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브란스병원은 1885년 호러스 뉴턴 알렌에 의해 설립된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인 광혜원에서 시작되었다.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개칭되었으며, 1962년 현재의 신촌으로 이전했다. 현재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송도세브란스병원이 건설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설립된 병원 - 연세대학교 의료원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세브란스병원을 설립, 의학 발전과 의료 인력 양성에 기여하며, 산하 병원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과 사회적 기여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의료기관이다. - 1885년 설립된 병원 - 제중원
제중원은 갑신정변 이후 서양 의학 도입 필요성에 따라 1885년 설립된 조선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으로, 의료 선교사들이 진료를 담당하고 의학당을 설립하여 의료 인력을 양성했으며, 이후 세브란스병원으로 이어져 한국 근대 의학 발전에 기여했지만, 후신을 두고 논란이 있다. - 서울 서대문구 - 신촌
신촌은 서울의 대학 밀집 지역으로, 한때 서울의 주요 상권이었으나 침체기를 겪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과 축제 개최를 통해 다시 활기를 되찾았으며, 현대백화점 등 쇼핑 시설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갖춘 곳이다. - 서울 서대문구 - 연세대학교 의료원
연세대학교 의료원은 1885년 광혜원으로 시작하여 한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세브란스병원을 설립, 의학 발전과 의료 인력 양성에 기여하며, 산하 병원을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과 사회적 기여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의료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병원 -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은 1885년 제중원으로 시작하여 대한의원, 조선총독부의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편 후 특수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본원 외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등을 운영하며 국내외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한민국 병원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병원 - 동아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은 1990년 개원하여 교육, 연구, 진료를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동아대학교 부속 병원으로, 다양한 전문 센터와 최첨단 의료 장비를 갖추고 의료 공공성 강화와 의료 발전에 힘쓰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세브란스 병원 |
영어 표기 | Severance Hospital |
한글 | 세브란스 병원 |
한자 | 세브란스 病院 |
로마자 표기 | Sebeuranseu byeongwon |
마큔-라이샤워 표기 | Sebŭransŭ pyŏngwŏn |
다른 이름 | 연세대학교 의료원 |
다른 이름 (한글) | 연세대학교 의료원 |
다른 이름 (한자) | 延世大學校醫療院 |
다른 이름 (로마자 표기) | Yeonsedaehakgyo uiryowon |
다른 이름 (마큔-라이샤워 표기) | Yŏnsedaehakkyo ŭiryowŏn |
설립일 | 1885년 |
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 연세대학교 |
상급 기관 | 연세대학교 의료원 |
의료 체계 | 3차 의료급여기관 |
웹사이트 | 연세대학교 의료원 |
웹사이트 | 세브란스 병원 |
웹사이트 | 세브란스병원 홈페이지 |
진료 정보 | |
응급실 운영 여부 | Yes |
기타 정보 | |
관련 학술지 | 연세대학교 의학 저널 |
2. 연혁
1885년 4월 10일 알렌이 '''광혜원'''을 설립하고 초대 병원장으로 취임했으며, 4월 23일 '''제중원'''으로 개칭되었다.[4] 1894년 4월 에이비슨이 초대 교장으로 취임한 한국 최초의 의학교인 '제중원 의학교'가 설립되었다.[4] 1904년 9월 3일 세브란스의 기부로 남대문 밖 붕숭아골(현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병원을 이전하면서 '''세브란스병원'''으로 개칭했다.[4]
1909년 5월 미국인 세브란스가 병원 설립 기금을 기증했다.[4]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의 한국 통치가 끝난 후, 의과대학은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5] 1957년 1월 5일,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연희대학교와 합쳐져 '''연세대학교'''가 되었다.[5] 1962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으로 병원 시설을 이전했다.[1] 2005년 3월 4일 신축 본관을 개원했다.[1] 2018년 3월 도시바에너지시스템즈&솔루션즈와 세계 최초로 중입자 암 치료기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1]
2. 1. 설립 초기 (1885-1904)
1885년 4월 10일 '''광혜원'''이 설립되고, 알렌(H. N. Allen)이 초대 병원장으로 취임하였다.[4] 4월 23일 '''제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 1894년 4월 한국 최초의 의학교인 '제중원 의학교'가 설립되었고, 에이비슨이 초대 교장으로 취임하였다.[4]1904년 9월 3일, 스탠더드 오일의 미국인 기부자 세브란스(L. H. Severance)의 기부 덕분에 병원 이름을 '''세브란스병원'''으로 바꾸고, 남대문 밖 복숭아골(현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이전하였다.[4] 같은 해, 세브란스병원 의과대학과 부속 간호대학이 병원에 추가되었다.
