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지군은 기원전 271년 진나라가 의거를 병합하면서 설치된 군으로, 현재의 간쑤성 닝 현 북서쪽에 치소를 두었다. 진나라, 전한, 신나라, 후한, 서진, 북위,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과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20현을 관할했으며, 흉노의 침입으로 세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후한 시대에는 남흉노와 강족의 침입으로 인해 쇠퇴하여 치소가 이동되었으며, 서진 시대에는 부평현과 이양현 두 현만 관할하는 작은 군으로 축소되었다. 북위 시대에는 옹주에 속해 7개 현을 관할했고, 수나라 때는 빈주로 개명되었다가 당나라 초기에 영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닝샤의 군 - 평량군
평량군은 중국과 한반도 역사 속에서 여러 시기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중국에서는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일대에 설치, 폐지, 개명 등의 변화를 겪었으며, 한반도에서는 조선시대 묵정현이 속했다. - 닝샤의 군 - 약양군
약양군은 서진 시대 천수군에서 분리되어 설치된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저족이 주로 거주했으며 진주의 속군으로서 4개의 현을 관할하다 수나라 시기인 582년에 폐지되었다. - 닝샤의 역사 - 보바이의 난
보바이의 난은 1592년 명나라 만력제 시기 영하에서 푸베이가 탐관오리의 횡포와 부당한 대우에 불만을 품고 유동양 등과 함께 일으킨 반란으로, 명나라 멸망의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닝샤의 역사 - 닝샤성
닝샤성은 원나라 때 처음 사용된 지명으로, 중화민국 시기에 성으로 설치되었다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자치구로 재편되어 현재 여러 시와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한중군
한중군은 중국 역사 속 여러 왕조에서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으로, 한수 유역의 한중 분지에 위치하며 군사적,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산시성 (섬서성)의 군 - 경조윤
경조윤은 진나라의 내사에서 유래하여 전한 시대 수도권 일대를 관할하는 삼보 중 하나였으나, 후한 시대 낙양 천도 후 위상이 낮아졌으며, 이후 위진남북조 시대, 수나라, 당나라를 거치면서 행정 구역 명칭 및 관할 구역에 변화가 있었고 중화민국 시기에도 잠시 존재했다.
북지군 | |
---|---|
개요 | |
유형 | 중국의 군 |
존속 기간 | 기원전 221년 ~ 598년 |
위치 | 현재의 간쑤성 동부 및 닝샤 후이족 자치구 지역 |
역사 | |
설치 | 진나라에 의해 설치 |
폐지 | 수나라 때 폐지 |
주요 역할 | 흉노에 대한 방어선 유지 |
관할 지역 | 고평현 회삭현 마령현 욱지현 평양현 이양현 오지현 삼수현 안정현 미원현 기현 음밀현 유천현 반양현 여오현 계구현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북지군 (전한) |
2. 진 (秦)
기원전 271년, 선태후가 의거왕을 유인해 죽이고 의거를 병합하면서 진 소양왕이 북지군을 설치했다.[13] 치소는 의거현(지금의 간쑤성 닝 현 북서)이었다.[14]
진나라 봉니 '음밀승인'(陰密丞印)을 통하여 핑량 시 링타이 현 서쪽에 음밀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칭양 시 전위안 현 남쪽에 안무현이, 칭양 시 전위안 현 동쪽에 팽양현이, 칭양 시 환 현 남 일대에 방거현, 칭양 시 닝 현 남동쪽에 이양현이 위치했다. 핑량 시 충신 현 경내에는 노현이, 칭양 시에는 욱질현이, 셴양시 창우현 북서에는 장무현, 핑량 시 북서에는 오지현, 옌안시 우치현 일대에는 귀덕현이 있었다. 구위안 시 펑양 현 진한고성 유지에는 조나현이, 칭양 시 허수이 현에는 약반현이 있었다.[14]
2. 1. 속현 (진)
3. 전한 (前漢)
기원전 206년, 한나라가 옹나라를 정복할 당시 역상이 함락시켜 한나라의 지배를 받았다.[16] 항우의 18제후왕 분봉에서는 옹나라의 영토였다.[15] 한나라 통일 후 한나라의 직할 15군 중 하나가 되었으며,[17] 흉노가 묵돌선우의 통치 하에 발흥하면서 조나현(현 구위안 시 펑양 현 일대, 이후 안정군으로 분리됨)까지 흉노의 세력권에 들어갔다.
