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은 교황 식스토 3세가 에페소 공의회 이후 재건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을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이 축일은 1568년 교황 비오 5세에 의해 로마 전례력에 삽입되었으며, 이전에는 성당 자체에서만 기념되다가 14세기부터 로마 시 전체에서 기념되었다. 축일은 로마 에스퀼리노 언덕에 눈이 내린 전설과 관련하여 '눈의 성모 성당 봉헌 축일'로도 불리며, 8월 5일에 기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모 마리아 초상화 - 그리스도에 대한 애도 (만테냐)
    안드레아 만테냐의 《그리스도에 대한 애도》는 십자가에서 내려진 그리스도의 시신을 애도하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으로, 빛과 그림자의 대비, 해부학적 세부 묘사, 극적인 원근법을 통해 깊은 비탄과 시각적 충격을 전달하며 브레라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성모 마리아 초상화 - 카잔의 성모
    카잔의 성모는 러시아 정교회에서 숭배되는 성모 마리아의 성상으로, 13세기에 러시아로 전해져 1579년 카잔에서 발견되었으며, 1904년 도난 후 바티칸으로 기증된 사본이 2004년 러시아로 반환되어 현재 카잔의 테오토코스 수도원에 안치되어 있고 7월 21일과 11월 4일에 축일로 기념한다.
  • 성모 마리아의 호칭 - 알무데나의 성모
    알무데나의 성모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수호 성인으로 추앙받는 성모 마리아의 조각상으로, 전설에 따르면 사도 야고보가 가져와 숨겨졌다가 레콩키스타 시기에 기적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마드리드 시민들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진다.
  • 성모 마리아의 호칭 - 테오토코스
    테오토코스는 '하느님 출산'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합성어로, 예수가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다는 기독교 교의와 관련되어 431년 에페소 공의회에서 정통 교리로 채택되었으며, 기독교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
기본 정보
성모 대성전 정면
성모 대성전 정면
공식 명칭성모 마리아 대성전
로마자 표기Basilica di Santa Maria Maggiore
다른 이름성모 설지전
리베리오 대성전
종교
소속로마 가톨릭교회
전례 양식로마 전례
중요성로마의 4대 대성전 중 하나
교황의 대성전 중 하나
위치
국가이탈리아
도시로마
언덕에스퀼리노 언덕
역사
기공432년
완공440년
봉헌8월 5일
건축 양식초기 기독교 건축
바로크 건축
건축
크기길이 86m, 폭 48m
종탑 높이75m
추가 정보
지정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1980년)

2. 역사

교황 비오 5세는 1568년 트리엔트 공의회의 요청에 따라 로마 성무일도서를 개정하면서 이 축일을 일반 로마 전례력에 삽입했다.[6] 이전에는 이 축일이 처음에는 성당 자체에서만 기념되었고, 14세기부터는 로마 시의 모든 성당에서 기념되었다.[7]

따라서 이 축일은 이중 축일로 트리엔트 전례력에 나타난다. 교황 클레멘스 8세의 1604년 미사 경본에서는 새롭게 만들어진 대이중 축일의 등급을 받았다. 교황 요한 23세의 1960년 전례력에서는 3등급 축일이 되었다.[8] 1962년판 로마 미사 경본에 포함된 이 1960년 전례력은 자의 교서 ''Summorum Pontificum''에 의해 개인적으로, 그리고 특정 조건하에 공적으로 계속 사용이 승인된 전례력이다. 9년 후, 이 축일은 선택 기념일이 되었다.[5]

이 축일은 교황 식스토 3세가 에페소 공의회 직후 재건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을 봉헌한 것을 기념한다. 로마의 에스퀼리노 언덕 정상에 위치한 이 주요 바실리카는 복되신 동정 마리아에게 봉헌된 로마에서 가장 큰 성당이기 때문에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Basilica Sanctae Mariae Maiorisla)이라고 불린다.