2. 2. 세브란스 기념병원 시대 (1904-1962)
1904년 9월 3일 남대문 밖 복숭아골(현 서울특별시 용산구)로 병원을 이전하면서 '''세브란스병원'''으로 개칭되었다.[4] 이는 미국인 세브란스가 병원 설립 기금을 기증한 데 따른 것이다.[4] 같은 해, 세브란스 병원 의과대학과 부속 간호대학이 추가되었다.[4]1910년 일본이 한국의 통치권을 장악한 후, 병원과 직원들에게 새로운 요구 사항이 추가되었고, 선교사들은 경우에 따라 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4]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의 한국 통치가 끝난 후, 의과대학은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5] 1954년 캐나다 의료 선교사인 플로렌스 J. 머레이가 세브란스 병원의 원장이 되었다.[4] 그녀의 지휘 아래 외과 서비스가 확장되었고, 병원은 조선 기독교 병원과 합병하여 연세대학교를 설립했다.[4] 1962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으로 병원 시설이 이전되었다.
2. 3. 신촌 세브란스병원 시대 (1962-현재)
1962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으로 병원 시설을 이전하였다.[1]2005년 3월 4일 신축 본관을 개원하였다.[1]
2018년 3월 일본 도시바에너지시스템즈&솔루션즈와 중입자 암 치료기 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는 세계 최초였다.[1]
3. 역사
세브란스병원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병원으로, 1885년 미국인 의사이자 의료 선교사인 호러스 N. 앨런에 의해 "광혜원"이라는 왕립 병원으로 설립되었다.
1904년 9월 3일, 스탠더드 오일의 미국인 기부자 루이스 세버런스의 기부 덕분에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같은 해, 병원에는 세브란스 병원 의과대학과 부속 간호대학이 추가되었다. 1910년 일본이 한국의 통치권을 장악한 후, 병원과 직원들에게 새로운 요구 사항이 추가되었고, 선교사들은 경우에 따라 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의 한국 통치가 끝난 후, 의과대학은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57년 1월 5일, 세브란스 의과대학은 연희대학교와 합쳐져 연세대학교가 되었다.[5] 1954년, 캐나다 의료 선교사인 플로렌스 J. 머레이가 세브란스 병원의 원장이 되었다. 그녀의 지휘 아래 외과 서비스가 확장되었고, 병원은 조선 기독교 병원과 합병하여 연세대학교를 설립했다. 머레이는 나중에 원주 연합 기독교 병원을 이끌었고, 이를 연세대학교와 합병하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를 설립했다.[4]
3. 1. 제중원 (1885-1904)
호러스 뉴턴 알렌이 고종의 지원을 받아 1885년 4월 설립한 대한 제국의 첫 서양식 국립병원인 '광혜원(廣惠院)'이 만들어졌다. 10일 뒤에 이름이 ‘대중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으로 바뀌었다.[7][8] 호러스 알렌이 병원 운영권을 받아 운영하였으며, 1886년에는 의학부를 설치해 의학 교육도 시작하였다. 1887년 구리개(현재 을지로)로 이전하였다. 제중원의 역사는 세브란스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이 서로 자신만의 뿌리라고 주장해 정통성 논란이 진행 중이다.[7][8]3. 2. 세브란스 기념병원 (1904-1962)
루이스 헨리 세버런스의 기부로 제중원을 이전하고 증축하였다. 1902년 서울시 중구 통일로의 '연세대학교 재단빌딩' 자리에 착공하여 1904년 9월 23일에 완공된 이 병원은 지상 2층, 지하 1층으로 구성되었으며, '세브란스 기념병원'으로 명명되었다.[9][7]1904년 9월 3일, 스탠더드 오일의 미국인 기부자 루이스 세버런스의 기부로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에 세브란스 병원 의과대학과 부속 간호대학이 추가되었다. 1910년 일본이 한국의 통치권을 장악하면서 병원과 직원들에게 새로운 요구 사항이 생겼고, 선교사들은 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통치가 끝난 후, 의과대학은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5]