원정 3년(기원전 114년) 군의 일부분이 안정군으로 분리됐다.[18] 삭방자사부에 속했다.[19] 원시 2년(2년) 기준 64,161호, 210,688명이 있었다.[20][19]
한서지리지에 따르면,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북지군은 총 20현(19현 1도)을 관할했다.[20][19]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마령현 | 馬領縣 | 칭양시 북서 | 안사고는 내[川]의 모양이 말의 목[領]을 닮아서 마령이라 한다고 했다. |
직로현 | 直路縣 | 옌안시 푸현 서 | 저수(沮水)가 서쪽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낙수로 들어간다. |
영무현 | 靈武縣 | 스쭈이산시 핑뤄 현 남서 | |
부평현 | 富平縣 | 우중시 칭퉁샤 시 남동 | 북부도위의 치소가 신천장(神泉障)에 있다. 혼회도위(渾懷都尉)의 치소가 새외의 혼회장(渾懷障)에 있다. |
영주현 | 靈州縣 | 인촨시 남동 | 혜제 4년(기원전 191년)에 설치했다. 하기원(河奇苑), 호비원(胡非苑)이 있다. |
후연현 | 昫衍縣 | 우중시 옌츠 현 남동·위린시 딩볜 현 교차 일대 | |
방거현 | 方渠縣 | 칭양시 환 현 남동 | |
제도 | 除道 | ? | |
오가현 | 五街縣 | ? | |
순고현 | 鶉孤縣 | 핑량시 징촨 현 남동 | |
귀덕현 | 歸德縣 | 옌안시 우치 현 북서 | 낙주수 북만이중(北蠻夷中)에서 나와 하수로 들어간다. 도원(堵苑), 백마원(白馬苑)이 있다. |
회획현 | 回獲縣 | ? | |
략반도 | 略畔道 | 칭양시 허수이 현 북 | |
니양현 | 泥陽縣 | 칭양시 닝 현 동 | |
욱질현 | 郁郅縣 | 칭양시 | 이수(泥水)가 북만이중에서 나온다. 목사원관(牧師菀官)이 있다. |
의거도 | 義渠道 | 칭양시 시펑 구 | |
익거현 | 弋居縣 | 칭양시 닝 현 남·정닝 현 교차 일대 | 염관이 있다. |
대요현 | 大要[21]縣 | 칭양시 닝 현 남동 | |
염현 | 廉縣 | 인촨시 북서 | 비이산(卑移山)이 북서쪽에 있다. |
3. 1. 속현 (전한)
4. 신 (新)
왕망이 세운 신나라 시기에는 군의 이름이 위융(威戎)으로 바뀌었고, 일부 현의 이름도 변경되었다.[2]
전한 | 신 |
---|---|
영무 | 위융정(威戎亭) |
부평 | 특무(特武) |
영주 | 영주(令周) |
오가 | 오가(吾街) |
약반 | 연년(延年) |
이양 | 이음(泥陰) |
욱질 | 공저(功著) |
의거 | 의구(義沟) |
염 | 서하정(西河亭) |
4. 1. 속현 (신)
5. 후한 (後漢) ~ 서진 (西晉)
후한 시대 북지군은 양주로 옮겨졌다.[22] 남흉노의 남하, 강족과 선비족의 침공으로 황폐화되면서 6성 3,122호 18,637명을 거느리는 작은 군으로 줄어들었다.[3][22] 흉노족이 북지군에 정착하기도 했다.[4] 111년부터 129년까지는 강족의 공격으로 인해 북지군의 행정 중심지가 좌빙익 (현재의 산시성)으로 이전되기도 했다.[5]
후한 말, 강족과 선비족의 침공으로 기본적인 행정력조차 유지되지 않자 풍익군 대우현(지금의 퉁촨 시 일대)으로 치소가 옮겨졌다.[22]
서진 시대에는 부평현과 니양현 2현, 2,600호만을 관할하는 작은 군으로 축소되었다.[6][22]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부평현 | 富平縣 | 우중시 칭퉁샤 시 남동 | 후한말 북지군이 남쪽으로 옮겨지면서 웨이난시 푸핑 현으로 치소가 옮겨졌다. |
이양현 | 泥陽縣 | 칭양시 닝 현 동 | 오작정(五柞亭)이 있다. 후한말 북지군이 남쪽으로 옮겨지면서 퉁촨 시 야오저우구 서남 매가평진동쪽으로 옮겨졌다. |
대우현 | 祋祤縣 | 퉁촨 시 야오저우 구 | 본래 좌풍익의 속현이었으나 후한말 북지군이 남쪽으로 옮겨지면서 북지군의 치소가 되었다. |
5. 1. 속현 (후한~서진)
6. 북위 (北魏)