교황 식스토 3세에 의해 대체된 원래 성당은 교황 리베리오 (352–366)의 재위 기간에 지어졌으며, 때때로 ''바실리카 리베리'' 또는 ''바실리카 리베리아나''라고도 불린다.

전설에 따르면, 8월 5일 밤, 성모 마리아의 계시로 로마에스퀼리노 언덕 꼭대기에 눈이 내렸고, 이 눈으로 덮인 부분을 중심으로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하는 성당이 건설되었다고 한다. 이 성당은 현재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으로 불리며, 로마에서는 그 축일을 수 세기 동안 8월 5일에 기념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적에 관한 기록은 수백 년 동안 역사 기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성당을 헌납한 교황 식스토 3세조차 이 전설이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14세기에 이 축일은 로마 전역의 교회로 퍼져나갔고, 최종적으로 교황 비오 5세에 의해 세계적인 축일로 지정되었다.[20]

2. 1. 초기 역사와 전례력 상의 변화

교황 비오 5세는 1568년 트리엔트 공의회의 요청에 따라 로마 성무일도서를 개정하면서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을 일반 로마 전례력에 삽입했다.[6] 이전에는 성당 자체에서만 기념되었고, 14세기부터는 로마 시의 모든 성당에서 기념되었다.[7]

이 축일은 트리엔트 전례력에 이중 축일로 나타난다. 교황 클레멘스 8세의 1604년 미사 경본에서는 대이중 축일 등급을 받았다. 교황 요한 23세의 1960년 전례력에서는 3등급 축일이 되었다.[8] 1962년판 로마 미사 경본에 포함된 이 1960년 전례력은 자의 교서 ''Summorum Pontificum''에 의해 개인적으로, 그리고 특정 조건하에 공적으로 계속 사용이 승인되었다. 9년 후, 이 축일은 선택 기념일이 되었다.[5]

이 축일은 교황 식스토 3세가 에페소 공의회 직후 재건된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을 봉헌한 것을 기념한다. 로마의 에스퀼리노 언덕 정상에 위치한 이 성당은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 봉헌된 로마에서 가장 큰 성당이기 때문에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Basilica Sanctae Mariae Maiorisla)이라고 불린다.

교황 식스토 3세에 의해 대체된 원래 성당은 교황 리베리오(352–366)의 재위 기간에 지어졌으며, ''바실리카 리베리'' 또는 ''바실리카 리베리아나''라고도 불린다.

2. 2. 성당의 기원과 명칭

전설에 따르면, 8월 5일 밤, 성모 마리아의 계시로 로마에스퀼리노 언덕 꼭대기에 눈이 내렸고, 이 눈으로 덮인 부분을 중심으로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하는 성당이 건설되었다고 한다. 이 성당은 현재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으로 불리며, 로마에서는 그 축일을 수 세기 동안 8월 5일에 기념하고 있다.[20] 하지만 이 기적에 관한 기록은 수백 년 동안 역사 기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20] 게다가 이 성당을 헌납한 교황 식스토 3세조차 이 전설이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20]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14세기에 이 축일은 로마 전역의 교회로 퍼져나갔고, 최종적으로 교황 비오 5세에 의해 세계적인 축일로 지정되었다[20]

3. 눈의 성모 전설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눈의 성모''(1517–1519년경)


1969년까지 이 축일은 ''Dedicatio Sanctae Mariae ad Nives''(눈의 성모 성당 봉헌 축일)로 알려졌는데, 이는 14세기에 성당의 기원에 관한 전설과 관련하여 인기를 얻은 이름이었다.[6] 이 전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교황 리베리우스의 치세 동안, 상속자가 없던 로마의 귀족 요한과 그의 아내는 그들의 재산을 성모 마리아에게 기증하겠다는 서약을 했다.[7] 그들은 성모 마리아가 어떻게 그녀를 기리기 위해 그들의 재산을 처분해야 하는지 알려주시기를 기도했다. 352년 8월 5일, 로마의 한여름에 에스퀼리노 언덕 꼭대기에 밤 사이에 눈이 내렸다. 같은 밤, 성모 마리아의 환시를 본 부부는 눈으로 덮인 바로 그 자리에 마리아를 기리는 성당을 지었다.[7] 이 기적에 대한 언급이 몇 백 년 후까지, 심지어 교황 식스토 3세가 그의 8행 봉헌 비문에서조차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볼 때, 이 전설은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7] 실제로 1000년 이전에는 이 전설에 대한 언급이 없다.[9]

