연하도유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병기 십팔년상군과(十八年上郡戈) 명문에 상군무고(上郡武庫) 등
평륙平陸?전세 진나라 병기 십사년□평언씨극(十四年□平匽氏戟) 명문에 평륙(平陸) 등
?전세 진나라 병기 중양요과(中陽饒戈) 명문에 (饒)
박릉博陵위린시 선무시 여대보당고성(如大保當古城)·하가을고성(河家圪臺古城) 유지?장가산한간 《질률》 중 박릉(博陵) 등
백토白土오르도스 시 에진호로 기 알탄시러 진 동가거 촌 남서 1 m 고성?1980년 허난 성 비양 현 관장북강3호 진나라 묘에서 출토된 동종 명문에 상백(上白)
부창富昌오르도스 시 준가르 기 남동전세 전국 삼진 고새(古璽) 중 조나라 부창한군(富昌韓君) 사인



정양은 전국시대 위나라, 부시, 중양, 서도는 전국시대 조나라 땅이었다. 부창은 조나라 임호(林胡)의 땅이었다.[7]

2. 2. 속현

상군 속현 (진나라 시대)
현명한자대략적 위치근거
부시膚施위린 시 쑤이더현 남동? 징볜현 용안고성(龍安古城)?전세 진나라 병기 과에 새겨진 왕육년상군수질지조, 거공례(王六年上郡守疾之造, 莒工禮)[8]
양주陽周옌안시 쯔창 현 북서 양주고성전세 진나라 병기 모에 새겨진 양주새사마(陽周塞司馬)
은양圜陽위린 시 쑤이더 현전세 진나라 병기 상군과에 새겨진 은양(圜陽)
고노高奴옌안 시시안 교외 아방궁 유지에서 출토된 진고노권(秦高奴權)에 고노석(高奴石) 등
칠원漆垣퉁촨시 북서내몽골 준가르 기 우얼투거우진묘(勿尔图沟秦墓)에서 출토된 진소양왕십이년상군수수과(秦昭襄王十二年上郡守壽戈)에 새긴 문구 중 칠원공사승(漆垣工師丞) 등
광연廣衍오르도스 시 준가르 기 우얼투거우 고성진소양왕십이년상군수수과와 같이 나온 구리 모와 도기 호(壺) 위에 새겨진 광연(廣衍)
낙도洛都옌안 시 간취안현 북서진나라 봉니 낙도승인(洛都丞印) 등
정양定陽옌안 시 이촨현 북서진나라 봉니 정양시승(定陽市丞) 등
조음雕陰옌안 시 푸현황룽 현에서 수집된 진혜문왕 후원11년 도관상착인(陶罐上戳印)에 조음(雕陰) 등
원도原都?전세저록품 진나라 관인 원도좌위(原都左尉)
평도平都위린 시 헝산구 삼좌고성(三座古城)?전세 진나라 병기 평도(平都) 노기
도경徒涇?출토된 진나라 병기 과에 새겨진 도경(徒涇) 등
평주平周위린 시 미즈현 일대1984년 산시 성 툰류 현에서 출토된 진나라 평주과에 새겨진 평주(平周)
중양中陽?1983년 내몽골 칭수이허 현 고성 유적에서 출토된 진나라 병기 중양과에 새겨진 중양(中陽)
서도西都?1985년 내몽골 에진호로 기 훙칭허 향에서 출토된 십오년상군수수과(十五年上郡守壽戈) 명문에 서도(西都)
무고武庫?1957년 허베이 성 이 현 연하도유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병기 십팔년상군과(十八年上郡戈) 명문에 상군무고(上郡武庫) 등
평륙平陸?전세 진나라 병기 십사년□평언씨극(十四年□平匽氏戟) 명문에 평륙(平陸) 등
?전세 진나라 병기 중양요과(中陽饒戈) 명문에 (饒)
박릉博陵위린 시 선무시 여대보당고성(如大保當古城)·하가을고성(河家圪臺古城) 유지?장가산한간 《질률》 중 박릉(博陵) 등
백토白土오르도스 시 에진호로 기 알탄시러 진 동가거 촌 남서 1 m 고성?1980년 허난 성 비양 현 관장북강3호 진나라 묘에서 출토된 동종 명문에 상백(上白)
부창富昌오르도스 시 준가르 기 남동전세 전국 삼진 고새(古璽) 중 조나라 부창한군(富昌韓君) 사인