북위 시대 북지군은 옹주에 속했으며, 부평(富平), 니양(泥陽), 익거(弋居), 운양(雲陽), 동관(銅官), 토문(土門), 의군(宜君)의 7개 현을 관할했다.[10] 447년, 부평현, 이양현, 익거현, 동관현, 의군현이 복구되거나 신설되었고,[23] 500년에는 토문현이 신설되었다.[23] 옛 북지군 지역에는 빈주(豳州)가 설치되었고, 서위는 영주(寧州)로 개명했다.[2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부평현 | 富平縣 | 웨이난 시 푸핑 현 | 447년(태평진군 8년), 이양현, 익거현과 함께 복구되었다. 북지성과 한무제의 사당이 있다. |
이양현 | 泥陽縣 | 퉁촨 시 야오저우 구 서남 매가평진 | 447년, 500년(경명 원년) 복구되었다. 자성산(慈城山)이 있다. |
익거현 | 弋居縣 | ||
운양현 | 雲陽縣 | 포지수(蒲池水)와 운양궁이 있다. | |
동관현 | 銅官縣 | 퉁촨 시 | 447년 신설되었다. 관산(關山)과 석반산(石槃山)이 있다. |
토문현 | 土門縣 | 500년 신설되었고 토문산이 현내에 있다. | |
의군현 | 宜君縣 | 퉁촨 시 야오저우 구 | 447년 신설되었고 현내에 의군수가 흐른다. |
6. 1. 속현 (북위)
7. 수 (隋)
수나라 시기에는 주현제를 실시하면서 서위에서 개명된 영주(寧州)를 사용하다가, 수 양제 시기인 대업 초에 빈주로 복구했다.[24] 정안현, 나천현, 팽원현, 양락현, 신평현, 삼수현의 6현을 두었고, 70,690호를 관할했다.[24]
- 정안현(定安縣)은 개황 초에 폐지된 조흥군의 소재지로, 대업 초 북지군이 설치되면서 북지군의 속현이 되었다.[24]
- 나천현(羅川縣)은 서위에서 현주(顯州)를 설치했으나 북주에서 폐지되었고, 개황 초에 양주현(陽周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교산(橋山)이 있다.[24]
- 팽원현(彭原縣)은 북위가 서북지군을 설치하고 현내에 낙반성(洛蟠城)을 두었다. 서위는 울주로 승격시키고 풍성(豐城)에 치소를 두었으며, 운주(雲州)를 추가로 설치했다. 북주는 2개 주를 모두 폐지하고 개황 초 서북지군을 폐하면서 현으로 격하시켰다. 598년(수 문제 개황 18년) 팽양현(彭陽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했으며, 산호수(珊瑚水)가 있다.[24]
- 양락현(襄樂縣)은 북위가 세운 양락군과 서위가 세운 연주(燕州)의 소재지였으나, 연주와 양락군 모두 북주 때 폐지되었다. 자오산(子午山)이 있다.[24]
- 신평현(新平縣)은 서위가 빈주를 설치했던 곳으로, 584년(수 문제 개황 4년) 백토현(白土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고, 대업 초 빈주가 폐지되면서 현으로 격하되었다.[24]
- 삼수현(三水縣)은 서위가 항주(恆州)를 세웠으나 폐지되었다.[24]
7. 1. 속현 (수)
8. 당 (唐)
당나라 초기에는 상급주인 빈주(邠州)로 불렸다.[25] 617년 수나라의 북지군 속현을 유지했다.[25] 618년 정안현에서 귀의현이 분리 신설되었고, 신평현과 삼수현은 신평군으로 분리되었다.[25] 당나라 건국 이후 북지군은 영주(寧州)로 불리고 팽원현은 팽주(彭州)로 분리되었다.[25] 영주에 도독부가 설치되었으나 3년 뒤 폐지되었다.[25] 742년 (당 현종 천보 원년) 팽원군으로 개명했다가, 758년 (건원 원년) 영주로 복구했다.[25] 과거 7현 15,491호 66,135명을 거느렸다가 천보연간에는 6현 37,121호 224,837명을 거느렸다.[25]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정안현 | 定安縣 | 칭양 시 닝 현 | 618년 귀의현(歸義縣)이 분리신설되었다. 619년(당 고조 무덕 2년), 정평현(定平縣)이 분리신설되었다. |
