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베르그 클래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베르그 클래스는 디리클레 급수의 일종으로, 해석성, 라마누잔 추측, 함수 방정식, 오일러 곱의 네 가지 공리를 만족하는 함수들의 집합이다. 셀베르그 클래스에 속하는 함수들은 복소 평면 전체로 해석적으로 확장 가능하며,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 클래스에 속하는 대표적인 예시로는 리만 제타 함수와 모듈러 판별식의 L-함수가 있으며, 셀베르그는 이 클래스에 속하는 함수들에 대한 몇 가지 추측을 제시했다. 이 추측들은 아르틴 추측을 포함한 여러 중요한 결과를 함축하며, 셀베르그 클래스의 함수들은 소수 정리와 유사한 성질을 만족한다.
셀베르그 클래스 ''S''는 Re(''s'') > 1에서 절대 수렴하는 디리클레 급수 들의 집합으로, 다음 네 가지 공리를 만족한다.
μ''i''의 실수부가 음수가 아니어야 한다는 조건은 μ''i''가 음수일 때 리만 가설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L''-함수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라마누잔-페터슨 추측이 성립하고 함수 방정식을 갖지만 리만 가설을 만족하지 않는 예외적인 고유값을 갖는 마스 형식이 있다.[12]
셀베르그 클래스의 대표적인 예시는 리만 제타 함수이다.[2] 또 다른 예시로는 모듈러 판별식 Δ의 ''L''-함수가 있는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리만 제타 함수와 마찬가지로, 셀베르그 클래스 ''S''의 원소 ''F''는 감마 인자 γ(''s'')의 극점에서 발생하는 '''자명한 영점'''을 갖는다. ''F''의 다른 영점은 '''비자명한 영점'''이라고 하며, 이들은 모두 특정 띠 영역 안에 위치한다. 0 ≤ Im(''s'') ≤ ''T'' 범위에서 ''F''의 비자명한 영점의 개수를 ''NF''(''T'')로 나타내면,[6] 셀베르그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보였다.
셀베르그는 ''S''에 있는 함수에 관해 다음과 같은 추측들을 제시했다.
2. 정의
# '''해석성''': 는 ''s''=1에서 극점(pole)을 가질 가능성을 제외하고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해석적으로 확장 가능하다.
# '''라마누잔 추측''': 이고, 임의의 ε > 0에 대해 이다.
# '''함수 방정식''': 다음과 같은 형태의 감마 인자(gamma factor)가 존재한다.
:
:(여기서 ''Q''는 양의 실수이고, Γ는 감마 함수이며, ω''i''는 양의 실수이고, μ''i''는 음이 아닌 실수부를 가진 복소수이다.)
# '''오일러 곱''': Re(''s'') > 1에 대해 ''F''(''s'')는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
2. 1. 해석성 (Analyticity)
는 ''s''=1에서 극점(pole)을 가질 가능성을 제외하고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해석적으로 확장 가능하다. 좀 더 정확하게는, 함수 (''s'' - 1)''m''''F''(''s'')는 어떤 음이 아닌 정수 ''m''이 존재하고, 유한한 차수의 정함수이다.
2. 2. 라마누잔 추측 (Ramanujan conjecture)
이고, 임의의 ε > 0에 대해 이다.
2. 3. 함수 방정식 (Functional equation)
감마 인자(gamma factor)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
여기서 ''Q''는 양의 실수이고, Γ는 감마 함수이며, ω''i''는 양의 실수이고, μ''i''는 음이 아닌 실수부를 가진 복소수이다. 또한 소위 근수(root number)
:
가 존재하여, 함수
:
는 다음을 만족한다.
:
2. 4. 오일러 곱 (Euler product)
Re(''s'') > 1에 대해 ''F''(''s'')는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될 수 있다.
:
여기서
:
이고, 어떤 θ < 1/2에 대해,
:이다.
Re(''s'')>1에 대해 ''F''(''s'')는 다음과 같이 소수를 지나는 곱으로도 쓸 수 있다.[1]
:
여기서,
:
이고, 어떤 θ < 1/2가 존재하여,
:이다.[1]
3. 정의에 대한 보충 설명
θ < 1/2 조건은 중요하다. θ = 1의 경우 영점이 임계선 위에 있지 않은 함수가 포함되기 때문이다.[12]
조건이 없으면, 리만 가설을 위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an''은 곱셈적이며, 다음과 같다.
:
4. 예시
:
여기서 이고, τ(''n'')은 라마누잔 타우 함수이다.[3] 또한, ''F''가 셀베르그 클래스의 원소이고, χ가 원시 디리클레 문자이면,
:
로 정의되는 ''F''χ도 셀베르그 클래스의 원소이다.
알려진 모든 예는 자동형 형식의 L-함수(automorphic L-function)이며, ''Fp''(''s'')의 역수는 유계 차수의 ''p''−''s''에 대한 다항식이다.[4][15]
5. 기본 성질
:
여기서 ''dF''는 ''F''의 '''차수''' (또는 '''차원''')라고 불리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7]
:
''F'' = 1은 차수가 1보다 작은 ''S''에 속하는 유일한 함수임이 증명될 수 있다.
만약 ''F''와 ''G''가 셀베르그 클래스에 속한다면, 곱 ''FG''도 셀베르그 클래스에 속하며, 다음이 성립한다.
:
''S''에 속하는 함수 ''F'' ≠ 1은 ''F'' = ''F''1''F''2로 표현될 때, 여기서 ''Fi''는 ''S''에 속하며, ''F'' = ''F''1 또는 ''F'' = ''F''2가 성립할 때 '''원시적'''이라고 한다. 만약 ''dF'' = 1이면, ''F''는 원시적이다. ''S''의 모든 함수 ''F'' ≠ 1은 원시적 함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6. 셀베르그 추측
6. 1. 추측 1
Selberg|셀베르그영어 (1992)는 클래스 의 기능에 관한 추측을 제시했다.
::
7. 셀베르그 추측의 결과
추측 1과 2는 ''F''가 ''s'' = 1에서 차수 ''m''의 극을 갖는다면, ''F''(''s'')/ζ(''s'')''m''이 전체 함수임을 함축한다. 특히, 이들은 데데킨트 추측을 함축한다.[23][9][19]
M. 람 무르티는 추측 1과 2가 아르틴 추측을 함축함을 보였다. 실제로, 무르티는 아르틴 L-함수가 유리수체의 가해 확장의 갈루아 군의 기약 표현에 대응하는 자동형 표현임을 보였으며, 이는 랑글란즈 추측이 예측한 바와 같다.[24][10][20]
''S''의 함수들은 또한 소수 정리와 유사한 성질을 만족한다. 즉, ''F''(''s'')는 Re(''s'') = 1 선상에 영점을 갖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추측 1과 2는 ''S''에 있는 함수를 원시 함수로 유일하게 인수분해할 수 있음을 함축한다. 또 다른 결과는 ''F''의 원시성이 ''nF'' = 1과 동치라는 것이다.[25][11][21]
참조
[1]
문서
[2]
간행물
[3]
간행물
[4]
간행물
[5]
학술 논문
On the structure of the Selberg class, VII.
http://annals.math.p[...]
[6]
문서
[7]
문서
[8]
간행물
[9]
문서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간행물
[13]
서적
In Search of the Riemann Zeros: Strings, Fractal Membranes and Noncommutative Spacetime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4]
간행물
[15]
간행물
[16]
문서
[17]
문서
[18]
간행물
[19]
문서
[20]
간행물
[21]
간행물
[22]
문서
[23]
문서
[24]
간행물
[25]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