정양은 전국시대 위나라, 부시, 중양, 서도는 전국시대 조나라 땅이었다. 부창은 조나라 임호(林胡)의 땅이었다.[7]

3. 전한

기원전 206년, 항우가 관중을 삼분할하여 다스릴 때, 항복한 진나라 장수 동예를 '''적왕'''으로 봉하면서 상군은 일시적으로 소멸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적왕 동예가 유방에게 항복하면서 '''상군'''이 다시 설치되었고, 병주에 속하게 되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상군은 10만 3683호, 60만 6658명을 관할했다. 위청곽거병흉노 정벌 이후, 수많은 흉노인들이 농서군, 삭방군, 오원군, 북지군, 운중군 등과 함께 상군에도 정착했다. 이때 상군에는 귀부한 흉노인들을 담당하는 흉귀도위(匈歸都尉)를 새외에 두었고, 삭방자사부에 속했다.[10]

아래는 한서 지리지에 따른 속현 목록이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부시현膚施縣위린시 남동오룡산(五龍山), 제(帝), 원수(原水), 황제(黃帝)의 사당 네 곳이 있었다.
독락현獨樂縣위린시 헝산구염관이 있었다.
양주현陽周縣위린시 헝산 구 남교산(橋山)이 남쪽에 있어 황제총(黃帝冢)이 있었다.
목화현木禾縣?
평도현平都縣옌안시 쯔창 현 남서
천수현淺水縣옌안시 황링현 북서
경실현京室縣?
낙도현洛都縣?
백토현白土縣위린시 선무시은수(圜水)가 서쪽에서 나와서 동으로 황하에 들어갔다.
양락현襄洛縣옌안시 푸현 북서
원도현原都縣?
칠원현漆垣縣퉁촨시 이쥔현
사연현奢延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남서
조음현雕陰縣옌안시 푸 현 북응소에 따르면 조산(雕山)이 서남쪽에 있었다.
추사현推邪縣?
정림현楨林縣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고망현高望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북북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조음도雕陰道옌안시 간취안현
구자현龜茲縣위린시 북속국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염관이 있었다. 안사고에 따르면 한나라에 항복해 온 구자국 사람들을 본현에 정착시킨데서 작명했다.
정양현定陽縣옌안시 남동응소에 따르면 정수(定水)의 북쪽[陽]이다.
고노현高奴縣옌안시 북유수(洧水)가 있는데, 태울 수 있다.[11]
망송현望松縣?북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의도현宜都縣?

[12]

3. 1. 흉노와의 관계

진나라가 쇠퇴하고 흉노묵돌선우의 통치 하에 발흥하면서, 옛 진나라 시절 치소인 부시현까지 흉노의 세력권으로 들어갔다. 진나라가 기원전 206년에 멸망하고 항우가 각지에 제후왕을 봉하면서 이곳은 적(翟)나라의 봉토가 되었다.[9] 위청곽거병흉노 정벌 이후 수많은 흉노인들이 농서군, 삭방군, 오원군, 북지군, 운중군과 본군에 정착했는데, 본군에는 이때 귀부한 흉노인들을 담당하는 흉귀도위(匈歸都尉)를 새외에 두었고, 삭방자사부에 속했다.[10]

3. 2. 전한의 이민족 통치 정책

진나라가 쇠퇴하고 흉노묵돌선우의 통치 하에 발흥하면서, 옛 진나라 시절 치소인 부시현까지 흉노의 세력권으로 들어갔다. 진나라가 기원전 206년에 멸망하고 항우가 각지에 제후왕을 봉하면서 이곳은 적(翟)나라의 봉토가 되었다. 1년 후 한왕 유방(전한 고제)에게 적왕 동예가 항복하면서 한나라에 편입돼 도로 상군이 되었고, 한왕이 항우를 패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면서 한나라의 열다섯 직할 군 중 하나가 되었다.[9][10]

위청곽거병흉노 정벌 이후 수많은 흉노인들이 농서군, 삭방군, 오원군, 북지군, 운중군과 본군에 정착했는데, 본군에는 이때 귀부한 흉노인들을 담당하는 흉귀도위(匈歸都尉)를 새외에 두었고, 삭방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0만 3683호, 60만 6658명을 관할했다.

