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전환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전환증은 생물학적 성별과 반대 성별이 되기를 열망하며, 자신의 성별에 대한 불편함 또는 부적절감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DSM 및 ICD와 같은 정신질환 진단 편람에서 다루어지며, 생물학적 성별 불일치, 지속적인 불편감, 간성이 아닐 것 등의 진단 기준을 가진다. 성전환증의 유병률은 연구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정신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료 방법으로는 호르몬 대체 치료, 성전환 수술 등이 있으며, 심리적 치료도 병행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트랜스젠더 - 성전환 수술
    성전환 수술은 성별 불쾌감을 겪는 트랜스젠더가 신체적 성별을 재확인하기 위해 받는 수술로, 생식기 재건술, 유방 절제술 등을 포함하며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한다.
  • 트랜스젠더 - 성전환
    성전환은 생물학적 성이 수컷에서 암컷 또는 그 반대로 변하는 현상으로, 짝짓기 시스템이나 크기와 번식 성공 간의 관계에 따라 진화하며, 어류,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찰되고, 인간의 경우 생식기 외관을 바꾸는 성별적합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성전환증

2. 진단

미국 정신 의학회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국제질병분류(ICD)는 전 세계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성전환증 진단 편람이다.[1] ICD-10의 성 정체성 장애 하위 항목에는 ‘성전환증’(transsexualism영어), ‘이중역할 의상도착증’(dual role transvestism영어), ‘아동의 성 정체성 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of childhood영어)가 있다. ICD-10은 성전환증을 “생물학적 성별과 반대 성별의 일원으로서 살고 또 받아들여지고자 하는 열망.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에 대한 불편감 또는 부적절감을 일반적으로 동반하며, 자신이 느끼는 성별과 최대한 동일한 신체를 갖기 위해 수술과 호르몬 치료를 받기를 원한다.”고 정의한다.[1] DSM은 성 정체성 장애와 성전환증을 구분하지 않으며, 복장도착증은 별개의 현상으로 간주한다.[6]

DSM의 성전환증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6]


  • 생물학적 성별과 반대 성별이 되고자 하는 열망 또는 주장. (반대 성별이 되어서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인한 것이 아님)
  • 자신의 생물학적 성별을 부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지속적인 불편함을 느낀다는 증거.
  • 간성이 아니어야 함. (별도 지정이 없는 한, 간성인 사람이 지정된 성별을 거부한다면 성전환증으로 판단해 치료 가능)
  • 직장 또는 사회생활에 있어 성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신체로 인해 임상적으로 극심한 고통 또는 장애를 겪는다는 증거.

3. 유병률

성전환증의 유병률은 연구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난다. DSM-IV(1994년)에 따르면, 미국에서 성전환 수술을 원하는 사람은 생물학적 남성 중에서는 3만 명 중에 1명, 생물학적 여성 중에서는 10만 명 중에 1명 꼴로 나타난다.[7] 가장 널리 인용되는 유병률 추정치는 암스테르담 성별 불쾌감 의원의 데이터로, 40년 이상의 시간에 걸쳐 네덜란드의 성전환자 중 95% 정도를 치료하면서 누적된 데이터이다.[7] 이에 따르면 생물학적 남성 중에서는 1:10,000, 생물학적 여성 중에서는 1:30,000 정도의 비율로 성전환증이 나타난다. 성 정체성 장애의 유병률에 대한 직접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는 없으나, 과거 20년 이상의 시간동안 간행된 다양한 임상논문들에서 생물학적 남성에게는 1:7,400에서 1:42,000 사이, 생물학적 여성에게는 1:30,040에서 1:104,000 사이의 유병률을 추산해낼 수 있다.[8] 한국의 경우,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성전환 수술 건수 등을 통해 유병률을 추정할 수 있다.

4. 원인

성전환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정신적인 요인과 생물학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10][11] 딕 스왑 교수는 태아기와 유전에 관련된 증거를 제시한다. 뇌의 특정 영역인 분계선조층핵(BST)이 성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BST는 뇌저신경절을 구성하는 부분인데, 태아기 때 안드로겐의 영향을 받는다.[12] 한 연구에선, 트랜스여성의 BST가 시스젠더 여성의 BST와 유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성애자 남성과 동성애자 남성의 BST는 서로 비슷했으나 여성들(시스여성과 트랜스여성 모두)의 BST와는 달랐다.[10] 성전환증에 유전적 요소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는 연구도 있다.[13] 태아기 때 디에틸스틸베스트롤 따위의 유산 방지 약물에 노출되는 것이 성전환증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증거도 상당하나, 이에 관한 연구는 아직 확실한 인과관계는 밝혀내지 못한 상태이다.[14][15][16][17]

5. 성전환 치료

성전환 치료트랜스젠더인터섹슈얼의 성별 재지정이나 성전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행위를 통칭하는 포괄적 용어이다.

SRT를 받는 사람들은 서로 다른 다양한 선택을 한다. SRT에는 2차 성징을 바꾸기 위한 호르몬 대체 치료(HRT), 1차 성징을 바꾸기 위한 성전환 수술, 트랜스여성들이 받는 안면 여성화 수술 및 영구 제모 수술 등이 있다. 성전환 치료를 받는 성전환자들은 보통 사회적 성역할과 이름, 법적으로 등록된 지정 성별도 바꾸게 된다.