15세기에 이 전설이 인기를 끌었다는 것은 약 1423년경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의 그림 "눈의 기적"에서 알 수 있는데, 이 그림은 기적이 많은 남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국에서 예수와 성모 마리아가 바라보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15세기에 그리고 그 직후에 눈의 성모에게 헌정된 많은 교회들이 지어졌는데, 이 중 152개가 이탈리아에 여전히 존재한다.[10]

18세기에 더 비판적인 태도가 우세해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세운 회중이 1741년에 그에게 제시한 제안에서 알 수 있듯이, 전설의 내용을 로마 성무일과에서 삭제하고 원래 이름인 "''Dedicatio Sanctae Mariae''"를 복원하자는 것이었다. 이 권고는 228년 후인 1969년에 시행되었다.

3. 1. 전설의 내용



성모 대성전 봉헌 축일은 1969년까지 ''Dedicatio Sanctae Mariae ad Nives''(눈의 성모 성당 봉헌 축일)로 알려졌으며, 이는 14세기에 성당의 기원에 관한 전설과 관련하여 인기를 얻은 이름이었다.[6]

전설에 따르면, 교황 리베리우스의 치세 동안, 상속자가 없던 로마의 귀족 요한과 그의 아내는 그들의 재산을 성모 마리아에게 기증하겠다는 서약을 했다.[7] 그들은 성모 마리아가 어떻게 그녀를 기리기 위해 그들의 재산을 처분해야 하는지 알려주시기를 기도했다. 352년 8월 5일, 로마의 한여름에 에스퀼리노 언덕 꼭대기에 밤 사이에 눈이 내렸다. 같은 밤, 성모 마리아의 환시를 본 부부는 눈으로 덮인 바로 그 자리에 마리아를 기리는 성당을 지었다.[7] 교황 리베리우스는 이를 알고 부부에게 성모에게 아이를 갖는 방법을 물어보도록 제안했고, 부부는 이에 따랐다고 한다.[21]

하지만 이 기적에 대한 언급은 몇 백 년 후까지, 심지어 교황 식스토 3세가 그의 8행 봉헌 비문에서조차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볼 때, 이 전설은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7] 실제로 1000년 이전에는 이 전설에 대한 언급이 없다.[9]

이 전설은 15세기에 인기를 끌었는데,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가 약 1423년경 그린 "눈의 기적"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그림은 기적이 많은 남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천국에서 예수와 성모 마리아가 바라보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15세기와 그 직후에 눈의 성모에게 헌정된 많은 교회들이 지어졌는데, 이 중 152개가 이탈리아에 여전히 존재한다.[10]

18세기에 더 비판적인 태도가 우세해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세운 회중이 1741년에 그에게 제시한 제안에서 알 수 있듯이, 전설의 내용을 로마 성무일과에서 삭제하고 원래 이름인 "''Dedicatio Sanctae Mariae''"를 복원하자는 것이었다. 이 권고는 228년 후인 1969년에 시행되었다.[10]

3. 2. 전설의 역사적 근거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눈의 성모''(1517–1519년경)

1969년까지 이 축일은 ''Dedicatio Sanctae Mariae ad Nives''(눈의 성모 성당 봉헌 축일)로 알려졌는데, 이는 14세기 성당의 기원에 관한 전설과 관련하여 인기를 얻은 이름이었다.[6]