팽원현 | 彭原縣 | 칭양 시 | 당나라 건국직후 팽주(彭州)로 분리되었다. 620년(당 고조 무덕 3년) 팽원현에서 풍의현(豐義縣)을 분리신설되어 팽주의 속현이 되었으나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팽주가 폐지되면서 팽원현과 풍의현이 영주의 속현으로 돌아왔다. |
직령현 | 真甯縣 | 칭양 시 정닝 현 유림자진 남 무왕장일대 | 742년 나천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정평현 | 定平縣 | 칭양 시 정닝 현 주가향 일대 | 619년 분리신설되었다. 643년(당 태종 정관 17년) 귀의현이 폐지되면서 정평현으로 통폐합되었다. |
양락현 | 襄樂縣 | 칭양 시 닝 현 상락진 | |
풍의현 | 豐義縣 | 칭양 시 전위안 현 팽양향 | 619년 팽원현에서 분리되었다. 팽주에 속했다가 627년 팽주가 폐지되면서 본현으로 내속되었다. |
8. 1. 속현 (당)
9. 역대 군수·태수
9. 1. 전한
아무개(? ~ 기원전 112년)는 무제가 신진중(新秦中)에서 사냥할 때, 국경 수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이 발각되어 주살되었다.[26] 아무개(기원전 91년 ~ 기원전 90년)는 여태자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워 북지태수로 임용되었으나, 여태자의 억울함이 밝혀져서 일족이 주멸되었다.[27] 장연수(기원전 66년 ~ 기원전 65년)와 두연년(기원전 65년 ~ 기원전 64년)은 연이어 북지태수를 역임했다. 곡영(기원전 12년 ~ 기원전 9년) 또한 북지태수를 역임하였다.참조
[1]
논문
A Study of the Governance of Longxi, Beidi and Shang Commanderies in the Early Western Han Dynasty
http://www.lsdlyj.co[...]
2022-03-18
[2]
서적
Book of Han
https://zh.wikisourc[...]
[3]
서적
Book of Later Han
https://zh.wikisourc[...]
[4]
논문
Han and Xiongnu: a reexamination of cultural and political relations
https://www.jstor.or[...]
2022-03-18
[5]
서적
The Treatises of Later Han: Their Author, Sources, Contents and Place in Chinese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Brill
2022-03-18
[6]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7]
서적
漢書
[8]
서적
後漢書
[9]
서적
晋書
[10]
서적
魏書
[11]
서적
隋書
[12]
서적
旧唐書
[13]
서적
후한서
[14]
서적
战国史
上海人民出版社
2003
[15]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6]
서적
사기
https://zh.wikisourc[...]
[17]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8]
서적
西汉政区地理
人民出版社
1987-08
[19]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0]
서적
한서
[21]
문서
[22]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4]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5]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26]
서적
한서
[27]
서적
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