3. 3. 신촌 세브란스병원 (1962-현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의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인접 부지에 증축과 이전을 위한 종합병원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2만 평의 부지에 공사비 을 들여 1954년 착공하였다. 중간에 자금이 부족해 2년간 공사가 중단되기도 했으며, 1962년 완공하였다. 중구의 세브란스병원과 연세대학교 부속 의과대학을 부지 내로 흡수하였다. 4층 건물 3동과 나머지 2동으로 구성되었다. 병원 시설로는 400개 병상의 입원실과 진료소를 갖추었고, 의료인 교육 시설로 의과대학과 간호원 기숙사가 함께 존재하였다.[10]3. 4. 연세대학교와의 통합
1947년,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의 한국 통치가 끝난 후, 세브란스 의과대학으로 승격되었다.[5] 1957년 1월 5일, 연희대학교와 합쳐져 연세대학교가 되었다.[5]4. 세브란스병원 분원
참조
[1]
논문
Yonsei Medical Journal
[2]
웹사이트
연세대학교 의대 세브란스병원 (延世大學校醫大 ─ 病院)
http://100.empas.com[...]
Empas/Britannica
[3]
웹사이트
연세대학교의료원 (延世大學校醫療院)
http://100.empas.com[...]
Empas/EncyKorea
[4]
서적
Return to Korea
Essence Publishing
[5]
웹사이트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http://www.yuhs.or.k[...]
[6]
웹사이트
세브란스병원 -
http://sev.iseveranc[...]
[7]
뉴스
[역사의 향기/표지석] <40>제중원(濟衆院)터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19-06-23
[8]
뉴스
칼럼, [필동정담] 학교 역사 100년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19-06-28
[9]
뉴스
[발굴! 이 사람] 대를 이어 ‘나누는 기쁨’ 누린 세브란스 가문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8-10-10
[10]
뉴스
연세대종합병원 준공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62-06-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BTS 슈가 50억 통 큰 기부로…세브란스 '민윤기치료센터' 열어
화순전남대병원 등 7곳 ‘진료비 낮고 의료 질 좋은 병원’
경실련 “서울 ‘빅5’ 중 비급여율 높은 곳 세브란스병원”
라온시큐어, ‘AI·양자내성암호·제로트러스트‘로 미래 전략 방향 제시 – 바이라인네트워크
“진료 대기 40번대는 오랜만”…전공의도 환자들도 돌아왔다
위와 목에 생명줄 꽂은 네살 나영이, “베트남 할머니 만날 날은 언제…”
복귀없다던 박단 전 위원장, 세브란스 전공의 지원했으나 탈락
8월29일 인사
연세대, ‘RISE-Y 지·산·학·의·연 협의회’ 성황리에 개최
역사학+신학+문학+음성학…‘거대한 도서관’ 자체였죠
"돌아갈 생각 없다"던 박단 전 전공의 대표, 세브란스로?
“돌아갈 생각 없다”던 박단, 세브란스 전공의 지원
[자막뉴스] "돌아갈 생각 없다"며 사직했는데…박단, 세브란스 전공의 지원
숭실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캐나다 출신 독립운동가 마틴 선교사 후손 론 무어(Ron Moore) 박사방한 기념 기자간담회 개최
세브란스병원 주4일제 실험 2년…이재명 정부 4.5일제는 성공할 수 있을까
"치주염 세균이 대장암 예후 악화시켜…면역세포 발달 억제"
상반기 빅5 전공의, 작년 말 대비 2.4배…의정갈등 전 20% 수준
“일본으로 수술하러 가는 비용도 보장”…중입자 치료 보험 범위 확대
BTS 슈가 '50억 기부'에 아미 동참…하루 만에 2억 모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