교황 리베리우스 시대, 상속자가 없던 로마 귀족 요한과 그의 아내는 재산을 성모 마리아에게 기증하겠다는 서약을 하고, 성모 마리아가 어떻게 재산을 처분해야 하는지 알려주시기를 기도했다. 352년 8월 5일, 로마의 한여름 에스퀼린 언덕 꼭대기에 밤 사이에 눈이 내렸고, 성모 마리아의 환시를 본 부부는 눈으로 덮인 곳에 마리아를 기리는 성당을 지었다.[7]

하지만, 이 기적은 몇 백 년 후까지, 심지어 교황 식스토 3세의 봉헌 비문에서도 언급되지 않아 역사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7] 실제로 1000년 이전에는 이 전설에 대한 언급이 없다.[9]

이 전설은 15세기에 마솔리노 다 파니칼레의 그림 "눈의 기적"(1423년경)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15세기와 그 직후 눈의 성모에게 헌정된 많은 교회들이 지어졌는데, 이 중 152개가 이탈리아에 여전히 존재한다.[10]

18세기에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세운 회중은 1741년에 전설 내용을 로마 성무일과에서 삭제하고 원래 이름인 "''Dedicatio Sanctae Mariae''"를 복원하자는 제안을 했고, 이는 1969년에 시행되었다.

3. 3. 전설의 유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클락스 서밋에 위치한 눈의 성모 본당


352년 8월 5일 밤, 리베리우스 교황과 로마 귀족 조반니 부부의 꿈에 성모 마리아가 나타나 당시 강설량이 적은 로마에서 눈이 내린 언덕을 표지로 하여 에스퀼리노 언덕 꼭대기에 성모의 왕관을 건설하라고 명했다.[21]

매년 8월 5일, 성 마리아 대성전 봉헌 축일을 기념하는 동안, 기적적인 강설 이야기를 기념하는 관습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장엄 미사가 끝나면 하얀 장미 꽃잎이 천장에서 쏟아진다.[11] 같은 날 해질녘에는 바실리카 앞 광장에서 또 다른 인공적인 "강설"이 관광 명소로 연출된다.[12]

위에 언급된 이탈리아의 많은 ''눈의 성모'' 성지 외에도, 미국에는 일리노이주 벨빌에 "눈의 성모 국립 성지"[13]가 있으며, "눈의 성모"에게 봉헌된 본당은 펜실베이니아주 클락스 서밋;[14] 네바다주 리노;[15] 뉴욕주 플로럴 파크;[16] 미시간주 밀포드[17] 및 버몬트주 우드스톡에 위치해 있다.[18] 크로아티아에서는 브라치 섬의 볼과 파그 섬의 맘레에 있는 본당이 눈의 성모에게 봉헌되었다. 또한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의 칼바리 언덕에 있는 Kostol Panny Márie Snežnej[19], 몰타의 마르사슬록에도 있으며, 이 칭호로 성모가 부차적인 수호 성인으로 있는 카빈티, 라구나의 주님 변용 교회도 있다(주요 봉헌은 다음 날 기념되는 변용이다). 또한 멕시코 유카탄주의 툴룸 및 플라야델카르멘 마을 근처에는 Nuestra Señora de las Nieves가 있다. 이곳은 그랜드 팔라듐 리조트 커뮤니티 내에 위치해 있다.

4. 전설의 현대적 계승

성 마리아 대성전 봉헌 축일인 매년 8월 5일에는 기적적인 강설 이야기를 기념하는 관습이 남아 있다. 장엄 미사가 끝나면 하얀 장미 꽃잎이 천장에서 쏟아진다.[11] 같은 날 해질녘에는 성당 앞 광장에서 인공적인 "강설"이 연출되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12]