성전환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정신감정을 받고 성 정체성 장애 진단을 받아야 한다. 이 행위는 보통 열망하는 성역할에 관한 주제, 의학적 치료의 위험성 등에 관한 상담 및 정신과 치료와 동반된다.

5. 1. 정신적 치료

성 정체성을 생물학적 성별에 맞춰 바꾸려는 시도는 일반적으로 효과가 없다. 널리 받아들여지는 치료 기준에서는 성전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는 타당하고 유효한 치료는 성전환 치료 뿐이라고 명기하고 있다.[18][19]

성전환자들은 임상우울증, 불안감, 다양한 약물 의존, 높은 자살률 등 심한 정신의학적 문제를 앓고 있으며 이에 따라 치료의 필요성이 강조된다.[20]

많은 트랜스젠더 운동가들은 상기한 문제들이 성 정체성 그 자체가 아닌, 개인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 대응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일부 성전환자들은 자신의 성 정체성을 정신과적 문제로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기준에서 권고되는 상담을 거부하기도 한다.[18]

5. 2. 의학적 치료

정신감정을 받은 뒤, 호르몬 대체 요법 또는 호르몬 차단제로 의학적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18][21] 완전한 성전환을 원하는 사람들은 생식기 수술을 받기 전에 적어도 1년 이상 목표하는 성별의 일원으로서 살아볼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실제 생활 경험(RLE) 또는 실제 생활 시험(RLT)이라고 한다.[18] 성전환자들은 개인적 생각, 또는 건강 상황, 경제적 처지 등의 요소에 따라 일부 치료 또는 전체 치료를 포기할 수도 있다.

5. 3. 디트랜지션

성전환 수술을 마친 후 후회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로 가족이나 동료의 지원 부족이 원인이다.[22][23] 1990년대 자료에서는 후회하는 비율이 3.8% 정도였다. 의학 정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리뷰에서는 수술 이후 후회하는 환자의 비율이 최대 8%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4] 2001년 트랜스여성 23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완전히 후회한다고 답한 사람은 없었고, 6%가 부분적으로 또는 가끔씩 후회한다고 답했다.[25]

6. 한국 사회와 성전환증

참조

[1] 웹인용 Gender identity disorders - Transsexualism http://apps.who.int/[...] 세계 보건 기구 2014-09-13
[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3] 웹인용 Ze h t dat piemeltje http://www.volkskran[...] 더 폴크스크란드 2014-09-13
[4] 웹인용 Transitioning early in life http://ai.eecs.umich[...] 2014-09-13
[5] 웹인용 NEILS BECAME NICOLE "Now I am able to be who I actually am" http://ai.eecs.umich[...] 2014-09-13
[6] 웹인용 Diagnostic criteria for Gender Identity Disorder http://72.3.233.244/[...] 2008-12-21
[7] 저널 Mortality and morbidity in transsexual subjects treated with cross-sex hormones http://www.blackwell[...] Blackwell, Oxford, UK
[8] 웹인용 The Prevalence of Transgenderism http://tgmentalhealt[...] Transgender Mental Health 2014-09-13
[9] 저널 Sexual differentiation of the human brain: relevance for gender identity, transsexualism and sexual orientation http://www.hawaii.ed[...] 2010-02-09
[10] 저널 Male-to-Female Transsexuals Have Female Neuron Numbers in a Limbic Nucleus
[11] 저널 A sex difference in the hypothalamic uncinate nucleus: relationship to gender identity 2008-10-01
[12]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r Pearson Education
[13] 웹인용 Transsexual gene link identified http://news.bbc.co.u[...] BBC 2008-10-26
[14] 저널 Are EDCs blurring issues of gender?
[15] 저널 Atypical Gender Development – A Review
[16] 저널 A psycho-endocrinological overview of transsexualism
[17] 저널 Gender Identity Disorder: General Overview and Surgical Treatment for Vaginoplasty in Male-to-Female Transsexuals http://www.shb-info.[...] 2014-09-06
[18] 저널 Standards of Care for the Health of Transsexual, Transgender, and Gender Nonconforming People, 7th Version http://www.wpath.org[...] 2012-02-23
[19] 저널 Endocrine Treatment of Transsexual People: A Review of Treatment Regimens, Outcomes, and Adverse Effects http://press.endocri[...] 2014-09-13
[20] 웹인용 Seattle and King County Health - Transgender Healt http://www.metrokc.g[...] 킹 군 2000-08-18
[21] 저널 Long-term treatment of transsexuals with cross-sex hormones: extensive personal experience
[22] 저널 Factors predictive of regret in sex reassignment 1998-04
[23] 웹인용 'I will never be able to have sex again. Ever' http://www.theage.co[...] 디 에이지 2009-05-31
[24] 저널 Male-to-female transsexualism. Sex reassignment surgery from a biopsychosocial perspective
[25] 저널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or regret following male-to-female sex reassignment surgery 20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