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발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발치는 '심해 거미 물고기'라고도 불리며, 꼬리지느러미와 두 골반지느러미 아래로 뻗어 나온 긴 지느러미를 특징으로 하는 심해어류이다. 최대 43.4cm까지 성장하며, 지느러미는 1m 이상으로 자랄 수 있다.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의 수심 878m에서 4,720m 깊이의 심해에 서식하며, 촉각과 기계 감각을 사용하여 먹이를 찾는다. 자웅동체로, 짝짓기를 하거나 스스로 자손을 생산하며, Bathypterois 속에는 최소 18종이 포함된다. 거미고기 등과 유사하며, 남극빙어와 유사한 생존 전략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발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Bathypterois grallator |
명명자 | Goode & T. H. Bean, 1886 |
생물학적 특징 | |
몸길이 | 30 cm (일반), 43.4 cm (최대)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LC (최소 관심) |
IUCN 참고 | Bannerman, P., Poss, S., Russell, B. & Nunoo, F. 2015. Bathypterois grallator.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194992A15571915. |
2. 특징
세발치는 때때로 심해 거미고기라고도 불리며, 꼬리 지느러미 아래쪽과 양쪽 골반 지느러미에서 길게 뻗어 나온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이 물고기의 머리와 몸통 길이는 최대 43.4cm에 달하지만,[2] 지느러미 길이는 1m 이상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세발치는 이 세 개의 긴 지느러미를 이용해 바다 밑바닥에 서서 먹이를 기다린다.[3] 지느러미는 평소에는 꽤 뻣뻣해 보이지만, 연구 결과 헤엄칠 때는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과학자들은 세발치가 바닥에 '서 있을' 때 지느러미에 체액을 보내 더 단단하게 만드는 것으로 추정한다.[4]
세발치는 북위 40°에서 남위 40° 사이의 대서양, 태평양, 인도양에 비교적 넓게 분포한다. 878m에서 4720m 깊이에서 발견되는 광범위한 광수심성 어류이다.[3]
세발치는 저조도 환경에서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특별한 시각적 적응이 없어, 음식을 식별하기 위해 촉각과 기계 감각 신호에 의존한다.[5] 물고기가 해저에 긴 지느러미로 삼각대처럼 자리 잡고 있을 때는 먹이를 보지 않고도 잡을 수 있다. 세발치의 입은 새우, 작은 물고기, 그리고 헤엄치는 작은 갑각류를 잡기에 적합한 높이에 위치한다.[5] 세발치는 꼬리 지느러미의 매우 길쭉한 지느러미 줄기와 두 개의 골반 지느러미를 사용하여 진흙 위에 서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5]
세발치는 한 개체가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자웅동체이다. 두 마리의 세발치가 만나면 짝짓기를 한다. 하지만 짝을 찾지 못할 경우, 스스로 정자와 난자를 만들어 자가수정을 통해 번식할 수도 있다.[7]
''Bathypterois'' 속에는 최소 18종이 포함되어 있다.[8] 세발치와 비슷한 종들은 종종 같은 지역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1년 보고서에 따르면 ''Bathypterois dubius''는 비스케이 만 북위 50도까지 관찰되었다.[8]
[1]
간행물
Bathypterois grallator
2015
3. 서식지
4. 먹이
사냥할 때는 물살을 거슬러 앞을 향하고 가슴 지느러미를 앞으로 돌려 뻗어, 마치 여러 개의 안테나처럼 보이도록 하여 매복한다.[5] 세발치는 이 앞 지느러미를 손처럼 사용하여 물 속의 물체를 감지한다.[5] 먹이를 감지하고 먹을 수 있다고 판단하면, 지느러미로 먹이를 쳐서 입으로 넣는다.[5] 주로 물살을 마주 보고 서서 먹이가 흘러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방식으로 사냥한다.[6]
5. 생식
6. 관련 및 유사 종
세발치는 거미고기 ''Bathypterois longifilis''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거미고기는 세발치와 외형 및 습성이 비슷하지만, 크기가 더 작고 지느러미가 훨씬 짧다는 차이가 있다. 이 두 종은 종종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함께 발견되기도 한다.[5] 세발치와 거미고기가 속하는 이프놉스과(Ipnopidae)는 세발치과 또는 거미고기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일부 남극빙어(icefish), 특히 ''Chionodraco'' 속 어류와 세발치 사이에는 행동적인 유사성이 관찰된다. 두 종류의 물고기 모두 해저면 위에서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는 전략을 사용하는데, 이는 시각 외에 다른 감각, 특히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계 수용 감각을 활용하는 데 유리한 방식이다.
참조
[2]
웹사이트
[3]
논문
First Central Pacific Plate and Hawaiian Record of the Deep-sea Tripod Fish Bathypterois grallator (Pisces: Chlorophthalmidae)
http://scholarspace.[...]
[4]
뉴스
Tripod Fish; a fish with legs
http://www.australia[...]
Australian Geographic
2014-03-20
[5]
서적
Deep-Sea Fishes
Academic Press
[6]
서적
Deep Sea Extremes
Crabtree Publishing Company
[7]
서적
Life on the Edge
Lerner Publications
[8]
문서
First results of a quantitative study of deep-sea fish on the continental slope of the Bay of Biscay: visual observations and trawling
ICES CM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