이탈리아 외에도 미국 일리노이주 벨빌에는 "눈의 성모 국립 성지"가 있다.[13] "눈의 성모"에게 봉헌된 성당은 펜실베이니아주 클락스 서밋[14], 네바다주 리노[15], 뉴욕주 플로럴 파크[16], 미시간주 밀포드[17], 버몬트주 우드스톡[18]에 있다. 크로아티아 브라치 섬의 볼과 파그 섬의 맘레에도 성당이 있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칼바리 언덕의 Kostol Panny Márie Snežnej[19], 몰타 마르사슬록에도 성당이 있으며, 카빈티, 라구나의 주님 변용 교회는 성모를 이 칭호로 부차적인 수호 성인으로 모시고 있다(주요 봉헌은 변용이다). 멕시코 유카탄 지역의 툴룸 및 플라야 델 카르멘 마을 근처에는 Nuestra Señora de las Nieves가 있으며, 그랜드 팔라듐 리조트 커뮤니티 내에 있다.

4. 1. 기념 행사

성 마리아 대성전 봉헌 축일인 매년 8월 5일에는 기적적인 강설 이야기를 기념하는 관습이 남아 있다. 장엄 미사가 끝나면 하얀 장미 꽃잎이 천장에서 쏟아진다.[11] 같은 날 해질녘에는 성당 앞 광장에서 인공적인 "강설"이 연출되어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12]

이탈리아 외에도 미국 일리노이주 벨빌에는 "눈의 성모 국립 성지"가 있다.[13] "눈의 성모"에게 봉헌된 성당은 펜실베이니아주 클락스 서밋[14], 네바다주 리노[15], 뉴욕주 플로럴 파크[16], 미시간주 밀포드[17], 버몬트주 우드스톡[18]에 있다. 크로아티아 브라치 섬의 볼과 파그 섬의 맘레에도 성당이 있다.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칼바리 언덕의 Kostol Panny Márie Snežnej[19], 몰타 마르사슬록에도 성당이 있으며, 카빈티, 라구나의 주님 변용 교회는 성모를 이 칭호로 부차적인 수호 성인으로 모시고 있다(주요 봉헌은 변용이다). 멕시코 유카탄 지역의 툴룸 및 플라야 델 카르멘 마을 근처에는 Nuestra Señora de las Nieves가 있으며, 그랜드 팔라듐 리조트 커뮤니티 내에 있다.

4. 2. 관련 성지

참조

[1] 서적 Roman Missal
[2] 기타 Missale Romanum https://www.scribd.c[...] 2002
[3] 웹사이트 Missale Romanum https://web.archive.[...] 2014-06-02
[4] 웹사이트 Shrine History http://snows.org/abo[...]
[5]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6]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7]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8] 문서 General Roman Calendar of 1960
[9] 웹사이트 Dedication of St. Mary Major Basilica http://www.americanc[...]
[10] 문서 Madonna della Neve
[11] 간행물 Our Lady of the Snows http://campus.udayto[...] Fairfield County Catholic 1996-01
[12] 웹사이트 The Miracle of the Snow http://goitaly.about[...]
[13] 웹사이트 The National Shrine of Our Lady of the Snows https://web.archive.[...] 2013-06-27
[14]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s Parish https://www.dioceseo[...]
[15]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s Church, Reno, Nevada https://web.archive.[...] 2013-06-27
[16]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s Church, Floral Park, New York http://www.olsnows.o[...]
[17] 웹사이트 St. Mary, Our Lady of the Snows http://www.stmarymil[...]
[18]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s Roman Catholic Church, Woodstock, Vermont http://ourladyofthes[...]
[19] 문서 Kostol Panny Márie Snežnej
[20] 웹사이트 Our Lady of the Snow https://www.newadven[...] Catholic Encyclopedia 2023-08-05
[21] 웹사이트 Roman Catholic Saint Our Lady of Snows http://www.roman-cat[...]
[22] 기타 Missale Romanum http://www.scribd.co[...] 2002
[23] 웹인용 Missale Romanum https://web.archive.[...] 2014-06-21
[24] 웹인용 "Shrine History", National Shrine of Our Lady of the Snows https://web.archive.[...] 2014-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