속현은 총 23현(22현 1도)으로 다음과 같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부시현膚施縣위린시 남동오룡산(五龍山), 제(帝), 원수(原水), 황제(黃帝)의 사당 네 곳이 있다.
독락현獨樂縣위린시 헝산구염관이 있다.
양주현陽周縣위린시 헝산 구 남교산(橋山)이 남쪽에 있어 황제총(黃帝冢)이 있다.
목화현木禾縣?
평도현平都縣옌안시 쯔창 현 남서
천수현淺水縣옌안시 황링현 북서
경실현京室縣?
낙도현洛都縣?
백토현白土縣위린시 선무시은수(圜水)가 서쪽에서 나와서 동으로 황하에 들어간다.
양락현襄洛縣옌안시 푸현 북서
원도현原都縣?
칠원현漆垣縣퉁촨시 이쥔현
사연현奢延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남서
조음현雕陰縣옌안시 푸 현 북응소에 따르면 조산(雕山)이 서남쪽에 있다.
추사현推邪縣?
정림현楨林縣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고망현高望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북북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조음도雕陰道옌안시 간취안현
구자현龜茲縣위린시 북속국도위의 치소가 있다. 염관이 있다. 안사고에 따르면 한나라에 항복해 온 구자국 사람들을 본현에 정착시킨데서 작명했다.
정양현定陽縣옌안시 남동응소에 따르면 정수(定水)의 북쪽[陽]이다.
고노현高奴縣옌안시 북유수(洧水)가 있는데, 태울 수 있다.[11]
망송현望松縣?북부도위의 치소가 있다.
의도현宜都縣?


3. 3.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부시현膚施縣위린시 남동오룡산(五龍山), 제(帝), 원수(原水), 황제(黃帝)의 사당 네 곳이 있었다.
독락현獨樂縣위린시 헝산구염관이 있었다.
양주현陽周縣위린시 헝산 구 남교산(橋山)이 남쪽에 있어 황제총(黃帝冢)이 있었다.
목화현木禾縣?
평도현平都縣옌안시 쯔창 현 남서
천수현淺水縣옌안시 황링현 북서
경실현京室縣?
낙도현洛都縣?
백토현白土縣위린시 선무시은수(圜水)가 서쪽에서 나와서 동으로 황하에 들어간다.
양락현襄洛縣옌안시 푸현 북서
원도현原都縣?
칠원현漆垣縣퉁촨시 이쥔현
사연현奢延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남서
조음현雕陰縣옌안시 푸 현 북응소에 따르면 조산(雕山)이 서남쪽에 있다.
추사현推邪縣?
정림현楨林縣어얼둬쓰시 준거얼 기 남서
고망현高望縣어얼둬쓰시 우선 기 북북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조음도雕陰道옌안시 간취안현
구자현龜茲縣위린시 북속국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염관이 있었다. 안사고에 따르면 한나라에 항복해 온 구자국 사람들을 본현에 정착시킨데서 작명했다.
정양현定陽縣옌안시 남동응소에 따르면 정수(定水)의 북쪽[陽]이다.
고노현高奴縣옌안시 북유수(洧水)가 있는데, 태울 수 있다.[11]
망송현望松縣?북부도위의 치소가 있었다.
의도현宜都縣?

[12]

묵돌선우 통치 하에 흉노가 발흥하면서 옛 진나라 시절 치소인 부시현까지 흉노의 세력권에 들어갔다. 기원전 206년 진나라가 멸망하고 항우가 각지에 제후왕을 봉하면서 이곳은 적(翟)나라의 봉토가 되었고, 적나라는 수도를 현재의 옌안시 바오타구 지역인 고노(高奴)에 두었다. 1년 후, 한왕 유방에게 적왕 동예가 항복하면서 한나라에 편입되어 다시 상군이 되었고, 한왕이 항우를 패망시키고 중국을 통일하면서 한나라의 열다섯 직할 군 중 하나가 되었다.[9][10] 위청곽거병흉노 정벌 이후 수많은 흉노인들이 농서군, 삭방군, 오원군, 북지군, 운중군과 본군에 정착했는데, 본군에는 이때 귀부한 흉노인들을 담당하는 흉귀도위(匈歸都尉)를 새외에 두었고, 삭방자사부에 속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10만 3683호, 60만 6658명을 관할했다.

위의 속현 목록은 한서 지리지를 따른 것으로,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첫 현이 군국의 치소로 간주된다. 총 23현(22현 1도)이다.

4. 신

중국어나라 때 군의 이름을 증산(增山)으로 고치고[13] 다음 현의 이름을 바꿨다.

전한
양주(陽周)상릉치(上陵畤)
경실(京室)적속(積粟)
낙도(洛都)비순(卑順)
백토(白土)황토(黃土)
양락(襄洛)상당정(上黨亭)
칠원(漆垣)칠장(漆牆)
사연(奢延)사절(奢節)
추사(推邪)배사(排邪)
정림(楨林)정간(楨幹)
고망(高望)견녕(堅甯)
고노(高奴)이평(利平)
의도(宜都)견녕소읍(堅寧小邑)


5. 후한

후한 시대 상군은 10개 현, 5,169호, 28,599명을 거느렸다. 140년(한순제 영화 5년), 남흉노 구룡왕, 오사, 차뉴가 오환족, 선비족, 강족 등의 이민족들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켜 상군 도위와 군사마를 살해하고 병주, 양주, 유주, 기주를 공격했다. 이로 인해 상군의 치소는 좌풍익 하양현으로 옮겨졌으며, 후한 말기 강족선비족에게 점령당하면서 폐지되었다.[14][15]

5. 1. 후한의 이민족 정책 실패와 상군 폐지

140년(한순제 영화 5년), 남흉노 구룡왕, 오사, 차뉴가 오환족, 선비족, 강족 등의 이민족들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상군 도위와 군사마를 살해하고 병주, 양주, 유주, 기주를 공격했다. 이로 인해 상군의 치소는 좌풍익 하양현으로 옮겨졌다.[14][15] 후한 말기 강족선비족에게 점령당하면서 상군은 폐지되었다.[14][15]

5. 2. 속현

140년(후한 순제 영화 5년), 남흉노 구룡왕, 오사, 차뉴가 오환족, 선비족, 강족 등의 이민족들을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켜 본군의 도위, 군사마를 살해하고 병주, 양주, 유주, 기주를 공격했을 때 치소를 좌풍익 하양현으로 옮겼다.[14][15] 후한말기 강족선비족에게 점령당하면서 폐지되었다.[14][15]

상군 속현 목록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부시현膚施縣colspan="2" |
백토현白土縣colspan="2" |
칠원현漆垣縣colspan="2" |
사연현奢延縣colspan="2" |
조음현雕陰縣colspan="2" |
정림현楨林縣colspan="2" |
정양현定陽縣colspan="2" |
고노현高奴縣colspan="2" |
구자후국龜茲屬國colspan="2" |
후관현候官縣현재 위치는 알 수 없다.
하양현夏陽縣웨이난시 한청시본래 좌풍익의 속현이었으나 140년 남흉노의 공격으로 상군의 치소가 본현으로 옮겨졌다.


6. 위진~북조

서진대에 4부의 선비족이 상군에 거주하고 있었고, 이중 육축연이라는 자가 상군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유연하동군평양군을 점령하자 육축연은 유연에게 투항했다.[1]

후한말기 강족과 선비족이 점령하면서 버려진 상군은 전진대에 재건되었다. 비수대전 이후 전진이 무너진 뒤에는 후진하나라가 상군을 차지했다.[1]

7. 수당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부성군(鄜城郡)으로 칭했다가 다음 해인 607년에 상군으로 개명했다. 옛 상군의 중심지였던 옌안시 지역에는 연안군이, 위린 시 지역에는 유림군이 설치되었다.[17]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당나라는 북주 때 설치된 마방에서 이름을 따와 부주의 남쪽 부성현, 내부현으로 방주를 신설했다.

부주는 620년(당 고조 무덕 3년)에 치소가 직라현(直羅縣)으로 옮겨졌다.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도독부가 설치되었고, 632년(당 태종 정관 6년) 대도독부로 격상되었다가 635년(당 태종 정관 9년) 다시 도독부로 돌아왔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낙교군(洛交郡)으로 개명되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부주로 복귀했다. 부주는 과거 5현, 1,703호 51,216명을 거느렸다가 천보 연간에는 23,483호 153,714명으로 인구가 늘었다.

7. 1. 속현

隋朝|수나라중국어 606년(수 양제 대업 2년), 부성군(鄜城郡)으로 칭했다가 다음 해인 607년에 상군으로 개명했다. 옛 상군의 중심지였던 옌안시 지역에는 연안군이, 위린 시 지역에는 유림군이 설치되었다. 5현 53,489호를 거느렸다.[17]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당나라는 북주 때 설치된 마방에서 이름을 따와 부주의 남쪽 부성현, 내부현으로 방주(坊州)를 신설했다.

부주는 620년(당 고조 무덕 3년)에 치소가 직라현(直羅縣)으로 옮겨졌다. 628년(당 태종 정관 2년), 도독부가 설치되었는데, 4년 뒤인 632년(당 태종 정관 6년) 대도독부로 격상되었다가 635년(당 태종 정관 9년) 다시 도독부로 돌아왔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낙교군(洛交郡)으로 개명되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부주로 복귀했다. 부주는 과거 5현을 두었다가 1,703호 51,216명을 거느렸다가 천보 연간에는 23,483호 153,714명으로 인구가 늘었다.

상군, 낙교군의 속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비고
낙교현洛交縣옌안시 푸 현583년(수 문제 개황 3년) 신설되었다.
내부현內部縣옌안 시 황링현과거 부주(敷州) 내부군이 있었으나 583년, 대업 초 순으로 내부군과 부주가 폐지되었다. 619년 방주로 이관되었다.
삼천현三川縣옌안 시 푸 현 사선향 북동서위 때 장성현(長城縣)에서 삼천현으로 개명되었다. 이인현(利仁縣)을 통폐합했다. 구당서에는 현내에 화지수(華池水), 흑수(黑水), 낙수(洛水)의 3개 하천이 모인다고 하여 삼천현으로 이름이 붙여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부성현鄜城縣옌안 시 황룽현북위 때 부성현(敷城縣)이었다가 대업 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619년 방주가 신설되면서 방주로 이관되었다.
낙천현洛川縣옌안 시 뤄촨현 구현진부수(鄜水)가 흐른다.
직라현直羅縣옌안 시 푸 현 직라진620년 낙교현과 삼천현에서 분리 신설되었고 현성인 직라성의 이름을 따와 직라현이 되었다.
감천현甘泉縣옌안 시 간취안현618년 낙교현에서 복륙현(伏陸縣)을 신설했는데, 74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8. 역대 군수·태수

이름재임 기간비고
질(疾)진 혜문왕 5년·6년 [7]
간(間)진 소양왕 7년 [7]
수(壽)진 소양왕 12년 [7]
빙(冰)진 장양왕 2년 [7]
고제 시기 ~ ?
이광경제, 무제 시기
풍야왕기원전 31년 ~ ?
풍립성제 시기
왕 (미상)? ~ ?외효공손술을 섬기다 광무제에게 귀순한 왕준의 아버지
왕민(王旻)? ~ ?황보규의 친구
마운(馬員)신나라 시기마원의 형
마운25년 ~ ?


참조

[1] 서적 Book of Han
[2] 서적 Book of Later Han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Sui
[5] 서적 New Book of Tang
[6] 서적 사기 권5 진본기제5 https://zh.wikisourc[...]
[7]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8] 문서 거(莒)나라는 동기(銅器)에 스스로 '거' 혹은 '부'(膚)라 일컬었기에, 거와 부는 상통하는 글자로 보인다.
[9] 서적 한서 권1 고제기제1 상 https://zh.wikisourc[...]
[10] 서적 한서 권14 제후왕표제2 https://zh.wikisourc[...]
[11] 문서 가연성 액체가 난다는 것으로, 중국 사서상 기록된 최초의 [[석유]] 관련 기록이다.
[12] 서적 한서 권28 하 지리지제8 하
[13] 서적 후한서 권24 이현주
[14] 서적 후한서 113권 지 제23 군국지 5 병주 상군 https://zh.wikisourc[...]
[15] 서적 후한서 89권 열전 제79 남흉노 열전 https://zh.wikisourc[...]
[16] 서적 수서 29권 지 제29 지리지 上 옹주 상군 https://zh.wikisourc[...]
[17] 서적 수서 29권 지 제29 지리지 上 옹주 상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